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asitism

검색결과 131건 처리시간 0.035초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Distribution of the Endoparasitoids on Acronicta rumicis (Lepidoptera, Noctuidae)

  • Cho, Young-Ho;Kwon, Oh-Seok;Nam, Sang-Ho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29권1호
    • /
    • pp.55-60
    • /
    • 2006
  • Forty six individuals out of 200 Acronicta rumicis larva were parasitized (23 %) in 2000, 14 individuals out of 60 (23.33 %) in 2001, and 14 individuals out of 62 (22.58 %) in 2002. The mean parasitism rate was $22.97{\pm}0.38%$. The parasitism rate was 36.36 % in May and 52.78 % in October, 2000, 75 % and 50% in May and October 2001, 71.4% and 47.37% in May and October 2002 and it was much higher than other months. Parasitism was occurred from May to October 2000, but it was not in June and August 2001 and June 2002.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monthly mean parasitism rate, but the rate was the highest in May and October. The parasitoid of the larva of A. rumicis was the highest by 77.02% of parasitic wasps, and 13.51% of parasitic flies. It was found that multiparasitism was 4.05 % and hyperparasitism was 5.41 %. In case of parasitic wasps whose parasitism rate is the highest, the rate of Braconidae and Ichneumonidae was 70.18 % and 29.82 % respectively. That is, the former has much higher parasitism rate. The parasitism rate of the larva of A. rumicis was found that Microplitis sp. is $5.28{\pm}0.63%$, Glyptapanteles liparidis $8.62{\pm}3.70%$, and Diadegma sp. $4.02{\pm}1.28%$ respectively.

토마토에서 Hemiptarsenus zilahisebessi에 의한 아메리카잎굴파리 기생율 (Parasitism of Liriomyza trifolii (Diptera: Agromyzidae) by Hemiptarsenus zilahisebessi(Hymenoptera: Eulophidae) on Tomato)

  • 문형철;최정식;황창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61-65
    • /
    • 2002
  • 토마토에서 Hemiptarsenus zilahisebessi에 의한 아메리카잎굴파리의 밀도억제 효과를 실내와 온실에서 확인하였다. 토마토에서 외부기생봉류에 의한 아메리카잎굴파리의 기생율은 26~45%이었으며 이 중 H. zilahisebessi의 비율은 47~75%이었다 암컷 성충의 기주체액섭취율이 기주 1령유충과 3령유충에서 각각 40.4%와 37.9%이었으나 1령과 3령유충을 동시에 접종할 때 1령보다는 3령유충을 주로 체액섭취하였다 사육실에서 H. zilahisebessi 암컷과 기주 3령유충을 1 : 10, 1 : 20, 1 : 30으로 접종시 기주 시망율은 각각 93.1%, 92.1%, 89.8% 이었다. 토마토 포장에서 주당 암컷 3마리, 5마리를 접종한 결과 접종 4주째에 80%정도의 기생율을 나타냈으며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아메리카잎굴파리의 유충밀도도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피해엽률 또한 접종 4주후부터 무접종구에 비하여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접종밀도에 따른 기생을, 기주 유충 생충율 및 피해엽률의 차이는 없었다.

First report of interspecific facultative social parasitism by Polistes sp. on Polistes djakonovi Kostylev (Hymenoptera: Vespidae) in South Korea

  • Choi, Moon Bo;Kwon, Ohseo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8권4호
    • /
    • pp.537-540
    • /
    • 2015
  • Social parasitism is occasionally found in some Polistes and Vespa species, such as Vespa dybowskii. We report a discovey of interspecific facultative social parasitism by Polistes sp. (possibly P. mandarinus) on Polistes djakonovi Kostylev in two rural areas of South Korea. P. djakonovi is very similar to Polistes sp. in its body color patterns except that the mark on the clypeus is different. In nest 1 (65 cells), we found 5 females of P. djakonovi and 4 females of Polistes sp. on 30 July 2014, whereas nest 2 (102 cells) contained 12 females and 16 males of P. djakonovi, and 3 females of Polistes sp. on 28 August 2013. Although we found the two nests in July and August, P. djakonovi seems to have been exploited by Polistes sp. at the end of the preemergence period (early to mid-June). The two nests found in this study had mainly white cocoon caps of P. djakonovi with several yellow ones of Polistes sp. In most cases of social parasitism, intruders have a larger size of the body or some body parts than the host in order to usurp the host; in contrast, this study showed that the hosts had lager bodies than the intruders.

국내 애멸구 (Laodelphax striatellus Fallen) (노린재목: 멸구과)의 시기별 날개형 및 기생율 (Wing Morphs and Parasitism Rates of the Small Brown Planthopper, Laodelphax striatellus (Hemiptera: Delphacidae) in Korea)

  • 손병인;정종국;이준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497-501
    • /
    • 2014
  • 애멸구(Laodelphax striatellus (Fall$\acute{e}$n))는 벼줄무늬잎마름병을 매개하여 심각한 피해를 야기하는 벼 해충으로 국내에서 월동하는 토착종이며 중국에서 국내 서해안지역으로 비래하기도 한다. 본 연구는 애멸구의 분산과 개체군 동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국내 16지역에서 2014년 4월과 7월에 애멸구를 채집하여 발생시기에 따른 날개형태의 비율과 홍집게벌 기생율 현황을 파악하였다. 수컷은 4월보다 7월에 단시형의 비율이 유의미하게 낮았고, 암컷 단시형 비율은 차이가 없었다. 회귀분석 결과 4월의 단시형 비율이 위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약충 및 성충의 기생율은 7월보다 4월에 높았다. 또한 서해안지역의 약충 기생율이 대체적으로 높은 경향을 보였다.

