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ddy weed

검색결과 315건 처리시간 0.032초

Bensulfuron-methyl 혼합(混合) 액상수화제(液狀水和劑)의 사용법(使用法) 개발(開發) 연구(硏究)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weed Control Method for Paddy Rice by Bensulfuron-methyl Combination Suspension Concentrate)

  • 류갑희;박재읍;이인용;이한규;이정운;박영선;신현승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8-33
    • /
    • 1994
  • 본(本) 실헌(實驗)은 pyributicarb/bensulfuron-methyl과 oxadiazon/bensulfuron-methyl 액상수화제(液狀水和劑)의 제초효과(除草效果)를 검토(檢討)하고 사용(使用) 기술(技術) 개발(開發)을 자연(目的)으로 수행(遂行)하였다. 1. Pyributicarb/bensulfuron-methyl과 oxadiazon/bensulfuron-methyl 액상수화제(液狀水和劑)의 제초효과(除草效果)는 입제(粒劑)와 유사(類似)하였다. 2. Pyributicarb/bensulfuron-methyl과 oxadiazon/bensulfuron-methyl 액상수화제(液狀水和劑)의 확산(擴散) 거잡(距雜)는 6m 이상(以上)이었다. 3. Pyributicarb/bensulfuron-methyl 액상수화제(波狀水和劑)를 관수시(灌水時) 물꼬처리(處理)와 담수(湛水) 후(後) 논뚝처리(處理)한 후(後) 제초효과(除草效果)는 90% 이상(以上)이었다. 4. Pyributicarb/bensulfuron-methyl 액상수화제(波狀水和劑)의 침강속도(沈降速度)는 1시간(時間)에 1-2cm 정도(程度)였다. 5. Pyributicarb/bensulfuron-methyl 액상수화제(波狀水和劑)의 담수심별(湛水深別) 제초효과(除草效果)는 담수심(湛水深) 0-1cm에서 보다 6-7cm에서 더 높았다.

  • PDF

남부(南部)논에서의 수도작기변동(水稻作期變動)에 따른 잡초발생(雜草發生) 및 경합특성(競合特性)에 연구(硏究) (Weed Emergence and It's Competition in the Differently Cropped Paddy Fields in Southern Districts)

  • 허상만;구자옥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4-34
    • /
    • 1985
  • 남부지역(南部地域)의 논 잡초발생(雜草發生) 및 경합특성(競合特性)을 파악(把握)하기 위하여, 농산(農産)벼와 동진(東津)벼를 공시(供試)하여 보통기(普通期)와 맥후작기재배(麥後作期栽培)에서 비교(比較)하였다. 이앙후(移秧後) 15일간격(日間隔)으로 조사일정(調査日程)을 정(定)하고 각기간(各其間)까지 잡초방임(雜草放任) 또는 무잡초상태(無雜草狀態)를 유지(維持)하면서 시험구별(試驗區別)로 잡초발생(雜草發生)을 조사(調査)하고 수확기(收穫期)에 수도생육량(水稻生育量) 수량요소(水量要素) 및 수량조사(收量調査)를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우점종(優占種)은 물달개비와 올챙고랭이었으며, 사초과(莎草科) 잡초(雜草)의 종우점도(種優占度는 맥후작(麥後作)보다 보통기작(普通期作)에서, 동진(東津)벼 보다는 농산(農産)벼 재배지(栽培地)에서 높은 경향(傾向)이었다. 2. 잡초발생(雜草發生)은 보통기(普通期)의 경우, 동진(東津)벼 보다 농산(農産)벼에서 발생수(發生數)는 적었으나 생육량(生育量)은 컸으며, 맥후작기(麥後作期)에서는 오히려 농산(農産)벼에서 발생수(發生數)가 많고 생육량(生育量)은 적은 경향(傾向)이었다. 3. 공시(供試)했던 두 품종(品種)의 벼 모두가 잡초경합(雜草競合)으로 엽중(葉重)과 정조중(正租重)의 감소(減少)가 인정(認定)되었으며, 보통기작(普通期作)에서는 수당영화수(穗當穎花數)(농산(農産)벼), 맥후작(麥後作)에서는 두 품종(品種) 모두 등숙율(等熟率)(동진(東津)벼)의 감소(減少)에 의하여, 맥후작(麥後作)에서는 두 품종(品種) 모두 등숙율과(等熟率)과 립중감소(粒重減少)로 감수(減收)하는 경향(傾向)이었다. 4. 물달개비와 올챙고랭이가 우점(優占)했던 본 연구(硏究)의 경우, 수도(水稻)의 잡초경합특성(雜草競合特性)은 치명적(致命的) 경합기간(競合期間)이 길고 잡초발생허용기간(雜草發生許容期間)이 상대적(相對的)으로 짧은 경향(傾向)이었다. 5. 잡초경합(雜草競合)으로 인한 벼의 최대감수(最大減收)는 품종(品種)과 작기변동(作期變動)에 따라 무잡초구(無雜草區)의 25~55%에 달하였다.

