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lmitic acid

검색결과 1,184건 처리시간 0.029초

미숙호박과 완숙호박의 화학성분 (Chemical Compositions of the Green and Ripened Pumpkin(Cucurbita moschata Duch.))

  • 조규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57-662
    • /
    • 1997
  • 미숙호박과 완숙호박의 일반성분, 유리당, 아미노산, 지방산, 무기성분 조성등의 화학성분을 비교 조사한 결과, 호박은 성숙함에 따라서 성분이 변화하는 경향을 보였다. 미숙호박 및 완숙호박의 과육중에는 당질 $70.95{\sim}70.65%$과 단백질이 $14.0{\sim}15.20%$ 많았고, 호박씨중에는 단백질 35.74%이 가장 많고, 다음은 지질 29.45%과 당질 28.39%이 많았다. 미숙호박과 완숙호박의 과육에서 sucrose, glucose, fructose, maltose, lactose 등의 유리당이 확인되었으며, 이들 유리당들은 sucrose와 fructose는 성장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glucose, maltose, lactose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maltose는 완숙호박에서만, 호박씨중에는 sucrose만이 확인되었다. 미숙호박과 완숙호박의 단백질중에는 15종의 아미노산이 확인되었으며, 호박은 성장함에 따라 Thr, Ser, Gly, Ala, Val, Met, Ile, Leu, Phe, Lys등은 감소하였으나, Asp, Tyr, His, Arg등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호박씨 중에는 Glu, Asp, Leu가 많았다. 지방산은 미숙호박과 완숙호박에 palmitic, linolenic, linoleic acid가 많았다. 호박은 성장함에 따라 palmitic acid의 함량은 유사하였으나, stearic, oleic acid는 감소하고, myristic, linoleic, linolenic acid등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호박씨중의 지방산은 linoleic, palmitic, oleic acid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arachidic acid도 확인 되었다. 미숙호박과 완숙호박, 호박씨중의 무기성분은 K가 가장 많았고, Ca, Mg, Na, Fe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호박은 성장함에 따라 Ca, Mg는 감소하는 한편 K, Na, Fe의 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Chlorella 엽록체의 인지질 생합성 및 지방산조성에 미치는 Nitrate와 Phosphate 결핍효과 (Effects of the Nitrate and Phosphate Starvation on the Biosynthesis of Phospholipid and the Composition of Fatty Acids in Chlorella Chloroplasts)

  • 이점규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1권3호
    • /
    • pp.187-196
    • /
    • 1988
  • Chlorella ellipsoidea were cultured in "cold" media starvated with the nitrate and phsophate sources. The effects of the nitrate and phsophate starvation on the biosynthesis of phospholipid and the composition of fatty acids in chloroplasts isolated from these cells were analyzed. The syntheses of phosphatidylcholine and phosphatidylinositol in the nitrate and phosphate starvation were similarly inhibited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but phsophatidylethanolamine synthesis in the nitrate starvation was extremely lower than that in the phosphate starvation. The major fatty acids utilized in phospholipid formation within chloroplasts were palmitic acid and linolenic aicd. However, palmitic acid and stearic acid were dominant in the condition of the nitrate starvation. The levels of palmitic acid were enhanced 3-fold than that of the control.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biosynthesis of phospholipid and the composition of fatty acids were affected by the nitrate and phosphate starvation in the culture media.ure media.

  • PDF

오염중의 유이지방산이 세척에 미치는 영향(제일보 팔미트산의 세척 특성) (Studies on the Detergency Characteristics of Free Fatty Acid in Oily Soil. Part 1. Detergency of Palmitic Acid.)

  • 정혜원;김성련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31-37
    • /
    • 1977
  • The effects of surfactants and concentration of NaOH in surfactant solution on the removal of free fatty acid soil from cotton fabrics were investigated. Cotton fabrics were soiled with palm itic acid which is the most common fatty acid found in natural oily soil and washed in Lauder-ometer with various types of surfactant with or without NaOH. The rate of soil removal was estimated by analyzing palmitic acid contents in fabric before ar d after washing. Analysis of palmitic contents was made by extracting palmitic acid with azeotropic mixture of alcohol-benzene and the extracts were titrated with standard NaOH solution. It was shown that the types of surfactant are important factor in free fatty acid removal and the efficiency increases in the following order: SLS$90\%$ of initial sorption. In relation to the mechanism of detergency, the suspending and emulsifying power of surfactants were also examined. From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s,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soap formation with alkali and the suspending power of surfactant arc significant factors in free fatty acid soil removal, but the emulsifying power of it is neglizible.

