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l

검색결과 1,094건 처리시간 0.033초

활동 및 동면동물의 정자 두부 Plasma Membrane의 성분 및 활성에 관한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Components and Activities of Sperm Head Plasma Membrane in Active and Hibernating Animals)

  • 오영근;안병식;최인호;정노팔;신형철;곽병주
    • Applied Microscopy
    • /
    • 제29권2호
    • /
    • pp.241-253
    • /
    • 1999
  • 북부 온대지방에 서식하는 박쥐는 그 대부분이 동면을하며, 그 생식유형은 특이하여 가을에 교미하여 사정된 정자는 자성생식도내에 긴 동면기간 동안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예: 한국큰관박쥐). 환언하면 저장되어 있던 정자는 이듬해 봄에 배란되는 난자와 수정하여 초여름에 출산하게 된다. 본 연구는 월동하는 정자 두부 Plasma membrane의 성분과 활성 등 형태적 및 기능적 특성을 관찰 분석함으로써, 인공임신율을 높일 수 있는 보다 효과적인 한냉온도 정자저장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동면하는 한국큰관박쥐와 햄스타 및 비동면동물(마우스)의 정자 Plasma membrane이, 실온과 한냉온도(박쥐-동면온도)에서, 생존율, 첨체반응을, 단백질분포, 능동수송에 관여되는 효소$(Na^+-K^+-ATPase)$의 활성 및 주사전자현미경적 조직화학상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실험결과에 의거하면, 동면동물인 한국큰관박쥐와 햄스타 및 비동면동물인 마우스 정자의 생존율과 첨체반응율은, 실온과 한냉(박쥐-동면)온도간에 의의있는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고, 단백질 분포와 $Na^+-K^+-ATPase$ 효소활성 및 주사전자현미경적 조직화학적 소견에 있어서도 두 온도간에 의의있는 차이는 없었다. 이와 같이 실온과 한냉온도 간에 형태적 기능적 차이가 없다고 하는 사실은, 동면동물이든 비동면동물이든 Spermatozoa plasma membrane이 동면중 또는 동면 이후에 안정적인 수정을 보장해 주는 형태적 및 기능적 보호구조임을 시사해 준다.

  • PDF

홍적태지(洪積台地)의 식질답(埴質畓)(화동통(華東統))에 대(對)한 세사(細砂) 및 연탄(煉炭)재의 객토효과(客土效果) (Effect of Fine Sand and Briquette Ash Dressing on Diluvial Clayey Soils (Hwadong Series))

  • 정연태;노영팔;박은호;박창영;성재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90-95
    • /
    • 1984
  • 홍적대지(洪積臺地)에 분포(分布)된 식질답(埴質畓) 토양(土壤)의 물리성(物理性) 및 기계화(機械化) 적성(適性)을 개선(改善)하기 위(爲)하여 세사(細砂)와 연탄(煉炭)재를 객토(客土)하여 2개년간(個年間) 수도(水稻)와 추파대맥(秋播大麥)을 이모작(二毛作) 재배(栽培)하면서 토양(土壤)의 특성(特性) 변화(變化)와 작물생육(作物生育)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았다. 1. 세묘(細妙)와 연탄(煉炭)재를 객토(客土)하면 수도(水稻)의 수량(收量)은 증가(增加)하지 않았으나 후작(後作) 보리는 세사(細砂)로 점토함량(粘土含量)을 15%로 조절(調節)한 구(區)와 연탄(煉炭)재 처리구(處理區)에서 18~19% 증수(增收)되었다. 2. 무처리구(無處理區)에 비(比)하여 객토구(客土區)의 공극률(孔隙率)과 내수성(耐水性) 입단양(粒團量)이 감소(減少)하였으며 화학적(化學的) 성질(性質)도 모래 객토구(客土區)에서는 약간 나빠지는 경향이었으나 연탄(煉炭)재 처리(處理)에서는 유효규산(有效珪酸) 및 치환침출성 가리함량(加里含量)이 약간 증가(增加)되었다. 3. 기계화(機械化) 적성(適性)이라 볼 수 있는 원추관입저항(圓錐貫入抵抗), 전단저항(剪斷抵抗) 및 소성지수(塑性指數)는 낮아진 반면(反面)에 마찰저항(摩擦抵抗)이 증가(增加)되어 농작업(農作業)에 유리(有利)한 방향(方向)으로 토양성질(土壤性質)이 개선(改善)되었다. 4. 세사(細沙) 및 연탄(煉炭)재 처리구(處理區)에서는 토심(土深) 10~20cm 중(中)의 벼뿌리 분포비율(分布比率)이 증가(增加)되었다.

