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ssive earth pressure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37초

일체식교대 교량에 작용하는 수동토압의 스프링 모델링 (Spring Modeling for the Passive Earth Pressure Acting on the Integral Abutment Bridge)

  • 정재호;홍정희;유성근;윤순종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20-427
    • /
    • 2002
  • In this paper, a simplified structural spring model of integral abutment bridge is proposed to account for the passive earth pressure due to the change of temperature. The magnitude of earth pressure acting on integral bridge abutment mainly depends on the amount and shape of displacement of abutment according to the thermal expansion of superstructure. The proposed simplified model is developed based on the possible displacement shape of integral abutment bridge. Performing the direct stiffness method, the analysis is done by using the proposed method and the results of new model is compared with those of conventional design approach. The study show that it may be possible to obtain more rational and economical design values for integral abutment bridge by applying the proposed design method.

  • PDF

전주의 실물인장실험시 토압계를 이용한 수평토압분석 (Horizontal Stress Analysis of Electric Pole using Earth Pressure Cell from Mock-Up Tension Test)

  • 안태봉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4권8호
    • /
    • pp.62-69
    • /
    • 2010
  • 연약지반에 시공하는 많은 콘크리트전주가 외부하중으로 전도파괴가 발생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실물인장실험을 실시하고 근가위치, 근가깊이, 근가개수, 전주근입깊이를 달리하면서 전주에 작용하는 수평토압을 분석하였다. 실물실험은 10가지 종류로 나누어 실험한 결과 수평토압은 전주 근입깊이가 클수록 커지고 하부수동영역이 길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가 설치위치가 깊을수록 하부수동영역 토압이 감소된다. 근가의 수를 4개 설치한 것이 G.L-0.9[m] 위치에서의 토압을 크게 줄였는데 이는 수직으로 80[cm]정도에 걸쳐 설치된 근가의 영향으로 판단되나 전체적으로 볼 때 근가의 수는 큰 차이가 없으며 근가를 다수 설치하면 굴착면적이 커져 되메우기 등 시공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므로 근가를 1개만 설치하여도 좋은 것으로 판단된다.

지중에 근입된 콘크리트전주의 실물 수평재하실험에 의한 수평토압과 변위특성 (Lateral Earth Pressures and Displacements through Full Scaled Lateral Loading Test of Concrete Electric Pole Embedded in Ground)

  • 안태봉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43-51
    • /
    • 2011
  • 연약지반에 시공하는 많은 콘크리트전주가 외부하중으로 전도파괴가 발생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실물인장실험을 실시하고 근가위치, 근가깊이, 근가개수, 전주근입깊이를 달리하면서 전주에 작용하는 수평토압을 분석하였다. 실물실험은 10가지 종류로 나누어 실험한 결과 수평토압은 전주 근입깊이가 클수록 커지고 하부수동영역이 길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가 설치위치가 깊을수록 하부수동영역 토압이 감소된다. 변위는 근가의 위치 및 수량, 전주기초의 근입깊이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나타냈다. 초기하중 재하 시 상부에서 굴절된 양상을 보이다 점증하중에 따라 전주의 중앙부로 굴절의 양상이 전이되었다. 근가위치는 G.L(-) 0.5m인 상태에서 전주기초 깊이 1.3m를 추가로 근입 시 최대 수평변위는 약 1.6배의 감소를 보여 전주의 안정성이 증가하였다.

Effect of seismic acceleration directions on dynamic earth pressures in retaining structures

