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asitoids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8초

Four newly recorded species of the genus Exochus (Hymenoptera: Ichneumonidae: Metopiinae) from South Korea

  • Choi, Jin-Kyung;Lee, Jong-Wook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0권4호
    • /
    • pp.412-418
    • /
    • 2021
  • Four species of the genus Exochus belonging to the subfamily Metopiinae, family Ichneumonidae, are reported in South Korea for the first time. The subfamily Metopiinae was recorded by Förster in 1869 based on genus Metopius and more than 870 described species have been reported worldwide. Among the genera of Metopiinae, genus Exochus is the largest, which is cosmopolitan and comprises more than 290 described species worldwide (Choi et al., 2016; Yu et al., 2016). A taxonomic study of South Korean Exochus was initiated by Choi et al. (2014), who reported four species. Until now, 10 species have been described as new species and 25 species were recorded as new records of this genus from South Korea (Choi et al., 2014, 2016). In the present study, the following four species are reported in South Korea: Exochus latiareolus Tolkanitz, 2003, E. ornatus Momoi & Kusigemati, 1970, E. pictus Holmgren, 1858, and E. yasumatsui Momoi, Kusigemati & Nakanishi, 1968. In addition, we provide the diagnoses of these four species along with diagnostic photographs.

Description of a new species of the genus Venturia Schrottky (Hymenoptera: Ichneumonidae: Campopleginae) from South Korea

  • Choi, Jin-Kyung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1권2호
    • /
    • pp.128-131
    • /
    • 2022
  • A new species, Venturia tenuiabdominalis Choi sp. nov., belonging to the subfamily Campopleginae, family Ichneumonidae, is described in South Korea. The subfamily Campopleginae was recorded by Forster in 1869 based on genus Campoplex and more than 2,100 described species into 66 genera have been reported worldwide. Among the 66 genera of Campopleginae, the genus Venturia is one of the large groups, which is more than 140 species worldwide (Yu et al., 2016; Vas, 2019a; 2019b; Vas, 2020; Vas and Di Giovanni, 2020; Han et al., 2021). A taxonomic study of South Korean Venturia was initiated by Choi et al. (2012), who reported Venturia longipropodeum (Uchida, 1942). A key to species of South Korean Venturia, description of new species and diagnostic illustrations are provided.

A new species of the genus Monoblastus Hartig (Hymenoptera: Ichneumonidae: Tryphoninae) with a key to species from South Korea

  • Jin-Kyung Choi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2권4호
    • /
    • pp.321-325
    • /
    • 2023
  • A new species, Monoblastus forsythia sp. nov. is described from South Korea. All specimens of this new species were collected on Forsythia koreana (Nakai). A taxonomic study of South Korean Monoblastus was initiated by Uchida in 1930, and until now four species have been recorded from South Korea. The genus Monoblastus is a Holarctic genus with 31 described species, 14 species are Nearctic, seven are Western Palaearctic region, and nine species occur in Eastern Palaearctic region. In the study, I provide description and photos of both sexes of this new species. Also, modified key to species of the South Korean Monoblastus is provided.

한국산 미기록속 밑들이자루맵시벌속(신칭) (벌목: 맵시벌과: 짧은자루맵시벌아과)의 1미기록종 보고 (New Record of the Genus Notopygus Holmgren, 1857 (Hymenoptera: Ichneumonidae: Ctenopelmatinae) from South Korea)

  • 최진경;이종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2권3호
    • /
    • pp.125-129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미기록속인 밑들이자루맵시벌속(신칭)과 미기록종인 밑들이짧은자루맵시벌(신칭)을 처음으로 보고한다. 밑들이자루맵시벌속은 잎벌류에 기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배마디 끝부분이 위쪽으로 굽어져있는 것이 특징이다. 본 논문에는 미기록속, 미기록종의 기재문과 사진을 제공한다.

