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ncreatic cancer cell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28초

12-O-Tetradecanoylphorbol-13-Acetate Induces Keratin 8 Phosphorylation and Reorganization via Expression of Transglutaminase-2

  • Lee, Eun Ji;Park, Mi Kyung;Kim, Hyun Ji;Kang, June Hee;Kim, You Ri;Kang, Gyeoung Jin;Byun, Hyun Jung;Lee, Chang Hoon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2권2호
    • /
    • pp.122-128
    • /
    • 2014
  • The stiffness of cancer cells is attributable to intermediate filaments such as keratin. Perinuclear reorganization via phosphorylation of specific serine residue in keratin is implicated in the deformability of metastatic cancer cells including the human pancreatic carcinoma cell line (PANC-1). 12-O-Tetradecanoylphorbol-13-acetate (TPA) is a potent tumor promoter and protein kinase C (PKC) activator. However, its effects on phosphorylation and reorganization of keratin 8 (K8) are not well known. Therefore, we examined the underlying mechanism and effect of TPA on K8 phosphorylation and reorganization. TPA induced phosphorylation and reorganization of K8 and transglutaminase-2 (Tgase-2) expression in a time- and dose-dependent manner in PANC-1 cells. These effects peaked after 45 min and 100 nM of TPA treatment. We next investigated, using cystamine (CTM), Tgase inhibitor, and Tgase-2 gene silencing, Tgase-2's possible involvement in TPA-induced K8 phosphorylation and reorganization. We found that Tgase-2 gene silencing inhibited K8 phosphorylation and reorganization in PANC-1 cells. Tgase-2 gene silencing, we additionally discovered, suppressed TPA-induced migration of PANC-1 cells and Tgase-2 overexpression induced migration of PANC-1 cells. Overall,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PA induced K8 phosphorylation and reorganization via Tgase-2 expression in PANC-1 cells.

암환자에서 방사선치료에의한 염색체이상 (Effect of Radiotherapy on Chromosomal Aberration in Cancer Patients)

  • 전하정;이명자;유명수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1권1호
    • /
    • pp.43-50
    • /
    • 1993
  • 방사선에의 노출은 염색체 이상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널리 인식되고 있으나 in vivo상태에서 방사선 조사 후 발생되는 염색체 이상의 종류와 빈도 규명은 드물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암 환자에서 방사선 치료 전 및 후에 말초혈액 임파구의 염색체 변이를 비교 관찰하고 방사선 조사에 의해 암 환자세포에서 나타나는 염색체 이상에서 절단점의 분포가 암 발생과 밀접한 연관이 된 유전자 및 염색체의 재조합이 자주 일어나는 부위와 연관관계 가 있음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25예의 암 환자에서 방사선 치료가 시작되기 전과 $4000\~7000cGy$의 근치적 방사선치료가 끝난 직후 말초 혈액을 채취하여 임파구를 배양후 G-분염법을 이용하여 염색한 후 환자마다 방사선치료 전후로 각각 30개씩의 증기상을 관찰하였다. 치료전에 염색체 이상을 나타낸 세포 분열 중기상의 빈도는 $4.93\%$로 정상 대조군 집단의 빈도 $2\%$보다 높았다(p<0.05). 방사선 치료후 염색체 이상 세포의 빈도는 $22.13\%$로 치료전에 비해 매우 중가되었다(p<0.01). 또한 세포 중기상당 이상 염색체의 수도 치료전과 후가 각각 1.49및 2.14로 치료후 증가 되었다(p<0.05). 염색체 이상의 종류는 major chromosomal aberration 특히 구조적 이상의 빈도가 치료전보다 후에 $65.45\%$에서 $88.45\%$로 증가되었고 minor structural abnormality와 수적 변이의 빈도는 감소되었다. 방사선 치료후 염색체 절단점의 수가 2개 이상인 경우가 단일 절단점을 가진 이상에 비해 증가되었다. 절단점의 분포에 있어서는 암세포에서 가장 흔한 이상을 나타내는 1번 및 3번 염색체와 절단점의 증가가 암 발생관 연관된다고 보고된 8번 및 11번 염색체에서 본 연구결과 기대치 이상의 절단점의 분포를 보이고, 암 세포에서 드물게 이상을 나타내는 13, 15및 21번 염색체에서는 기대치 보다 감소된 절단점의 분포를 보였다. 따라서 방사선 치료 후 염색체 이상의 빈도는 증가되었으며 방사선 조사에 의해 나타나는 염색체의 절단점의 분포는 암 발생과 밀접한 연관이 된 유전자 및 염색체의 재조합이 자주 일어나는 부위와 밀접한 연관 관계가 있음을 보여 주었다.