  • Nian, Ting-Kai;Liu, Bo;Han, Jie;Huang, Run-Qiu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7권3호
    • /
    • pp.263-277
    • /
    • 2014
  • In the conventional design of retaining structures in a seismic zone, seismic inertia forces are commonly assumed to act upwards and towards the wall facing to cause a maximum active thrust or act upwards and towards the backfill to cause a minimum passive resistance. However, under certain circumstances this design approach might underestimate the dynamic active thrust or overestimate the dynamic passive resistance acting on a rigid retaining structure. In this study, a new analytical method for dynamic active and passive forces in c-${\phi}$ soils with an infinite slope was proposed based on the Rankine earth pressure theory and the Mohr-Coulomb yield criterion,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eismic inertia force directions on the total active and passive forces. Four combinations of seismic acceleration with both vertical (upwards or downwards) and horizontal (towards the wall or backfill) directions, were considered. A series of dimensionless dynamic active and passive force charts were developed to evaluate the key influence factors, such as backfill inclination ${\beta}$, dimensionless cohesion $c/{\gamma}H$, friction angle ${\phi}$, horizontal and vertical seismic coefficients, $k _h$ and $k_v$. A comparative study shows that a combination of downward and towards-the-wall seismic inertia forces causes a maximum active thrust while a combination of upward and towards-the-wall seismic inertia forces causes a minimum passive resistance. This finding is recommended for use in the design of retaining structures in a seismic zone.

수동(受動)말뚝에 작용(作用)하는 측방토압(側方土壓) (Lateral Earth Pressures Acting on Passive Piles)

  • 홍원표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권2호
    • /
    • pp.77-88
    • /
    • 1984
  • 이미 유도제안(誘導提案)된 수동(受動)줄말뚝에 작용(作用)하는 측방토압(側方土壓)의 산정이론식(算定理論式)을 단일(單一)말뚝에까지 발전(發展)시킴과 동시(同時)에 본산정이론식(本算定理論式)에 포함되어 있는 지반(地盤)과 말뚝에 관한 요소(要素)들을 조사(調査)하여 사용(使用)하기 간편한 형태(形態)의 식(式)으로 정리(整理)하고자 한다. 즉, 본연구(本硏究)를 통하여 수동(受動)말뚝의 측방토압산정이론식(側方土壓算定理論式)은 측방토압계수(側方土壓係數) $K_{p1}$$K_{p2}$를 도입(導入)함에 의하여 점착력(粘着力) c와 지반변형방향(地盤變形方向)에 대항하여 말뚝열(列) 후면(後面)에 작용(作用)하는 수평토압(水平土壓) ${\sigma}_H$의 항(項)으로 구성(構成)된 간단(簡單)한 선형식(線形式)으로 정리제안(整理提案)된다. 그 밖에도 본이론식(本理論式)을 현장(現場)에 적용(適用)할 경우 수평토압(水平土壓) ${\sigma}_H$로는 주동토압(主動土壓)을 채용(採用)함이 합리적(合理的)이라는 점에 대한 타당성(妥當性)이 이론치(理論値)와 실측치(實測値)의 비교검토(比較檢討)를 통하여 입증(立證)되어 진다.

  • PDF

일체식교대 PSC빔 교량의 거동에 관한 매개변수 해석 (A Parametric Study on the Behavior of Integral Abutment rSC Beam Bridge)

  • 홍정희;정재호;유성근;박종면;윤순종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12-419
    • /
    • 2002
  • This paper presents a parametric study on the behavior of integral abutment PSC beam bridge. An integral abutment bridge is a simple span or multiple span continuous deck type bridge having the deck integral with the abutment wall. The rational structural model and design load combinations accounting for each construction stage are proposed. It can be used for defining the effect of earth pressure and temperature change in the design process including for determining maximum flexural responses. The bending moment at each response location due to the design load combination is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flexural rigidity of piles and abutment height. The flexural responses of proposed model are computed for the cases of applying the Rankine passive earth pressure and the earth pressure based on the soil-structure interaction respectively, and the results are discussed.

