• 제목/요약/키워드: pear peel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8초

Comparative Study of Antioxidant Activity of Apple and Pear Peel

  • Kim, Kyung Soon;Roh, Kwang Soo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47-354
    • /
    • 2013
  • Apple and pear are popular fruits consumed in Korea and are common fruit in daily diet. In order to compar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apple and pear peels, total polyphenol contents, total flavonoid contents, $ABTS^+$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measured from hot water, ethanol, and methanol extracts of the two fruit peels.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were highest in 95% methanol extracts of the apple peelsand 70% ethanol extract of the pear peels, respectively.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the pear peels were higher than that of apple peels,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of the apple peels were higher than that of pear peels. The apple and pear peels had the highest $ABTS^{+{\cdot}}$ an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95% methanol extracts and 70% ethanol extracts, respectively. $ABTS^{+{\cdot}}$ an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ear peels was higher than that of apple peels, and the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apple and pear peels were detected in hot water, 95% methanol, and 70% ethanol extracts, respectively. Ascorbic acid, a synthetic antioxidant used as positive control, had significantly higher scavenging activity than the apple and pear peels. In conclusion, the apple and pear peelshave great potential as natural antioxidants. Therefore, above results should be considered to provide the possibility for the development of high functional antioxidants.

탄수화물 분해효소 처리에 의한 배 과피와 과심의 항산화 생리활성 증대효과 (Effects of Complex Carbohydrase Treatment on Physiological Activities of Pear Peel and Core)

  • 이평화;박수연;장태훈;임순희;남승희;인만진;김동청;채희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404-410
    • /
    • 2014
  • 배(Pyrus pyrifolia)의 과피와 과심에 복합효소처리 의해 물리화학적 특성 및 기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배의 과피와 과심에 4종의 복합효소를 처리할 경우 과피의 가용성 고형분 함량이 증가하였고 과심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지 않았다. 과피의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Pectinex로 처리하였을 때 가장 높은 증대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배의 과피와 과심에 Pectinex로 처리하였을 때 높은 환원당 추출 수율을 얻을 수 있었다. 총당 함량은 대부분의 효소처리군에서 증가하여 효소에 의해 탄수화물이 분해되어 당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배의 과피에 Viscozyme으로 처리할 경우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radical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 및 SOD 유사활성이 가장 높은 증대효과를 보였다. 또한 과심에 Celluclast로 처리할 경우 총 폴리페놀 함량이 증가하였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Ultraflo 처리군을 제외한 나머지 효소처리군에서는 비슷한 양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과심에 4종의 복합효소처리 시 DPPH radical 소거능과 ABTS radical 소거능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지 않았고 SOD 유사활성은 모두 증가하였다. 결과적으로 배의 과피와 과심에 탄수화물 분해 복합효소를 처리함으로써 고형분, 환원당 및 항산화 물질의 추출률을 증가시키고 항산화 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국내 육성 배 신품종의 과실 부위별 항산화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Pyrus pyrifolia Fruit in Different Cultivars and Parts)

  • 최장전;임순희;최진호;박장현;남승희;이한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22-226
    • /
    • 2013
  • 국내 육성 배 신품종과 신고 품종의 부위별 생리활성을 확인하고자 총 폴리페놀 화합물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전자공여능, 아질산염 소거능 등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품종별로는 추황배와 한아름이 다른 품종에 비해 높았으며, 과피, 과육, 과심이 각각 178~235, 95~113, 177~229 mg/100 g으로, 과피>과심>과육의 순으로 높아 부위별로 차이가 있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품종별로 추황배와 감천배가 높았으며, 과피, 과육, 과심이 각각 29.2~40.2, 24.3~34.3, 26.9~38.8 mg/100 g으로 과피가 과육과 과심에 비해 높았다. 전자공여능은 품종별로는 추황배와 감천배가, 부위별로는 과육(7.6~17.7%)이나 과심(29.1~38.2%)보다 과피(29.7~57.7%)에서 더 높은 소거능을 보였다. 아질산소거능은 추황배와 한아름이 18.0, 17.9%로 가장 높았으며, 부위별로는 과피(21.0~49.8%)>과심(11.8~16.2%)>과육(7.8~9.7%)의 순으로 높았으며, 특히 과피의 항산화활성이 우수하였다.

