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thogenic effects

검색결과 522건 처리시간 0.03초

식용버섯 추출물의 식중독균 및 암세포 증식에 대한 저해 효과 (Inhibitive Effects of Edible Mushrooms Extracts on Pathogenic Bacteria and Proliferation of Cancer Cells)

  • 김현정;배준태;이인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637-642
    • /
    • 2005
  • 일상생활에서 식용 및 약용으로 유통되는 12종의 버섯류의 추출물을 제조하여 7종의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 활성과 함께 인간유래의 간암 및 결장암 세포주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먼저 버섯 메탄올추출물은 7종의 식중독균에 대해 항균활성을 보였으나, 버섯 열수추출물은 이들 균에 대해 생육 억제활성이 없거나 약한 억제 활성을 보였다. 만가닥버섯과 느타리버섯 메탄올추출물은 7종의 식중독균에 대해 항균 활성을 보였고, 양송이버섯, 새송이버섯, 애느타리버섯도 6종의 식중독균에 대해 항균 활성을 보였다. 또한 버섯 메탄올추출물은 인간유래 결장암세포인 HT-29보다는 간암세포인 HepG2에 대해 더 높은 성장 저해능을 보였다. HepG2에 대해 번데기동충하초 메탄올추출물이 $67\%$의 가장 높은 성장 저해율을 나타내었고, HT-29에 대해서는 향버섯 메탄올추출물이 $81.1\%$의 가장 높은 저해율을 보였다. 그리고 번데기동충하초, 아카리쿠스, 영지버섯, 향버섯 열수추출물에서 HepG2 및 HT-29에 대해 $50\%$ 정도의 억제 활성을 볼 수 있었고, 다른 버섯 열수추출물은 억제활성을 볼 수 없었다. 특히 번데기동충하초, 아카리쿠스, 만가닥버섯, 영지버섯, 향버섯 메탄올 및 열수추출물은 이들 암세포주에 대해 높은 증식 억제 활성을 보였다.

Antimicrobial and Immunomodulatory Effects of Bifidobacterium Strains: A Review

  • Lim, Hyun Jung;Shin, Hea So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0권12호
    • /
    • pp.1793-1800
    • /
    • 2020
  • Bifidobacterium strains can provide several health benefits, such as antimicrobial and immunomodulatory effects. Some strains inhibit growth or cell adhesion of pathogenic bacteria, including multidrug-resistant bacteria, and their antibacterial activity can be intensified when combined with certain antibiotics. In addition, some strains of bifidobacteria reduce viral infectivity, leading to less epithelial damage of intestinal tissue, lowering the virus shedding titer, and controlling the release of antiviral substances. Furthermore, bifidobacteria can modulate the immune system by increasing immunoglobulins, and inducing or reducing pro- or anti-inflammatory cytokines, respectively. In particular, these anti-inflammatory effects are helpful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ho are already suffering from infection or inflammatory diseases. This review summarizes the antimicrobial effects and mechanisms, and immunomodulatory effects of Bifidobacterium strains, suggesting the potential of bifidobacteria as an alternative or complementary treatment option.

잔디 주요 토양 병해에 대한 토양세균 Pseudomonas spp.의 길항 효과 (Antagonistic Effects of Pseudomonas spp. against Turfgrass Pathogenic Soil Fungi)

  • 장석원;장태현;최병진;송정희;박경숙;노용택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09-21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골프장에서 문제가 되는 주요 병의 방제가능한 생물학적 제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강원도 소재 골프장의 잔디 근권토양으로부터 채취한 100여개의 미생물로부터 4개의 길항 미생물을 선발하였다. 배지를 이용한 저지원 실험에서 4개의 균주는 한국 골프장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옐로우패취(Rhizoctonia cerealis), 브래운패취(R. solani AG-1(1B)), 동전마름병(Sclerotinia homoeocarpa), 그리고 설부갈색소립균핵병원균 (Typhula incarnata)에 대하여 효과적이었다. 옐로우패취, 브래운패취, 동전마름병을 대상으로 온실실험 결과, 4개의 균주는 병의 종류, 기주 식물체 및 병 발생 정도에 따라 효과가 달랐지만 한개 혹은 그 이상의 병에 대해 60% 이상을 방제가를 기록하였다. 4개의 균주는 생화학적 특성과 16S rRNA 분석을 통해 Pseudomonas spp.로 밝혀졌다. 현재 4개의 균주는 적정 배양조건과 제제화를 위한 연구 중에 있다.

