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ental emotional support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3초

장애아동 어머니가 지각하는 스트레스 및 대처행동과 생활만족도 (The Stress, Coping, and Life Satisfaction Perceived by Mothers with Disabled Children)

  • 박혜진;박경란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625-636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ypes of the stress and coping behaviors perceived by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their life satisfaction. For this study, we surveyed 239 mothers living in the c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can categorize the stress into parental stress, economic stress, child developmental stress, physical stress, and emotional stress. Second, we can classify the coping behaviors into active efforts, avoidance, and emotional diversion. Lastly, life satisfaction of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ends to depend on such factors as emotional stress, husband's support, parental stress, emotional diversion coping, economic stress, school- children, and their education.

  • PDF

The Impact of Parental Attachment on Career Barriers for Out-of-School Youth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 Hyung-hee Kim;Yong-seob Ki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12호
    • /
    • pp.211-219
    • /
    • 2023
  • 본 연구는 부모 애착과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 장벽 간의 경로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 장벽 수준 감소를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분석자료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한 학업 중단 청소년 패널조사 5차 연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학교 밖 청소년 318명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통계 프로그램 SPSS 23.0과 Amos 23.0 version을 이용한 분석결과, 부모 애착 하위 요인인 정서적 지지와 진로 장벽의 모든 하위 요인 간의 경로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런 결과는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 장벽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 애착(정서적 지지, 경제적 지지)과 자아존중감의 향상을 위한 다각적인 차원의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에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밖 청소년 부모 교육과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실천적인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여성결혼이민자의 부모 부양의식과 관련 변인 연구 (Variables Related with Parental Caregiving Consciousness of Women Immigrants)

  • 박지영;이창식
    • 한국노년학
    • /
    • 제31권4호
    • /
    • pp.1029-1045
    • /
    • 2011
  • 이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특성에 따른 부모 부양의식의 차이와 이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여성결혼이민자 59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결혼이민자의 신체적 및 경제적 부양의식은 거주지, 소득수준, 모국 부모 부양 희망, 모국 가족연락, 그리고 자조모임 참여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반면 정서적 부양의식은 거주지, 소득수준, 부모동거, 모국 부모 부양희망, 자조모임 참여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둘째, 중다회귀분석 결과 신체적 부양의식은 연령, 거주지, 가정소득, 모국 부모 부양희망, 모국가족과의 연락이 영향을 주는 변인이었으며, 경제적 부양의식은 연령, 거주지, 출신국, 배우자와의 연령차, 가정소득, 모국 부모 부양희망, 가족과의 연락이 영향하는 변인이었다. 정서적 부양의식은 거주지, 가정소득, 모국 부모 부양희망이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투입한 9개의 변인 중 모국 부모부양 희망이 3개의 종속변인 신체적, 경제적 및 정서적 부양의식 모두에 가장 영향력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노부모의 역할인지, 역할수행 및 역할수행 만족도: 농촌 노부모가정을 대상으로 (Parental role responsibilities,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of the rural elderly)

  • 옥경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6권8호
    • /
    • pp.77-93
    • /
    • 1998
  • Have elderly parents parted with parental role after the children were grown up? If they still have, what kinds and degrees of parental responsibilities endured? Do they actively perform the role? Do they satisfy to engage in parenting? The main purpose of present study explored these questions conceming rural old-aged families using data of 143 elderly parents aged 60 years and above. The results indicate that elderly parents perceived parenting adult children to be very important, regarding themselves as househeads to teach family members how to integrate together. The results also demonstrate that elderly parents performed parental role actively in teaching family rituals and providing emotional support. The elderly parents also report that they were fairly satisfied with involvement in adult children's lives. Our findings suggest that further in-depth research is required in eliciting the role parameters of elderly parents based on our social and cultural changes. In addition, it is encouraged to examine the adult children's expectation of their elderly parents for renegotiating and restructuring parent-child relationships when both are adults.

  • PDF

정서발달의 관점에서 본 우리나라의 전통태교: 태교신기를 중심으로 (The Korean Tradition of Taegyo for Supporting Prenatal Development: Focusing on Emotion in Taegyo-Singi)

  • 정순화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2권1호
    • /
    • pp.1-10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principles and methods of Taegyo-Singi with regard to emotion and to review basic informations on Taegyo programs for promoting prenatal development. Taegyo-Singi was analyzed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of Taegyo-Singi were classified into principles and methods of Taegyo. Second, the domains of emotion were categorized into emotional perception, emotional expression, emotional understanding, and emotional regulation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Mayer and Salovey, and Moon. Third, the contents of Taegyo-Singi were classified into the four domains of emotion. Finall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classification were obtained through inter-rater agreement and analysis of content validity. The results indicated that first, the principles of Taegyo presuppose parental influence on temperament formation, and that the emotional states of the mother in the prenatal and prepregnancy period i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in a child's temperament formation. Second, the methods of Taegyo presuppose that the human mind interacts with their behavior. Therefore, through emotional support of family members, 'jon-sim (the serene mind)' and 'chung-sim (the mind from rectitude)' are the key methods of Taegyo. This means that the Korean tradition of Taegyo focused on the emotional domain of development, especially emotional regulation. This coincides with the emotion-focused temperament theory that individual differences in temperament reflect individual differences in emotion.

