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lmitic acid

검색결과 1,187건 처리시간 0.025초

The Fate of Aspen Extractives in Kraft Pulping and Oxygen Delignification

  • Shin, Soo-Jeong;Lai, Yuan-Zong
    • 펄프종이기술
    • /
    • 제37권3호
    • /
    • pp.74-80
    • /
    • 2005
  • The compositions of residual extractives in woodmeal, unbleached and oxygen-delignified aspen kraft pulps were investigated with gas chromatography(GC) an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with focus on fate of extractives in kraft pulping and oxygen delignification. Steryl esters and shorter retention time (shorter than palmitic acid) extractives were main extractives in aspen woodmeal. Shorter retention time extractives were well removed in kraft pulping. Sterol esters were hydrolyzed to sterols and fatty acids. Sterols and fatty acids were two major extractives classes in unbleached kraft pulps. Linoleic acid was main fatty acids in unbleached pulps compared with palmitic acid which is generally found in aspen woodmeal. Sterolsand fatty acids were also two major extractives classes in oxygen-delignified kraft pulps. However, linoleic acid was well removed in oxygen delignification.

근육조성에 따른 축종특이성 구명 II. 축종별 근육중 주요 지방산 조성 (Species characterization of animal by muscle composition analysis II. The composition of major fatty acids in muscle from various species)

  • 이명헌;김상근;정갑수;김재명;박종명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489-500
    • /
    • 1999
  •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muscle were investigated to compare muscle composition among the 9 domestic animals including cattle. In major domestic animals, analyzed the effects of age, part and sex of the animal on their fatty acid composition. The content of 4 types of major fatty acids of muscle was determined and calculated their ratio. Myristic acid and palmitic acid levels were high in chicken and sheep. Besides dog muscle contained a lot of stearic acid. Linoleic acid content showed evident difference in the content depending on the animal species. The ratios of linoleic acid/palmitic acid (L/P ratio) and linoleic acid/stearic acid(L/S ratio) were characteristically high in horse and pig, whereas the ratio of palmitic acid/stearic acid(P/S ratio) was $0.71{\pm}0.17$, showing very low level in dog. As for the content of stearic acid, in cattle and chicken it was higher in young animal than adults. In duck, the contents of all fatty acids and ratio were increased by the age. As for the content of fatty acids according to the part of chicken, high level was shown in thigh than in breast and wing, while there was no remarkable variation by the part in other animal. The differences in the content of myristic acid, palmitic acid and linoleic acid among some animal could be verified in muscle lipid composition. The L/P ratio which maintained certain level regardless of age, part, sex shown distinctive pattern between the species.

  • PDF

대두발효식품의 cerebroside 조성 및 생리활성

  • 송성광;김희숙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및 bio-venture fair
    • /
    • pp.765-766
    • /
    • 2000
  • Cerebrosides were isolated from soybean, deunjang and chungkukjang and their constituents were investigated. The principal fatty acid of soybean cerebroside was 2-hydroxy-palmitic acid but chungkukjang cerebroside consisted palmitic acid, elaidic acid(trans 18:1), oleic acid and stearic acid. The only sugar in cerebrosides was glucose. TLC analysis of cerebroside hydrolysate elucidated soybean and chungkukjang had same sphingold bases, mainly dihydroxy bases, trans-4, trans-sphingadienine. But, alkali stable glycolipid fractions of chungkukjang and deunjang had $2{\sim}3$ different primary amines.

  • PDF

호박 및 단호박의 식품성분 비교 (The Comparision of Food Constituents in Pumpkin and Sweet-pumpkin)

  • 허수진;김준한;김종국;문광덕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91-96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최근 각종 영양적 기능적 특성으로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호박과 단호박의 식품성분 특성을 분석하여 식품가공용 중간 소재로서 이용하는데 있어서 기본 자료로 이용하고자 비교 검토하였다. 단호박은 수분함량이 87.87%로 호박의 94.19% 보다 월등히 낮았으며 기타 일반성분은 단호박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유리당은 glucose fructose sucrose순이었으며 단호박에는 소량의 mannitol 함유되어 있었다.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에서 호박은 526n1g%, 단호박은 846mg%로 단호박이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유리아미노산은 호박의 경우 aspartic acid threonine, cystine의 함량이 높았고 단호박에서는 cystina arginine, tyrosine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에서 단호박이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비휘발성 유기산함량은 호박이 124.22mg%,단호박이 2배가량 많았으며 호박에는 malic arid가 단호박에는 citric acid가 가장 많았다. 지방산의 조성은 호박의 경우 palmitic acid, Iinolenic acid, Iinoleic arid 순이었으며 단호박에서는 oleic acid linoleic acid, palmitic acid 순으로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호박은 52.3%, 단호박은 71.5%를 차지하였다. 또한 무기질, vitamin C 및 carotenoid 함량 등에서도 단호박이 월등히 높게 나타나 영양적으로는 호박보다 우수하였다.