Immunomodulatory Effects of Bifidobacterium spp. and Use of Bifidobacterium breve and Bifidobacterium longum on Acute Diarrhea in Children

  • Choi, Yae Jin;Shin, Seon-Hee;Shin, Hea So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2권9호
    • /
    • pp.1186-1194
    • /
    • 2022
  • The intake of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 not only promotes digestion through the microbiome regulated host intestinal metabolism but also improves diseases such as irritable bowel syndrome and inflammatory bowel disease, and suppresses pathogenic harmful bacteria. This investigation aimed to evaluate the immunomodulatory effects in intestinal epithelial cells and to study the clinical efficacy of the selected the Bifidobacterium breve and Bifidobacterium longum groups. The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properties were characterized, and immunomodulatory activity was measured against pathogenic bacteria. In order to find out the mechanism of inflammatory action of the eight viable and sonicated Bifidobacterium spp., we tried to confirm the changes in the pro-inflammatory cytokines (TNF-α, interleukin (IL)-6, IL-12) and anti-inflammatory cytokine (IL-10), and chemokines,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 IL-8) and inflammatory enzymatic mediator (nitric oxide) against Enterococcus faecalis ATCC 29212 infection in Caco-2 cells and RAW 264.7 cells. The clinical efficacy of the selected B. breve and B. longum group was studied as a probiotic adjuvant for acute diarrhea in children by oral administration.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immunomodulatory effects on the expression levels of TNF-α, IL-6, IL-12, MCP-1, IL-8 and NO, in sonicated Bifidobacterium extracts and viable bifidobacteria. Moreover, each of the Bifidobacterium strains was found to react more specifically to different cytokines. However, treatment with sonicated Bifidobacterium extracts showed a more significant effect compared to treatment with the viable bacteria. We suggest that probiotics functions should be subdivided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that personalized probiotics should be designed to address individual applications.

황련 메탄올 추출물의 주요 구강 병원성 세균에 대한 포괄적 활성 평가 (Evaluation of Comprehensive Effects of Methanol Extracts of Coptidis rhizoma against Several Oral Pathogenic Bacteria)

  • 서채현;송영천;임동술;최성숙
    • 생약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27-37
    • /
    • 2023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mprehensive effects of methanol extract of Coptidis rhizoma (MECR) against oral pathogen. We studied the antibacterial, anti-biofilm, anti-gingipain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MECR. The 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 (MBC) of MECR was 100 ㎍/mL against several oral pathogens. The formation of biofilm of Streptococcus mutans was reduced to 8.93~24.12% in the presence of 25 ㎍/mL of MECR. The gingipain activity of Porphyromonas gingivalis were reduced to 3.91~6.23% in case of Kgp and 5.73~7.78% in case of Rgp in the presence of 10 mg/mL of MECR. The expression of fadA mRNA, virulence factor of Fusobacterium nucleatum (F. nucleatum) was 3 folds decreased in the presence of 25 ㎍/mL of MECR. In case of YD-38 cells challenged with F. nucleatum, RQ values of IL-8 and IL-6 were reduced about 12 folds and 5.45 folds in the presence of 2 ㎍/mL of MECR. In case of RAW 264.7 murine cell challenged with F. nucleatum, RQ values of IL-1β and IL-6 were 2.52 folds and 2.55 folds reduced in the presences of 2 ㎍/mL of MECR. Conclusively, MECR showed potent antibacterial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against oral pathogenic bacteria.

