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tial rank correlation analysis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2초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교량의 크리프와 건조수축효과의 민감도 해석 (Sensitivity Analysis of Creep and Shrinkage Effects of Prestressed Concrete Bridges)

  • 오병환;양인환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1998년도 가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III)
    • /
    • pp.656-661
    • /
    • 1998
  •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of statistical analysis and sensitivity analysis of creep and shrinkage effects in PSC box girder bridges. The statistical and sensitivity analyses are performed by using the numerical simulation of Latin Hypercube sampling. For each sample, the time-dependent structural analysis is performed to produce response data, which are then statistically analyzed. The probabilistic prediction of the confidence limits on long-term effects of creep and shrinkage is then expressed. Three measures are examined to quantify the sensitivity of the outputs to each of the input variables. These are rank correlation coefficient(RCC), partial rank correlation coefficient(PRCC) and standardized rank regression coefficient(SRRC) computed on the ranks of the observations. Probability band widens with time, which indicates an increase of prediction uncertainty with time. The creep model uncertainty factor and the relative humidity appear as the most dominant factors with regard to the model output uncertainty.

  • PDF

도시공간에 있어서 둘러싸인감의 적용방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Method for the Enclosed Effect in the Space of Cities)

  • 형성은
    • 감성과학
    • /
    • 제9권spc3호
    • /
    • pp.277-286
    • /
    • 2006
  • 본 연구는 일본의 도시공간을 중심으로 D/H와 둘러싸인감이 어느 정도 관련성이 있는지 평가하였다. 동일 샘플에 대해 D/H의 각도 순위와 실험자가 느끼는 실제공간의 둘러싸인감 순위를 순위상관분석을 통해 평가한 결과 42개의 전체샘플(0.49), 25개의 내부공간 샘플(0.63), 17개의 외부공간 샘플(0.59)의 상관성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D/H의 각도로 현대의 공간을 설명하는 것은 한계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현대도시는 공간구조가 복잡한 요소로 구성되어 있어 과거의 D/H와 둘러싸인감 이론을 바탕으로 공간을 평가하는 것은 한계성이 있다. 따라서 앞으로 둘러싸인감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평가모델이 구축되어야 할 것이며 도시공간과 둘러싸인감의 영향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 PDF

Relationship between hematologic parameters related to systemic inflammation and insulin resistance-associated metabolic parameters in women with polycystic ovary syndrome

  • Minkyung Cho;Suji Kim;Sungwook Chun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50권3호
    • /
    • pp.206-212
    • /
    • 2023
  • Objective: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associations between hematologic parameters related to systemic inflammation and insulin resistance-associated metabolic parameters in women with polycystic ovary syndrome (PCOS). Methods: Eighty-two women between the ages of 18 and 35 years who were diagnosed with PCO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 2-hour 75-g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was administered to all study participants; fasting and postprandial glucose and insulin levels were measured simultaneously during the 2-hour OGTT. Hematologic parameters were derived from a standard complete blood count and a differential count of fasting-state blood samples. The correlations between hematologic parameters and insulin resistance-associated clinical and metabolic parameters were evaluated using the Spearman rank correlation and partial correlation coefficients. Hematologic parameters related to systemic inflammation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categorized by the presence or absence of insulin resistance.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bsolute neutrophil count, absolute monocyte count, platelet count, and neutrophil-lymphocyte ratio were found between the insulin-resistant group and insulin-nonresistant group. Correlation analysis found that all hematological parameters, except for the platelet-lymphocyte ratio, were associated with at least one insulin resistance-associated metabolic parameter. However, thes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hematological and metabolic parameters were attenuated after controlling for the effects of other covariates using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Conclusion: The association between hematologic parameters indicative of systemic inflammation and insulin resistance-associated metabolic parameters seems to be strongly influenced by other anthropometric covariates in women with PCOS.

DEA 모형을 활용한 광주 광산업체 효율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valuating the Efficiency of the Photonics Industry in Gwangju Using a DEA Model)

  • 조건;정경호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244-255
    • /
    • 2011
  • In this study, we try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the photonics industry using a data envelopment analysis(DEA) model. We first develope four stage procedures for selecting proper input and output variables which consist of selecting the first candidate variables from literature survey, selecting the second candidate variables through experts' discussion, measuring the partial efficiency of the selected variables based on Tofallis' profiling, and clustering some variables through the rank correlation analysis of partial efficiency proposed by Min and Kim(l998). With this procedure, we select 4 input variables(capital, number of employee, R&D cost, operating cost) and 2 output variables(sales, growth of sales) and then utilize CCR and BCC model to measure efficiencies of 26 photonics companies in Gwangju. Moreover, we perform the reference group analysis to figure out what causes inefficiencies and to provide the desirable values for input and output variables at which inefficient photonics companies become efficient. Finally, we classify 26 photonics companies into three groups such as optical communications, optical applications, and optical sources, and perform the Kruskal-Wallis test to check if there exist some differences between efficiencies of three groups.

