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ak power

검색결과 2,635건 처리시간 0.032초

하이드록시프로필화 녹두, 고구마, 물밤 전분의 이화학적 특성과 하드캡슐 제조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Hydroxypropylated Mung Bean, Sweet Potato and Water Chestnut Starches for Hard Capsules Formation)

  • 장정화;고정아;박현진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75-80
    • /
    • 2013
  • 녹두, 고구마, 물밤 전분에 propylene oxide를 0~18% 첨가하여 하이드록시프로필화 전분을 제조하여 하드캡슐 제조시 젤라틴 대체제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RVA 시험결과 propylene oxide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호화온도와 setback은 감소했고 최고 점도와 breakdown은 증가하였다. 팽윤력은 녹두의 경우 propylene oxide 양이 12% 이상 첨가되었을 때 급격히 증가하였고 고구마와 물밤은 9% 첨가했을때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투명도는 녹두가 다른 전분보다 가장 높았으며 propylene oxide 첨가량에 유의적으로 증가했고 고구마와 물밤의 경우 하이드록시프로필화 전분이 일반 전분보다는 증가했으나 propylene oxide의 양에 따른 경향성은 보이지 않았다. 붕해도 시험에서는 물밤의 경우 propylene oxide 6% 이상 첨가하였을 때 완전히 용해되었고 녹두와 고구마는 12% 이상 첨가되었을 때 완전히 용해되었다. 본 실험에서는 하이드록시프로필화 전분이 젤라틴 또는 동물성단백질을 기본으로 제조된 하드캡슐의 대체제로써 의약 산업에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이드록시프로필화 전분 필름의 물성, 온도와 pH에 따른 붕해도 실험등이 추가 연구된다면 전분 하드캡슐로 상용화도 가능할 것이라 생각된다.

  • PDF

펄스 아크 스파크 제트 플라즈마 구동기에 의해 발생된 고속 제트의 효율적 운전 성능 특성에 관한 연구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a High-Speed Jet Produced by a Pulsed-Arc Spark Jet Plasma Actuator)

  • 김영순;신지철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5권11호
    • /
    • pp.907-913
    • /
    • 2017
  • 아크 플라즈마에 의해 구동되는 스파크 제트의 다양한 에너지 공급 방법에 따른 효율적 운전 성능 특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펄스 당 37 mJ의 주입 에너지에 의한 급속한 기체의 가열에 의해 약 330 m/s의 고속 제트가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제트의 최대 속도와 침투 거리는 각각 주입된 전력량과 펄스 당 주입된 에너지에 비례하였다. 낮은 에너지에서는 오리피스 직경이 작을수록 더 높은 속도의 제트가 발생하였다. 공급 에너지가 같다면 전류를 높인 펄스가 펄스 폭을 높인 펄스보다 높은 속도의 제트를 발생시켰다. 펄스 폭이 약 $10{\mu}s$이고 펄스 당 에너지가 약 10 mJ인 경우가 효율적인 운전에 보다 더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철도하중에 의한 교량 진동을 이용한 압전 에너지 수확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 from Bridge Vibrations under Railway Loads)

  • 권순덕;이한규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4A호
    • /
    • pp.287-29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교량의 진동을 이용한 압전 외팔보 에너지 수확장치의 적용성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압전 소자의 구성방정식과 외팔보의 진동방정식을 결합하여 외팔보의 단일 모드에 대한 연성 방정식을 행렬 형태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에너지 수확장치의 가진기 실험을 통하여 해석 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KTX, 새마을, 무궁화 열차가 주행할 때 측정된 교량 가속도를 바탕으로 수치해석을 통하여 산정한 에너지 수확장치의 최대 전력은 각각 28.5 mW, 0.65 mW, 0.51 mW로 나타났다. 이를 볼 때 철도와 같은 이동하중에 의한 교량의 진동은 가진 진동수와 가속도가 낮고 지속시간이 짧아서 에너지 공급원으로서 효율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RF Co-sputtering법에 의한 $Si_{1-x}C_x$ 박막 증착 및 후 열처리에 따른 양자점 박막 특성 분석 (Characterization of post-annealed Si QDs in $Si_{1-x}C_x$ thin film by RF co-sputtering)

  • 문지현;김현종;조준식;장보윤;고창현;박상현;윤경훈;송진수;오병성;이정철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3-36
    • /
    • 2009
  • 고효율 양자점 태양전지를 위하여 $Si_{1-x}C_x$ 박막 내에 Si 양자점을 형성한 박막을 제작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Si_{1-x}C_x$ 박막은 Si과 C target을 co-sputtering하여 증착하였다. C target의 RF power를 변화시켜 $Si_{1-x}C_x$ 박막의 조성비를 조절하였으며, 조성비는 auger electron spectroscopy로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이 박막들을 질소 분위기에서 후 열처리하여 high resolution transmittance electron microscopy로 확인한 결과 박막 내에 2~10nm 크기의 양자점이 형성된 것을 관측할 수 있었다. 이 양자점은 transmittance electron diffraction과 grazing incident X-ray diffraction을 통해 Si 양자점과 SiC 양자점이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Raman 측정 결과에서는 후 열처리한 $Si_{1-x}C_x$ 박막의 조성비가 증가할 수록 crystal Si peak의 shift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고, 이를 통해 양자점의 크기도 함께 계산할 수 있었다.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을 통해 후 열처리한 Si1-xCx 박막의 양자점의 형성 원인을 추정하였다.