  • PDF

경북 지역 Sulfonylurea계 저항성 논잡초 발생양상과 분포 (The Distribution and Occurrence of Sulfonylurea-Resistant Weeds in Paddy Fields of Gyeongbuk Province)

  • 김상국;김학윤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2권2호
    • /
    • pp.131-137
    • /
    • 2013
  • 본 연구는 경상북도 지역의 논에 발생하는 잡초종의 발생과 분포 및 sulfonylurea계 제초제 저항성잡초 발생비율을 조사한 것으로 생활사별 논잡초 분포는 일년생이 91.8%로서 다년생 8.2%보다 많았으며, 형태적 분포는 광엽잡초 85.7%, 사초과 9.1%, 화본과 3.8%였다. 잡초종은 물달개비, 미국외풀, 피, 여뀌바늘, 올챙이고랭이, 미국가막사리이었고, 물달개비가 우점하는 지역과 발생률은 포항, 의성, 상주, 경주 순으로 각각 85.1%, 76.3%, 73.5%, 58.9%였으며, 미국외풀은 영덕, 고령, 군위, 영양, 안동, 예천, 구미, 영천 순으로 발생률은 각각 96.3%, 93.8%, 92.7%, 90.7%, 86.8%, 70.6%, 66.7%, 56.2%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주요 논잡초는 물달개비, 미국외풀, 너도방동사니, 피, 올챙이고랭이 순이었고, 우점도를 1981년, 1992년 및 2012년도와 비교하면 미국외풀(42.8%), 물달개비(37.5%), 너도방동사니(7.9%)순이었다. 논에 발생한 sulfonylurea계 제초제 저항성 잡초는 물달개비, 여뀌바늘, 미국외풀, 올챙이고랭이로 총 4종이었고, 제초제 저항성잡초 가운데 가장 많은 발생면적을 보인 초종은 미국외풀로 11.1%를 차지하였다. 2012년 조사된 지역에 대한 제초제 저항성 잡초 발생률은 15.9%정도로 경북지역의 벼 재배면적(141,005ha)을 고려하면 제초제 저항성잡초 발생면적은 22,420ha정도로 추정되었다.

휴경답에서의 토양의 이화확적 특성, 주요 영양분 및 잡초종의 변화 (Changes of Physico-chemical Soil Properties, Major Soil Nutrient Contents, and Weed Vegetation in Paddy Fields during Fallow Period)

  • 한성욱;정갑채;천상욱;이희재;구자옥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11-214
    • /
    • 1998
  • 휴경답에서의 휴경년한에 따른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과 주요 영양분의 변화 및 잡초종의 식생 변화를 조사하였다. 휴경년한이 경과할수록 휴경답 토양의 유기물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pH는 휴경후 3년까지는 변화가 없었으나 이후로는 다소 증가하였다. 토양의 양이온치환용량 및 치환성 N, K, Ca, Mg의 함량은 휴경후 3년까지는 감소하였으나 휴경년한이 길어지면서 증가하였다. 유효 $P_2O_5$의 함량은 휴경년한이 길어지면서 지속적으로 감소한 반면 유효 $SiO_2$의 함량은 3년까지는 변화가 없었으나 그이후로는 증가하였다. 휴경답에서의 잡초종 구성은 초기에는 화본과, 사초과 및 국화과가 주종을 이루었으며 휴경년한이 경과할수록 마디풀과와 골풀과의 잡초 발생이 증가하는 반면 콩과, 물옥잠과, 닭의장풀과, 바늘꽃과의 잡초 발생이 점차 감소하였다. 그러나 화본과의 사초과의 잡초종은 휴경년한의 경과와는 관계없이 항상 우점종으로 발생하였다. 일반적으로 휴경화가 진전될수록 일년생 잡초종에 비해 다년생 잡초종의 발생 비율이, 또한 논 잡초종에 비해 밭 잡초종의 발생 비율이 높아지는 경향이 뚜렷하였다.