  • PDF

저장중 율무가루 지방질의 지방산 조성의 변화 (Changes of Fatty Acid Composition of Lipid in Raw and Processed Adlay Powder during Storage)

  • 한지숙;이숙희;최홍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97-705
    • /
    • 1989
  • 생 율무가루와 가공(침지, 증자, 건조)된 율무가루를 $5^{\circ}C$$35^{\circ}C$에서 6개월 동안 저장하면서 지방질에 있는 지방산 조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각 획분별 지방질의 주요지방산은 oleic, linoleic, palmitic acid였으며, stearic 및 linolenic acid도 소량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35^{\circ}C$에서 저장하는 동안에 linoleic acid의 조성비는 감소하였으며 상대적으로 oleic 및 palmitic acid의 조성비는 증가하였으나, $5^{\circ}C$에서는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생 율무가루가 가공된 율무가루보다도 더욱 현저하게 변화하였다. TG에 함유된 지방산 조성의 변화는 중성지방질과 거의 유사하였으며, 유리지방산은 $35^{\circ}C$에서 저장한 것이 $5^{\circ}C$에서 저장한 것보다 oleic acid를 많이 함유한 반면, linoleic acid를 적게 함유하였으며 이러한 현장은 생 시료에서 더 현저하였다.

  • PDF

한국 재래식 메주 발효과정에 있어서 지질 및 지방산 조성의 변화 (Changes in lipid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Korean Native Meju during Fermentation)

  • 손양도;최춘언;안봉전;손규목;최청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8권4호
    • /
    • pp.226-232
    • /
    • 1985
  • 재래식메주의 발효과정에 있어서 지질 및 지방산 조성의 변화를 체계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중성지질, 당지질, 인지질은 분리하였으며 gas liquid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지방산 함량은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침지한 콩과 삶은콩으로부터 얻은 조지질의 분획은 중성지질이 각각 92.47%, 92.35%이었으며, 인지질 및 당지질이 4.64%, 4.88%로 각각 나타났나. 발효과정중 중성지질은 80.59%까지 감소했으며, 당지질과 인지질의 함량은 증가하였다. 2. 침지한 콩과 삶은콩의 비극성 지질에서 triglyceride함량은 89.66%, 87.83%로 주류를 이루었고, sterol ester, free fatty acid, diglyceride 및 sterol이 발효과정중 그 함량이 증가한 반면, triglyceride는 크게 감소했다. 3. 침지한 콩과 삶은콩에서, 조지질, 증성지질, 당지질, 인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linoleic acid $54{\sim}58%$, oleic acid $22{\sim}20%$, palmitic acid $10{\sim}12%$, stearic acid $3{\sim}5%$였으며 myristic acid는 trace로 나타났다. 그러나 발효과정 중 당지질에서 myristic acid가 발효 2주때 부터 나타나며 약 2%정도를 유지했다. 4. 메주 발효기간 동안 지방산 함량의 변화는 palmitic acid가 2주째 부터 점차 감소했다. oleic acid와 linoleic acid는 약간씩 감소했으며, linolenic acid는 인지질에서 크게 감소한 반면, 조지질, 중성지질, 당지질에서는 약간씩 증가했다. 5. 발효기간 동안 당지질 분획에서 myristic acid가 증가하였으며, 지방분해효소의 활성은 3주째 최대치를 보였다. palmitic acid, stearic acid는 3주째 까지 증가한 후 차차 감소하였고 linoleic acid는 1주째 부터 6주까지 점차 증가하였다.

  • PDF

저장중(貯藏中) 참깨의 결합형태별(結合形態別) 지질(脂質)의 지방산(脂肪酸) 조성변화(組成變化) (Changes in Fatty Acid Compositions of Sesame Seed Lipid Fractions during Storage)

  • 최상도;조무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6권4호
    • /
    • pp.261-265
    • /
    • 1983
  • steryl ester구성지방산(構成脂肪酸)으로서 plamitic acid와 stearic acid는 모든 저장조건(貯藏條件)에서 감소(減少)하였고 linoleic acid는 증가(增加)하였다. 또한 $C_{18}$/$C_{16}$지방산비(脂肪酸比)는 통기저장(通氣貯藏)이 밀봉저장(密封貯藏)보다 전(全) 저장기간(貯藏期間)에서 높았다. triglyceride의 구성지방산(構成脂肪酸)으로서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는 모든 저장조건(貯藏條件)에서 저장(貯藏) 9개월(個月)까지는 감소(減少)하였다가 9개월(個月) 이후(以後)에는 증가(增加)하였다. oleic acid와 linoleic acid는 저장(貯藏) 9개월(個月)까지는 증가(增加)하였다가 그 이후(以後)에는 다시 감소(減少)하였다. 또한 $C_{18}$/$C_{16}$지방산비(脂肪酸比)와 불포화도비(不飽和度比)는 통기저장(通氣貯藏) 밀봉저장(密封貯藏)보다 높은 경향(傾向)이었다. free fatty acid 구성지방산(構成脂肪酸)으로서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는 저장(貯藏) 9개월(個月)까지는 감소(減少)하였다가 그 이후(以後)부터는 증가(增加))하였다. 그러나 oleci acid와 linoleic acid는 저장(貯藏) 9개월(個月)까지는 감소(減少)하였다가 그 이후(以後)부터는 다시증가(增加))하였다. 한편 불포화도비(不飽和度比)는 통기저장(通氣貯藏)이 밀봉저장(密封貯藏)보다 높았다.

