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almitic acid

검색결과 1,192건 처리시간 0.03초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Meat Quality of Boer-Cross Wether and Buck Goats Grazing Marshall Ryegrass

  • Solaiman, S.;Kerth, C.;Willian, K.;Min, B.R.;Shoemaker, C.;Jones, W.;Bransby, D.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4권3호
    • /
    • pp.351-357
    • /
    • 2011
  •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castration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meat quality of goat kids. Fourteen Boer-cross buck and wether goat kids (n = 7; initial body weight (BW) $38.0{\pm}0.35\;kg$ and $34.8{\pm}0.35\;kg$, for bucks and wethers, respectively) were grazed on annual Marshall ryegrass (Lolium multiflorum Lam.) for 56 days. Body weights were recorded after 4 h withdrawal from feed and water for two consecutive days, every 2 wk. After d 56, animals were harvested and hot carcass weight (HCW), cold carcass weight (CCW), dressing percent (DP), kidney and pelvic fat (KPF), longissimus muscle (LM) area, back fat (BF), and other carcass parameters were measured. Day 0 BW was used as a covariate for analyses. However, bucks were heavier than wethers at d 15 (p = 0.09), 42 (p = 0.001) and 56 (p = 0.001). Bucks had higher ADG (146 vs. 74 g/d; p = 0.001), HCW (21.2 vs. 18.8 kg; p = 0.06) and CCW (20.3 vs. 17.9 kg; p = 0.04) when compared with wether goats. Dressing percentage (51 vs. 47%; p = 0.06), KPF (0.44 vs. 0.16%; p = 0.02) and BF (0.41 vs. 0.21 cm; p = 0.05) were higher in wethers vs bucks, respectively; however, USDA live or carcass grades were similar. Longissimus muscle tissue from wethers and bucks were similar in darkness ($L^*$) and redness ($a^*$), but wethers had more (p = 0.02) yellow tint ($b^*$). Palmitic (C16:0), stearic (C18:0) and oleic (C18:1) acids were higher (p = 0.001) in muscle tissue from wethers compared to bucks. The saturated fatty acid (SFA) and monounsaturated fatty acid (MUFA) contents of muscle tissue were lower (p = 0.001) for bucks with no difference in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 Longissimus muscle initial temperature was higher in bucks (p<0.04) and pH change post-mortem was similar for bucks and wether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castration of young market goats reduced growth performance and produced carcasses with more fat and higher SFA.

Effects of Ginsenosides on the Mechanism of Histamine Release in the Guinea Pig Lung Mast Cells Activated by Specific Antigen-Antibody Reactions

  • Ro, Jai-Youl;Ahn, Young-Soo;Kim, Kyung-Hwa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권4호
    • /
    • pp.445-456
    • /
    • 1997
  • We previously reported that some components of ginsenosides decreased mediator releases evoked by the activation of mast cells with specific antigen-antibody reactions.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effects of ginsenosides ($Rb_2$, Re) on the mechanism of histamine release in the mast cell activation. We partially purified guinea pig lung mast cells by using enzyme digestion, the rough and the discontinuous percoll density gradient method. Mast cells were sensitized with $IgG_1$ and challenged with ovalbumin (OA). Histamine was assayed by fluorometric analyzer, leukotrienes by radioimmunoassay. Phospholipase D (PLD) activity was assessed more directly by the production of $[^3H]phosphatidylbutanol$ (PBut) which was produced by PLD-mediated transphosphatidylation in the presence of butanol. The amount of 1,2- diacylglycerol (DAG) were measured by the $[^3H]DAG$ labeled with $[^3H]palmitic$ acid or $[^3H]myristic$ acid. Pretreatment of $Rb_2$ ($300\;{\mu}g$) significantly decreased histamine release by 60%, but Re ($300\;{\mu}g$) increased histamine release by 34%. Leukotrienes release in $Rb_2$ was decreased by 40%, Re was not affected in the leukotrienes release during mast cell activations. An increasing PLD activity during mast cell activation was decreased by the dose-dependent manner in the pretreatment of $Rb_2$, but Re pretreatment facilitated the increased PLD activity during mast cell activation. The amount of DAG produced by phospholipase C (PLC) activity was decreased by $Rb_2$ pretreatment, but Re pretreatment was not affected. The amount of mass DAG was decreased by $Rb_2$ and Re pretreatment during mast cell activation. The data suggest that $Rb_2$ purified from Korean Red Ginseng Radix inhibits the DAG which is produced by the activation of mast cells with antigen-antibody reactions via both phosphatidylinositide-PLC and phosphatidylcholine-PLD systems, and then followed by the inhibition of histamine release. However, Re increases histamine release by stimulation of DAG production, which is mediated by phosphatidylcholine-PLD system rather than by phosphatidylinositide-PLC system, but inhibits the mass DAG production. Thus, it could be inferred that other mechanisms play a role in the increase of histamine release during mast cell activation.

