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ticle mixing

검색결과 664건 처리시간 0.03초

십자형 응집-UF 막분리 공정 적용시 전처리 응집조건에 따른 막오염 메카니즘 규명 (The Evaluation of Fouling Mechanism on Cross Flow Precoagulation-UF Process)

  • 정철우;손희종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6권3호
    • /
    • pp.639-645
    • /
    • 2008
  • 십자형 응집-한외여과 막분리 공정 운전시 응집조건에 따른 영향을 살펴보면 급속교반-UF 공정과 응집-침전-UF 공정에서 투과 flux의 변화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UF막의 막오염 억제 측면에서는 응집전처리공정으로서 1분간의 짧은 급속혼화만으로도 충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반강도에 따른 투과 flux의 변화결과 교반강도에 따라 형성되는 floc의 크기가 거의 유사하게 형성되어 교반강도에 따른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응집제 주입량에 따른 투과 flux변화를 살펴보면 응집제 주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기물의 제거가 크게 일어나 유기물 부하의 감소와 floc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다공성 케이크층의 형성에 따른 막저항의 감소로 인하여 투과 flux가 향상되었다. 막의 재질과 전처리 응집공정적용에 따른 여과메카니즘 분석결과 막의 재질에 따라서는 친수성 재질의 막에 비하여 소수성 재질의 막의 경우 막의 공극속으로 입자의 침투가 발생하여 침적 흡착되는 현상과 막의 표면에서 형성되는 cake층에 의한 투과 flux 감소가 주원인이 되었으며 응집공정을 전처리공정으로 적용시 UF단독공정에 비하여 막오염 발생이 저감되었다.

Substituting Normal and Waxy-Type Whole Wheat Flour on Dough and Baking Properties

  • Choi, In-Duck;Kang, Chun-Sik;Cheong, Young-Keun;Hyun, Jong-Nae;Kim, Kee-Jo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7권3호
    • /
    • pp.197-202
    • /
    • 2012
  • Normal (cv. Keumkang, KK) and waxy-type (cv. Shinmichal, SMC) whole wheat flour was substituted at 20 and 40% for white wheat flour (WF) during bread dough formulation. The flour blends were subjected to dough and baking property measurement in terms of particle size distribution, dough mixing, bread loaf volume and crumb firmness. The particle size of white wheat flour was the finest, with increasing coarseness as the level of whole wheat flour increased. Substitution of whole wheat flour decreased pasting viscosity, showing all RVA parameters were the lowest in SMC40 composite flour. Water absorption was slightly higher with 40% whole wheat flour regardless of whether the wheat was normal or waxy. An increased mixing time was observed when higher levels of KK flour were substituted, but the opposite reaction occurred when SMC flour was substituted at the same levels. Bread loaf volume was lower in breads containing a whole wheat flour substitution compared to bread containing only white wheat flour.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read loaf volume was observed between normal and waxy whole flour, but the bread crumb firmness was significantly lower in breads containing waxy flour.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indicate that up to 40% whole wheat flour substitution could be considered a practical option with respect to functional qualities. Also, replacing waxy whole flour has a positive effect on bread formulation over normal whole wheat flour in terms of improving softness and glutinous texture.

활성탄소섬유를 이용한 탄소전극의 제조 및 축전식 탈염공정에서의 성능평가 (Preparation of Carbon Electrodes Using Activated Carbon Fibers and Their Performance Characterization for Capacitive Deionization Process)

