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tial diallel crosses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3초

이면교잡에 의한 대맥품종의 출수기 유전에 관한 연구 (8-Parents Diallel Cross Analysis on Heading Date of Barley)

  • 정태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71-79
    • /
    • 1977
  • 대맥품종들의 일장에 따른 출수반응과 출수기에 대한 유전을 구명코져 1974연부터 1975연까지 조숙품종으로 올보리, Haganemugi, CI 6332, 중숙품종으로 수원 18호, 부여, 만숙품종으로 수원004, 수원 16005, Samheung을 상호교배하여 만든 Diallelcross F$_1$을 호남작물시험장온실에 파종, 24시간, 16시간 12시간 및 8시간 일장을 각각 처리실험하였던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Haganemugi, CI 6332는 출수기에 관여하는 순수조만성이 짧은 품종이었고 수원004는 순수조만성이 긴 품종이었다. 2. 품종의 출수기 변이폭은 12시간 일장에서 가장 컸으며 Haganemugi는 다른 품종에 비하여 일장반응이 둔감하였다. 3. 대맥의 순수조만성은 부분우성인 대립유전자에 지배되고 조숙이 우성(CI6332), 또는 열성(Haganemugi)으로 작용하였다. 4. 일장반응에 대한 db전은 비감광성이 감광성에 대하여 단순열성으로 나타났고, Haganemugi가 비감광성유전자를 가지고 있으며 이 유전자는 12시간 일장근처에서 다른 품종의 일장감응성과 구별되었다. 5. 대맥품종에 있어서 일장감응성은 각 품종별로 특별한 Turning point가 있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 PDF

Genetic Analysis of Growth Response to Cold Water Irrigation in Rice

  • Han, Long-Zhi;Koh, Hee-Jong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26-31
    • /
    • 200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for breeding cold-tolerant rice varieties with high yield-productivity through wide crosses between indica and japonica rice. Genetic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55 F$_1$s obtained from half-diallel crosses among eleven cultivars of various origin including indica and japonica rice. Screening for cold tolerance was done with cold-water irrigation after transplanting until ripening stage. Both general combining ability (GCA) and specific combining ability (SCA) effects were highly significant in all characters associated with dry matter accumulation at 30 and 50days after cold-water irrigation (DAC). The variance of GCA was much larger than that of SCA in plant height, shoot dry weight per plant (DWP), crop growth rate (CGR) and cold-water response index (CRI) of these characters except CRI of shoot dry weight per plant. The DWP, CGR and CRI of these characters of Gaochan 102, Tong88-7 and TR22183 were markedly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s. GCA effects of these varieties on DWP, CGR and their CRI were also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s, indicating that they are useful as promising parents for breeding cold-tolerant varieties. Analysis of genetic parameters for 11$\times$11 half-diallel F$_1$s revealed that inter-locus gene interaction were concerned in the expression of plant height at 50 DAC, CRI of DWP at 50 DAC, and CRI of CGR, and that intra-locus gene interaction for plant height and the other characters were partial dominance and over-dominance, respectively. Narrow-sense heritability (h$^2$$_{N}$) was the highest in plant height as 0.729, and the lowest in CRI of DWP at 30 DAC as 0.048, suggesting that selection for cold tolerance will be quite effective in case that the selection criterion is the performance itself.f.