  • PDF

Fatty Acid Compositions of Oocytes, Follicular, Oviductal and Uterine Fluids of Pig and Cow

  • Yahia Khandoker, M.A.M.;Tsujii, H.;Karasawa, D.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0권5호
    • /
    • pp.523-527
    • /
    • 1997
  • The fatty acid compositions of oocytes, follicular, oviductal and uterine fluids of pig and cow were analyzed using gas chromatography. Myristic (C 14: 0), palmitic (C 16: 0), palmitoleic (C 16: 1), stearic (C 18 : 0), oleic (C 18: 1), linoleic (C 18: 2), linolenic (C 18: 3) and arachidonic (C 20: 4) acids were identified as the common fatty acid constituents with little exception. Oleic acid composition was the highest (21.90 to 36.24%) in both pig and cow followed by palmitic (18.61 to 31.90%) and stearic (10.34 to 20.39%) acid. The three polyunsaturated fatty acids like linoleic, linolenic and arachidonic acids were detected in both pig and cow reproductive fluid samples. Myristic acid was not detected in pig oviductal fluid. Similarly, in cow oocytes myristic, palmitoleic and linolenic acids were not detected. Moreover, palmitic, stearic, oleic and linoleic acid comprised about 80% (73.74 to 88.00%) of the total fatty acids in the different samples analyzed in both animals.

영유아용 조제분유의 위치별 지방산 및 Triacylglycerols의 정성 분석 (Determination of Positional Fatty Acid and Triacylglycerol Compositions of Selected Infant Formulas)

  • 손정매;이정희;홍순택;이경수;박혜경;권광일;이기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9호
    • /
    • pp.1256-1264
    • /
    • 2011
  •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조제분유의 지방산 및 TAG 조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국내외 조제분유 총 11 품목을 선정하였고, Folch법을 이용하여 지방을 추출한 다음 총 지방산과 sn-2 위치의 지방산 및 silver ion HPLC를 이용한 단일불포화-포화-단일불포화 glycerol(MSM)의 조성을 분석하였다. 조제분유의 조지방의 함량은 17.21~23.51%이었고, 특히 K5의 조지방 함량이 23.51%로써 분석된 조제분유들 중에서 가장 높게 나왔으나, K1은 17.21%의 함량을 보이면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분석된 조제분유들의 주요 포화지방산은 lauric acid(C12:0), myristic acid(C14:0), palmitic acid(C16:0), stearic acid(C18:0)이었다. Lauric acid의 함량은 K5와 K6에서 19.49%와 23.34%로 분석되어 15%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한편, 분석된 조제분유의 palmitic acid의 함량은 7.59~21.65%의 범위로써 K2, K3, K6, F1에서 각각 14.64%, 8.29%, 13.47% 및 7.59%로써 낮은 함량을 나타냈다. 불포화 지방산들 중에서 단일불포화지방산(C14:1, myristoleic acid; C16:1, palmitoleic acid; C17:1, heptadecenoic acid; C18:1, oleic acid; C18:1t, elaidic acid)의 함량은 20.23~45.07%로 나타났고, 단일불포화지방산들 중에서 대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지방산은 oleic acid(C18:1)이었다. 분석된 조제분유에서 oleic acid의 함량은 19.64~44.64%의 범위였고 총 다가불포화지방산은 19.08~29.67%의 범위였다. Omega-6 다가불포화지방산과 omega-3 다가불포화지방산의 주요한 지방산은 필수지방산인 linoleic acid(C18:2)와 linolenic acid(C18:3, n-3)로 분석된 조제분유의 비율은 10:1~13:1로, 조제분유의 지방산 조성에 대한 지표인 linoleic acid/linolenic acid의 비율인 5:1~15:1 범위 내였다. 분석한 조제분유들 중에서 sn-2 위치에서의 lauric acid 함량은 7.70~52.09%로 나타났고, myristic acid의 함량은 3.15~20.89%로써 분석된 조제분유들은 전반적으로 sn-2 위치에서의 lauric acid 함량이 2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분석된 조제분유들의 sn-2 위치에 존재하는 palmitic acid의 함량은 1.84~38.74%의 범위로써 K8과 F3이 각각 38.55%와 38.90%의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따라서 대부분의 국내외 조제분유들을 구성하는 triacylglycerol(TAG)의 sn-2 위치에서의 palmitic acid 함량이 모유와 비교하였을 때 낮은 경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조제분유보다 더 나아가 HPLC 분석을 통해서 모유의 주요 TAG 형태라고 할 수 있는 단일불포화-포화-단일불포화 glycerol(MSM)의 함량이 외국의 조제분유인 F3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조제분유에 이러한 MSM 형태의 지방 함량을 높여야하며, MSM 형태의 모유대체지 연구를 산업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수산물의 지질에 관한 연구 (제4보) -두족류의 근육지질성분에 대하여- (Studies on the Lipid of Aquatic Products (Part 4) On the Flesh Lipid Composition of Cephalopods)