  • PDF

보리와 맥아(麥芽)의 지방질(脂肪質) 성분(成分)에 관한 비교(比較) 연구 -제(第)2보(報) : 극성지질(極性脂質)의 조성(組成)- (A Comparative Study on the Lipid components of Barley and Malt -II. Composition of Polar Lipids-)

  • 이상영;김종승;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7-42
    • /
    • 1981
  • 우리나라에서 재배된 4가지 품종의 보리와 이들의 맥아에서 추출한 총지방질중 극성지질의 조성을 관, 얇은막 및 기체-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4가지 품종의 보리와 이들 맥아의 총지방질중 당질의 평균함량은 8.9% 및 12.3%, 인지질의 평균함량은 17.3% 및 19.2%였으며, 보리중의 당지질 및 인지질의 함량은 맥아에서 평균 39.5% 및 11.5%가 증가하였다. 2. 보리의 당지질 중에는 DGDG 와 MGDG가 평균 35.5%및 28.6%로 주요성분이 었고 SG와 Cerebroside는 20.7% 및 15.2%이었으며, 보리중의 DGDG 와 MGDG 는 맥아에서 감소되었으나, SG 와 Cerebroside는 증가하였다. 3. 보리의 인지질 중에는 phosphatidyl choline(PC), lysophosphatidyl choline(LyPC), diphosphatidyl glycerol(DPG), phosphatidyl ethanolamine(PE)의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으며, 맥아는 보리에 비하여 PC, LyPC는 감소하였으나 PE와 DPG는 증가하였다. 4. 보리와 맥아의 지방질중 당지질 및 인지질 획분의 지방산조성과 그 변화는 총지방질과 중성지질 획분의 지방산조성 및 그 변화 패턴과 비슷하였다. 그러나 당지질 획분중에는 리놀레산, 인지질 획분중에는 팔미트산의 함량이 다른 획분들에 비하여 많았다.

  • PDF

The Effect of Tetracaine.HCl on Rotational Mobility of n-(9-Anthroyloxy) Stearic Acid in Outer Monolayers of Neuronal and Model Membranes

  • Joo, Hyung-Jin;Ryu, Jong-Hyo;Park, Chin-U;Jung, Sun-Il;Cha, Yun-Seok;Park, Sang-Young;Park, Jung-Un;Kwon, Soon-Gun;Bae, Moon-Kyung;Bae, Soo-Kyoung;Jang, Hye-Ock;Yun, Il
    •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 /
    • 제35권4호
    • /
    • pp.159-167
    • /
    • 2010
  • To provide a basis for studying the pharmacological actions of tetracaine HCl, we analyzed the membrane activities of this local anesthetic. The n-(9-anthroyloxy) stearic and palmitic acid (n-AS) probes (n = 2, 6, 9, 12 and 16) have been used previously to examine fluorescence polarization gradients. These probes can report the environment at a graded series of depths from the surface to the center of the membrane bilayer structure. In a dosedependent manner, tetracaine HCl decreased the anisotropies of 6-AS, 9-AS, 12-AS and 16-AP in the hydrocarbon interior of synaptosomal plasma membrane vesicles isolated from bovine cerebral cortex (SPMV), and liposomes derived from total lipids (SPMVTL) and phospholipids (SPMVPL) extracted from the SPMV. However, this compound increased the anisotropy of 2-AS at the membrane interface. The magnitude of the membrane rotational mobility reflects the carbon atom numbers of the phospholipids comprising SPMV, SPMVTL and SPMVPL and was in the order of the 16, 12, 9, 6, and 2 positions of the aliphatic chains. The sensitivity of the effects of tetracaine HCl on the rotational mobility of the hydrocarbon interior or surface region was dependent on the carbon atom numbers in the descending order 16-AP, 12-AS, 9-AS, 6-AS and 2-AS and on whether neuronal or model membranes were involved in the descending order SPMV, SPMVPL and SPMVTL.