  • PDF

DSS로 유도된 염증성 장 질환 마우스 동물모델에서 생식이 장관 임파조직내 면역조절 기능에 미치는 영향 (Immunoregulatory Effects of Saengshik on DSS-Induced Inflammatory Bowel Disease in Mouse Model System)

  • 임병우;정용준;박미현;김종대;황성주;유병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32-42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DSS로 유발시킨 대장염 동물모델에서 생식섭취가 장관 내 면역조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토해보고자 했다. 그 결과, 생식섭취가 DSS로 유발시킨 대장염에서 normal군보다 IFN-$\gamma$의 함량을 증가시키고, IL-4와 IL-10의 함량은 감소시킴이 관찰되었다. 또한, 증가된 Th1 세포의 cytokine과 감소된 Th2 세포의 cytokine은 염증이 유발된 후, 생식을 통한 치료로써 변환시킬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볼 때 DSS로 유발시킨 대장염에서 생식 섭취를 통한 치료는 IL-4와 IL-10과 같은 염증성 cytokine의 억제기능을 통하여 면역시스템을 강화시키고, 손상된 염증을 완화시켜 줄 것으로 판단된다. 생식의 면역조절에 관한 자세한 기전은 아직 밝혀져 있지 않지만, 염증성 장질환에서 생식섭취가 면역학적 역할에 대한 새로운 양상들에 대한 연구가 더욱더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남지역(嶺南地域)에 분포(分布)된 단구지토양(段丘地土壤)의 특성(特性)과 생성연구(生成硏究) -제(第) 4 보(報) : 토양미세형태학적(土壤微細形態學的) 특성(特性) (Characteristics and Genesis of Terrace Soils in Yeongnam Area -IV: Soil micromorphological features)

  • 정연태;신제성;노영팔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05-210
    • /
    • 1986
  • 영남지역(嶺南地域)에 분포(分布)된 단구지토양(段丘地土壤)의 미세형태각적(微細形態覺的) 특징(特徵)을 토양생성(土壤生成)과 모재층구분(母材層區分)을 중심(中心)으로 실시(實施)한 결과(結果) ; 1. 단구토양(段丘土壤)의 원질배열(原質配列)은 Porphyroskelic 상(狀)이고 토양조직(土壤組織)(Soil fabric)은 Vosepic, Mosepic, Insepic, Masepic 등(等)이 대부분(大部分)이었으나 영일지역(迎日地域)의 극락통(極樂統)과 우평통(牛坪統)에서는 Asepic fabric도 있었다. 2. 단구토양(段丘土壤)의 B층(層)에는 ferriargillans, manganiferrous concretions과 papules 등(等)의 토양생성학적(土壤生成學的) 특징(特徵)이 현저(顯著)하게 발달(發達)된 Argillic B층(層)이 있었다. 3. 모재(母材)의 불연속성(不連續性)이 예상(豫想)되는 영천(永川)의 반천통(盤泉統)과 영일(迎日)의 우평통(牛坪統) 기층(基層)은 Plasmic fabric이 단구퇴적물(段丘堆積物)과 판이(判異)하였으므로 bisequum profile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들 토층(土層)에도 유리입자상(遊離粒子狀) 점토피막(粘土皮膜)(Free grain cutans)이 생성(生成)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단구퇴적물(段丘堆積物)의 퇴적전(堆積前)에 일정기간(一定期間) 동안 토양생성작용(土壤生成作用)을 받을 기회가 있었던 것으로 추측(推測)되었다.