  • PDF

Genetic Analysis of Photoinhibition in Barley

  • Chun, Jong-U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296-302
    • /
    • 2001
  • Winter cereals are acclimated during wintering, and thereafter their freezing resistance is increased. In order to analyze inheritance and heritabilities for photoinhibition of photosynthesis by high light intensity under low temperature, an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ow temperature-induced photoinhibition and winter survival, 4 parental half diallel crosses were used. The detached leaves of 7-8cm long from plants grown for 35 and 55 days were placed on wet filter paper and placed in trays at 5$^{\circ}C$ cold room with 1,200 $\mu$mol $m^{-2}$ $s^{-1}$ PPFD. Chlorophyll fluorescence was measured with a chlorophyll fluorescence system after dark adaptation for 30 min. The Fv/Fm of 35day old plants was reduced from 0.714 in the control leaves to 0.409 and 0.368 following photoinhibitory treatment of 6h and 8h and the CVs were increased from 0.8% to 22.2-22.3%. The Fv/Fm of 55-day old plants was reduced from 0.775 in the control leaves to 0.485 and 0.439 following photoinhibitory treatment of 10h and 12h, respectively. According to half diallel cross analysis, Reno and Dongbori 1 (highly resistant to photoinhibition) was dominant, but Oweolbori (susceptible to photoinhibition) was recessive, and photoinhibition showed partial dominance with highly additive gene action. Dongbori 1 showed the greatest GCA effects for photoinhibition, and GCA/SCA ratios (8.7-22.3 times) indicated that the additive variance for the character was more important. Winter survival in barley crosse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resistance to photoinhibition and significantly fitted by linear regression ($R^2$=0.751$^{**}$-0.779$^{**}$). The chlorophyll fluorescence measured by Fv/Fm has been found to be highly inheritable and very useful in evaluating relative levels of freezing resistance in barley.ley.

  • PDF

유채의 실용형질에 대한 유전연구 -제 1 보 유채의 초장, 성숙기 및 종실중의 유전분석- (Genetic Studies in Some Agronomic Characters in Rapeseed (Brassica napus L.) 1. Genetic analysis for maturity, plant height and grain weight per plant.)

  • 이정일;권병선;채영암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84-88
    • /
    • 1984
  • 유채 육종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일본에서 도입한 품종중에서 특성이 뚜렷한 3개품종. 서구 Europe에서 도입한 3품종과 국내에서 육성한 1개품종 모두 7개품종을 교배친으로 하여 1979년 이면교잡을하고 1980~'81년의 F$_1$, F$_2$ 세대의 잡종종자를 재료로 3개 양적 형질에 대하여 유전자의 분포상태. 우성정도. 우성, 열성유전자의 빈도등을 검정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갈다. 1. 성숙기에서 $F_1$을 유전자의 상가적 부분인 D나 Heterosis등에 관여하는$ H_1$. $H_2$ 모두 유의성이 높았으며 성숙이 빠른 것이 우성이었고 성숙에 관여하는 유전자는 $F_1$에서는 3개, $F_2$에서는 1개로 나타났다. 또한 우성정도는 $F_1$에서는 부분우성이나 $F_2$에서는 완전우성으로 나타났다. 2. 종실중에서 우성정도는 $F_1$에서는 완전이나 $F_2$에서는 부분우성이었고 우성방향은 종실중이 무거운 쪽이었으며 유전자수는 3개로 나타났다. 또한 종실중은 열성유전자에 의해서 지배되었다. 3. 초장은 상가적 효과와 우성효과가 컸으며 초장에 관여하는 유전자수는 2개로 나타났다. 또한 우성의 방향은 장간쪽으로 나타났으며 유전력은 높았다.

  • PDF

새로 육성된 자식계통의 평가를 위해 사용되는 두 군간 교배의 블록화 설계 및 효율 계산 (Blocked Designs and Efficiency Factor Evaluation of Crosses Between Two Classes for Investigation of New Inbred Lines)

  • 김공순;배종성;김진
    • 응용통계연구
    • /
    • 제14권1호
    • /
    • pp.59-70
    • /
    • 2001
  • 이면교배 실험은 식물이나 동물의 교배를 통해 자식계통의 유전적인 성질을 조사하는데 중용한 역할을 한다. 이면교배에 관한 기존의 연구에서는 p개의 자식계통은 하나의 집합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이와 달리 새로 육성된 자식계통의 유전적 성질을 평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p개의 자식계통이 각각 p$_1$과 p$_2$개의 자식계통을 갖는 두 개의 집합으로 분리되는 형태의 교배실험을 사용한다(단, p=p$_1$+p$_2$).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식계통이 두 집단으로 분리된 경우에 대해서 Kempthorne의 합동식을 이용하여 두 군간 교배에 대한 블록디자인을 설계하고, 이에 대한 평균효율인자를 계산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재래종과 Orient종 연초 $F_2$세대의 양적 형질에 대한 유전분석 (GENETIC ANALYSIS OF QUANTITATIVE CHARACTERS IN $F_2$ POPULATIONS OF KOREA LOCAL AND ORIENTAL TOBACCO VARIETIES (N. TABACUM L.))

