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ental depression

검색결과 163건 처리시간 0.026초

알코올 중독자 부모를 둔 청소년의 자녀역할과 학교 적응과의 관계에서 부모애착과 교사관심의 조절효과 (Moderating Effects of Parental Attachment and Teacher's Concern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Roles and School Adjustment among Children's of Alcoholics)

  • 김혜련;박수경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7-50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roles, parental attachment, teacher's concerns and school adjustment among Children's Alcoholics(COAs). Participants were 2,803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Th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hero rol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school bonding and academic performance but increased the level of anxiety/depression. Meanwhile, scapegoat and lost children's roles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school bonding and also increased the level of anxiety/depression. Mascot role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school bonding and academic performance but had no relation with anxiety/depression. Regarding moderating effects, maternal attachment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capegoat role and school bonding while teacher's concerns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hero role and anxiety/depress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capegoat role and anxiety/depression.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practitioners need to consider the contributions of children's roles on school adjustment and moderating effects of maternal attachment or teacher's concerns when intervention programs are developed to improve school adjustment among COAs.

아동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요인 (Ecological Systems Factors Associated with Childhood Depression)

  • 강희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326-335
    • /
    • 2015
  • 본 연구는 생태체계적 접근에 기반을 두고 아동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생태체계 변인의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행되었다. 분석 자료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 청소년 패널조사 초등학교 1학년 4차년도 자료 2,119사례였다. 유기체변인(아동의 성별, 공격성, 주의집중), 미시체계변인(부모의 방임과 학대, 친구관계, 교사관계), 외체계변인(지역사회인식), 거시체계변인(공동체의식) 순서로 4가지 모델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사관계와 공동체의식을 제외한 모든 생태체계변인들이 아동기 우울에 유의한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높은 영향력을 갖는 변인은 아동의 공격성이었으며, 다음으로는 부모의 학대, 친구관계와 지역사회인식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아동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변인의 영향력을 검증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갖는 실천적 함의가 논의되었다.

학교 교사폭력이 청소년의 우울감과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방임의 매개된 조절효과 (The Mediated Moderation Effects of Parental Neglec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School Teacher Violence,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n Adolescents)

  • 전지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8호
    • /
    • pp.492-502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교사폭력이 청소년의 우울감과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방임의 매개된 조절효과를 검증해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 정책연구원에서 조사한 '한국아동·청소년 인권실태연구 IV'의 중·고등학생 6,291명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8.0프로그램과 Process Macro 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와 일원분산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부트스트래핑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교 교사폭력과 우울감은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 교사폭력이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감이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 교사폭력은 청소년의 우울감을 통해 자살생각에 이르는 과정에서 부모방임의 매개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 교사들에 대한 교육과 상담과정 그리고 정책적 보완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가족환경과 학업 및 친구요인이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amily Environment, Academic Performance and Peer Factor on Adolescents' Depression)

  • 최규련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8권6호
    • /
    • pp.95-111
    • /
    • 2010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show general trends in the aspects of psychological family environment (parental communication), peer factor, academic performance factor, depression perceived by adolescents and to examine possible changes in such trends in accordance with demographic variables and the family structure environment (parental marital status, family economic status, and parents' education level), and then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se variables on adolescents' depression. The subjects were 1009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1) Paternal communication was significantly lower in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divorced/ separated parents, and families of lower economic status. Maternal communication was significantly lower in male students, divorced/sepa-rated parents, and families of lower economic status. Academic performance problem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ales,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divorced/ separated parents, families of lower economic status, and a less educated father. Peer relations was significantly lower in students of divorced / separated parents, and of families of lower economic status.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divorced / separated parents, and families of lower economic status. 2) In the case of male students, paternal communication had both a direct and an indirect negative effect through peer relations on depression, while academic performance problems had both a direct and an indirect positive effect through peer relations on depression. Both peer relations and maternal communication had a positive and a negative direct effect on depression. School grade had both a direct and an indirect negative effect through paternal communication on depression. Parental marital status(divorced or separated) had both a direct and an indirect positive effect through academic performance problems on depression. Family economic status had only an indirect effect on discussed.