한국산 배과피 폴리페놀 분획군의 생리활성효과 (Biological Activity of Polyphenol Group Fraction from Korean Pear Peel)

  • 안봉전;이진태;곽재훈;박정미;이진영;손준호;배종호;최청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1호
    • /
    • pp.92-95
    • /
    • 2004
  • 한국산 배과피의 기능성 원료로서의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폴리페놀 성분을 분획하여 그 생리활성 및 암세포증식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전자공여능에서는 50 ppm에서 분획물 II, III에서 80%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SOD 유사능은 분획물 II, III의 500 ppm군에서 50-60%의 효과가 인정되었다. 통풍과 관련있는 xanthin oxidase 실험에서는 분획물 I의 저해 효과는 미미하였으나 II와 III에서는 50 ppm에서도 80%에 이르는 높은 저해효과가 관찰되었으며, 유선암세포(MDA) 생육억제 실험에서는 분획물 II보다 III가 높은 증식억제능을, 2,000 ppm에서는 약 60%의 억제능을 나타내었고, 전립선암(PC-3)의 세포억제효과에서는 III보다 II에서 오히려 억제 효과가 높았고, 500 ppm에서 약 23%의 억제효과가 관찰되어 한국산 배과피의 기능성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렁이 사육상에서 지렁이 유인장치에 의한 줄지렁이(Eisenia fetida) 유인효과 (Earthworm harvesting efficiency of earthworm(Eisenia fetida) attracting trap in the vermicomposting bed)

  • 배윤환;박광일
    • 유기물자원화
    • /
    • 제13권2호
    • /
    • pp.98-106
    • /
    • 2005
  • 지렁이 사육상으로부터 지렁이를 분리, 수확할 수 있는 지렁이 유인장치를 개발하기 위해서 사육상에서의 지렁이 개체군 동태, 유인물질 및 유인틀내 철망의 mesh 크기, 덮개재질 등에 따른 지렁이 유인효율을 조사하였다. 지렁이 사육상에서 줄지렁이의 최고밀도는 약 $5kg/m^2$이었으며 최고밀도 도달한 이후에는 $4.4{\sim}5.0kg/m^2$의 밀도를 유지하였다. 유인틀내 철망의 mesh 크기는 7mm정도가 적정하였으며 유인틀 덮개는 표면은 매끄럽고 수분을 잘 머금을 수 있는 재질이 적당하였다. 유인틀내에 유인제를 사용하는 경우가 사용하지 않는 경우보다 유인효과가 현저히 높았으며, 유인틀내 유인제량이 많을수록, 유인틀 설치 기간이 길어질수록 지렁이 유인량이 많아졌다. 유인제로서는 분쇄된 배껍질이 제지슬러지보다 우수하였는데 이는 유인제내 당도의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량의 배껍질을 공급하기가 어려우므로 그 대용으로서 설탕물(10%)을 유인물질로 이용하는 방안이 제시될 수 있었다.

  • PDF

추황배(Pyrus pyrifolia Nakai cv. Chuhwangbae) 과피로부터 2종의 Flavonoids의 단리·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Two Flavonoids from Pear (Pyrus pyrifolia Nakai cv. Chuhwangbae) Fruit Peel)

  • 이상원;이유건;조정용;김영출;이상현;김월수;문제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70-17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국산배의 기능학적 우수성 증명을 위해 국산배로부터 생리활성 화합물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에 배 과피 MeOH 추출물을 용매분획하여 얻은 EtOAc-산성획분을 대상으로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와 ODS-HPLC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정제를 행하여 2종의 화합물을 단리하였다. 단리된 화합물 1과 2는 MS 및 NMR 분석을 통하여 각각 quercetin 3-O-${\beta}$-Dglucopyranoside(화합물 1)와 3,5,6,7,8,3',4'-heptahydroxyflavan [(-)-dulcisflavan, 화합물 2)]으로 동정되었다. 단리된 화합물 1은 동양배로부터, 그리고 화합물 2는 배로부터 처음 동정된 화합물이다. 본 연구결과가 국산배의 기능학적 우수성 증명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Antioxidant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and Phenolic Compounds in Asian Pear at Different Stages of Maturity

  • Zhang, Xian;Koo, Ja-Heon;Eun, Jong-Ba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1호
    • /
    • pp.44-50
    • /
    • 2006
  • Contents of phenolic compounds in peel, flesh, and core of three Asian pear cultivars, Hosui, Niitaka, and Chuwhangbae, were determined at different stages of maturity. Antioxidant properties of methanol extracts of peels at various fruit maturity stages were also evaluated. Total phenolic content decreased with maturity. Arbutin, chlorogenic acid, and epicatechin were major phenolic compounds in young fruits. Catechin, 4-hydroxymethyl benzoic acid, and caffeic acid were detected in peel and core of immature and mature pears. 2, 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were 16.30 and $15.73\;{\mu}g$ in peel of immature Hosui and Chuwhangbae pears, respectively, and $11.59\;{\mu}g$ in mature Niitaka pears,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other maturity stage in the same cultivar. Inhibitory activities on lipid oxidation of methanol extracts of three cultivars at all maturity stages were similar to that of ${\alpha}$-tocopherol.