  • 이정덕;장권열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207-214
    • /
    • 1984
  • In order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for the successful breeding of aromatic tobacco (N. tabacum L.), the combining ability and the mode of inheritance in 28 $F_2$ hybrids by diallel crosses between Korea local and oriental varieties were investigated. Estimates of general combining ability were significant for all characters investigated, and the specific combining ability was significant for stalk height, leaves per plant, leaf length, leaf width and days to flower. The partial dominance was exhibited by all characters investigated as well as additive effects were larger than dominance effects for all characters.

  • PDF

재래종과 Orient종 연초 $F_1$의 잡종강세와 조합능력 (Heterosis and Combining Ability in $F_1$ Hybrids of Korea Local and Oriental Tobacco Varieties (Nicotiana tabacum L.))

  • 이정덕;장권열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3-11
    • /
    • 1984
  • In order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for the successful breeding of aromatic tobacco (Nicotiana tabacum L.), the heterosis, combining ability and gene distributions in 28 Fl hybrids by diallel crosses between Korea local and Oriental varieties were investigated. The yield were higher, stalk height, leaf length and leaf width were larger and days to flower was shorter for the Fl hybrids when compared to mid-parent. Estimates of general combining ability were significant for all characters investigated, and specific combining ability were significant for yield, stalk height, leaves Per Plant, leaf width and days to flower. In vr-wr graph, partial dominane was exhibited by all characters investigated.

  • PDF

육지면품종의 유용형질의 유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Inheritance of Agronomic Characteristics in Upland Cotton Varieties (Gossypium hirsutum L.) in Korea)