오염 음식물에 의한 피폭선량 평가모델 (U. S. NRC 모델)의 입력변수에 대한 민감도분석 (Sensitivity Analysis for Input Parameters of a Radiological Dose Assessment Model (U. S. NRC Model) for Ingestion Pathways)

  • 황원태;서경석;김은한;최영길;한문희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5권4호
    • /
    • pp.233-239
    • /
    • 2000
  • 원자력 시설의 정상 운영중 오염 음식물 섭취에 의한 피폭선량 평가모델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의 규제지침 1.109 모델)의 입력변수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3가지 음식물 (쌀, 엽채류, 우유)과 2가지 핵종 $(^{137}Cs,\;^{131}I)$에 대해 수행하였다. 입력변수 값의 표본추출은 Monte Ca린o 방법에 근거한 Latin hypercube sampling 기법을 사용하였다. 모델 예측결과에 대한 입력변수의 영향력 또는 중요도를 나타내는 민감도지수는 partial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의해 정량적으로 나타냈다. 평가결과, 고려된 음식물과 핵종에 대해 농작물의 수율에 대한 차단계수의 비와 음식물의 소비율은 중요한 입력 변수로 나타났다. 그외 우유의 경우 사료에서 우유로의 전달계수와 젖소의 사료 섭취율도 한 중요한 입력변수로 나타났다. $^{137}Cs$ 침적의 경우에는 기후에 의한 핵종의 제거 반감기가, $^{131}I$ 침적의 경우에는 생산에서 소비까지의 지연시간이 상대적으로 중요한 입력변수였다.

  • PDF

부분 무치악환자에서 Neobiotech 임플란트의 5년 전향적 임상연구 (A 5-year prospective clinical study of Neobiotech implants for partially edentulous patients)

  • 윌마트 라브리아가;홍주희;박진홍;신상완;이정열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272-278
    • /
    • 2017
  • 목적: 본 전향적 임상 연구의 목적은 고정성 보철물로 수복 된 Neobiotech 임플란트의 누적생존율 및 임플란트 실패의 위험 인자를 평가하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본 연구는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치과 센터에서 2009년 11월부터 2011년 11월까지 Neobiotech 임플란트와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치료를 받은 부분 무치악 환자 36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관찰 기간은 임플란트 식립일에서 2015년 12월 이전 마지막 방문일까지로 설정하였다. 임플란트 생존율은 Kaplan-Meier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임플란트 실패에 대한 위험 인자 평가는 다중 콕스 비례 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P < .05). 결과: 36명의 환자에게 총 69개의 임플란트가 식립되었으며, 평균 관찰 기간은 45.9개월이었다. 총 69개의 식립된 임플란트 중에 2개의 임플란트가 하중을 가하기 전에 실패하여 97.1%의 5년간 누적 생존률을 보였다. 로그 랭크 테스트 분석 결과 상악에 식립된 임플란트는 하악에 식립된 임플란트보다 낮은 임플란트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상악=91.3%, 하악=100%, P < .05). 하지만 다중 콕스 비례 분석 결과 임플란트 위치와 임플란트 실패는 유의한 상관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P > .05). 결론: Neobiotech 임플란트의 5년간의 누적 생존율은 97.1%를 나타내었다.

이중분광계수 모니터기반 진정제 투여가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 환자의 의식하 진정상태, 생리적 안정성 및 회복시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Bispectral Index Monitoring Based Sedative Administration on Conscious Sedation, Physiological Stability and Recovery Time in Patients Receiving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 이미정;황문숙;임현숙;박미옥;허지원;강기주;김재준;조명숙
    • 임상간호연구
    • /
    • 제18권2호
    • /
    • pp.284-295
    • /
    • 2012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clarify effects of bispectral index monitoring sedative administration, compared to MOAA/S (Modified Observer's Assessment of Alertness and Sedation), on conscious sedation, physiological stability and recovery time for patients undergoing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Methods: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patients who underwent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because of early gastric cancer. Participants were assigned randomly to an experimental group receiving sedatives based on bispectral index monitoring or to a control group with the MOAA/S instrument. Movements, belching, memory, pain, discomfort, physiological stability (MBP, PR, $SpO_2$), and recovery time were measured during the treatment and recovery. Data were analyzed using Spearman partial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Mixed model and Wilcoxon rank sum test to determine differences in the parameters. Result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for conscious sedation(movement, belching, memory, pain, or discomfort), physiological stability and recovery tim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no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two types of monitoring. Thus, use of a bispectral index monitor in clinical practice enabling medical staff to readily assess the conscious sedation of for these patients is expected to be increasingly used as an objective assessment tool for conscious sedation for patient safety.

