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ticipation in the science class

검색결과 161건 처리시간 0.03초

교실 밖 화학체험학습 프로그램이 과학 탐구 능력과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Application Effects of Out-of-class Chemical Experience Learning Programs on Scientific Process Skills and Science-Related Attitude for Middle School Students)

  • 문성배;조미애
    • 대한화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506-514
    • /
    • 2006
  • 연구는 교실 밖 화학체험학습 프로그램의 적용이 중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과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교실 밖 화학체험학습 프로그램은 ‘재미있는 교실 밖 화학, ‘신나는 과학수업'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자연환경에 부합되는 화학체험 제재를 선정하여 자연에서 실험 소재를 구하고 일상생활 속에서 경험할 수 있는 자연친화적 화학실험으로 구성되었다. 교실 밖 화학체험학습 프로그램은 전일제 계발활동을 통하여 교실과 실험실을 벗어난 자연환경에서 적용하였다. D중학교 3학년 과학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으로 나누어 실험 집단은 교실 밖 화학체험학습 프로그램에 참가시키고 비교 집단은 전통적 수업방식을 따랐다. 두 집단 사이의 과학 탐구 능력과 과학 관련 태도의 변화를 비교·분석하고 교실 밖 화학체험학습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교실 밖 자연친화적 화학실험은 중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과 과학 관련 태도를 향상시켰다. 또한 학생들의 70% 이상이 교실 밖 화학체험학습 프로그램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과학에 대한 관심과 흥미, 자발적 참여도가 높아졌다.

초등학교에서 과학과 전담제의 실태와 적용 효과 (The Present Status and Outcomes of Adaption of Science Teacher System in Elementary School)

  • 김정길;김석중;송판섭;한광래;최도성;문두석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4권1호
    • /
    • pp.21-29
    • /
    • 2005
  • This study is purposed to research the present status and outcomes of adaption of science teacher system in elementary school.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science teachers, schoolmasters, science supervisors, and 3rd$\~$6th grade students in western office of board of education, Gwangju Metropolitan city. It was found that there are 264 teachers who teach one subject and only two of them were science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most classroom teachers didn't want to be science teachers and schoolmasters or science supervisors could not afford to adapt science teacher system. After applying science teacher system to 3$\~$6th grade students during one school year, many students were improved in academic achievement and inquiring ability, and they have increased of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science activities. This means that science class by science teacher is more effective than that by classroom teacher. Therefore, science teacher system should enlarge to science class in elementary school.

  • PD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Possibility of Socioeconomic Class Elevation of Workers and Related Variables

  • Hyo-Young LEE
    • 산경연구논집
    • /
    • 제14권10호
    • /
    • pp.35-43
    • /
    • 202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possibility of socioeconomic class elevation of wage earners, happin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life satisfac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Data from the 24th fiscal year (2021) of the Korea Labor Panel data were used for analysis. Only wage earners who measured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engagement were analyzed, and a sample of 9,138 respondents was finally used, excluding missing valu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performed using AMOS 23.0, and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MLE) was used as a model estimation method. Results: First, the hypothetical structural model set up for the study was found to be suitable. Second, the Possibility of Socioeconomic Class Elevation of wage earners, happin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found to have a direct impact on life satisfaction. Third, the possibility of improving the socio-economic status of wage earners affects life satisfaction, and happin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ppear to have a partially mediating effect. Conclus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increased interest in organizational participation and life satisfaction, which were not covered in previous studies on the possibility of wage workers moving up the socioeconomic class.