중국에서 알기생봉 Anastatus orientalis (Hymenoptera: Eupelmidae)의 꽃매미 Lycorma delicatula (Hemiptera: Fulgoridae) 알에 대한 기생율 (Parasitism Rate of Egg Parasitoid Anastatus orientalis (Hymenoptera: Eupelmidae) on Lycorma delicatula (Hemiptera: Fulgoridae) in China)

  • 최만영;;;;;김정환;변영웅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35-139
    • /
    • 2014
  • 꽃매미(Lycorma delicatula)의 천적인 벼룩좀벌 일종(Anastatus orientalis Yang et Gibson(Hymenoptera : Eupelmidae))의 자연 상태에서 기생율을 조사한 결과: (1) 산동성 Yantai 에서 가장 높은 69.0%의 꽃매미 난괴가 기생 당하였고; (2) 최고 기생율은 33.0%로 북경시 하이디엔(Haidian) 지역에서 관찰되었고; (3) 기생봉의 알은 산시성의 양링(Yangling)에서 가장 빨리 부화하였으며, 천진시의 옌타이(Yantai)와 광앙(Guangang) 지역, 하북성의 친황다오(Qinhuangdao), 하이디엔(Haidian)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였으며; (4) 성비는 채집된 지역에 따라 1.3에서 1.9로 다양하였고; (5) 꽃매미 난괴에 대한 기생율은 기주식물인 Populus sp., Salix sp. Toona sinensis에서 유의할 만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최고기생율은 T. sinensis에서 64.3%로 나타났고, Ailanthus altissima에서는 27.4%로 가장 낮았다. (6) 꽃매미 알에 대해서도 꽃매미 알이 발견된 기주식물별로 차이가 없었고, 평균 30.0%의 기생율을 나타냈다.

Parasitoid Complex of the Gypsy Moth (Lymantria dispar) in the Increase-phase Populations in Korea

  • Lee, Jang-Hoon;Pemberton, Robert W.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2권2호
    • /
    • pp.75-81
    • /
    • 2009
  • The species composition of the parasitoid complex and the degree of parasitism by each species were analyzed for gypsy moth (Lymantria dispar) populations in the increasing phase. Total of 7,826 mid-late instar larvae and pupae were collected and reared from two collection sites in Gangwon Province, Korea. Two tachinid flies (Blepharipa schineri and Parasetigena silvestris), and the ichneumonid wasp (Coccygomimus disparis) were the most abundant parasitoids, in the order of decreasing importance. Other parasitoids occurring included Coteisa melanoscelus, Cotesia scheaferi, Glyptapanteles liparidis, Brachymeria lasus, and Exorista spp. The low incidence of the NPVirus is hypothesized to be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degree of parasitism rate by P. silvestris and B. schineri, and their relative dominance in the parasitoid complex.

붉은머리오목눈이(Paradoxornis webbianus)의 종내탁란 (Intraspecific Nest Parasitism of the Vinous-throated Parrotbill Paradoxornis webbianus)

  • 김동원;이진원;유정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45-350
    • /
    • 2010
  • 1988년부터 2007년 사이에 수행된 붉은머리오목눈이(Paradoxornis webbianus)의 생태연구 과정에서 종내탁란으로 추정되는 현상은 4개 둥지(0.38%, n=1,062)에서 관찰되었다. 첫 번째는 1995년 경기도 양평군 부용리에서 붉은머리오목눈이의 한배산란수의 범위를 초과하는 9개의 알이 있는 둥지가 관찰되었다. 두 번째와 세 번째는 2001년과 2005년, 경기도 안산시 사동에서 하루 사이에 2개의 알이 산란된 둥지가 각각 관찰되었다. 마지막은 2007년 부용리에서 어미새의 산란 전에 어미새의 알과는 색이 다른 알이 하나 산란된 둥지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비록 낮은 빈도이지만 붉은머리오목눈이에서 종내탁란 현상이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남부지방에 있어서 끝동매미충 난기생봉의 종류 및 기생율에 관한 조사연구 (Egg Parasitism of Green Rice Leafhopper, Nephotettix cincticeps Uhler by Gonatocerus sp. and Paracentrobia andoi in Southern Rice Cultural Areas)

  • 장영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09-112
    • /
    • 1980
  • 본답후기인 8중-9상순에 걸쳐 끝동매미충 난에 기생하는 기생봉의 종류와 이들의 기생율을 남부 4개 지역에서 재래품종과 통일계통 품종 포장에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난에 기생하는 실적으로 Gonatocerus sp. 2종과 Paracentrobia andoi 그리고 Anagrus sp. 1종 등 모두 4종의 난기생봉이 분포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2. 기생율 조사 결과 Gonatocerus sp.의 평균 난괴기생율과 난립기생율은 각각 $58.8\%$$41.0\%$였고 Paracentrobia andoi의 경우에는 각각 $6.2\%$$5.3\%$로서 Gonatocerus sp.가 Paracentrobia andoi의 기생율 보다 훨씬 높안 우점종을 이루어 있었으며 이들 두 종이 같은 난괴에 혼재하는 율은 $5.4\%$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