  • 박철오;오주석;임지원
    • 멤브레인
    • /
    • 제28권4호
    • /
    • pp.271-278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활성탄소섬유를 이용하여 축전식 탈염공정에 적용할 탄소전극을 제조하였다. polyvinylidene fluoride (PVDF)를 바인더로 사용했으며 적절한 용매에 활성탄소섬유를 배합한 후 상용의 그라파이트 시트에 캐스팅하여 탄소전극을 제조하였다. 이 때 활성탄소섬유의 입자 크기를 달리하였고, 용매, 고분자 바인더 그리고 활성탄소섬유를 80 : 2 : 18, 80 : 5 : 15의 배합비율로 전극을 제조하였다. 그런 다음 염 제거 효율을 흡착전압과 시간, 탈착전압과 시간, NaCl 공급액의 농도와 유속 등에 운전조건에 대하여 염 제거 효율을 측정하였다. 대표적으로 활성탄소섬유의 입자크기가 $32{\mu}m$ 이하이며 80 : 2 : 18의 배합비율에서 1.2 V, 3분의 흡착조건, -0.1 V, 1분의 탈착조건, NaCl 100 mg/L, 15 mL/min의 공급액 조건에서 53.6%의 염 제거 효율을 보였다.

섬유혼합토와 지오그리드 사이의 마찰 특성 평가 (Friction Properties between Fiber-Mixed Soil and Geogrid)

  • 조삼덕;이광우;안주환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2권1호
    • /
    • pp.27-37
    • /
    • 2003
  • 섬유혼합토의 전단강도 및 마찰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혼합되는 흙의 입도분포와 흙입자의 형상 등과 같은 흙의 공학적 특성과 섬유의 형상, 길이, 직경, 인장강도, 탄성계수, 마찰계수, 섬유 혼합률 등과 같은 섬유의 물리적 역학적 특성 그리고 구속응력, 다짐상태 등의 외적 인자 등을 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흙종류, 섬유종류, 섬유혼합률 그리고 다짐도에 따른 섬유혼합토의 마찰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일련의 전단마찰시험 및 인발시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공학적으로 그 특성이 다소 불량한 두 가지 종류의 흙시료(통일분류법상 SM 및 ML)에 세 가지 종류의 폴리프로필렌 섬유(망사 38mm, 망사 60mm 및 단사 60mm)를 0.2% 및 0.3%의 혼합률로 혼합한 섬유혼합토를 다짐도 85% 및 95%로 조성하여 실험을 수행하였고, 보강재로는 지오그리드를 사용하였다.

  • PDF

목분 기포제를 이용한 산업부산물 소재 다공성 세라믹에 의한 산성광산배수의 처리특성 연구 (Treatment Characteristics of Acid Mine Drainage by Porous Ceramics using Wood Flour as Pore-forming Agent)

  • 이영남;임수빈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09-122
    • /
    • 201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moval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s and sulfate ion from acid mine drainage by porous zeolite-slag ceramics (ZS ceramics) that was prepared by adding wood flour as pore-foaming agent while calcining the mixtures of natural zeolite and converter slag. The batch test showed that the removal efficiency of heavy metals by pellet-type porous ZS ceramics increased as the particle size of wood flour was decreased and as the weight mixing ratio of wood flour to ZS ceramics was increased. The optimal particle size and weight mixing ratio of wood flour were measured to be $75{\mu}m$ and 7~10%, respectively. The removal test with the porous ZS ceramics prepared in these optimal condition showed very high removal efficiencies: more than 98.4% for all heavy metals and 73.9% for sulfate ion. Relative to nonporous ZS ceramics, the increment of removal efficiency of heavy metals by porous ZS ceramics with $75{\mu}m$ and 10% wood flour was 5.8%, 60.5%, 36.9%, 87.7%, 10.3%, and 57.4% for Al, Cd, Cu, Mn, Pb, and Zn, respectively. The mechanism analysis of removal by the porous ZS ceramics suggested that the heavy metals and sulfate ion from acid mine drainage are eliminated by multiple reactions such as adsorption and/or ion exchange as well as precipitation and/or co-precipitation.