  • PDF

광조사(光照射) 시간(時間)이 대두유식물(大豆幼植物)의 지방산(脂肪酸) 및 Sterol조성(組成)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Light on Fatty Acid and Sterol Composition in Soybean Seeding)

  • 양민석;김광식;하호성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51-257
    • /
    • 1982
  • 광조사시간(光照射時間)에 따른 대두유식물(大豆幼植物)의 지방산(脂防酸)과 sterol 조성변화를 경시적으로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발아생육기간(發芽生育期間)동안 광조사시간(光照射時間)이 길수록 배축부(胚軸部)의 linoleic acid와 linolenic acid조성(組成)은 증가하였고 palmitic과 stearic acid는 감소(減少)하였다. 2. 발아후(發芽后) 2 일(日)째 근부(根部)의 palmitic과 linolenic acid는 광조사시간(光照射時間)이 길수록 감소(減少)하였고, stearic과 oleic acid는 증가하였다. 3. 발아생육기간(發芽生育期間)동안 자엽부(子葉部)에서 stigmasterol이 주(主)sterol이었고 배축부(胚軸部)와 근부(根部)에서는 sitosterol이 주(主)sterol이었다. 4. 발아후(發芽后) 6 일(日)째의 광조사(光照射) 24시간(時間)에서, 배축부(胚軸部)의 sitosterol이 가장 높았다. 5. 암상태(暗狀態)와 광조사(光照射) 24시간(時間)에서 근부(根部)의 sitosterol조성(組成)은 생육기간(生育期間)이 경과할수록 감소(減少)하였고, 광조사(光照射) 16시간(時間)에서는 sitosterol조성(組成)이 증가하였다.

  • PDF

부로일러육의 지질함량 및 지방산 조성 (Lipid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Broiler (male , female) Breast and Thigh Meat)

  • 문윤희;공양숙;정인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47-251
    • /
    • 1988
  • 본 실험은 같은 조건에서 8주령까지 사육된 부로일러 암ㆍ수의 가슴과 다리근육의 지질, 지폐산 및 총 Clesterol함량을 분석 비교한 것으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암ㆍ수 부로일러 모두 가슴근육이 다리근육에 비하여 총지질과 중성지질 함량이 낮았으며 인지질과 당지질 함량은 많았다. 부로일러육의 불포화지방산 조성비는 중성지질과 인지질은 다리근육, 당지질은 가슴근육이 높았다. 암컷은 수컷에 비하여 당지질의 불포화지방산 비율이 낮았다. 암컷은 수컷에 비하여 중성지질의 palmitoleic acid, 인지질의 palmitoleic, stearic. linolenic, arachidic 및 arachidonic acid 그리고 당지질의 palmitoleic acid와 stearic acid가 많았다. 총 cholesterol 은 지방조직을 제거한 근육은 수컷의 다리, 지방조직을 제거하지 않은 것은 암컷의 다리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 PDF

Seasonal variation in fatty acid composition in various parts of broccoli cultivars

  • Bhandari, Shiva Ram;Park, Mi Young;Chae, Won Byoung;Kim, Dae-Young;Kwak, Jung-Ho
    • 농업과학연구
    • /
    • 제40권4호
    • /
    • pp.289-296
    • /
    • 2013
  • To evaluate seasonal variation in fatty acid composition in broccoli, 12 commercial cultivars of broccoli were grown in spring and fall season at the field of NIHHS, and their floret, leaf and stem parts were used for the fatty acid composition analyses. Among 14 fatty acids detected in broccoli, linolenic, palmitic and linoleic acids were major fatty acids comprising more than 80% of total fatty acids in both the seasons and all the parts. Likewise, stearic and oleic acids were also present in considerable amount while remaining fatty acids; caproic, lauric, myristic, pentadecanoic, palmitoleic, heptadecanoic, arachidic, behenic and lignoceric acids showed their minor compositional ratio. Among the three parts, stem exhibited highest SFAs (49.681% in spring and 50.717% in fall season) compared to MUFA and PUFA, while highest compositional ratio of PUFAs were observed in leaves (62.588% in spring and 68.931% in fall season), which indicates leaves as a good source of health beneficial fatty acids. In contrast, floret part exhibited highest SFA (48.786%) and PUFA (57.518%) in spring and fall seasons, respectively. Major fatty acids; palmitic, linoleic and linolenic acid showed lowest cultivar dependent variation (below 10%) and leaf showed least variation in both the seasons compared to floret and stem. Our results suggest that all the fatty acids a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genotype of cultivars (C), plant parts (P) and growing seasons (S). Among the 14 fatty acids, myristic and palmitic acid showed highest positive or negative correlationship with oleic (r=$0.912^{**}$) and linolenic acid (r=-$0.933^{**}$), respectively. The most abundant fatty acid, linolenic acid, showed either negative or no correlation ship with other fatty acids while palmitic acid, a second major fatty acid, exhibited either positive or negative correlation sh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