Factors Affecting Early School-Age Children's Subjective Happiness: Using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of Parental Variables

  • Kang, Kinoh;Kim, Jungho;Kim, Jungmin;Jeong, Hyoeun;Han, Jeongwon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854-863
    • /
    • 2017
  • Purpose: The present study is a descriptive cross-sectional study of cause-and-effect relationship, which used the $7^{th}$ year data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enting stress, depression, and family interactions of the parents of early school-age children on children's subjective happiness. Methods: The present study included data of 1419 pairs of parents who participated in the mother and father survey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The effects of parenting stress, depression, and parental family interactions on children's subjective happiness were analyzed as actor and partner effects using path analysis. Results: Parenting stress had an actor effect on depression; maternal parenting stress (${\beta}=-.21$, p<.001) and depression (${\beta}=-.30$, p<.001) had an actor effect on maternal family interaction; and paternal parenting stress (${\beta}=-.18$, p<.001) and depression (${\beta}=-.17$, p<.001) had a partner effect on maternal family interaction. Paternal parenting stress was found to have an actor effect on paternal family interaction (${\beta}=-.30$, p<.001), and parental depression was found to have actor effect (${\beta}=-.23$, p<.001) and maternal depression had a partner effect on paternal family interactions (${\beta}=-.22$, p<.001). Children's subjective happiness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maternal family interaction (${\beta}=.40$, p<.001).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in its provision of basic data for adjusting parents' family interaction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children by confirming the effect of parents' parenting stress, depression, and family interaction on children's subjective happiness.

부부갈등, 부모의 양육행동, 부모의 감독과 청소년의 적응 간 관련성 (Marital Conflict, Parenting Behavior, and Parental Monitoring Related to Adjustment of Adolescents)

  • 이형실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1083-1094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der difference in adolescent's problem behavior and depression,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marital conflict, parenting behavior, parent's monitoring on adolescents' problem behavior and depression. Data obtained from 453 students in middle school was used for final analysis. This study found that female adolescents showed higher level of depression than male adolescents. Male adolescents reported higher level of marital conflict than female adolescents. On the other hand, female adolescents showed more mother's monitoring than male adolescents. Path analysis revealed that parenting behavior and parent's monitoring were negatively influenced by marital conflict. Adolescents' depression was negatively influenced by parenting behavior, but problem behavior was not influenced by parenting behavior. Father's monitoring had an impact on problem behavior of male and female adolescents. Depression was influenced directly by marital conflict, but problem behaviors were not directly influenced by marital conflict.

품행장애 청소년에서의 우울, 불안 증상과 부모양육특성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ANXIETY AND PARENTAL REARING PATTERNS IN ADOLESCENTS WITH CONDUCT DISORDER)

  • 한성희;최경민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8권1호
    • /
    • pp.83-91
    • /
    • 1997
  • 본 연구의 목적은 품행장애를 보이는 청소년에서 우울및 불안의 정도를 알아보고 또한 자신의 부모가 보이는 자녀 양육 방식에 대해 그들이 어떠한 지각을 하고 있는가를 살펴봄으로써, 품행장애 환아들에서 흔히 동반되는 우울, 불안 증상과 부모양육방식 사이에는 어떤 상호관련이 있으며 이는 또한 품행장애의 임상경과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하에 저자들은 DSM-Ⅳ의 진단기준에 부합되는 품행장애 입원환아 30명과 정상대조군으로 30명의 중학생을 선정하였으며, 이들에게 소아우울척도(CDI), 소아 상태-특성 불안척도(STAI), 부모-자녀 결합형태 검사(PBI)를 시행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품행장애 환아들은 정상대조군에 비해 증상면에서 상태불안(state anxiety)이 높았으나 우울과 특성불안(trait anxiety)은 의미있는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다. 2) 품행장애 환아들은 부모의 양육태도에 있어서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에 대해 돌봄이 적고 과보호가 많다는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어머니의 돌봄은 우울 및 품행문제의 심각도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4) 어머니의 과보호는 특성불안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품행장애 환아에 있어 아버지 양육태도의 특성은 그다지 의미있는 결과를 보여주지 않아 아버지보다는 어머니의 부정적인 양육 방식이 품행장애 소아청소년의 우울, 불안 및 품행문제의 심각도등의 임상경과와 보다 밀접한 관련성을 갖는 것으로 보인다.

  • PDF

한국과 일본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우울에 대한 분석: 부모의 사회적 지원, 어려움극복 효능감, 스트레스 관리행동의 영향 (Factors influencing stress and depression among Korean and Japanese students: With specific focus on parental social support, resiliency of efficacy and stress management behavior)