동양배 품종별 유과기와 수확기 과실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Young and Mature Fruit in Three Asian Pear Cultivars)

  • 박연옥;최장전;최진호;김명수;임순희;이한찬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2호
    • /
    • pp.208-21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원황', '황금배', '추황배' 등 신육성 품종을 이용하여 유과기와 수확기의 과실 및 부위별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품종별 총 폴리페놀 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유과기 과실이 수확기 과실에 비해 1.5-2.5배 많았는데 특히 '추황배'의 함량이 높게 조사되었다. 수확기 과실의 부위별 총 폴리페놀 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과피, 과심, 과육의 순으로 측정되었다. DPPH radical 소거능과 ABTS 양이온 소거활성은 유과기가 수확기보다 활성이 높았으며 두 시기 모두 '추황배'의 라디칼 소거능이 가장 우수하였다. 또한 수확기 과실 부위별 DPPH radical 소거능과 $ABTS^+$ 양이온 소거활성은 과피가 가장 높았고 과심, 과육 순으로 나타났다

배 장십랑품종의 저장 전 $CaCl_2$처리에 따른 과실 칼슘함량과 과실특성의 변화 (Effect of Postharvest Calcium Solution Dipping and Vacuum Infiltration on Calcium Content and Quality of Chojuro Pear Fruit)

  • 최종승;이주연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57-61
    • /
    • 1998
  • 장십랑 배를 수확한 후에 $CaCl_2$에 침지 또는 감압침지하므로 과실의 칼슘함량이 증가되었다. 특히 과피와 과피직하 과육의 칼슘증가량이 많았다. 단순침지의 경우 $CaCl_2$의 농도가 2%에서 8%까지 높아질수록 과실의 칼슘함량이 증가되어 효과적이었고, 감압침지의 경우 200-600mmHg의 감압범위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며, 단순 침지와 감압침지 간에도 차이를 인정할 수 없었다. 처리 4주 후의 과실경도의 저하는 $CaCl_2$ 처리로 칼슘함량이 증가된 과실에서 둔화되었다.

  • PDF

배(리(梨)) 추출 Phenolic Compound 및 길경(桔梗) 행인(杏仁) 배합 투여가 Ovalbumin으로 유발된 천식 동물 모델에서 기관지 평활근 장력, 호산구 및 IL-4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ear phenolic compound and herbal drugs on tension of the tracheal smooth muscle, eosinophil and interleukin-4 in mouse model of allergic bronchial asthma induced by ovalbumin)

  • 정종길;윤대환;나창수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5-33
    • /
    • 2007
  • Objectives : Oriental pear was used as treatment of asthma, control of blood pressure, diabetes in oriental medicin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effects of Phenolic compound extracted from pear and herbal drugs to treat asthma. Methods : In order to study the effect of oral administration of phenolic compound extracted from pear and herbal drugs(Platycodon grandiflorum, Prunus armeniaca) on allergic asthma, mice were pre-treated by oral administration of the solution before antigen sensitization four times for 8 days. 2 days later, mice were actively sensitized with a subcutaneous injection of ovalbumin and 13 days later, they were provoked with ovalbumin aerosols. The animal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Saline, orally administered saline. PC-A, orally administered Phenolic compound extracted from pear peel 10mg/kg/ml. PC-B, orally administered Phenolic compound extracted from pear peel and flesh 10mg/kg/ml. PC-C, orally administered pear 10m/kg/ml, Platycodon grandiflorum 24.4 mg/kg/ml and Prunus armeniaca 33.3 mg/kg/ml. Serum level of IgE, IL-4, cell numbers in the bronchoalveolar lavage fluid(BALF), and in vitro isometric contractile responses of the isolated tracheal smooth muscle(TSM) to acetylcholine(ACh, $0.1-1000{\mu}M$), KCl were measured. Results : Contractile responses of TSM to ACh were decreased in PC-A group at Ach 0.1, 0.3, 1 ${\mu}M$, decreased in PC-B at 0.1 ${\mu}M$ and decreased in PC-C at 0.1, 0.3, 1, 10, 30 ${\mu}M$. The maximal contractile response of TSM to KCl was decreased in PC-C group, The cell numbers of eosinophil in BALF were decreased in PC-C group, and those of macrophages in BALF were decreased in PC-A and PC-C group. Interleukin-4 in BALF was decreased in PC-A, PC-B, PC-C group. Conclusion :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is assumed that oral administration of phenolic compound extracted from pear and herbal drugs can help the treatment of deficiency allergic Asthm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