고등학생의 진로체험 유형과 부모지지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reer Experiential Learning and Parental Support on Career Maturity of High School Students)

  • 정주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139-158
    • /
    • 2016
  • 본 연구는 고등학생 진로성숙도를 함양하기 위하여 진로체험 유형과 부모지지가 진로성숙도 하위영역인 태도적 차원(진로계획성, 직업태도, 진로독립성)과 능력적 차원(자기이해, 진로탐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최근 1년 이내에 진로체험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고등학교 1~3학년을 대상으로 온라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최종 290명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성숙도의 태도적 차원인 진로계획성은 대화형, 견학 방문형 경험을 한 경우, 직업태도과 진로독립성 수준은 대화형, 견학 방문형, 현장체험형 경험을 한 경우 높게 나타났다. 능력적 차원인 자기이해와 진로탐색은 이론형, 대화형, 견학 방문형 경험이 있는 경우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진로관련 부모지지인 정서적, 정보적, 물질적 지지와 진로성숙도의 모든 하위영역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진로체험 유형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대화형과 견학 방문형은 태도적 차원(진로계획성, 직업태도, 진로독립성)과 능력적 차원(자기이해, 진로탐색) 모두 진로성숙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론형은 능력적 차원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부모지지를 투입하여 체험유형과 부모지지가 진로성숙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정서적 지지가 진로탐색을 제외한 모든 진로성숙의 하위영역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적 지지는 진로계획성, 진로독립성, 진로탐색에 물질적 지지는 직업태도, 자기이해, 진로탐색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고등학생 진로성숙도의 하위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진로체험 프로그램의 핵심 구성과 실행에 의미 있는 정보적 역할을 하며, 부모지지와 연계한 실천적 측면을 강조하는 진로교육 운영지침에 유용한 자료로 제공될 것이다.

Lived Experiences of Parents of Children with Celiac Disease: A Descriptive Qualitative Study

  • Nesibe S. Kutahyalioglu;Gamze Kas Alay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7권3호
    • /
    • pp.146-157
    • /
    • 2024
  • Purpose: Celiac disease (CD) is one of the most prevalent food-related illnesses in children, with a global prevalence of approximately 1.4%. CD can create an emotional burden, particularly on mothers, who are mainly responsible for managing challenges related to adherence to a gluten-free diet, high food costs, and food problems in schools and social areas. There is a gap in the literature, and parental experiences of raising children with CD should be explicitly examined. This qualitative study sought to provide insights into the experiences of parents raising a child with CD in the Turkish context. Methods: This study used a descriptive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and conducted individual semi-structured video-based dyadic interviews with 19 parents. Results: Participants experienced both challenges and motivators through management of their children's CD. Analyses of the interview transcripts through the data uncovered three main themes focusing primarily on parental concerns: (1) parental challenges in child's disease management, (2) supportive care needs, and (3) parental expectations. Conclusion: A multidisciplinary team should approach the child and family immediately after diagnosis, and facilities should support parents with continuing education and psychological, financial, and social assistance.

전통 '효'개념에서 본 부모역할 인식과 자녀양육행동 (Perception of Parental Filial Piety and Child-Rearing Behavior)

  • 정옥분;김광웅;김동춘;유가효;윤종희;정현희;최경순;최영희
    • 아동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81-107
    • /
    • 1997
  • This study investigated parental perceptions and practice of filial piety and in child rearing practices regarding filial pie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81 parents. 1)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parents perceive, practice and teach their children the 12 virtues of filial piety.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thers' view (perception, practices, education) of ancestor- worship as found according to child developmental stage. The significant of difference in mother's perceptions of emotional-care, ancestor-worship and persuasion and moral training was found according to child developmental stag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ther's practices in moral-training, economic-support, persuation, and ancestor-worship were found according to child developmental stage. The singificant differences in mother's child-rearing in gratefulness, moral-training, emotional-care, persuasion, obedience to parents, and ancestor-worship were found according to child developmental stage. 3) Traditional child-rearing behavior has declined.