  • PDF

아밀로스함량이 높은 벼 품종 "고아미벼" (A New High Amylose Rice Variety "Goamibyeo")

  • 송유천;임상종;이점식;김호영;여운상;박노봉;곽도연;강종래;양세준;황흥구;오병근;문헌팔;임무상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447-451
    • /
    • 2008
  • '고아미벼'는 쌀가루를 가공하여 제면용으로 이용할 품종을 육성 할 목적으로 영남농업시험장에서 육성한 고아밀로스 품종으로서 그 주요특성과 수량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수기는 남부평야지의 보통기재배에서 8월 18일로 '동진벼'와 같은 중만생종이다. 2. 수당립수는 '동진벼'보다 많으나 등숙비율 및 현미천립중은 '동진벼'보다 낮은 편이며 기타 도정특성은 '동진벼'와 비슷하다. 3. 70일 묘대일수에서 불시출수가 적으나 냉수관개에서 임실률이 낮아 내냉성은 '동진벼' 보다 낮은 편이나 내도복성은 우수하다. 4. 도열병 등 병해에는 약한 편이고 주요 충해에 대한 저항성은 없다. 5. '고아미벼'는 특히 아밀로스함량이 26.7%로 높아 고형물의 용출율이 적고, 가공 후 고형물의 찰성이 적어 제면용으로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6. 수량성은 남부평야지의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쌀수량이 5.38 MT/ha로 '동진벼'보다 4% 증수 되었으며, 이모작에서는 4.88 MT/ha, 만식재배에서는 4.80 MT/ha로 '동진벼'대비 각각 1% 증수되었다.

건답직파 벼-보리 장기간 이모작 재배시 벼 수량 및 토양 물리화학성 변화 (Changes of Rice Yield and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 Long-term Dry Seeded Rice-Barley Double Cropping)

  • 신상욱;박성태;황정동;황동용;김상열;문헌팔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459-463
    • /
    • 2001
  • 벼 단작 만기 및 보리후작 건답직파의 수량성과 토양물리 과학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영남농업시험장 답작포장에서 1990년부터 1999년까지 10년간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품종은 동해벼('90-'96), 금오벼2호, 화영벼('97-'98), 금오벼 1호, 영해벼('99)를, 작부방식은 벼 단작 만기직파와 보리후작 벼 직파를 하였고 보리후작 벼 직파는 보릿짚제거후 직파와 보릿짚 시용후 직파를 실시하였던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아일수는 보리후작 건답직파는 8~9일로 벼단작 직파 9 일과 비슷하였고 $m^2$당 적정 입모 확보는 문제가 없었으나, 벼 단작 직파보다 입모수의 변이가 약간 컸으며 파종후 15~35일 초기생육에 있어 엽수는 비슷하였으나 초장은 2.8-10.7% 억제되었다. 2. 출수기는 처리간 차이가 없었고 초기 생육은 보리후작에서 약간 떨어졌으나 점차 회복되어 간장과 수장은 비슷하였으며 $m^2$당수수 증가로 영화수가 많았다. 3. 평균쌀수량('00~'99)은 보릿짚 시용구는 4.72 MT/㏊으로 벼 단작 직파보다 9%증수되었고 년차간 변이가 적었다. 4. 보리후작시 완전미 비율이 낮고 청미비율이 높아 품위가 떨어졌고 벼 단작과 비교시 이밀로즈함량, 단백질함량 및 Mg/K당량비는 비슷하였다. 5. 보릿짚시용시는 고상율이 낮아 토양공극율이 높고 토양 유기물이 증가되었으며('90(27.1 g/kg) $\longrightarrow$ '99(보릿짚시용 : 36.1 g/kg, 벼 단작 : 25.5 g/kg)) 치환성양이온 Mg 및 K의 함량은 벼단작과 비슷하였으나 Ca함량은 증가 되었다.

  • PDF

생식생장기 저온이 미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Low Temperature at Reproductive Stage on Rice Grain Quality)

