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inting layers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35초

코팅재로서 MMA 개질 폴리머 페이스트의 내구성능 평가 (Evaluation of Durability on MMA-Modified Polymer Paste for Coating materials)

  • 연규석;이현종;주명기;김성기;이지원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5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제17권2호
    • /
    • pp.807-810
    • /
    • 2005
  • In this study, MMA-modified paste of coating material for protecting the concrete structures was developed. The coating material was applied to cement concrete specimens by brush, roller and spray in each of which one, two and three layers to survey, by the cold-hot iterative test, the neutralization test, the chloride ion permeation test and the ante-abrasion test, the affect of painting methods and layers influencing on the durability of coating material. Results of the cold-hot iterative test showed that, regardless of the painting methods and layers, the defects such as crack or fuzz on surface were not produced. As the number of painting layers increased, the neutralization prevention as well as the chloride ion permeation prevention effects were increased. On the other hand, no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painting methods. Reducing weight by abrasion of polymer paste coating material was $20\%$ comparing to that of cement mortar.

  • PDF

완주 위봉사보광명전 백의관음벽화의 재료학적 특성 연구 (Study on the Material Characteristic of Baekeuikwaneum (the White-Robed Buddhist Goddess of Mercy) Wall-Painting of Bogwangmyungjun in Wibongsa, Wanju)

  • 김용선;이상진;최인숙;진병혁;이화수
    • 보존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55-65
    • /
    • 2014
  • 이 연구는 위봉사보광명전 백의관음벽화의 보존처리에 앞서 진행되어진 과학적 조사에 관한 결과물로써, 벽체의 입도분포 및 미세구조와 화학성분 그리고 광물 결정상을 분석하였으며, 안료 및 접착매질을 분석하였다. 또한 비파괴진단 방법인 초음파 탐사를 통해 벽화내부에 대한 안정성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벽체에 사용된 광물입자들은 중립질 이상의 모래와 세립질 이하 풍화토의 혼합물인 것으로 판단되며, 채색에 사용된 안료는 바탕층은 황토, 백색안료는 호분, 적색계열의 안료는 석간주를 사용하였고 녹색계열은 석록이 사용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향후 벽화 보존처리에 있어 이와 같은 과학적 분석을 통한 보존처리를 실시한다면, 처리 시 안정성을 높이고 벽화의 보존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고구려 고분벽화의 석회마감층에 관한 연구 (Study of Lime Finishing Layer(intonaco) in Koguryo Tomb Murals)

  • 이화수;한경순
    • 보존과학회지
    • /
    • 제19권
    • /
    • pp.43-56
    • /
    • 2006
  • 가공 석회를 이용한 회반죽으로 석회마감층을 제작하여 그 상태와 재료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고구려 고분벽화 석회마감층을 재현하여 몇 가지 기법으로 채색한 결과 각각의 채색기법이 나타내는 특징을 확인하였다. 실험결과를 통해 고구려 고분벽화 석회마감층의 상태 및 특성 파악과 함께 제작기법을 유추할 수 있었으며, 고구려 고분벽화 석회마감층이 갖는 보존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각기 다른 조건으로 제작한 마감층 시편 중 땅속에서 장시간 수화시켜 얻은 소석회로 제작한 마감층이 양호한 상태를 나타내어 특정한 수화법을 거쳐 제작된 소석회 반죽은 고구려 고분벽화의 석회마감층에 대한 보존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고구려 고분벽화의 채색상태가 대체적으로 건식기법으로 제작되어진 시편들과 유사한 상태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채색층과 마감층 사이에 형성된 경계면 및 채색층의 구성 형태 등으로 미루어 보아 고구려 고분벽화의 채색층 상태가 습식기법과 건식기법을 혼용한 중간기법으로 제작되어진 결과들과 흡사한 경우들도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한국 흙벽화 채색층 고착제의 보존환경에 따른 안정성 연구 (A Study on Stability according to the Conservation Environment for Fixative of Korean Mural Painting Layers)