  • PDF

아르곤 플라즈마로 처리한 n-GaAs의 표면특성에 관한 Photoreflectance 연구 (A study of photoreflectance on the surface characteristics in n-GaAs treated with Ar plasma)

  • 이동율;김인수;김동렬;김근형;배인호;김규호;한병국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359-363
    • /
    • 1997
  • Power를 40W로 고정하고 시간을 5~120초간 변화시켜 아르곤 플라즈마로 처리시킨 n-GaAs(100)의 특성을 photoreflectance(PR) 측정으로 조사하였다. 아르곤 플라즈마 처리시 간을 증가시킴에 따라 Eo피크의 세기는 처리시간이 5초일 때 최소로 관측되었으며, 이때 표 면전기장 ($E_0$), 순수 캐리어농도(ND-NA) 및 표면상태밀도($Q_ss$)는 각각 $1.05\times10^5\textrm{V/cm},1.31\times10^{17}\textrm{cm}^{-3}$$1.64\times10^{-7}\textrm{C/cm}^2$로 이 값들은 bulk 시료에 비해 약 57.1, 81.4 및 56.9% 감소하였다. 반면에 5초일 때 compensation center 농도 ($N_A$)는 $5.75\times10{17}\textrm{cm}^{-3}$로 최대였다. 그리고 아르곤 플라즈마 처리시 유발된 결함들의 침투깊이는 표면에서 약450$\AA$정도였다.

  • PDF

밤 전분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hestnut Starch)

  • 박인순;김성곤;김춘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5권4호
    • /
    • pp.218-223
    • /
    • 1982
  • 밤(품종, 은기) 전부의 성상, 이화학적 특성 및 전분 겔의 노화속도를 조사하였다. 전분의 입자는 장축 및 단축의 비가 1.4 : 1인 불규칙한 타원형으로서 크기는 $2.9{\sim}21.4{\mu}$(평균 $10\;{\mu}$)이었다. X-ray 회절도는 $2{\theta}$$5.6^{\circ},\;15.3^{\circ},\;17.2^{\circ},\;22.0^{\circ},\;23.8^{\circ}$에서 peak를 보였으며, B형에 속하였다. 전분의 아밀로스 함량은 22.7%, 물 결합 능력은 81.5%, 호화온도는 $55^{\circ}C$이었다. 전분의 swelling은 $55^{\circ}C$까지는 큰 변화가 없었고, 이후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65^{\circ}C$ 이후에는 그 변화가 완만하였다. 아밀로그라프에 의한 전분의 호화는 농도(5 및 6%)에 관계없이 비슷한 양상을 보였으며, 최고 점도는 나타나지 않았다. 밤 전분은 입자간의 결합강도가 강하며, 열 및 shear force에 의한 swollen granule의 저항성이 큰 특징을 보였다. 전분 겔(건물중으로 45%)의 노화 시간상수(속도 상수의 역수)는 $21^{\circ}C$에서 1.68일이었다.

  • PDF

Urea-SCR 시스템의 NH3 흡·탈착 특성 및 모델기반 제어 연구 (A Study of NH3 Adsorption/Desorption Characteristics and Model Based Control in the Urea-SCR System)

  • 함윤영;박수열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3호
    • /
    • pp.302-309
    • /
    • 2016
  • Urea-SCR system is currently regarded as promising NOx reduction technology for diesel engines. SCR system has to achieve maximal NOx conversion in combination with minimal $NH_3$ slip. In this study, model based open loop control for urea injection was developed and assessed in the European Transient Cycle (ETC) for heavy duty diesel engine. On the basis of the transient modeling, the kinetic parameters of the $NH_3$ adsorption and desorption are calibrated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performed over the zeolite based catalyst. $NH_3$ storage or surface coverage of SCR catalyst can not be measured directly and has to be calculated, which is taken into account as a control parameter in this model. In order to reduce $NH_3$ slip while maintaining NOx reduction, $NH_3$ storage control algorithm was applied to correct the basic urea quantity. If the actual $NH_3$ surface coverage is higher than the maximal $NH_3$ surface coverage, the urea injection quantity i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ETC cycle. By applying this logic, the resulting $NH_3$ slip peak can be avoided effectively. With optimizing the kinetic parameters based on standard SCR reaction, it suggests that a simplified, less accurate model can be effective to evaluate the capability of model based control in the ETC cycle.