  • PDF

부모진로지지와 진로자기조절, 진로정체감의 관계 - 방사선과 학생 대상 -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Career Support, Career Self-Regulation, and Career Identity - with Student Dep. of Radiologic Technology -)

  • 김인숙;이인자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8권3호
    • /
    • pp.295-304
    • /
    • 2015
  • 방사선과 1, 2, 3학년 학생들의 부모진로지지(정보적, 정서적, 경제적, 경험적)의 영향으로 진로자기조절 관계(계획 및 점검, 긍정적사고, 진로피드백, 진로환경조성), 진로정체감 관계(진로결정, 우유부단, 진로미결정)을 알아보고자 설문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부모진로지지 중에 정서적지지는 계획 및 점검(r=.25, p<.001), 진로피드백(r=.54, p<.001), 긍정적사고(r=.46, p<.001)는 높은 상관을 보였고, 정보적지지도 진로환경조성(r=.22, p<.001), 계획 및 점검(r=.20, p<.001), 진로피드백(r=.24, p<.001), 긍정적사고(r=.26, p<.001)도 모두 높은 상관을 보였다. 경제적지지는 진로피드백(r=.33, p<.001), 긍정적사고(r=.34, p<.001)은 다소 높은 상관을 보였다. 경험적지지는 진로환경조성(r=.18, p<.001), 계획 및 점검(r=.25, p<.001), 진로피드백(r=.37, p<.001), 긍정적사고(r=.30, p<.001) 모두 높은 상관을 보였다. 부모진로지지 중에 정서적지지는 진로결정(r=.27, p<.001), 경제적지지 역시 진로결정(r=.18, p<.001), 경험적지지도 진로결정(r=.23, p<.001)에서만 다소 높은 상관을 보였다. 부모진로지지에 따른 학년간의 차이는 정서적지지(F=8.52, p<.001), 경제적지지(F=8.97, p<.001), 경험적지지(F=5.36, p<.05)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진로자기조절에 따른 학년간의 차이는 진로피드백(F=8.48, p<.001), 긍정적사고(F=16.29, p<.001)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진로정체감에 따른 학년간의 차이는 진로미결정(F=4.01, p<.05), 진로결정(F=11.72, p<.001)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부모진로지지가 진로과업을 성장시키는 자녀나 청소년들에게 얼마나 많은 영향력을 발휘하는지에 대한 연구 결과가 나왔으며, 전문적인 후속 연구가 필요로 하며 부모님들이 자녀의 진로나 의사결정에 전적으로 참여하기보다는 지원하고 도울 수 있는 객관적인 입장으로 보살펴주는 부모의 역할이 매우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방사선과 전체 학생들은 자신이 진로결정 시 가장 영향을 준 사람은 본인의 의사를 제외하면 부모님의 영향(30.1%)이 높은 결과가 나왔으며, 또한 전공 선택 시 가장 큰 동기는 취업전망이 좋을 것 같아서가 40%로 높은 결과가 나왔다. 이러한 결과들은 고등학교에서 대학 진학 진로결정시 자신의 흥미나 적성보다는 현실적인 문제인 취업전망이 좋은 부분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진로결정을 하였다는 결과로 보여 지고 있다. 또한 정보, 정서, 경제, 경험들의 부모진로지지가 자신의 진로목표 및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자신을 조절할 수 있게 영향을 주며 또한 진로결정에 많은 영향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으나, 현재 방사선과 학생들의 진로선택은 흥미나 적성보다는 시대에 맞춘 취업 전망이 중요한 부분이고, 또한 대부분의 부모도 미래에 자녀가 안정된 직업을 얻었으면 하는 바람을 갖고 있다. 이러한 기대로 방사선과에 입학한 학생들이 비록 적성과 흥미가 맞지 않아서 대학생활이나 전공공부 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들에게 잘 적응 할 수 있도록 부모진로지지 만큼이나 학생들의 학습지도나 정서지지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에릭슨의 발달과업으로 본 아버지의 자녀양육 생산성과 유아 - 아버지간 애착안정성과 관계 (Generative Fathering on Erikson's Perspective and its Relationship with Attachment Security of Children)

  • 양미경;조복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57-64
    • /
    • 2000
  • This study is applied to the Erikson's concept of generative fathering that meets the needs of the next generation and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tive fathering and the attachment security. Sixty-five of 30-36 months old children (37 boys and 28 girls) and their par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athers completed the questionnaire of parental generativity, which include items on their support of physical development, social-emotional development and intellectual development. Children's attachment was reported by mothers using the Attachment Q-set. Results revealed that father's parental generativity was noted as 3.09 in 1 to 5 child rearing activities. But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hild's sex and child's birth order. Also, it was found that children's secure attachnent to their fathers was not high. There was an association between fathering generativity and children's secure attachment. This findings imply that father's active child rearing participation will increase children's secure attach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