  • PDF

건답직파재배(乾畓直播栽培)에서 재생지(再生紙) 멀칭에 따른 잡초발생(雜草發生)과 벼의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 (Effect of Recycled Paper Mulch on Weed Occurrence and Yield in Dry-seeding Rice Culture)

  • 이변우;최일선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81-285
    • /
    • 1998
  • 골판지 고지로 제조된 재생 멀칭지를 벼 파종시 피복하여 멀칭지의 분해, 잡초 발생, 벼의 생육 및 수량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건답상태에서는 멀칭지의 분해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관개한 후부터 분해속도가 급격히 빨라져서 파종 후 80일인 7월 20일경까지 멀칭지는 50% 정도 분해되었다. 2. 벼 생육초기에는 종이멀칭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잡초가 방제되었으며, 생육후기에는 멀칭지의 분해 및 후기잡초의 발생으로 방제효율이 다소 떨어지기는 하였지만 잡초 방제가는 제초제에 의해 잡초를 방제한 처리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3. 멀칭처리구의 수량은 무멀칭 제초제 처리구와 차이가 없었다. 4. 이상의 결과로부터 볼 때 벼 건답직파(乾畓直播)재배에서 종이멀칭에 의해 잡초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며, 수량 또한 제초제에 의해 잡초방제를 하는 관행 재배와 큰 차이가 없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벼 무논점파(철분코팅종자)재배에서 친환경 잡초관리를 위한 왕우렁이 이용 기술개발 (A Potential Biological Weed Control by Golden Apple Snail(Pomacea canaliculata) in Wet Hill Seeded Rice with Iron-coated Seeds)

  • 박광호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73-279
    • /
    • 2012
  • 본 농가 실증시험에서 대조구(관행 이앙재배 및 화학적 제초제 2회 처리방법)에 비하여 무논써레 직후 왕우렁이 치패(새끼)를 ha당 12kg 처리(1차)와 무논점파(철분코팅볍씨이용) 후 유묘 2엽기경(파종 후 15일) 왕우렁이 새끼(치패) ha당 10kg(2차) 체계투입으로 100%의 높은 논 잡초방제 효과가 인정되었다. 벼 유묘의 피해정도는 하위엽에 3%정도의 피해를 보였으나 뿌리가 활착된 상태에서 후속적인 생장점을 가진 엽의 지속적인 출현으로 벼의 초장과 분얼수에는 유의적인 피해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새끼(치패) 왕우렁이를 투입하여 무논점파재배를 한 농사실증시험에서 최종적인 수량 및 품질에서는 관행 이앙재배와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GIS 이용 잡초관리체계 연구 - 1. 우리 나라 논 잡초 발생밀도의 지역 및 연차변화 (GIS Application in Weed Management System - 1. Regional and Yearly Shifts in Weed Population)

  • 박광호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56-363
    • /
    • 1998
  • GIS를 이용한 1981 및 1992년도 우리 나라 전국 논잡초 발생량의 차이를 단위면적당 발생 본수 및 건물중을 가지고 분석한 지도자료를 통하여 보면 각각 다음과 같다. 1. 1981년과 1992년의 발생본수로 본 잡초발생 경향은 충청서부지역은 양년 모두 잡초발생이 많아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1981년에 비교적 많은 발생량을 보였던 강원일부지역은 1992년에는 발생본수가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으며, 1981년에 발생량이 적었던 전남남부지역의 발생량이 많은 것이 특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2. 1981년도의 우리 나라 논잡초 발생 량을 건물중으로 분석하여 볼 때 1992년도에 비하여 비교적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요 발생지역은 중서부지역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1981년도에 상대적으로 논잡초 발생량이 많았던 지역은 충남 당진, 서산, 태안, 청양, 대천, 보령, 공주 등이었다. 또한 건물중으로 볼 때 1992년도 우리 나라 논잡초 주요 발생지역은 중부지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992년도 논잡초 발생량이 상대적으로 많았던 지역은 경기도 화성, 안성, 용인, 시흥, 강원도 원주, 충북의 중원, 제천, 청원, 보은, 옥천, 영동, 충남의 대전, 예산, 대천, 서산, 당진, 태안, 청양, 보령, 서천, 천안, 아산, 연기, 공주, 부여, 논산, 금산지역이었다.