Acanthamoebaculbertsoni와 A. royreba의 가수분해 효소 활성도의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Hydrolase Activities in Acanthamoeba culbeytconi and A. roureba)

  • 김용규;김태우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6권2호
    • /
    • pp.95-106
    • /
    • 1988
  • 아메바의 cytolytic process가 주로 가수분해 효소 환성과 관계 깊다는 연구들이 70년대 후반부터 병원성 Entamoeba sp.와 Naegleria sp.에서 보고되었지만 Acanthamoeba sp.에서는 가수분해 효소 환성에 관한 연구는 찾아볼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병원성이 없는 것으로 알려진 Acanthamoeba royreba를 대조로 하여 병원성이 있는 A. culbertsonl이 가수분해 효소 활성도를 측정하고 이들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A. culbertsoni를 마우스에 감염시켰더니 15일내에 마우스 모두가 사망하였으며, 평균 생존기간은 8.5일이었고, 아베바성 수막뇌염으로 사망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A. royreba를 감염시킨 마우스에서는 수막뇌염이 발생되지 않았다. CGV배지에서 두 종(種) 아메바를 배양하여 아메바 추출물 및 배양액에서 가수분해 효소의 환성을 측정한 결과 A. rcyreba에 비해 A. culbertsoni 세포의 추출물 및 배양액에서 현저히 활성도가 높은 가수분해 효소는 acid phosphatase, p-N-acetyl galactosaminidase, β-N-acetyl glucosaminidase, α-mannosidase, neutral proteinase, acid proteinase였다. 표적 세포인 CHO 세포에 혼합한 A. culbertsoni는 대조군에 비해 강한 세포독성을 나타내었고 CHO 세포와의 혼합후 48시간 후 80%, 72시간후 95% 이상의 CHO 세포가 사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A. royreba를 혼합하였을 때는 별다른 세포독성을 나타나지 않았다. CHO 세포에 혼합한 A. tulbgrtsoni이 가수분해 효소 활성도를 경과 시간별로 측정하였던 바 CGV 배지에서 배 양시간이 지남에 따라 아메바내보다 그 배양액에서 더 높은 효소 활성도를 나타내었던 acid phosphatase, β-N·acetyl galactosaminidase, β-N·acetyl glucosaminidase, α-mannosidase, acid proteinase는 혼합 120시간 동안 아메바내에서 더 높은 효소 활성도를 나타내었으며, neutral proteinase의 활성도는 경과시간이 지남에 따라 아메바내에서는 일정하였지만 그 배양액인 EBSS용액내에서는 점점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성적으로 보아 마우스에서 수막뇌염을 일으키는 A. cuzbertsoni는 비 병원성인 A. reyreba와 비교할 때 여러 종류 가수분해 효소들의 활성도에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표적세포인 CHO세포에 대한 A. cuzbertsoni의 세포독성은 강함을 알 수 있었고, 이 때 몇 종류 가수분해 효소들의 환성도도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소견이 A. culbertsoni의 병원성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측되었다.

  • PDF

이산화염소의 해산어류 병원세균 살균효과 (Disinfection Effect of Chlorine Dioxide on Pathogenic Bacteria from Marine Fish)

  • 박경희;오명주;김흥윤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18-123
    • /
    • 2003
  • 이산화염소($ClO_2$) 처리에 의한 어병 세균의 살균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감염어 유래 분리주인 Vibrio anguillarum, Edwardsiella tarda, Streptococcus sp. 및 Streptococcus sp.를 대상으로$ClO_2$유효 농도 0.455, 0.246 및 0.129 ppm에 30초, 1분, 3분, 5분 및 10분간 처리하여 ClO$_2$의 살균효과를 조사하였다. V. anguillarum과 E. tarda는 ClO$_2$ 0.246 ppm에서, 30초 이 상의 처리에 의하여 세균의 증식이 완전히 저해되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저농도인 0.129 ppm에서는 5분 이상의 염소처리 조건이 필요하였다. Streptococcus sp.는 실험에 사용된 어병 세균 중 $ClO_2$의 살균능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0.455 ppm에서 Streptococcus sp.는 30초 반응 후 그 증식이 완전히 저해되었고, 0.246 ppm과 0.129 ppm의 ClO$_2$에서는 각각 배양 3시간, 8시간 이후부터 그 생잔에 의한 증식이 확인되어졌다. Streptococcus sp.는 본 실험에서 설정한 최저농도인 0.129 ppm 에 30초간의 반응으로 균이 사멸됨으로서 실험에 사용된 세균 중 ClO$_2$에 가장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Streptococcus sp. 는 0.455 ppm, V. anguillarum과 E. tarda는 0.246 ppm, Streptococcus sp. 는 0.129 ppm의$ClO_2$농도로 30초 전후로 처리하는 조건이 가장 효과적임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an H5N3 Influenza Virus Isolated from Spot-Billed Duck