  • 진병혁;위광철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6권3호
    • /
    • pp.150-171
    • /
    • 2013
  • 흙벽화 보존처리에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은 채색층에 균열이 발생되어 결속력을 잃었을 때, 또는 안료의 분말화가 일어났을 때, 고착제를 주입하여 손실위험에 처해진 벽화를 보존하는 것이다. 그러나 흙벽화 채색층에 사용되는 고착제의 안정성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흙벽체 시료를 제작하여 총 4종의 합분, 주사, 석록, 황토안료를 채색하고 Paraloid $B-72^{(R)}$, Caparol-$binder^{(R)}$, 우피아교(牛皮阿膠), Hydoxypropyl $cellulose^{(R)}$ 총 4종의 고착제를 도포하여 보존처리 후 발생할 수 있는 환경변화 요인인 온도, 습도, 자외선을 인공적으로 부여하였다. 안료별로 도포된 고착제의 보존환경에 따른 물성변화는 색안정성, 접촉각, 광택도, 접착력, 표면관찰을 통해 다각적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자외선 및 고온다습한 환경은 합분을 제외한 고착제가 도포된 모든 채색층에서 명도와 채도의 변화가 일어나는 등 색안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며, 고착제의 노화가속에 영향을 주어 결국 분해시키는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그중 전통재료인 아교는 함께 실험한 합성수지들과 비교하여 볼 때, 채색층 표면에 대한 색안정성과 영향력(보존성) 유지, 친수성 면에서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접착력 부분에서는 모든 채색층에서 우수한 특성이 확인되었기에, 흙벽화 채색층 고착처리 시 안정성이 높다고 사료된다.

전남 승주군 송광사 승보전 유물(삼세불화)보수 (Restoration of Antique (Sam-Sae Buddhistic Painting) In Song-Kwang Temple)

  • 전경미;전철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7권3호
    • /
    • pp.82-90
    • /
    • 1999
  • 송광사 삼세불화는 조성년도가 확실하지 않지만 남아있는 서기(書記)와 재질 분석을 통해 19세기초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 할 수 있었다. 그리고 공시불화의 보존처리를 위해 안료층과 바탕층, 지지층을 구성하고 있는 재질을 분석하고 이에 적합한 지지층인 배첩지를 초지하여 그 적합성을 시험한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삼세불화의 단면구조는 안료층과 명주로 된 바탕층 그리고 한지(韓紙)로 이루어진 지지층으로 구성되어 있어 19세기 당시의 불화는 기본적으로 안료층, 바탕층, 지지층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안료층과 바탕층의 접착은 아교를 사용하였고 지지층의 sheet 배첩은 호료(糊料)를 사용했음을 알 수 있었다. 2. 삼세불화의 지지층은 5겹으로 구성되어 있고 두 종류의 종이가 사용되었는데 바탕층과 접해 있는 1~2층은 순수한 닥섬유로 제조한 한지(韓紙)를 사용하였고 나머지 3개 층은 폐마섬유(廢麻纖維)에 닥섬유가 혼합된 종이를 사용하였다. 더 많은 자료가 확보되어야만 단언할 수 있지만 재질을 통해 당시의 상황을 파악해 보면 19세기 당시의 사회는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고 더욱이 사찰 제지업은 피폐해져 운영이 어려워 후면에 사용한 배첩지는 질이 떨어지는 폐마를 이용 했을 것으로 추측되었다. 3. 본 재료의 바탕층과 지지층간의 인장력을 고려하여 새롭게 제조해 보수용으로 사용한 바 본 공시재료의 보수용 배첩지로서 적합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도막의 기계적 성질과 포수방법이 단청의 내후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Mechanical Properties of Painting Layers and Priming Methods to Weathering Resistance of Danchung)

  • 오준석;카와노베 와타루
    • 보존과학회지
    • /
    • 제17권
    • /
    • pp.19-32
    • /
    • 2005
  • 전통목조건축물의 단청에서 발생하는 도막의 박리현상을 개선시키기 위해, 목재의 친수성으로 인해 목재와 도막간의 팽윤수축률의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응력이 도막의 내후성에 미치는 영향을, 도막의 기계적 성질(인장성질과 응력완화)과 교착제(아교, 아크릴에멀젼(Primal AC-3444), 아크릴수지 (Paraloid B-72))에 의한 포수방법으로부터 평가하였다. 아크릴에멀젼 도막은, 아크릴에멀젼의 유리전이온도가 상온 이하$(7^{\circ}C)$로써 외력에 대한 응력완화가 큰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열화촉진실험과 옥외폭로실험에서 박리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다른 교착제를 사용한 도막에 비해 내후성이 가장 뛰어났다. 또 목재에 교착제를 저농도에서 고농도까지 중복칠하는 포수방법이 다른 포수방법들보다 도막의 내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 PDF

봉정사 극락전 벽화 안료의 재질 분석 연구(II) (The analysis study of mural painting pigments at Pongjongsa Kuknakjon)