  • PDF

신규 수도용 제초제 Metazosulfuron입제의 생물특성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New Paddy Field Herbicide Metazosulfuron Granule for Paddy Weeds)

  • 이인용;김창석;이정란;문병철;이창규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08-312
    • /
    • 2011
  • 메타조설퓨론(metazosulfuron)은 기계이앙벼 일년생 및 다년생잡초 방제약제로서 이앙 후 15일에 ha당 30kg 사용토록 농약품목등록 예정이다. 예비시험 결과, 방제가능 일년생잡초로는 피, 가막사리, 여뀌바늘, 물달개비 등 7초종, 다년생잡초로는 너도방동사니, 벗풀, 올방개, 올챙이고랭이 등 4초종이다.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 저항성잡초인 물달개비, 알방동사니 및 올 챙이고랭이도 동시에 방제할 수 있다. 또한 처리적기 폭이 넓어 제초제 살포시기를 살포자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며, 벼 품종에 대한 약해도 없었다. 그리고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적었다.

우리나라의 잡초방제(雜草防除) 현황(現況)과 전망(展望) (Present Status and Prospect of Weed Control in Korea)

  • 안수봉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5-14
    • /
    • 1981
  • Weed is one of the problems in the crop land as well as in uncultivated land, raising the farm management costs. Therefore, the weed control is essential for effective agricultural management. The cost for weed control in Korea occupies on the average 27.6% of the total labor cost required. Agricultural policies since 1960 were transferring from yield increase due to land productivities to increase of income due to labor productivities. Therefore, the weed control by hand is also changed to weed control by chemicals. The weed control by chemicals has also brought about some side-effects and needs better, improved weed control methods. The present weed control situation and related problems were studied to present new approaches for agricultural development in the future. There were 458 species of weeds in 82 families which were growing in the crop land. The weeds to control, however, are 12 in paddy field and 9 in upland. So far weeds in paddy field are well under control, while weeds in upland are poorly controlled due to change in chemical efficiency and chemical damage in the upland. The administration, research and extension work for the efficient use of agricultural chemicals have been done by various institutions, such as Office of Rural Development, Office of Forestry, and chemical companies. The courses for agricultural chemicals were offered in the agricultural colleges. However, the efficiency of chemicals could not be maximized due to the poor relationships among related institutes. The newly established Agricultural Chemical Research Center at the Office of Rural Development and the Korean Weed Science Association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ward improving weed control in Korea. The Korean agriculture in the future will eventually be mechanized and the varieties resistant to high nitrogen application and to high plant density will be required for high yields. The rice will be transplanted earlier and the whole growing period will be extended. The application of organic matter will be increased for increasing soil fertility, and the use of agricultural chemicals will be continued. Under such a condition, the studies on the weed occurrence and its integrated control measures will be needed. Also weed controls in the newly exclaimed land, crop varieties, horticultural varieties, forage crops, and forests are also needed to study. Basic and practical researches for the weed control to improve the labor productivity will be also needed. In order to meet the all requirements for efficient weed control, weed control systems including all the academics, research and extension workers, administratives, farmers and companies should be established. Also securing researchers and education of personnels are pre-required and research funds for the chemical studies should be provided efficiently and timely.

  • PDF

벼 기계이앙재배에서 벼와 물달개비 및 벗풀 경합에 따른 예측모델 (Modeling the Competition Effect of Sagittaria trifolia and Monochoria vaginalis Weed Density on Rice in Transplanted Rice Cultivation)

  • 문병철;권오도;조승현;이순계;원종건;이인용;박재읍;김도순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88-194
    • /
    • 2012
  • 본 연구는 벼에 대한 물달개비, 벗풀의 경합에 따른 수량피해 예측과 경제적인 잡초관리를 위한 방제필요밀도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수원, 익산, 나주와 대전지역에서 얻어진 성적을 종합한 예측모델식에 따르면 논에서 물달개비의 경합력은 대전 0.0007445, 수원 0.0005713, 익산 0.000988, 나주에서 0.0008846으로 추정되었다. 벗풀의 경합력은 나주 0.001611에서 익산에서 0.002437의 범위를 보였다. 초종별 평방미터당 요방제 필요밀도는 물달개비는 중기제초제 처리시 22에서 39본으로, 벗풀은 8.8본에서 12.9본으로 추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