하수처리수이용 신용액 흡수식 냉동기의 성능해석 (Performance Analysis of New Working Solution for Absorption Refrigeration Machine using Treated Sewage)

  • 권오경;유선일;윤정인
    • 에너지공학
    • /
    • 제7권2호
    • /
    • pp.231-240
    • /
    • 1998
  • CFC계 냉매에 의한 지구환경문제 야기, 여름철 피크전력의 증가뿐만 아니라 열회수 시스템에서의 손실로 인하여 고성능 흡수냉동시스템의 개발은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망한 방법중의 하나이다. 하수처리수를 이용한 흡수식 냉동시스템은 환경보호와 에너지 보존의 측면에서 유용하다. 본 연구에서는 2중효용 병렬 및 직렬방식에 대한 사이클 시뮬레이션 해석을 수행하였다. 신작동매체로 LiBr+LiI+LiCl+LiNO3 용액을 선택하였다.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흡수기와 응축기의 냉각수로써 하수처리수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평가하는 것과 2중효용 병렬과 직렬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신작동매체의 특성을 파악하고 최적설계조건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사이클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신작동매체를 사용하는 흡수식 냉동기의 특성을 파악했으며 이를 기존의 LiBr 수용액을 사용하는 흡수식 냉동기와 비교평가하였다. 신작동매체를 이용한 흡수식 냉동기는 LiBr 수용액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COP의 향상과 시스템의 소형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대두유 첨가가 녹두전분의 이화학적 특성과 저온저장 녹두전분겔의 텍스쳐에 미치는 영향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ung Bean Starch and Texture of Cold-Stored Mung Bean Starch Gels added with Soy Bean Oil)

  • 최은정;오명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13-520
    • /
    • 201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ung bean starch and the texture of cold-stored (5$^{\circ}C$ for 0, 24, 48, and 72 hours) mung bean starch gels added with soy bean oil (0, 2, 4, 6%). The swelling power of mung bean starch added with soy bean oil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whereas solubility increased significantly. Soluble carbohydrate content of mung bean starch added with soy bean oil decreased without any significant differences, whereas soluble amylose content decreased significantly. In RVA viscosity, pasting temperature and peak viscosity of mung bean starch added with soy bean oil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hereas minimum viscosity decreased and breakdown and consistency increased significantly. In RVA viscosity, there were no differences according to concentration of soy bean oil. DSC thermograms show that onset temperature of mung bean starch added with soy bean oil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whereas the enthalpy increased in the case of 4% and 6% oil addition. Rupture properties of freshly prepared mung bean starch gels added with soy bean oil increased in the case of 2% and 4% oil addition, and oil addition to mung bean starch gels suppressed changes in rupture properties during cold storag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exture of freshly prepared mung bean starch gels added with soy bean oil, whereas hardness, chewiness, and gumminess of cold-stored mung bean starch gels added with soy bean oil decreased. In the above textural charactristics, there were no differences due to concentration of soy bean oil. Thus, the addition of 2-4% soy bean oil to mung bean starch is appropriate for improving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ld-stored mung bean starch gels.

보리의 기계수확체계(機械收穫體系) 시험(試驗) (A Study on Mechanized System of Barley Harvesting)

  • 김정수;이동현;백풍기;정두호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7권2호
    • /
    • pp.36-44
    • /
    • 1983
  • Farm population was rapidly decreasing due to shift of the people from farm sector to the non-farm sector caused by the economic growth of the country. Especially, a great shortage of farm labor in busy farming period in June and October is becoming a serious problem in maintaining or promoting land productivity. The peak of labor requirement in summer is caused by rice transplanting and barley harvesting. In order to reduce the restrictions imposed on farm management by the concurrence of labor requirement and the lack of labor, the experimental study for mechanization of barley harvesting has been carried out in the fields. 1. The machines for barley harvesting were knap-sack type reapers, windrow reaper (power tiller attachment), binder and combine. The order of higher efficiency of machine for barley harvesting was combine, binder, windrow reaper (WR), knapsack type reaper 1(KSTR1), and knap sack type reaper 2(KSTR2; mist and duster attachment). 2. The ratio of grain loss for the manual, binder, and combine plot was about four percent of total field yield. 3. The total yield of barley in 35 days and 40 days harvesting after heading were 514 kg and 507kg per 10 ares respectively. The yield of 35 days-plot was higher than other experimental plots. 4. The lowest yield was recorded in 30 days-plot due to the large quantity of immatured grains and having lighter 1000-grain weight. The ratio of immatured grains was 2.66 percent and 1000-grain weight was 29.4 grams. 5. The total harvesting cost of the windrow reaper was 10,178 won per 10 ares. It was the lowest value compared to other machines. The next were combine, binder, KSTR1, KSTR2, and manual in sequence. As a result, the optimum time of barley harvesting for mechanization was 35-40 days after heading. Combine, binder, and windrow reaper were recommended as the suitable machines for barley harvesting in the work efficiency. However, in total harvesting cost, the windrow reaper was the most promising machine for barley harvest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