Discovery of Thaumaglossa rufocapillata Redtenbacher (Dermestidae, Coleoptera) from Mantis oothecae in Korea and its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 Gyu-Dong Chang;Jaeil Shim;Sangmin Ji;Jeong-Hun S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47권2호
    • /
    • pp.115-125
    • /
    • 2023
  • The insect industry in Korea is currently undergoing steady expansion. Among the various insects kept as pets or for educational purposes, four mantis species, including Hierodula patellifera (Audinet-Serville), Tenodera angustipennis Saussure, Tenodera sinensis Saussure, and Statilia maculata (Thunberg), are becoming increasingly popular, leading to higher demand. As we aimed to raise mantises, we collected oothecae, some of which were found to be parasitized by dermestid beetles. These parasitoids have been unequivocally identified as Thaumaglossa rufocapillata Redtenbacher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s. A diagnosis, habitus photographs, and illustrations of diagnostic characters are provided to facilitate identification. We also present the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mitogenome) sequence of T. rufocapillata for providing fundamental data for research aimed at controlling pests in the insect industry.

기주에 따른 목화검정진디벌(Ephedrus plagiator (Nees))과 진디벌(Aphidius ervi Haliday)의 생물학적 특성 비교 (Comparative Analysis of the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Ephedrus plagiator (Nees) and Aphidius ervi Haliday according to Different Aphid Hosts)

  • 지창우;강은진;변영웅;김정환;최병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427-433
    • /
    • 2014
  • 싸리수염진딧물(Aulacorthum solani) 방제를 위해 기생성 천적으로 국내에서 선발한 목화검정진디벌(Ephedrus plagiator)과 외국에서 판매되고 있는 진디벌(Aphidius ervi)을 비교 조사하였다. 성충 수명과 산란 기간, 머미수, 우화충수 등에 대한 우열성을 싸리수염진딧물과 완두수염진딧물(Acyrthosiphon pisum)을 대상으로 온도 15, 20, 25, $30^{\circ}C$와 광주기 16(L) : 8(D)의 조건에서 조사하였다. 성충 수명은 $15^{\circ}C$에서 목화검정진디벌이 싸리수염진딧물에서 5.9일로 진디벌 3.6일에 비해 2.3일 길었다. 산란 기간도 $15^{\circ}C$의 싸리수염진딧물에서 목화검정진디벌이 5.3일인 반면, 진디벌은 2.2일로 상대적으로 짧았다. 싸리수염진딧물에서 목화검정진디벌과 진디벌의 머미수는 목화검정진디벌이 15, 20, 25, $30^{\circ}C$에서 각각 71.5, 41.0, 15.7, 7.7개로 진디벌의 22.1 16.3 6.2, 0.4 보다 많이 기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완두수염진딧물에서 목화검정진디벌의 머미수는 70.3, 69.8, 34.3, 8.4개로 93.4, 71.2, 34.8, 14.5로 조사된 진디벌의 머미수보다 낮았다. 싸리수염진딧물에서 목화검정진디벌의 우화충수는 42.1, 36, 11.6, 0로 나타나 $30^{\circ}C$의 높은 온도에서는 우화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진디벌의 경우에는 우화 개체수가 각 온도에서 19.6, 13.5, 3.7, 0.1로 나타나 목화검정진디벌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게 우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두 종의 비교결과, 싸리수염진딧물에서는 목화검정진디벌이, 완두수염진딧물에서는 진디벌이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국내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발생과 방제법 (Occurrence and Control Method of Riptortus pedestris (Hemiptera: Alydidae): Korean Perspectives)