클로로필 제거 구기엽 추출물의 비알코올성 지방간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 of chlorophyll-removed ethanol extract of Lycium barbarum leaves against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 이한솔;배은영;김경아;이선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6권2호
    • /
    • pp.123-139
    • /
    • 2023
  • 구기엽 추출물 (LLE)과 클로로필을 제거한 구기엽 추출물 (LLE(Ch-))이 MCD diet로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유도한 C57BL/6 mouse와 팔미트산으로 지방 축적을 유도한 HepG2 세포에서 지방축적의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대조군 대비 LLE(Ch-)는 혈장 TG 농도와 혈장 AST와 ALT의 활성을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 LLE군에서는 혈장 ALT 활성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두 군 모두 간조직의 TG와 cholesterol 함량을 유의하게 낮추었으며 간조직의 병리학적 변화 결과에서 LLE군에 비해 LLE(Ch-)군에서 지방축적의 억제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팔미트산 0.5 mM을 처리한 HepG2 세포에서 LLE와 LLE(Ch-)가 1,000 ㎍/mL 농도까지 독성이 없었으며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200 ㎍/mL과 500 ㎍/mL 농도부터 세포 내 지방 축적량을 유의하게 감소시켰고 pAMPK와 pACC 발현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FAS발현은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되었다. 결과적으로 구기엽 100% 에탄올 추출물들은 간조직의 지방 축적을 억제할 수 있으며 그 효과는 클로로필 제거 구기엽의 활성이 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두 소재 모두 항 지방간 효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기능성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배롱나무 꽃 추출물의 항여드름 화장품 소재로서의 특성 연구 (Study on the Properties of Lagerstroemia indica Extract as an Anti-acne Cosmetic Material)