물리화학적 처리를 이용한 군부대 사격장 내 중금속 오염 토양의 정화 (Remediation of Heavy Metal-Contaminated Soil Within a Military Shooting Range through Physicochemical Treatment)

  • 이상우;이우춘;이상환;김순오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6권5호
    • /
    • pp.9-19
    • /
    • 2021
  • This study evaluated the feasibility of combined use of physical separation and soil washing to remediate heavy metals (Pb and Cu) contaminated soil in a military shooting range. The soils were classified into two types based on the level of heavy metal concentrations: a higher contaminated soil (HCS) with Pb and Cu concentrations of 6,243 mg/kg and 407 mg/kg, respectively, and a lower contaminated soil (LCS) with their concentrations of 1,658 mg/kg and 232 mg/kg. Pb level in both soils exceeded the regulatory limit (700 mg/kg), and its concentration generally increased with decreasing soil particle size. However, in some cases, Pb concentrations increased with increasing soil particle size, presumably due to the presence of residues of bullets in the soil matrix. As a pretreatment step, a shaking table was used for physical separation of soil to remove bullet residues while fractionating the contaminated soils into different sizes. The most effective separation and fractionation were achieved at vibration velocity of 296 rpm/min, the table slope of 7.0°, and the separating water flow rate of 23 L/min. The efficiency of ensuing soil washing process for LCS was maximized by using 0.5% HCl with the soil:washing solution mixing ratio of 1:3 for 1 hr treatment. On the contrary, HCS was most effectively remediated by using 1.0% HCl with the same soil:solution mixing ratio for 3 hr. This work demonstrated that the combined use of physical separation and soil washing could be a viable option to remediate soils highly contaminated with heavy metals.

유·무기질 체질안료 입도 및 함량에 따른 아스팔트 매스틱 도막방수재의 누유 특성 (Oil Leakage Characteristics of Asphalt Mastic Waterproofing Membrane Coating According to Particle Size and Content of Organic/Mineral Extender)

  • 박진상;김동범;박완구;김영삼;신홍철;오상근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1-59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아스팔트 매스틱 도막방수재를 구성하는 원료의 종류 및 함량을 조정하여 누유발생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원료와 누유발생 간 특정 상관관계를 정량적으로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아스팔트 매스틱 도막방수재의 유·무기계 체질안료인 CA(탄산칼슘)와 ASE(침강방지제) 두 개 원료를 선정하였으며, 입도 및 함량을 변수로 설정하여 배합을 통해 샘플시료를 조성하고 샘플시료별 점도 및 누유안정성(20℃, 40℃) 평가를 진행하였다. 평가결과, 누유안정성 및 점도는 CA 평균입도에 반비례하며, ASE 함량에 비례하는 상관관계가 성립하는 것을 정량적으로 증명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아스팔트 매스틱 도막 방수재의 누유 개선을 위한 배합 연구 시 기초 배합설계의 핵심적인 근거자료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Characterization of Summertime Aerosol Particles Collected at Subway Stations in Seoul, Korea Using Low-Z Particle Electron Probe X-ray Microanalysis

  • Kim, Bo-Wha;Jung, Hae-Jin;Song, Young-Chul;Lee, Mi-Jung;Kim, Hye-Kyeong;Kim, Jo-Chun;Sohn, Jong-Ryeul;Ro, Chul-Un
    •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4권2호
    • /
    • pp.97-105
    • /
    • 2010
  • A quantitative single particle analytical technique, denoted low-Z particle electron probe X-ray microanalysis (low-Z particle EPMA), was applied to characterize particulate matters collected at two underground subway stations, Jegidong and Yangje stations, in Seoul, Korea. To clearly identify the source of the indoor aerosols in the subway stations, four sets of samples were collected at four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ubway stations: in the tunnel; at the platform; near the ticket office; nearby outdoors. Aerosol samples collected on stages 2 and 3 ($D_p$: $10-2.5\;{\mu}m$ and $2.5-1.0\;{\mu}m$, respectively) in a 3-stage Dekati $PM_{10}$ impactor were investigated. Samples were collected during summertime in 2009. The major chemical species observed in the subway particle samples were Fe-containing, carbonaceous, and soil-derived particles, and secondary aerosols such as nitrates and sulfates. Among them, Fe-containing particles were the most popular. The tunnel samples contained 85-88% of Fe-containing particles, with the abundance of Fe-containing particles decreasing as the distances of sampling locations from the tunnel increased. The Fe-containing subway particles were generated mainly from mechanical wear and friction processes at rail-wheel-brake interfaces. Carbonaceous, soil-derived, and secondary nitrate and/or sulfate particles observed in the underground subway particles likely flowed in from the outdoor environment by human activities and the air-exchange between the subway system and the outdoors. In addition, since the platform screen doors (PSDs) limit air-mixing between the tunnel and the platform, samples collected at the platform at the Yangjae station (with PSDs) showed a marked decrease in the relative abundances of Fe-containing particles compared to the Jegidong station (without PSDs).