비대면 생활과학교실 참여가 초등학생들의 과학기술에 대한 인식 및 과학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articipation in Non-face-to-face Daily Science Clas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Science and Scientific Competency)

  • 최규리;오윤정;이선미;장미화;이미형;조경숙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6권1호
    • /
    • pp.40-52
    • /
    • 2022
  • 참여형 과학문화 확산의 일환으로 지속되어 온 생활과학교실은 효과적인 학교 밖 체험·탐구 활동으로서 과학의 대중화에 앞장서왔다. 그러나 최근의 코로나19 상황으로 생활과학교실 역시 비대면으로 전환하거나 대면-비대면 교육을 조합할 수밖에 없는 환경이 되었으며, 이러한 교육의 변화가 여전히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제고하는데 효과적인지 검토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대면 생활과학교실 프로그램에 참여한 초등학생들의 평소 관심 분야, 과학기술에 대한 인식, 과학에 대한 관심과 흥미, 과학적 역량이 어떻게 변화되는지 확인하고 학생과 학부모들의 인식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비대면 생활과학교실의 교육 효과성을 제고하고 향후 운영 방안에 대해 모색하였다. 연구 결과 비대면 생활과학교실 프로그램 참여 이후 학생들은 과학기술 발전이나 미래기술, 환경오염, SNS에 대한 관심 등이 높아지고 게임에 대한 관심이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과학기술 활동에 대한 관심, 과학에 대한 흥미, 과학적 역량도 증가하여 비대면 생활과학교실의 교육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생활과학교실의 학습 주제와 내용 수준을 다양화하고 소외된 학습자들에게 비대면 과학 학습의 기회를 확대하며, 최신 미디어를 활용한 과학콘텐츠 개발과 공유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Integration of Web Bulletin Board and Mobile Phone to Improv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in Higher Education

  • AKAHORI, Kanji;Kim, SeeMin;YAMAMOTO, Masayuki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7권1호
    • /
    • pp.1-20
    • /
    • 2006
  • This paper describes practical research on the improve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by integrating Web Bulletin Board (WBB) and mobile phone. This paper addresses three topics; A) the interactive lecture with topics-based discussions using the Web Bulletin Board (WBB) as a tool for assisting discussion, B) the introduction of peer evaluation among students to develop their problem-solving and cognitive skills, C) the use of mobile phones for promoting interactive lectures, keeping class attendance, conducting assignments, and providing notices for the next class. Results indicated the following research-findings: (1) WBB plays a role in facilitating positive participation in classes. (2) In contrast to the scenario of the traditional mode of instruction (without the usage of WBB), students were able to deepen their understanding of the theme by accessing the WBB before and after classes. (3) Peer evaluation highly promoted students' motivation to learn, and was effective in cultivating meta-cognition through modeling. (4) Mobile phone was identified as a highly effective tool for keeping class attendance, realizing interactive classes by generating discussions, and managing assignments and homework.

스포츠건강체력 수업 참여에 따른 대학생의 웰니스 건강인식의 변화 (Wellness Health Awareness Change of University Students Following Participation in Sports Physical Fitness Class)

  • 송영은;김창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351-356
    • /
    • 2018
  • 본 연구는 교양체육인 스포츠건강체력 수업에 참여하는 대학생의 웰니스 건강인식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D시 소재 대학교에 재학중인 168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스포츠건강체력 수업은 대학생의 집중적인 건강체력관리를 위해 1학기동안 진행되었다. 웰니스 건강인식은 한국인의 웰니스설문지(KWLS)를 이용하여 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연구목적에 따라 기술통계분석, 신뢰도분석,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대학생의 웰니스 건강인식은 성별과 시행(수업실시 전 후)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p>.05) 성별, 시행 각 요인간의 차이는 일부 하위영역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p<.05).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웰니스 건강인식의 일부 요인이 스포츠건강체력 수업 전과 후에 변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대학생의 웰니스 건강인식의 긍정적인 변화를 위한 해결책으로 각 대학에서 실시하는 다양한 교양체육 외에도 집중적인 건강체력관리를 목적으로 하는 수업을 대학생들에게 제공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The Effect of Basic Learning Ability Improvement Clinic Classes on Self-efficacy, Immersion, and Major Satisfaction in College Students