  • 하봉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59-73
    • /
    • 1982
  • 두족류의 근육지질의 특징을 알기 위하여 3종의 두족류를 사료로 하여 이들 근육에서 총지질을 적출하였고, 이를 thin layer chromatography, column chromatography 및 gas-liquid chromatography 그리고 TLC-scanner를 이용하여 총지질을 구성하는 지질성분. 지방산조성, sterol조성 그리고 총지질에서 분획한 중성지질, 당지질 및 린지질의 지방산조성을 정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각 시료의 총후무사양은 생시료에 대하여 문어가 $0.5\%$, 낙지가 $0.8\%$ 그리고 꼴뚜기가 $0.6\%$였고 이들 평균지질함양은 $0.6\%$였다. 그리고 총지질의 전지방산양은 문어가 $19.3\%$, 낙지가 $47.8\%$,꼴뚜기가 $38.4\%$였으며, 불광화물양은 문어가 $10.9\%$, 낙지가 $15.8\%$, 꼴뚜기가 $41.1\%$로서 높은 함양을 나타냈다. 2) 총지질을 구성하는 성분으로는, sterol성분과 극성지질일색소 혼합층의 함양분포가 총지질에 대하여 각각 $27.0\sim35.5\%$ 그리고 $38.3\sim63.4\%$로서 시료에서 다 같이 높은 함양을 나타내고 있어 총지질이 주성분을 이루며, 문어의 근육에는 다른 시료보다 sterol성분의 함양이 높았다. 그리고 그가 소양성분으로 triglyceride, 유리지방산 및 탄화수소-esterified sterol혼합층이 분리 동정되었다. 3) 총지질의 지방산조성은 시료에서 다 같이 Palmitic acid가 주성분을 이루고 그외 oleic acid, linoleic acid, octadecatetraenoic acid 및 eicosapentaenoic acid가 구성지방기의 주체를 이루고 있다. 특히 문어의 총지질에는 palmitic acid와 eicosapentaenoic acid가 서로 비슷한 양으로 존재하면서 주성분을 이루고 있었다. 4) sterol조성에 있어서는 시료에서 다 같이 전sterol성분에 대한 cholesterol의 함양분포가 $82.4\sim89.1\%$로서 가장 많았고 그외 소양성분으로서 22-dehydrocholesterol 과 24-methylenecholesterol이 각 시료에 공통적으로 함유하고 있었다. 5) 총지질에서 분획한 비극성복질(신성지질)과 극성지질의 함양비는 시료에서 다 같이 비극성낙질보다 극성지질의 함양이 훨씬 높았다. 그리고 극성지질중에서도 당지질보다 린지질의 함양이 월등히 높았다. 6) 중성지질을 구성하는 성분으로는 유리 sterols의 함양분포가 중성서질에 대하여 $50.0\sim70.5\%$로서 주성분을 이루며, 그 다음 서로 비슷한 양으로 나타나는 esterified sterol, 유리지방산 및 triglyceride가 분리 동정되었다. 그리고 중성지질을 구성하는 지방산은 palmitic acid, oleic acid, hexadecadienoic acid 주성분이었다. 7) 당지질을 구성하는 지방산은 palmitic acid가 가장 많고 그가 oleic acid, linoleic acid, octadecatetraenoic acid, myristic acid가 구성지방산의주함분을 이룬다. 그러나 특히 꼴뚜기의 당지질에는 이들 지방산외에 arachidonic acid의 함양이 월등히 높아 주성분의 하나였다. 8) 린지질을 구성하는 지방산은 palmitic acid함양이 가장 많았고 그가 oleic acid, linoleic acid, octadecatetraenoic acid가 구성지방산의 주성분이었다. 본 연구는 1981년도 문교부연구조성비의 지원으로 이루어 졌음을 밝힌다.