  • 정응기;최해춘;홍하철;문헌팔;신영범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805-809
    • /
    • 1997
  • 본 시험은 저온이 1993년과 기상이 양호했던 1994년에 작물시험장 진부출장소 포장에서 생산된 산간고령지 장여품종 둔내벼를 공시하여 쌀의 이화학적 특성 및 식미를 평가 비교함으로써 벼의 생식생장기 저온이 미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보고자 실시하였다. 1. 벼의 감수분열기~등숙기까지의 7, 8월에 기온은 각각 평균기온이 2.2~7.4$^{\circ}C$, 최저기온이 0~8.9$^{\circ}C$가 1993년이 1994년 보다 낮았다.2. 수실율과 수량은 1993년이 11.8%와 0.4MT /ha이었고, 1994년은 84.3%와 5.5MT /ha이었다. 3. 쌀의 아밀로오스 함량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단백질함량은 1993년산이 1994년산보다 1.6% 높았다. 4. 알칼리붕괴도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호응성은 1993년산이 45mm로 1994년산의 59mm보다 호화 gel이 더 굳어진 특성을 나타내었다. 5. 쌀가루의 아밀로그램 특성은 저온이 1993년 산이 최고점도, 최저점도, 최종점도 및 강하점도는 낮았고, 응집점도와 취반점도는 높았다. 6. 식미관능검정에서는 1993년산이 1994년에 비해 밥모양이 1.43, 밥냄새가 0.53, 밥맛이 0.85, 찰기가 1.04 및 질감이 0.97, 식미총평이 1.31의 차이로 현저히 떨어지는 경향이었다.

  • PDF

벼 연녹색잎 유전자계통의 농업형질 및 엽록체 구조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Chloroplast Morphology of a Pale-green Leaf Line in Rice)

  • 원용재;송문태;양창인;김홍열;문헌팔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199-202
    • /
    • 2000
  • 염색의 농담에 따른 엽록소의 함량과 수량과의 관계를 밝히고자 연녹색잎 표지인자를 가진 Taichung 65(pgl)와 녹색엽인 수원345호 및 두 계통간의 교잡 BC$_1$F$_2$에서 농업형질과 엽록체의 특성을 밝히고자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연녹색 및 계통인 T.65(pgl)와 수원345호의 조합 F$_2$에서 연녹색 잎 개체군은 T.65(pgl)와 차이가 없었으나 녹색잎 개체군의 평균 개체수량은 수원345호에 비하여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2. T.65(pgl)의 엽록소 함량은 수원345호에 비하여 적었으며, 감소되는 유형은 비슷하였으나 Ca/Cb 비율은 출수후 15일부터 60일까지 오히려 높게 나타났다. 3. 출수 후 T.65(pgl)의 지엽은 수원345호에 비하여 낮은 SPAD 값을 보였지만 2엽, 3엽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반면 F$_2$에서 연녹색잎 개체군의 지엽, 2엽, 3엽에서의 SPAD 값은 녹색잎 개체군에 비하여 모두 낮게 나타났다. 4. 출수후 20일에 지엽의 엽록체를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검경한 결과 T.65(pgl)에서 osmium granule의 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체력단련(體力鍛鍊)이 폐기능(肺機能)에 미치는 효과(效果) (Effect of Physical Training on Pulmonary Function)

  • 남팔수;황수관;김형진;주영은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15권1호
    • /
    • pp.37-43
    • /
    • 1981
  • 장기간(長期間)의 체력단련(體力鍛鍊)이 폐기능(肺機能)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알아보고자 운동선수군(運動選手群) 24명(名)과 비운동선수군(非運動選手群) 12(名)에 대(對)하여 실시(實施)한 본(本) 연구(硏究)의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호흡수(呼吸數), 일회호흡량(一回呼吸量) 폐활량(肺活量)은 실시군(實施群)과 비실시군(非實施群) 사이에 유의(有意)한 차이(差異)가 없었으나, 최대환기능(最大換氣能)은 선수군(選手群)이 $148.1{\pm}3.01\;L/min$, 비선수군(非選手群)이 $1118.3{\pm}9.1\;L/min$ 로서 선수군(選手群)에서 비선수군(非選手群)에 비(比)해 유의하게(p<0.01) 높았다. 초시폐활량(秒時肺活量)은 선수군(選手群)이 $3.310{\pm}0.070\;L$, 비선수군(非選手群)이 $2.279{\pm}0.104\;L$였고, $FEV_1%$는 선수군(選手群)이 $83.63{\pm}1.29%$, 비선수군(非選手群)이 $75.33{\pm}1.75%$로서 둘 다 선수군(選手群)에서 비선수군(非選手群)에 비(比)해 유의하게(p<0.01)높았다. $FEF_{\;0.2{\sim}1.2}L$는 선수군(選手群)이 $297.7{\pm}13.5\;L/min, 비선수군(非選手群)이 $222.7{\pm}15.0\;L/min$였고, $FEF_{\;25{\sim}75}%$는 선수군(選手群)이 $3.543{\pm}0.109\;L/sec$, 비선수군(非選手群)이 $2.719{\pm}0.142\;L/sec$로서 둘다 선수군(選手群)에서 비선수군(非選手群)에 비(比)해 유의하게(p<0.01)높았다.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를 종합(綜合)하면 선수군(選手群)과 비선수군(非選手群) 사이에 폐용적(肺容積)은 별차이(別差異)가 없으나, 최대환기능(最大換氣能), 초시폐활량(秒時肺活量), $FEV_1%$, $FEF_{\;0.2{\sim}1.2}L$, $FEF_{\;25{\sim}75}%$등(等)은 선수군(選手群)이 비선수군(非選手群)에 비(比)해 유의하게(p<0.01) 높은 측정치(測定値)를 나타내었으며, 이것은 선수군(選手群)에서 비선수군(非選手群)에 비(比)해 호흡근(呼吸筋)의 힘이 더 강(强)하거나, 폐(肺) 및 흉곽(胸廓)의 용압률(容壓率)이 더 크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