  • PDF

콘크리트전주의 안정성에 미치는 근가의 영향 (Effects of Anchor Block on Stability of Concrete Electric Pole)

  • 안태봉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11호
    • /
    • pp.5-10
    • /
    • 2012
  • 연약지반 내의 많은 콘크리트 전주가 외부의 힘에 의하여 파괴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근가의 설치심도 및 근가의 개수를 변화시키면서 토압과 변위분석을 실시하여 근가가 콘크리트 전주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근가의 깊이 3가지 중 1.5m 깊이에 설치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보이며, 2.25m 깊이에 근가를 설치하면 과도한 굴착으로 인한 교란으로 변위가 크게 나타난다. 근가를 깊게 설치할수록 수동영역의 토압은 작아지고 주동토압은 커진다. 두 개의 근가를 설치하면 한 개의 근가를 설치할 때보다 전주의 상단의 변위는 43.8%, 지표에서는 55.6% 감소한다.

Effect of soil condition on the coefficient of lateral earth pressure inside an open-ended pipe pile

  • Ko, Junyoung;Jeong, Sangseom;Seo, Hoyoung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31권2호
    • /
    • pp.209-222
    • /
    • 2022
  • Finite element analyses using coupled Eulerian-Lagrangian technique a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il conditions on plugging of open-ended piles in sands. Results from numerical simulations are compared against the data from field load tests on three open-ended piles and show very good agreement. A parametric study focusing on determination of the coefficient of lateral earth pressure (K) in soil plug after pile driving are then performed for various soil densities, end-bearing conditions, and layering conditions. Results from the parametric study suggest that the K value in the soil plug - and hence the degree of soil plugging - increases with increasing soil densities. The analysis results further show that the K value within the soil plug can reach about 63 to 71% of the coefficient of passive earth pressure after pile driving. For layered soil profiles, the greater K values are achieved after pile driving when the denser soil layer is present near the pile base regardless of number of soil layers. This study provides comprehensive numerical and experimental data that can be used to develop advanced theory for analysis and design of open-ended pipe piles, especially for estimation of inner shaft resistance after pile driving.

전방 차수층이 쉴드터널 초과 이수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 Frontal Impermeable Layer on the Excess Slurry Pressure during the Shield Tunnelling)

  • 이용준;이상덕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1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99-1213
    • /
    • 2011
  • 이수가압식 쉴드공법은 사질토에서 적용성이 우수하지만, 이수압이 낮으면 이수 유출 및 지반변형이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이수가압식 쉴드에서는 초기 막장압보다 큰 초과 이수압을 가하여 막장 안정을 유지한다. 그러나 이수압이 너무 높으면 전방 지반의 수동 파괴를 유발하므로 수동 파괴 위험성을 줄이고 이수압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막장 전방에 수평 차수층을 설치하는 방안이 있으나 위치와 규모, 효과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포화 사질토에서 막장전방에 차수 그라우팅 적용시 발생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차수층이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이수압을 크게 가할 수 있어서 전방 차수층이 막장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막장 안정성 증대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적정 차수층은 길이 1.0~1.5D, 설치높이 1.0D로 나타났다. 초기 막장압 대비 최대 이수압의 비로 막장의 자립 안전율(F)을 제안할 수 있으며, 전방 차수층을 적정 위치에 설치할 경우 초기 막장압보다 3.5~4.0배 크게 이수압을 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벽체변위에 따른 기류벽에 작용하는 토압 (The Lateral Earth Pressure on Rigid Retaining Wall Due to the Various Modes of Wall Movement)

  • 채영수;임병주;백영식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권1호
    • /
    • pp.21-30
    • /
    • 1985
  • 응력재분포리론을 응용한 Dubrova의 토압론과 이를 수정한 Chang의 방법을 발전시켜 정적토압과 지진시의 토압을 벽체의 변위형태를 고려하여 산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뒤채움은 사질토 두 일반토로 구분하여 별개의 토압산정식을 제시하였다. 토류벽의 변위형태는 다음 4가지를 선택하였다. (1) 벽체의 정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주동변위 (2) 벽체의 정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주동변위 (3) 벽체의 벽체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수동변위 (4) 벽체의 벽체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수동변위 제안된 토압공식을 다른 토압론에 의한 이론치와 비교 검토하였다. 그 결과 변위의 형태에 따라 상이한 토압분포가 얻어졌으며 이는 현재 관용되고 있는 토압이론보다 더 합리적이라 사려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