  • PDF

EphB1 and Ephrin-B, New Potential Biomarkers for Squamous Cell/adenosquamous Carcinomas and Adenocarcinomas of the Gallbladder

  • Yuan, Yuan;Yang, Zhu-Lin;Miao, Xiong-Ying;Liu, Zi-Ru;Li, Dai-Qiang;Zou, Qiong;Li, Jing-He;Liang, Lu-Feng;Zeng, Gui-Xiang;Chen, Sen-Li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3호
    • /
    • pp.1441-1446
    • /
    • 2014
  • Squamous cell/adenosquamous carcinoma (SC/ASC) of the gallbladder are rare tumors and there are few clinical reports in the literature. Herein we report our clinical experience with 46 patients with SC/ASC and 80 with adenocarcinoma (AC). Expression of EphB1 and Ephrin-B in each tumor was determined using immunohistochemical methods for determination of correlations with prognosis. There was no difference in EphB1 and Ephrin-B expression between SC/ASC and AC tumors (P>0.05), but greater expression in those less than 3 cm in diameter, stage I or II (TNM stage), with no lymph node metastases, with no local invasion and treated with radical resection was apparent. Expression of EphB1 (P<0.05) and Ephrin-B (P<0.01) was higher in well differentiated than in poorly differentiated AC tumors. Kaplan-Meier survival analysis indicated that degree of differentiation, tumor diameter, lymph node metastases, local invasion, surgical approach and expression rate of EphB1 and Ephrin-B were closely related to the survival of SC/ASC (P<0.05) and AC patients (P<0.01). Patients with tumors that positive expressed EphB1 and Ephrin-B, whether it is SC/ASC ($P_{SC/ASC}$ =0.000) or AC ($P_{AC}$ =0.000 or $P_{AC}$ =0.002) had longer survival than those negative expression. Cox multivariate analysis indicate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expression of EphB1 or Ephrin-B and overall survival. Hence, EphB1 and Ephrin-B could be regarded as independent good prognostic factorsand important biological markers for SC/ASC and AC of gallbladder.

견우자의 생리활성 분석과 추출물로부터 항암 활성물질의 분리 (Biological Activities of Pharbitis nil and Partial Purification of Anticancer Agent from Its Extract)

  • 최현덕;유선녕;박슬기;김영욱;남효원;안현희;김상헌;김광연;안순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25-232
    • /
    • 2017
  • 견우자는 한의학에서 사하 작용 및 이뇨 작용 등의 치료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견우자를 methanol로 추출하고(PNM), 이를 기본으로 ethyl acetate 분획물(PNE), butanol 분획물(PNB), water 분획물(PNW)로 나누었으며 각 분획물을 이용하여 mushroom tyrosinase 저해활성, pancreatic lipase 저해활성,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 및 암세포주의 증식 저해활성 등을 조사하였다. 특히, 전립선암 세포주 PC-3 세포에서 강력한 세포 증식 저해활성을 보였으며, 용매 분획물 중, butanol 분획에서 가장 높은 암세포의 증식 저해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견우자의 methanol 추출물을 Diaion HP-20 column chromatography, reverse phase column chromatography,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를 순차적으로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저해활성이 가장 높은 compound PN을 얻었으며 HPLC를 통해 그 순도를 확인하였다. Compound PN을 이용하여 cell cycle arrest과 annexin V/PI를 측정한 결과, 세포의 sub-G1기를 축적되면서 apoptosis가 유발되어 전립선암 세포주 PC-3 세포의 세포사멸이 유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견우자에 대한 항산화 활성, 미백 활성 등의 효과 뿐 만 아니라 항암 활성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