산지사면(山地斜面)의 붕괴위험도(崩壞危險度) 예측(豫測)모델의 개발(開發) 및 실용화(實用化) 방안(方案) (Studies on Development of Prediction Model of Landslide Hazard and Its Utilization)

  • 마호섭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3권2호
    • /
    • pp.175-190
    • /
    • 1994
  • 산지사면붕괴(山地斜面崩壞)에 의(依)한 피해(被害)를 예방(豫防) 또는 극소화(極小化)하기 위(爲)하여 산사태(山沙汰)가 자주 발생(發生)하는 지역(地域)을 중심(中心)으로 각(各) 조사(調査) 단위사면(單位斜面)에 대(對)하여 산지사면붕괴(山地斜面崩壞)에 영향(影響)하리라고 예상(豫想)되는 12개(個) 환경요인(環境要因)을 현지조사(現地調査)하고 붕괴(崩壞)와 환경인자(環境因子)와의 관계(關係)를 수량화(數量化) 이론(理論)에 의(依)한 방법(方法)으로 분석(分析)하여 산사태발생(山沙汰發生)의 위험도(危險度)를 평가(評價)할 수 있는 예측(豫測)모델을 도출(導出)하였으며, 또한 이를 기초(基礎)로 하여 위험도(危險度)를 각(各) 급별(級別)로 구분(區分)하고 예지(豫知)모델을 검토(檢討)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을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산지붕괴발생면적(山地崩壞發生面積)에 영향(影響)을 주는 인자(因子)는 강우(降雨), 령급(齡級), 표고(標高), 토성(土性), 경사(傾斜), 사면위치(斜面位置), 임상(林相), 곡차수(谷次數), 종단사면형(縱斷斜面形), 모암(母岩), 토심(土深), 방위(方位)의 순(順)이었으며, 편상관계수(偏相關係數)에 의(依)한 인자(因子)는 령급(令級), 강우(降雨), 토성(土性), 모암(母岩), 경사(傾斜), 사면위치(斜面位置), 표고(標高), 종단사면형(縱斷斜面形), 곡차수(谷次數), 임상(林相), 토심(土深), 방위(方位)의 순(順)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지붕괴발생빈도(山地崩壞發生頻度)에 의(依)한 인자(因子)의 순위(順位)는 령급(令級), 표고(標高), 토성(土性), 경사도(傾斜度), 식생(植生), 강우(降雨), 종단사면(縱斷斜面), 곡차수(谷次數), 모암(母岩), 토심(土深)이었으며 사면위치(斜面位置) 및 방위(方位)는 기여도(寄與度)가 낮게 나타났다. 산지사면붕괴위험(山地斜面崩壞危險) 예지(豫知)를 위(爲)하여 붕괴발생면적(崩壞發生面積)에 의(依)한 예측(豫測)모델에서 위험도(危險度) 예측점수표(豫測點數表)를 작성(作成)할 수 있었으며, 점수합계(點數合計)가 9.1636이면 붕괴발생위험(崩壞發生危險)이 높은 것으로 평가(評價)되었으며 산지(山地) 사면붕괴(斜面崩壞)가 발생(發生)한 사면(斜面)과 발생(發生)하지 않은 사면(斜面)에 의(依)한 예측(豫測)모델에서 우사면(雨斜面)에 대(對)한 사면판별(斜面判別) 구분치(區分値)는 -0.02였고, 그 적중율(適中率)은 73%로 높았다. 또한 판별구분치(判別區分値)를 기준(基準)으로 한 산지사면붕괴발생(山地斜面崩壞發生) 위험도별(危險度別) 점수(點數)는 A급(級)은 0.3132 이상(以上)이었고, B급(級)은 0.3132~-0.1051, C급(級)은 -0.1050~-0.4195, D급(級)은 -0.4195 이하(以下)였다. 그리고 산지사면붕괴발생(山地斜面崩壞發生)의 예지(豫知)는 판별구분치(判別區分値)를 기준(基準)으로 위험도(危險度)을 A, B, C, D의 4등급(等級)으로 구분(區分)할 수 있었으며, 총(總) 300개(個) 사면(斜面) 중(中) A급사면(級斜面) 68개(個), B급사면(級斜面) 115개(個), C급사면(級斜面) 65개, D급사면(級斜面) 52개(個)였다. 위험도(危險度) A, B급(級)에서의 산사태발생(山沙汰發生)은 150개(個) 붕괴지(崩壞地) 중 125개(個)로서 약(約) 83.3%의 높은 적중율(適中率)을 보여 예측(豫測)모델로서 응용(應用) 가능성(可能性)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예지방법(豫知方法)에 의(依)하여 선정(選定)한 위험(危險)한 지역(地域)에 대(對)하여 산지재해위험도(山地災害危險度) 지도(地圖)를 작성(作成)하여 토지이용(土地利用) 계획(計劃) 및 재해위험지(災害危險地) 선정기준(選定基準)의 행정지표(行政指標)로서 활용(活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산지재해(山地災害)에 대(對)한 종합(綜合) 대책(對策)에 유용(有用)하게 활용(活用)함으로써 막대(莫大)한 재산(財産) 피해(被害)와 인명(人命) 손실(損失)을 사전(事前)에 방지(防止)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