  • 임언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437-448
    • /
    • 2013
  • 농작물의 2차 해충이었던 노린재류가 최근 두류, 과수 및 유료작물의 가장 중요한 해충으로 등장하였다. 이들 중 가장 피해를 많이 주는 것은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로 한국, 일본, 중국, 대만과 태국 등의 동남아시아 국가에 분포하고 있다. 기주식물로는 콩과 작물인 콩, 자운영, 헤어리베치, 붉은토끼풀 등과 단감, 유자와 같은 과수작물, 보리, 조, 기장, 수수와 같은 곡류작물이며, 이중 콩이 가장 적합한 먹이원이며 피해가 가장 크다. 콩의 착협기에 일어나는 노린재에 의한 섭식 피해가 수확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현재 노린재의 방제약제로는 다이아지논, 에토펜프록스수화제 등 17종이 등록되어 있으며 2-3회의 주기적인 방제를 실시하고 있다. 집합페로몬을 이용한 통발형 유인트랩은 주로 노린재 발생 모니터링에 이용되며 일부 방제를 위해 사용되고 있다. 집합페로몬은 동종의 암수 성충과 약충 모두를 유인하며, 성적인 기능보다는 먹이원 혹은 기주식물의 위치를 알려주는 기능을 한다. 또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집합페로몬은 천적 알기생벌인 노린재검정알벌과 노린재깡충좀벌에 의해 카이로몬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이를 이용한 불할성화된 노린재 알을 집합페로몬트랩에 같이 설치하여 노린재 유인뿐만 아니라 이들 기생벌의 기생률을 높이는 새로운 연구가 수행되었다. 또한, 노린재에 대한 저항성 작물을 이용할 수도 있는데, 협의 색과 길이가 저항성에 관여하는 형질로 보고되었다. 이외 작물의 정식시기의 변경 등을 통한 콩의 개화시기의 조절과 같은 경종적 방제도 응용될 수 있다. 효과적인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관리를 위해서는 천적 등의 자연적 밀도감소 요인을 제공할 수 있는 작부체계를 개발함과 동시에 기존에 개발된 방제기술들을 종합적으로 투입하여야 할 것이다.

조명나방(Ostrinia furnacalis) 알에 대한 쌀좀알벌(T. evanescens)과 T. ostriniae의 기생특성 (Parasitism of Trichogramma evanescens and T. ostriniae (Hymenoptera: Trichogrammatidae) to Eggs of the Asian Corn Borer, Ostrinia furnacalis (Lepidoptera: Pyralidae))

  • 정진교;박종호;임대준;한태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43-50
    • /
    • 2005
  • 조명나방(Ostrinia furnacalis Guenee)의 국내 우점 알기생벌인 쌀좀알벌(T. evanescens)과 같은 곤충을 숙주로 삼는 T. ostriniae의 기생특성을 조명나방 알을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일정한 사육조건 ($25^{\circ}C$, 16L/8D)에서 두 알기생벌은 명조건 후 4시간 안에 $50\%$ 이상 우화하는 일일주기성을 보였다. 산란에서 우화까지의 발육기간은 두 종 약 11일 정도였고, 두 종 모두 종간 및 종내 암수 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알기생율이 $100\%$ 미만임에도 불구하고 과기생을 보였다. 두 종 모두 암컷은 우화 후 5일째까지 산란하였고, 수명은 쌀좀알벌에서 최대 8일이었고, T. ostriniae에서 6일이었다. 조명나방의 기생알 수는 각 각 약 38개와 31개였는데, 두 종 모두에서 우화 첫째날 알기생벌이 산란한 알 수가 전 산란기간 동안 산란한 알 수의 약 $50\%$를 차지하였다. 성비는 두 종 모두 암컷이 약 $80\%$를 차지하는 암컷편향적이었다.