  • 계봉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81-313
    • /
    • 1976
  • 면화의 유용형질의 개별적 유전관계를 조기에 검정하고 이들의 상호관련성을 육종사업에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얻고저 1969년부터 1972년까지 작물시험장목포지장실험포장(북위 $34^{\circ}47',$ 동경 $126^{\circ}20',$ 표고 1.5m)에서 육지면품종간의 Partial Diallel Cross $F_1$ 및 Paymaster$\times$Heujueusseo Trice의, 분리집단을 공시하여 Hetesosis, Combining Ability, 품종별우열성, 유전분산의 분할, 표현형 및 유전상관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Heterosis는 주당삭수와 소면수량에서 양친평균 보다 각각 27.84%, 37.26%의 증가경향을 보였고 기타 형질에서는 유의성이 없었다. 2. GCA에 있어서는 모든 형질에서 유의성이 있었고, SCA보다 GCA 효과가 컸으며, 품종별 GCA효과푸 Suwon# 1이 조숙으로, Paymaster 및 Arijona는 고소면로, Arijona는 장섬유의 방향으로 했다. 3. 소면수량의 SCA는 Mokpo #4, Mokpo #6, Heujueusseo Trice등을 편친으로 한 조합이 변이가 컷고, 기중 SCA효과가 가장 큰 조합은 Mokpo# 4$\times$Acala 1517W, Mokpo#$\times$D.P.L, Heujoeusseo Trice$\times$Paymaster 조합등으로서 비교적 대립형질이 많은 조합이었다. 4. 조만성의 유전은 조숙이 만숙에 대하여 완전우성조합 또는 조숙과 만숙의 상호간의 우성을 나타내지 못하는 중간성조합이 있었음에 따라 이것은 상가적 유전성분이 큰 Multi gene의 지배를 받는 것으로 추찰되였다. 조숙성의 우성강도가 가장 큰 품종으로서는 Heujueusseo Trice. Mokpo#6, Suwon#1 등이였다. 5. 삭중 및 종자 100립중의 유전은 뚜렸한 경향이 없었다. 6. 장섬유성인 Paymaster와 단섬유성인 Heujueusseo Trice간의 교잡조합의 $F_2,$ $F_3에$ 있어서의 섬유장분리는 장섬유가 단섬유에 대하여 완전 또는 부분우성의 단인자지배에 의하여 분리되였으며 세대가 진전됨에 따라 우성개체발현율이 감소되는 경향이였다. 또한 Diallel Cross $F_1으로$ 동시에 수개품종을 비교할 경우는 각품종의 섬유장의 폭이 다르고 우성의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다소 복잡한 대립인자작용으로 나타났다. 7. 주당삭수는 대체로 초월우성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따라서 상가적부분이 적게 표현되여 비대립유전자의 작용도 존재하는 것으로 였다. 8. 소면수량도 초월우성이 강하게 나타내여 비대립유전자의 작용도 존재하는 Multi gene에 의하여 지배되는 것으로 보였으며 대체로 다수성품종이 소수성품종에 비하여 우성이였다. 그러나 Heujeusseo Trice는 소수성품종으로서 초월우성을 나타내여 품종 및 조합에 따라서 상리한 반응을보였다. 9. 개화소요일수의 유전력은 39~34%였으나 협의 11%로 낮은 것은 우리 나라에서는 개체변이가 심하여 유전력이 다소 낮게 표현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삭중의 유전력은 광의 30%, 협의 22%로 낮은 경향이였으나 Diallel Cross $F_1$ 에서는 다소 높게 나타났다. 10. 섬유장 및 소면비율의 유전력은 어느 경우에서도 높았으므로 선발효율이 클것으로 기대된다. 11. 주당삭수의 유전력 Diallel Cross 에서 30%, $F_2에서$ 협의 36%로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광의 67%로 높았으므로 $F_2,$ $F_3에서는$ 양친의 특성을 어느정도 나타낼것으로 기대된다. 12. 소면수량의 유전력은 Diallel Cross 에서는 초월우성이 강하게 작용했기 때문에 낮은 우전력을 보였으나, $F_2,$ $F_3에서는$ 광의 38%, 협의 50%로서 비교적 높았다. 따라서 수량의 유전력은 $F_1에서는$ 극히 낮았으나, $F_2,$ $F_3세대에서는$ 높아가는 경향이였다. 13. 개화소요일수, 소면비율 및 섬유장의 상호간에는 $F_1,$ $F_2,$ F3에서 모두 표현형상관이 높았으므로 만숙품종 및 개체가 대체로 장섬유 및 고소면의 경향이였고 이들의 유전상관도 높기때문에 유전적관계가 컸었다. 개화소요일수와 소면수량과의 상관관계가 극히 낮았으므로 이들은 서로 독립형질로 사료되지만 주당 삭수와는 $F_3에서$ 부의 상관이 있으므로 조숙개체가 다삭성인 경향을 많이 보였다. 14. 소면비율과 섬유장과의 표현형 및 유전상관은 $F_1,$ $F_2,$ $F_3$ 모두 높았으므로 이 두 형질은 대체로 흡사한 형질이라고 인정할 수 있음에 따라 장섬유품종이 대체로 고소면성이였다. 또한 소면수량과 소면비율과는 Diallel Cross $F_1에서$ 정의 상관, $F_2에서는$ 섬유장과의 정의 상관을 보여 소면비율 및 섬유장도 소면수량에 다소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5. 소면수량은 주당삭수와의 표현형상관이 $F_1,$ $F_2,$ $F_3$ 모두 고도의 전상관을 나타냈고, 유전상관도 높음에 따라 유전적인 관련성이 크다고 인정되였다. 따라서 다수성을 선발하려면 주당삭수가 많은 개체를 후기세대에서 선발하는 것이 선발효율이 크다고 사료된다. 또한 양질계통을 선발하기 위해서는 장섬유 및 고소면개체를 초기세대부터 선발해도 선발효율은 클것으로 기대되지만 이러한 개체는 동시에 만숙성을 내포할 가능성이 있었다.