  • Jung-Oh Lee;Gyeoung-Ran Moo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11호
    • /
    • pp.135-145
    • /
    • 2023
  • 학령인구 감소로 지방대학 신입생 중 기초학습 능력이 부족한 학생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C 전문대학에서 클리닉 프로그램을 진행해 오고 있다. 본 논문은 기초학습 능력향상 클리닉 프로그램이 전공수업에서 자기효능감, 학습 몰입도와 전공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사례 연구이다. 2022년 기초학습 능력향상 클리닉 대상자에 관한 온라인과 오프라인 수업 형태에 참여 학생 238명과 참여 대상자이지만 수업 미참여 학생 221명 총 459명을 연구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Ver. 26.0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학습 능력향상 클리닉 수업 참여그룹은 학업적 자기효능감 하위요인 중 과제 난이도 선호와 자신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수업 참여그룹은 전공수업 학습 몰입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수업 참여그룹은 전공 만족도 하위요인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기초학습 능력향상 클리닉 수업이 자기효능감, 학습몰입도, 전공 만족도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eaching Simple Random Sampling by Using Constructivism and Information Technology

  • Han Beom Soo;Han Kyung Soo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12권1호
    • /
    • pp.229-240
    • /
    • 2005
  • This study described the application of constructivism and information technology for teaching simple random sampling. We considered more student's participation, more interaction, and more flow in their introductory statistics class. In addition, we presented a web-based teaching and learning system for simple random sampling to demonstrate.

생명공학 단원의 제한 효소 지도 작성 탐구실험 수업이 고등학생의 과학긍정경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ositive Experience about Science of High School Students in an Inquiry Experiment Class on Restriction Enzyme Mapping in Biotechnology Chapter)

  • 정수연;장정호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6권3호
    • /
    • pp.293-311
    • /
    • 2022
  • 본 연구는 분자생물학 기초 소양 함양을 위한 제한 효소 지도 작성의 탐구실험을 구성하였고, 일반계 고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학생 중심의 제한 효소 지도 작성 탐구실험 수업을 통해 탐구실험 능력과 과학긍정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우선, 탐구실험 수업이 일반계 고등학생의 과학긍정경험에 있어 '그렇다' 이상으로 응답한 비율이 사전에 비해 사후에서 높은 것으로 보아 유의미하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한 효소 지도 작성을 위한 연속의 5단계로 구성하여 적용한 결과 학생들의 과학 분야 학업에 대한 흥미 유발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수업 참여도가 높아졌고, 구체적인 과학 학습 동기, 과학 진로 포부 및 체험 자료로도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탐구실험 수업의 과학 환경이 학생들의 학습 태도와 과학긍정경험의 향상으로 이어져 수업의 집중과 수업의 질적 향상, 학생간의 적극적인 의사 소통과 상호 협력의 중요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또 탐구실험 수업이 진로 체험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분자생물학의 기초 소양 함양과 이공계 진학의 토대가 될 것이다.

THE NEXT-GENERATION INFRARED ASTRONOMY MISSION SPICA UNDER THE NEW FRAMEWORK

  • NAKAGAWA, TAKAO;SHIBAI, HIROSHI;ONAKA, TAKASHI;MATSUHARA, HIDEO;KANEDA, HIDEHIRO;KAWAKATSU, YASUHIRO
    • 천문학논총
    • /
    • 제30권2호
    • /
    • pp.621-624
    • /
    • 2015
  • We present the current status (as of August 2014) of SPICA (Space Infrared Telescope for Cosmology and Astrophysics), which is a mission optimized for mid- and far-infrared astronomy with a cryogenically cooled 3m-class telescope. SPICA is expected to achieve high spatial resolution and unprecedented sensitivity in the mid- and far-infrared, which will enable us to address a number of key problems in present-day astronomy, ranging from the star-formation history of the universe to the formation of planets. We have carried out the "Risk Mitigation Phase" activity, in which key technologies essential to the realization of the mission have been extensively developed. Consequently, technical risks for the success of the mission have been significantly mitigated. Along with these technical activities, the international collaboration framework of SPICA has been revisited, which resulted in la arger contribution from ESA than that in the original plan. To enable the ESA participation under the new framework, a SPICA proposal to ESA is under consideration as a medium-class mission under the framework of the ESA Cosmic Vision. The target launch year of SPICA under the new framework is the mid-2020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