Revisiting the Parvilucifera infectans / P. sinerae (Alveolata, Perkinsozoa) species complex, two parasitoids of dinoflagellates

  • Jeon, Boo Seong;Nam, Seung Won;Kim, Sunju;Park, Myung Gil
    • ALGAE
    • /
    • 제33권1호
    • /
    • pp.1-19
    • /
    • 2018
  • Members of the family Parviluciferaceae (Alveolata, Perkinsozoa) are the well-known dinoflagellate parasitoids along with Amoebophrya ceratii species complex and parasitic chytrid Dinomyces arenysensis and contain six species across three genera (i.e., Parvilucifera infectans, P. sinerae, P. rostrata, and P. corolla, Dinovorax pyriformis, and Snorkelia prorocentri) so far. Among Parvilucifera species, the two species, P. infectans and P. sinerae, are very similar or almost identical each other morphologically and genetically, thereby make it difficult to distinguish between the two. The only main difference between the two species known so far is the number of sporangium wall (i.e., 2 layers in P. infectans vs. 3 layers in P. sinerae). During sampling in Masan bay, Korea during the spring season of 2015, the dinoflagellate Akashiwo sanguinea cells infected by the parasite Parvilucifera were observed and this host-parasite system was established in culture. Using this culture, its morphological and ultrastructural features with special emphasis on the variation in the number of sporangium wall over developmental times,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the sequences of rDNA regions and ${\beta}-tubulin$ genes were determined. The result clearly demonstrated that the trophocyte at 36 h was covered with 4 layers, and then outer layer of the sporocyte gradually degraded over time, resulting in wall structure consisting of two layers, with even processes being detached from 7-day-old sporangium with smooth surface, indicating that th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layers seems not to be an appropriate ultrastructural character for distinguishing P. infectans and P. sinerae. While pairwise comparison of the large subunit rDNA sequences showed 100% identity among P. infectans / P. sinerae species complex, genetic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small subunit (SSU) rDNA sequences but the differences were relatively small (11-13 nucleotides) compared with those (190-272 nucleotides) found among the rest of Parvilucifera species (P. rostrata and P. corolla). Those small differences in SSU rDNA sequences of P. infectans / P. sinerae species complex may reflect the variations within inter- strains of the same species from different geographical areas. Taken together, all morphological, ultrastructural, and molecular data from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they are the same species.

사과원 잡초관리 방법에 따른 사과해충 및 천적의 군집구조 (Community Structure of Phytophagous Arthropods and Their Natural Enemies at Different Weed Management Systems in Apple Orchards)

  • 김동순;이준호;전흥용;임명순;김기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56-265
    • /
    • 1995
  • 사과원 잡초군락이 해충 및 천적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제초제를 살포하여 잡초를 제거한 구(제초구)와 수관하부까지 잡초를 키우면서 인력으로예초한 구(예초구)에서 수상의 해충 및 천적과 잡초상의 곤충류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응애류와 진딧물의 발생은 처리간에 유의성있는 차이는 없었으나, 응애류의 경우는 예초구에서 발생이 적은 경향이었다. 사과굴나방의 경우 예초구에서 1993년에는 피해엽률이 10% 정도 낮았고, 1994년은 4% 정도 낮은 발생을 보였다. 응애류와 진딧물의 천적류 발생은 쳬초구에서 높은 경향이었으나 큰 차이는 없었으며 사과굴나방의 기생청 천적류는 예초구에서 1993년에는 6~10%, 1994년에는 20~25% 높은 발생을 보였다. 사과원 잡초상에서 포충망을 이용 곤충류를 채집 조사한 결과, 사과해충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사과해충 천적류로서 좀벌류, 고치벌류, 애꽃노리재, 무당벌류, 풀잠자리류 등이 발견되었다. 사과생육기간중 잡초상 및 수상에서 군충군집변화는 상이하였다. 수상에서의 곤충군집형성에 약제살포가 큰 영향을 주었으나, 잡초상에서는 약제살포에 상대적으로 안정된 군집이 유지되었다. 결론적으로 사과원 잡초는 수상의 사과해충 및 천적발생에 영향을 주고 있었으며, 사과굴나방 기생벌같은 기주특이적인 천적들은 수상이동에 의하여 밀도억제작용을 하였고, 잡초상에 먹이가 풍부하거나 또는 광식성인 천적들은 잡초상 곤충군집에 연관되어 수상의 해충밀도에 큰 영향을 주지 못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