  • 박영신;;김의철 ;한기혜 ;김의연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5권1호
    • /
    • pp.1-28
    • /
    • 2009
  • 이 연구는 한국과 일본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우울에 미치는 부모의 사회적 지원과 어려움극복 효능감 및 스트레스 관리행동의 영향을 분석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부모의 사회적 지원은 어려움극복 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 어려움극복 효능감은 스트레스 관리행동과 스트레스 및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3] 어려움극복 효능감은 부모의 사회적 지원이 스트레스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과정에서 매개변인의 역할을 할 것이다. [가설 4] 스트레스 관리행동은 스트레스 및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러한 가설에 기초하여 연구모형이 제안되었다. 분석대상은 총 469명으로, 한국 대학생 289명(남 156, 여 133)과 일본 대학생 180명(남 112, 여 68)이었다. 측정도구는 간편형 로드아일랜드 스트레스 척도(Horiuchi, Tsuda, Tanaka, Yajima & Tsuda, in press), 스트레스 관리행동 척도(Evers et al., 2006), 우울 척도(CES-D, Radloff, 1977; BDI-II, Beck, Steer & Brown, 1996), 어려움극복 효능감 척도(Bandura, 1995), 부모의 사회적 지원 척도(김의철, 박영신, 1999b)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가설 1, 2, 3은 한국과 일본 대학생 자료에서 모두 긍정되었다. 가설 4는 일본 대학생 자료에서는 부정되었고, 한국 대학생 자료에서는 부분적으로 부정되었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로부터 사회적 지원을 많이 받을수록 어려움극복 효능감이 높았다. 둘째, 어려움극복 효능감이 높을수록 스트레스 관리행동을 잘 하고, 스트레스가 낮을 뿐만 아니라, 우울 수준이 낮았다. 셋째, 어려움 극복효능감이 매개변인으로 의미 있는 작용을 하였다. 넷째, 스트레스 관리행동은 스트레스에 대해 의미 있는 영향이 없었다. 따라서 부모의 사회적 지원과 어려움극복 효능감은 스트레스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 PDF

부모의 삶의 만족도 및 우울이 아동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arent's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on the Children' Suicidal Ideation)

  • 김선숙;정정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257-267
    • /
    • 2016
  • 아동의 자살생각이 실제 자살로 연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측면에서 이 연구는 부모의 삶의 만족도 및 우울이 아동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그에 대한 아동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아동의 자살생각과 관련하여 예측 변인으로 대부분 아동의 우울 변인을 사용하였고 부모의 우울을 포함한 연구는 아직까지 없었으며, 마찬가지로 아동의 발달에 미치는 전반적인 영향력에도 불구하고 부모의 삶의 만족도가 아동의 자살생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그동안 확인된 바가 없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한국복지패널 7차년도 자료에 있는 아동 512명과 그 부모의 응답을 분석하였고, 분석 결과 모의 삶의 만족도만이 아동 자살생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모의 우울이 아닌, 모의 삶의 만족도가 아동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되 아동의 자존감을 매개하지 않고도 아동의 자살생각 수준을 낮출 수 있는 요인임이 확인되었는데, 이러한 측면이 향후 아동 자살예방 노력 및 개입 프로그램에 고려될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Using Tobit Regression Analysis to Further Understand the Association of Youth Alcohol Problems with Depression and Parental Factors among Korean Adolescent Females

  • Delva, Jorge;Grogan-Kaylor, Andrew;Steinhoff, Emily;Shin, Dong-Eok;Siefert, Kristine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0권2호
    • /
    • pp.145-149
    • /
    • 2007
  • Objectives : This study characterized the extent to which youth depressive symptoms, parental alcohol problems, and parental drinking account for differences in alcohol-related problems among a large sample of adolescent females. Methods : The stratified sample consists of 2077 adolescent females from twelve female-only high schools located in a large metropolitan city in the Republic of Korea. Stude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about alcohol use and alcohol problems, their parents' alcohol problems, and a number of risk and protective factors. Data were analyzed using tobit regression analyses to better characterize the associations among variables. Results : Almost two-thirds of students who consume alcohol had experienced at least one to two alcohol-related problems in their lives and 54.6% reported at least one current symptom of depression, with nearly one-third reporting two depressive symptoms. Two-thirds of the students indicated that at least one parent had an alcohol-related problem, and that approximately 29% had experienced several problems. Results of tobit regression analyses indicate that youth alcohol-related problems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p<0.01) and parent drinking problems (p<0.05). Parental drinking is no longer significant when the variable parental attention is added to the model. Decomposition of the tobit parameters shows that for every unit of increase in depressive symptoms and in parent drinking problems, the probability of a youth experiencing alcohol problems increases by 6% and 1%, respectively. For every unit of increase in parental attention, the probability of youth experiencing drinking problems decreases by 5%. Conclusions : This study presents evidence that alcohol-related problems and depressive symptoms are highly prevalent among adolescent females. Although a comprehensive public health approach is needed to address drinking and mental health problems, different interventions are needed to target factors associated with initiation of alcohol problems and those associated with increased alcohol problems among those who already began experiencing such probl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