심층혼합 시료의 탄성계수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lastic Modulus of Deep Mixing Ground Specimen)

  • 박춘식;박환기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4권10호
    • /
    • pp.39-49
    • /
    • 2018
  • 본 연구는 심층혼합시료의 탄성계수를 파악하기 위하여 점토, 모래, 자갈의 입도 구성조건에 안정재 혼합비 8%, 10%, 12%, 14%로 혼합하여 총 320개의 공시체를 제작하였다. 이러한 공시체를 사용하여 일축압축시험을 수행하였고, 일축압축강도와 변형률을 분석하여 할선탄성계수와 접선탄성계수를 구하였다. 실내시험 결과 모든 심층혼합시료는 양생기간과 안정재 혼합비가 증가함에 따라 일축압축강도가 증가하였는데, 이에 대한 할선탄성계수와 접선탄성계수도 증가하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양생기간에 따른 탄성계수 값의 증가는 할선탄성계수보다 접선탄성계수가 크게 나타났지만, 탄성계수의 증분비는 할선탄성계수가 크게 나타났다. 안정재 혼합비 8%에 대한 탄성계수와 안정재 혼합비 10%, 12%, 14%에 대한 탄성계수 값을 비교하여 안정재 혼합비에 따른 탄성계수를 추정할 수 있는 상관관계식을 공시체 조건별로 구하였다. 심층혼합시료의 입경이 굵어지면 각각의 탄성계수가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입경의 분포는 모래질의 구성비가 높을 때 나타났다. 한편 탄성계수증가는 공시체 종류별로는 모래질 공시체가 점토질과 자갈질 공시체보다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심층혼합시료의 입도 분포와 안정재 혼합비로 현장의 심층혼합지반의 적절한 지반정수를 제안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중석 광미를 사용한 시멘트 모르타르의 입도 및 수열합성온도별 물리적 특성 (Properties of Cement Mortar as Particle Size and Hydrothermal Synthesis Temperature Using Scheelite Tailing)

  • 추용식;서성관;최성범;김경만;홍석환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8권6호
    • /
    • pp.46-53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적절한 환경처리 없이 방치되어 있는 중석광미를 활용하여, 중석 광미 입도별 시멘트 모르타르 제조 후 수열합성온도별 물리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시멘트 모르타르 혼합 시 물-시멘트비는 75 %로, 모래-시멘트비는 400 %로 고정하였으며, 광미는 모래(모래 중량 대비 0 ~ 50 % )를 치환하여 사용하였다. 저비소 및 고비소 광미의 입경은 9.3 ~ 53.0 ㎛로 제어하였고 수열합성온도는 승온 속도 2 ℃로 고정하여 60 ~ 180 ℃에서 6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수열합성 온도가 증가에 따라 압축강도는 상승하였으며, 60분 분쇄 저비소 및 고비소 광미를 30 % 혼합 시 압축강도는 각각 55.2 MPa 및 54.5 MPa로, 비교시편 보다 300 % 이상 향상되는 결과를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