  • 조남철;홍종욱;문환석;황진주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21호
    • /
    • pp.119-143
    • /
    • 2000
  • The pigments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the mural painting at Pongjongsa Kuknakjon is discussed. The structure of inner wall is consisited of Paint layer, Ground divided two layers of yellow and white pigments, Support. In case of outer wall, it is consisted of Paint layer, Ground divided three layers of yellow and green pigments, a layer mixed green pigments and paint layer, Support. As a result of compositon analysis of mural painting pigments at Pongjongsa Kuknakjon using Micro-area X-ray diffraction system, the red pigment on inner wall is consisted of Heamatite($Fe_2O_3$), Magnetite($Fe_3O_4$)of deep black pigment, and Chalcocite($Cu_2S$) of light black pigment. The white pigment on outer wall is consisted of Anglesite($PbSO_4$) and Atacamite($Cu_2CI(OH)_3$) of green pigment. We found out that natural pigments painted in the mural painting at Pongjongsa Kuknakjon has kept up its own color for a long time due to using the natural pigment not to artificial synthetic pigment.

  • PDF

초기 한국 유화의 과학적 조사-동경예술대학 예술자료관 소장 유화 자화상을 중심으로 (An essay on the Korean early oil painting of self-portrait in the museum of Tokyo National Univerity of Fine Arts and Music)

  • 김지희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15호
    • /
    • pp.59-103
    • /
    • 1994
  • Painting is well regarded as a stratified structure by the conservators and restorers. Hence, the scientific methods have been developed for the study of the interal layer of paintings. Examples of such methods are X-ray, infra-red, and ultra-violet photography. A more direct method is to look at the painting in cross section under the microscope and to analyze pigments using an electron probe X-ray micro analyzer(EPMA).In this research, I study and analyze twenty two Korean paintings of self-portraits including the first oil painting of Hui Dong Koh's self-portrait stored in the museum of Tokyo National University of Fine Arts and Music, employing these scientific techniques. The small fragments taken from the ground layers of the early oil paintings(1915∼1942)are analyzed using the EPMA. According to their main materials, the ground layers can be classified into five types ; 1. Lead white layer and double layer of calcium carbonate and lead white, 2. Zinc white with some mixiture of lead white, 3.Titanium white with some barium white, 4. Barium white, 5.Double layer of titanium white and zinc white.

  • PDF

Manufacturing Technique of the Avalokitesvara Bodhisattva Mural Painting in Geungnakjeon Hall, Daewonsa Temple, Boseong

  • Yu, Yeong Gyeong;Jee, Bong Goo;Oh, Ran Young;Lee, Hwa Soo
    • 보존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34-346
    • /
    • 2022
  • The manufacturing technique was studied through the structure and material characteristics of the walls and the painting layers of the Avalokitesvara Bodhisattva mural of Geungnakjeon Hall, Daewonsa Temple. The mural is painted and connected to the earthen wall and the Junggit, and the wall is composed of wooden laths as a frame, the first and middle layers, the finishing layer, and the painting layer. The first layer, middle layer, and finishing layer constituting the wall were made by mixing weathered soil and s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first layer had a high content of loess below silt, and the finishing layer had a high content of fine-sand and very fine sand. For the painting layer, a ground layer was prepared using soil-based mineral pigments, and lead white, white clay, atacamite, minium, and cinnabar (or vermilion) pigments were used on top of it. The Avalokitesvara Bodhisattva mural was confirmed to belong to a category similar to the soil-made buddhist mural paintings of Joseon Dynasty. However, it shows characteristics such as a high content of fine sand in the finishing layer and overlapping over other colors. Such material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can constitute important information for future mural conservation status diagnoses and conservation treatment plans.

수묵화를 이용한 VR 융합콘텐츠 제작공정 연구 (A Study on VR Convergence Contents Creation Process ink painting)

  • 후정동;최철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7호
    • /
    • pp.193-198
    • /
    • 2018
  • 최근의 VR 기술을 애니메이션 영역에 적용하는 것은 필연적인 추세로 보여진다. 이러한 VR 기술을 기존의 수묵애니메이션에 활용하면 평면적인 예술 작품이 새로운 서사방식과 시청각 언어를 갖추어 새로운 애니메이션 장르로 갖추게 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새로 개발하는 것이 아닌 기존의 평면적인 수묵 이미지를 360도 화면에 배치하기 위해서는 기술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존재하는데 기존에 제작된 수묵 애니메이션의 배경 수묵 이미지에서 거리의 깊이에 따른 레이어 추출과 360도 공간에 이들을 깊이에 따른 곡면에 배치를 통해 VR 공간에 깊이감을 부여하는 VR수묵 애니메이션을 제작해 보려하였다. 본문에서는 기존의 수묵화 이미지에서 원경, 근경, 중경 레이어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접근 방법들을 찾아보고 제시해보려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