  • 유지영;오세영;임예지;전수원;노경백;최송아;조은애;박덕훈;정은선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19-27
    • /
    • 2024
  • 본 연구는 배롱나무 꽃(Lagerstroemia indica flower)을 항여드름 화장품 소재로 제안하기 위한 것으로 배롱나무 꽃의 에탄올 추출물(Lagerstroemia indica flower extract, LIFE)을 이용해 피지조절과 항염, 항산화 효능을 확인하였다. 피지조절 효능을 평가한 결과 LIFE가 팔미트산으로 과도하게 유도된 피지생성을 65%까지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LIFE가 여드름 병변에서 주로 나타나는 Cutibacterium acnes (C. acnes)에 대한 항균작용과 lipase 활성억제능이 있으며, C. acnes로부터 분비되는 독성인자에 의한 염증반응도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LIFE가 대식세포에서 LPS로 유도된 염증성 매개인자인 일산화질소(NO)와 prostaglandin E2 (PGE2)의 분비를 각각 75%, 54%까지 억제함을 확인하였으며, 아스코르브산과 비슷한 정도의 높은 DPPH 라디칼 소거능 또한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들은 천연 추출물인 LIFE가 피지 생성 조절과 함께, C. acnes에 대한 항균 및 lipase 활성 억제, 항염, 항산화능을 가짐으로써 복합성 질환인 여드름을 완화 및 치료하는 항여드름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석류 종자유로부터 얻어진 Conjugated Linolenic Acid를 함유한 기능성 고체지의 효소적 합성 및 이화학적 특성 연구 (Enzymatic synthesis of structured lipids containing conjugated linolenic acids extracted from pomegranate seed oil and their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 이구;신정아;이기택
    • 농업과학연구
    • /
    • 제39권3호
    • /
    • pp.395-405
    • /
    • 2012
  • 기능성 지방산인 CLnA를 다량 함유하고 있는 석류 종자유로부터 합성된 가수분해물과 고체지인 팜 스테아린을 기질로 사용하여 Lipozyme TL IM 효소를 촉매로 하여, 기능성 고체지들을 무용매 반응(NH-SL)과 n-hexane 반응(H-SL)조건에서 합성하였다. 합성은 기질 비율 1:6 몰(w/w, PS:HPSO)로, 각 12, 24, 72 hr 동안 반응하여 이루어졌다. 합성 후 반응물은 탈산과정을 수행한 후 각 기능성 고체지들의 이화학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총 지방산 조성분석결과, 반응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NH-SL에서 CLnA의 함량은 34.38%, 37.68%, 40.63%의 함량으로 유의적 차이를 보이며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p<0.05). H-SL에서 CLnA의 함량은 36.81%, 41.19%, 45.83%으로 유의적 차이를 보이며 증가하였다(p<0.05). TAG 조성분석 결과, 기능성 재구성지질들(NH-SL, H-SL)에는 LnLnLn(PN=36), LnLnL(PN=38), LnLL과 LnLnP(PN=40), LLL(PN=42), PLP(PN=46), OOLn과 PLO, POP, PPS(PN=48), LOO, POS(PN=50)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반응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NH-SL의 경우 LnLnLn의 함량이 1.63%에서 11.54%로 증가하였고, H-SL의 경우 5.89%에서 18.45%로 증가하였다. 또한 주된 TAG 조성인 LnLnP의 경우 각각 23.15~33.77%(NH-SL)와 28.76~36.44%(H-SL)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합성한 석류종자유 가수분해물의 산가는 200.46이었으며, 합성 후 탈산한 기능성 고체지들의 산가는 1.05~1.41로 낮았다. 또한 불포화도를 나타내는 요오드가 측정결과, 무용매 반응과 용매 반응 모두에서 반응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요오드가가 점차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반응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CLnA의 함량이 높아졌기 때문에 IV가 점차로 높아지는 결과를 얻은 것으로 사료된다. 기능성 고체지들의 total tocopherol 함량 측정결과, 반응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NH-SL의 경우 3.37~2.13 mg/100 g으로 다소 감소하였으며, H-SL의 경우 3.89~2.51 mg/100 g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기능성 고체지들의 SFI 측정결과, H-SL의 경우 $10^{\circ}C$에서 NH-SL보다 고체지 함량이 낮았으며, $25^{\circ}C$에서는 거의 액체 상태를 유지하였다. 이는 융점이 낮으며 불포화지방산인 CLnA의 함량이 비교적 높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마가린과 같은 적절한 spreadability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무용매 반응(NH-SL)에서 12 hr과 24 hr 반응을 통하여 생성된 기능성 고체지들이 적합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72 hr 동안 반응하여 생성된 기능성 고체지들(NH-SL, H-SL)의 경우, $3.86{\AA}$에서 낮은 강도를 나타내어, 주로 ${\beta}$'의 결정형을 이루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맥섬석 혼합 건조혈분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과 육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 Diet Supplemented with Dried Animal Blood and Macsumsuk Mixture on the Growth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Parameters of Broiler Chickens)