다모작(多毛作)을 위한 답토양(畓土壤) 적성등급(適性等級) 구분(區分) -제(第)2보(報) : 적성등급(適性等級) 구분기준(區分基準) (Suitability Grouping System of Paddy Soils for Multiple Cropping -Part II : Criteria of the Suitability Grouping)

  • 정연태;박은호;노영팔;엄기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83-289
    • /
    • 1986
  • 논토양(土壤)에 수도(水稻)를 포함(包含)하여 그 전후작(前後作)으로 밭작물(作物)을 다모작(多毛作) 할 경우에 토양종류별(土壤種類別) 적성정도(適性程度)를 추정(推定) 할 수 있는 논토양다모작적성등급(土壤多毛作適性等級)을 구분(區分)코자 기초시험(基礎試驗)을 실시(實施)하고 적성등급구분(適性等級區分) 기준(基準)을 설정(設定)하였다. 기초시험결과(基礎試驗結果)는 전보(前報)에서 논(論)하였고 구분기준(區分基準) 및 주요결과(主要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적성등급(適性等級) 구분요인(區分要因)은 잠재생산력을 대표(代表)한 토성(土性) 및 배수등급(排水等級), 화학적특성(化學的特性)(표토염농도(表土鹽濃度), 및 심토(心土)의 반응(反應)), 환경조건(環境條件)(경사도(傾斜度) 및 온량지수(溫量指數)) 그리고 지하수위(地下水位) 및 토양모재(土壤母材) 등(等)을 선택(選擇)하여 연역(演繹) 귀납(歸納) 절충식(折衷式) 인자별가중치(因子別加重値) 상승(相乘) 상가복합법(相加複合法)에 의한 이론적(理論的) 최상치(最上値)가 100 점(點)이 되도록 하였다. 91 점이상(點以上)인 토양(土壤)을 I급지(級地)로 하고 60 점이하(點以下)인 토양(土壤)을 V급지(級地)로 하되 10 점(點) 단위(單位)로 등분(等分)하였으며 등급별(等級別) 제한인자(制限因子)는 "물리성(物理性)" "화학성(化學性)" 및 "경사도(傾斜度)" 등(等) 3가지로 하되 2개까지 병기 가능(可能)토록 하였다. 2. 온량지수(溫量指數) 110 이상(以上)인 대부분(大部分)의 영남지역(嶺南地域)은 I급지(級地)가 19%, II급지(級地) 22.7%, III급지(級地) 44.7%, IV급지(級地) 11.5% 그리고 V급지(級地)가 2.1%로서 전국(全國)의 논토양(土壤) 급지별(級地別) 분포비율(分布比率)보다는 상급지비율(上級地比率)이 약간 높았다. 3. 토양별(土壤別) 총득점(總得點)과 생산력지수간에는 유의성(有意性)($r=.922^{**}$)이 인정(認定)되어 기준(基準)의 적합도(適合度)가 높은 것으로 볼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