  • PDF

이면교잡에 의한 잠체형질의 유전분석 I. 잠체의 양적 형질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우성정도와 분포상태 (Genetic Studies on Some Silkworm Characters by the Diallel Cross I. Degrees of Dominances and Gene Distributions)

  • 장권열;한경수;민병열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6
    • /
    • 1979
  • 잠체의 몇가지 양적형질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우성정도, 유전력, 유전자의 분포상태등을 알기 위하여 누에의 6개 품종을 교배친으로 하여 이면교잡을 한 F$_1$세대와 교배친품종을 재료로 유전분석을 한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각 형질의 측정치는 품종과 조합에 따라서 다르고 특히 전견양과 견층양은 자잠이 웅잠보다 많고, 견층비율은 자잠보다 웅잠이 크게 나타났다. 2. 각 형질별 분산성분중 상가적효과에 의한 분산D보다 Herterosis등에 의한 분산 H가 크며 우성정도가 모두 1이상으로 나타났으므로 품종 자체가 hetero상태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 광의의 유전력은 모두 높았으나 협의의 유전력이 비교적 높은 형질은 전령경과일수, 5영경과일수, 견층비율의 3개형질이었다. 4. 유전자의 분포상태를 보면 전령경과일수, 5영경과일수, 견층비율의 3개형질은 불완전우성으로, 전견양과 견층양의 2개형질은 초우성으로 나타났다. 5. 전령경과일수와 5영경과일수에 관여하는 유전자는 B(112)품종에 우성유변자가 많고, A(111)품종이나 E(경추)품종에 열성 유전자가 많이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견층비율에는 자웅에 따라서, 품종에 따라서 우성 또는 열성유전자가 관여하는 정도가 다르며 전견양과 견층양의 2개형질은 초우성으로 나타나고, F(연일) 품종과 E(경추) 품종에 우성유전자가 많이 관여하고 B(112)품종과 A(111)품종에 열성유전자가 많이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결과를 미루어 보아 전견양과 견층양을 증가시키기 위한 교배친으로서는 F(연일) 품종이 제일 좋고 다음으로 E(경추)품종이 유리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참깨의 이면교잡에 의한 유한형 양적형질 유전분석 (Genetic Analysis of Quantitative Trait for Flowering Habits by Diallel Crosses in Sesame)

  • 오명규;박기훈;신문식;김보경;천상욱;김영두;정진일;하기용;이영만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442-446
    • /
    • 2003
  • 참깨는 무한화서로 영양생장과 생식생장을 동시에 하는 특성 때문에 생육후기 상위부 꼬투리의 등숙 불량에 의해 수량감소 및 품질 저하를 초래하여 고품질 다수성 참깨 품종 육성의 큰 난제가 되어왔다. 본 연구는 참깨 고등숙 양질 다수성 품종을 육성의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유한형 2품종, 무한형 2품종 및 반유한형 1품종에 대해 이면교잡을 통하여 생육형 및 품종간 양적형질들의 유전분석을 실시하여 이들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이면교배 유전분석결과 개화기간, 등숙기간, 경장, 주당삭수, 주당분지수 및 등숙율 등 주로 수량에 관련된 형질들에서 비대립유전자의 상호작용이 존재함이 인정되었다. 2. 분산-공분산의 회귀식이 개화기간, 등숙율은 원점을 통과하여 완전우성을 보였으나 경장, 주당삭수 및 분지수는 원점 위를 통과하여 부분우성을 보였다. 3. 경장, 분지수는 상가적 효과가 우성효과와 거의 비슷하였으며, 개화기간은 우성효과가 상가적 효과보다 컸다. 4. 광의의 유전력은 개화기간, 경장, 주당삭수 와 분지수에서 0.91-0.99로 높았으나, 협의의 유전력은 개화기간, 삭장,등숙율 및 천립중은 0.18-0.34로 낮았고, 경장주당삭수와 분지수는 0.77-0.81로 광의의 유전력과 협의의 유전력간에 차이가 적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