  • 김병기;이준구;황은경;강보석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29-39
    • /
    • 2017
  • 본 시험은 가축혈액과 맥섬석을 7:3 중량비율로 잘 혼합하여 $200^{\circ}C$에서 초고온 순간 분무방식으로 건조된 혈분을 육계사료에 첨가 급여하여 생산성과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육계(브로일러)병아리 600수(4처리 ${\times}$ 50수씩 ${\times}$ 3반복) 구분 배치(대조구; 건조혈분 무첨가; T1구, 건조혈분 0.5% 첨가; T2구, 건조혈분 1.0% 첨가; T3구, 건조혈분 3.0% 첨가)한 후 35일간 사양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료섭취량과 사료요구율은 대조구가 높은 경향이었고, 도체중은 T2구(1,749 g), T3구(1,739 g), T1구(1,621 g)가 대조구(1,448.5 g)보다 유의적으로 높았고(p<0.001), 도체율은 T3구(83.26%)가 유의적으로 높았다(p<0.001). 계육의 육질분석에서 조지방은 T2구(1.14%)가 높았고(p<0.001), 보수력은 T1구(62.27%)와 T2구(63.80%)가 유의적으로 높았다(p<0.001). 또한 육색에서 L값(명도)은 처리구(53.98~55.48)가 대조구(45.81)보다 크게 높았다(p<0.01). 또한 가슴과 다리육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39.28~50.44 mg/100 g 범위에 있었고, 대부분 처리구가 39.28~47.34 mg/100 g 범위로서 대조구(50.44 mg/100g)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01) 계육의 지방산 조성은 oleic acid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palmitic acid, linoleic acid, stearic acid 순으로 낮아졌다. 또한 불포화지방산(UFA) 및 단가불포화지방산(MUFA) 및 UFA/SFA 비율은 T1구가 각각 69.35%, 52.00% 및 2.26%로 다른 처리구보다 크게 높았다(p<0.05, p<0.01, p<0.001). 아미노산 함량에서는 cystine, methionine 함량이 처리구(0.43~0.57%)가 대조구(0.38~0.46%)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가축혈액과 맥섬석을 7:3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한 혈분을 육계사료에 0.5~1.0% 정도 첨가급여하면 증체량, 사료효율 및 계육의 육질이 개선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크단백질의 식이 공급이 아토피 피부염 동물 모델 NC/Nga Mice 피부의 세라마이드 함량 및 관련인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Dietary Effect of Silk Protein on Ceramide Synthesis and the Expression of Ceramide Metabolic Enzymes in the Epidermis of NC/Nga Mice)

  • 박경호;최영심;김현애;이광길;여주홍;정도현;김성한;조윤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554-56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아토피 피부염 동물 모델인 NC/Nga mice에 실크단백질 sericin과 fibroin을 식이 공급 후 피부의 세라마이드 함량 및 관련인자 발현 변화를 정상대조군인 BALB/c mice 및 아토피 피부염 대조군과 비교 분석하였다. 세라마이드 함량은 아토피 대조군인 CA군이 정상대조군 C군보다 현저히 낮았으나, 정제된 건조 분말을 별다른 처리 없이 그대로 실크단백질 sericin을 식이공급한 S군은 정상대조군인 C군 이상의 수준으로 높였으며, 실크단백질 fibroin(F군)은 세라마이드 함량을 정상대조군 수준이상으로 올려주지는 못하였다. 세라마이드 합성효소인 SPT의 mRNA 및 protein 발현은 아토피 대조군인 CA군은 정상대조군인 C군보다 높았으나, 실크단백질 공급군인 S군 및 F군은 모두 정상대조군 C군보다 현저히 낮았다. 반면, 세라마이드 분해효소인 ceramidase의 mRNA 및 protein 발현은 아토피 대조군인 CA군은 정상대조군인 C군보다 높았으나, 실크단백질을 식이섭취한 S군 및 F군에서는 정상대조군인 C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CA군에 비해서는 유의적으로 낮았다. 결론적으로 실크단백질 sericin의 10주간 식이섭취는 아토피 피부염 동물모델 NC/Nga mice 표피의 세라마이드 함량을 정상대조군 수준 이상으로 증가시켰으며, 궁극적으로 표피의 장벽기능을 정상대조군의 수준으로 변화시켰다. 이는 serine이 다량 함유되어있는 실크단백질 sericin을 공급에 의해 증가되었는데, serine은 그 자체로서 보습기능을 하여 표피의 장벽기능을 보완하였기 때문에 SPT에 의한 생합성은 불필요하였으며 또한, ceramidase에 의한 세라마이드 분해를 정상수준이하로 억제하여 세라마이드의 생성보다는 분해억제에 의한 것으로 여겨진다.