  • PDF

냉장중 사슴육 증탕액의 이화학적 특성의 변화 (Changes of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Venison Extracts during Chilling Storage)

  • 박창일;김영직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98-304
    • /
    • 2000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pH, proximate composition, pH, VBN, TBA, minerals, and fatty acid of venison extracts, from three slaughtered deers with 180~210 kg live weight (♀, Elk deer, 28~30 months of age) at 4$^{\circ}C$. Proximate composition was not affected by storage periods. The pH, VBN, and TBA ranged from 4.60~4.62, 13.52~15.75 mg%, and 0.20~0/81mg/kg. respectively. The pH, VBN, and TBA gradually increased during storage period (p<0.050. Among minerals, K, P, Na, Mg, and Ca were major mineral contents and the Ca, mg, Na contents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according to the storage period. The major fatty acid found in venison extracts were oleic acid, palmitic acid, stearic acid, linoleic acid. Oleic acid, linolenic acid, and arachidonic acid decreased during storage, but palmitic acid, heptadeanonic acid, and stearic acid increased during the storage. U/S (unsalturated fatty acid/saturated fatty acid) ratio tended to decrease during the storage.

  • PDF

소나무 및 잣나무의 잎과 꽃가루의 지방산 조성 (Fatty Acid Composition of Total Lipids from Needles and Pollen of Korean Pinus densiflora and Pinus koraiensis)

  • 윤태헌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5-30
    • /
    • 1992
  • The needles and pollen of Pinus densiflora and Pinus koraiensis were studied for their lipid contents and fatty acid composition. The total lipid contents in needles of Pinus densiflora and Pinus koraiensis were 5.0 and 4.5%, whereas in pollen of Pinus densiflora and Pinus koraiensis 3.5 and 5.6%, respectively. Twenty-four fatty acids ranged from lauric acid to docosahexaenoic acid(22:6${\omega}$3) were identified in the needle lipids. In needles, linolenic acid and palmitic acid were the major fatty acids. The needles of Pinus densiflora showed higher proportions of docosahexaenoic acid and 5-olefinic nonmethylene-interrupted polyenoic acids than those in the Pinus koraiensis. Twenty fatty acids ranged from myristic acid to lignoceric acid were identified in the pollen lipids. Linoleic acid was the major fatty acid in the pollen followed by oleic and palmitic acid. The fatty acid profile of pollen of Pinus densiflora was similar to those of the Pinus koraiensis pollen lipids.

유류된 잠재지문의 지방산조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fatty acids composition by latent fingerprint deposition)

  • 최미정;하재호;박성우
    • 분석과학
    • /
    • 제21권3호
    • /
    • pp.212-221
    • /
    • 2008
  • 사건현장에 잔류하는 잠재지문의 효과적인 탐색 및 감식을 위한 자료를 얻고자 비다공성 증거물에 잔류된 잠재지문의 지방산 조성분석을 실시하고 7개월간의 지문유류에 따른 조성 변화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지문시료는 한국인 29-50 세 남성 8인과 여성(36 세) 1명으로부터 제공받았다. 모든 지문에서는 lauric acid (C12:0), myristic acid (C14:0), palmitic acid (C16:0), stearic acid (C18:0), elaidic acid (C18:1n9t), oleic acid (C18:1n9c), linoleic acid (C18:2n6c), arachidic acid (C20:0), linolenic acid (C18:3n3), erucic acid (C22:1n9)와 docosadienoic acid (C22:2)의 11종의 지방산이 검출됨을 확인하였고, palmitic acid (35.45-48.37%), oleic acid (14.84-28.49%), stearic acid (9.71-24.96%)와 linoleic acid (7.68-18.85%)가 확인된 지방산조성의 75%이상을 차지하여 주요 구성성분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7개월간 온도 $20-25^{\circ}C$, 습도 40-50%의암실환경에서의장기간유류에따라총지방산의함량이 12-25% 감소하였으며, 이는 elaidic acid (C18:1n9t), arachidic acid (C20:0), linolenic acid (C18:3n3), erucic acid (C22:1n9), docosadienoic acid (C22:2)의 장쇄지방산들의 소실과 단쇄지방산인 myristic acid (C14:0), myristoleic acid (C14:1), pentadecanoic acid (C15:0)의 생성에 따른 결과임을 확인하였다.

국내수집 달맞이꽃 종실의 감마-리놀렌산 함량(Ⅵ보) (Gamma-linolenic Acid Content of Evening Primrose(Oenothera odorata Jacq.) in Korea)

  • 임웅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76-178
    • /
    • 1990
  • 한국에서 자생군락이 비교적 큰 3지역에서 채집한 달맞이꽃 종자의 필수 지방산을 Capillary column gas chromatography로 분석하였다. 각 지방산의 조성 함량은 palmitic acid가 6.19-6. 73%, stearic acid가 1.84-l.99%, oleic acid 가 6.73-9.10%, linoleic acid가 74.41-75.53%이었다. 특히 prostaglandin의 전구체인 GLA는 청주가 9.14%, 제천이 9.32%이고, 안동이 8.31%이었다. 따라서 한국의 자생 달맞이꽃은 GLA자원으로 유용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