  • Lee, Jin Hwa;Kwon, Hyuk Moo;Sung, Haan Woo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43-252
    • /
    • 2013
  • Among the 16 hemagglutinin (HA) subtypes of avian influenza virus (AIV), only the H5 and H7 subtypes have caused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HPAI) in poultry. However, most H5 or H7 subtype viruses are categorized as low pathogenic avian influenza (LPAI). Some AIVs, including the H5 and H7 HPAI viruses, have shown the ability to infect humans directly. In this study, we describe the bi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an H5N3 AIV (SBD/KR/KNU SYG06/06) isolated from spot-billed duck (Anas poecilorhyncha) in Korea. A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eight viral genes showed that the SBD/KR/KNU SYG06/06 isolate belongs to the Eurasian lineage and that the SBD/KR/KNU SYG06/06 isolate was clearly different from HPAI H5N1 strains, including human isolates and the Italian HPAI H5N2 strains. Additionally, no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SBD/KR/KNU SYG06/06 and the Korean HPAI H5N1 isolates. The SBD/KR/ KNU SYG06/06 isolate had avian specific receptor binding site residues in the HA protein and the four C-terminal amino acids in the NS1 protein. The HA protein of the SBD/KR/KNU SYG06/06 isolate exhibited the typical LPAI motif at the cleavage site and this virus produced no cytopathic effects in MDCK cells without trypsin. Given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the H5N3 AIV isolated from the spot-billed duck should be considered an LPAI virus and should have no pathogenic effect in humans.

단백질 분해가 식물의 진균 병 진전에 미치는 영향 (The Roles of Protein Degradation During Fungal-plant Interactions)

  • 안일평;박상렬;배신철
    • 한국균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89-94
    • /
    • 2010
  • 농업경영측면에서, 또 균학적생화학적 측면에서도 식물을 침해하는 진균들의 연구는 반드시 필요하며 병 발생이나 저항성 발현 기작 구명은 기주와 기생체에 대한 연구를 동시에 진행해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현재 병원균이 생산하는 분비체상과 비병원성 인자에 대한 연구는 많은 경우 세균에서 수행되고 있으며 사상균 중 조균인 Phytophthora와 진균인 Cladosporium에서만 병원균의 effector 복합체와 기주의 저항성 기제 간 관계가 같이 진행되고 있을 뿐이다. 앞에서 살펴보았듯 진균-기주 체계에서 단백질 분해가 병원성 조절 및 침입에 관여한다고 정확히 알려진 것은 단지 수종에 불과하며 그 기작도 세포자가포식과 ubiquitin 부가반응에 제한되어 있다. Post translational modification과 단백질 분해기작이 대단히 다양하고 거의 모든 진핵생물 체계에서 관찰되고 있음을 고려할 때 단백질 분해 과정은 세균 뿐 아니라 진균에서도 병원성 발현과 저항성 조절에 참여하고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에 대한 연구가 앞으로 계속 요구될 것이라 생각된다.

인간 피부 상재균과 병원성 세균에 대한 Paenibacillus elgii DS381과 그 항균물질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by Paenibacillus elgii DS381 and its antimicrobial substances against microbial residents on human skin and pathogenic bacteria)

  • 이다솔;송홍규
    • 미생물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44-253
    • /
    • 2018
  • 이 연구는 분리된 토양 세균에 의해 생성된 항균물질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00여개의 세균 분리주 중 Paenibacillus elgii DS381이 여러 인간 피부 상재균과 병원성 세균에 대해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DS381 균주는 agar well diffusion test에서 모든 대상 세균과 효모에 대해 15.3~26.0 mm 직경의 저해대를 형성하였다. DS381이 생성한 항균 펩티드는 모든 대상 미생물에 낮은 최소저해농도 (0.039-5.000 mg/ml)를 나타내었다. DS381 균주는 lipopeptide 같은 생물계면활성제 생산을 나타내었는데, 배양 상등액의 표면장력을 60.0에서 40.3 mN/m으로 낮추었다. DS381은 또한 $1.56{\pm}0.13U/ml$의 chitinase 활성도 나타내었다. 이 결과들은 P. elgii DS381이 일부 중요한 인간 피부 상재균과 병원성 세균에 대한 효율적인 생물제어제로 사용될 수 있음을 가리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