인공어초어장의 어류 군집상과 어획량 변동 (Variations of Fish Community and Fish Density on Artificial Reefs)

  • 이정우;강영실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35-548
    • /
    • 1994
  • 각 해역에 시설된 사각형, 반구형, 원통형 인공어초어장의 어류 군집상 및 어획량 변동을 조사하여 인공어초 모형에 대한 어종 친화성과 해역별 최대효과를 가져 올 수 있는 적정 어초모형에 대해 논의하였다. 1988년 5, 7, 9, 11월에 각 1회씩 삼중자망으로 어획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어획된 어류는 종별로 분류하여 계수하였다. 인공어초어장에서 출현한 총 어종수는 45종이며 볼락류, 쥐노래미, 가자미류, 쥐치 및 말쥐치의 출현빈도가 높았다. 사각형 인공어초어장에서는 총 38종이, 원통형 인공어초어장에서는 총 31종이, 그리고 반구형 인공어초어장에서는 총 18종이 출현하였다. 해역별 주요 우점종은 대부분이 가자미류, 가오리류, 쥐치, 말쥐치, 쥐노래미, 볼락류와 같은 연안정착성 혹은 저서성, 암초성어류였으며 남해 외양만이 회유성 어종인 고등어가 최우점종이었다. 인공어초모형에 따라 저서성, 암초성, 회유성 어류의 조성률이 다르게 나타났다. 사각형 인공어초어장에서는 회유성어류의 조성률이 높은 반면 반구형 인공어초어장에서는 저서성 어류 및 부착생물을 주로 먹이로 하는 어류의 조성률이 높았다. 동해 중부연안을 제외한 전 해역의 인공어초어장중 사각형 인공어초어장에서 어획량이 가장 높았으며, 동해 중부연안은 원통형 인공어초어장에서 어획량이 가장 높았다. 인공어초모형별 어류 군집상은 사각형 인공어초어장과 반구형 인공어초어장은 서로 차이가 있으며, 원통형 인공어초어장은 이 두 인공어초어장의 중간적인 성격을 띤 군집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해역별로 보면 남해연안과 서해 남${\cdot}$중부연안의 군집상이 유사했고, 남해외양과 동해 남${\cdot}$중부연안의 군집상이 유사하였다./TEX>인 점을 고려하여 볼 때 수은 오염에 주의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6. 카드뮴의 어종별 96hr-LC50은 넙치 28.4mg/l, 숭어 2.55mg/l, 조피볼락 28.7mg/l으로 나타났다. 7. LAS의 96hr-LC50은 0.79mg/l이었고, 숭어에 대한 96hr-LC50은 0.06mg/l, 조피볼락 1.08mg/l으로 기수성 어류인 숭어의 내성이 매우 낮은 점이 특이하였다.치사하지 않으므로, 본 실험의 결과를 기초로 하여서 무수 수송 장치를 만들면 충분히 실용화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X>로 상당히 높게 나타났고, EPA, DHA 등 w3 계의 장쇄(長鎖)고도불포화지방산의 조성비가 $22.13\%$로 높게 나타났으며, 양적으로 많은 지방산은 포화산 중에는 palmitic acid($C_{16:0}$), monoene산 중에서는 palmitoleic acid($C_{16:1}$), polyene산 중에서는 hexadecatetraenoic acid($C_{16:4}$), eicosapentaenoic acid ($C_{20:5}$), docosahexaenoic acid($C_{22:6}$) 등이 함량이 많았다. Carotenoprotein으로부터 분리한 총 caroteoid 함량은 $8.80mg\%$였고, 주 carotenoid는 mytiloxanthin($74.79\%$), 3,4,3'-trihydroxy-7',8'-didehydro-${\beta}$-carotene($18.26\%$)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