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addy fields

Search Result 1,046,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농업유산으로서 남원시 신기리 당산숲의 경관 특성 및 관리방안 고찰 (Perspectives on the Landscape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Scheme of Sacred Dangsan Forest in Singi-ri, Namwon-si as an Agricultural Heritage)

  • 최재웅;김동엽;윤순덕;곽민정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15-123
    • /
    • 2016
  • 이 연구는 농업유산으로서 남원시 신기리 당산숲의 경관 특성을 조사한 것으로서, 관리 개선방안 고찰을 통해 농촌마을 신기리의 활력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는 각 나라의 농지, 독특한 농업경관, 문화다양성 보호 등을 위해 '세계중요농업유산' 개념을 정립하였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촌발전을 위한 새로운 목표와 수단을 만들어 나가는 데 있어서, 농업유산이 핵심전략 자원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수 백년 이상의 당산제 역사를 갖고 있으며 농지와 연결되어 있는 농어촌 전통마을숲, 당산숲은 한국을 대표하는 '농업유산'이라고 할 수 있다. 신기리 당산숲은 두 개의 당산숲과 하나의 비보숲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395m 길이에 15m 폭을 가진 두 번째 당산숲은 조산 위에 조성되어 있다. 대부분의 당산숲은 조성 내력에 대한 기록이 없으나, 신기리 당산숲은 두 번째 당산숲 안에 조성 내력이 기록된 '토성축성기념비'가 보존되어 있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신기리 당산숲은 이러한 특징에도 불구하고 관심을 받지 못한 채 방치되어 있다. 가치 있는 경관 특성을 지닌 신기리 당산숲은 일반 대중에게 널리 인식될 필요가 있다. 신기리 당산숲이 '지리산 둘레길'과 연계되면 신기리의 농업경관, 농업유산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고, 마을 활력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조 고휴점파 시 재식본수에 따른 생육 및 수량특성 (Effects of Plant Number Per Hill on Growth and Yield of High Ridge Hill-Seeded Foxtail Millet (Setaria italica L.))

  • 정기열;박수권;강항원;조영손;전승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1권2호
    • /
    • pp.119-123
    • /
    • 2016
  • 최근 건강 기능성 농산물로 각광받고 있는 조의 생산량과 자급률 향상을 위하여 조 고휴점파 시 재식본수에 따른 생육 및 수량특성을 검토한 결과, 간장은 1, 2년차 모두 1본 처리구에서 138, 148 cm로, 가장 짧았던 5본 처리구에 비해 각각 31, 25 cm 차이를 보였으며, 재식본수가 적을수록 길어지는 경향이 뚜렷하였다. 간경은 1본 처리구에서 7.79, 7.67 mm로 굵었으며, 재식본수가 증가할수록 얇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분얼수는 1본 처리구에서 1, 2년차 모두 2.9, 2.7개로 가장 많았고, 재식본수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4, 5본 처리구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수량구성요소에서 이삭장과 이삭당 종실수는 연차간 재식본수가 적을수록 길고 많았으며, 그 결과 10a당 수량은 2본 처리구에서 이삭당 종실중과 천립중이 가장 높았던 1본 처리구에 비해 1년차에 12%, 2년차에 9% 높게 나타났다.

올방개(Eleocharis kuroguwai Ohwi)의 맹아(萌芽) 및 괴경형성(塊莖形成)에 관(關)한 연구(硏究) (Bud sprouting and Tuberization of Eleocharis kuroguwai Ohwi)

  • 김길웅;권순태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43-49
    • /
    • 1985
  • 답다년생(畓多年生) 잡초(雜草) 올방개(Eleocharis kuioguwa Ohwi)의 괴경채취(塊莖採取) 시가별(時期別) 맹아력(萌芽力) 및 식물생장(植物生長) 조절물질(調節物質)의 처리(處理)가 맹아(萌芽) 및 괴경형성(塊莖形成)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대(對)해서 연구(硏究)하여 얻어진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월동기간중(越冬期間中) 11월(月) 1일(日)에서 2월(月) 14(日)에 걸쳐 4시기(時期)에 채취(採取)한 괴경(塊莖)은 치송후(置宋後) 50일(日)까지 모두 60% 이상(以上)의 맹아율(萌芽率)을 보여 휴면성(休眠性)이 인정(認定)되나 11월(月) 1일(日)에 채취(採取)한 괴경(塊莖)의 맹아(萌芽)는 20% 미만(未滿)인 것과 1월(月) 및 2월(月)에 채취(採取)한 것과 비교(比較)할 때 초(初)겨울의 저온(低溫)에 의(依)해 휴면성(休眠性)이 상당히 타파(打破)되었다. 2. BA $10^{-6}M$ 및 GA $10^{-6}M$과의 혼합처리(混合處理)는 맹아(萌芽)된 정아(頂芽)와 측아(側芽)의 수(數)가 무처리(舞處理)에 비(比)해 각각(各各) 11배(倍) 및 10배(倍)까지 증가(增加)를 보여 BA는 올방개의 맹아촉진(萌芽促進)에 가장 효과적(效果的)이었다. 3. BA의 괴경처리(塊莖處理)는 올방개 괴경(塊莖)의 수(數)를 무처리(無處理)에 비(比)해 평균(平均) 34.4% 증가(增加)시켰으며 BA $10^{-5}M$ 처리(處理)에서 가장 높은 39.8%의 증가(增加)를 보여 처리(處理)된 생장조절제중(生長調節劑中) 괴경형성(塊莖形成)을 가장 촉진(促進)시켰다.

  • PDF

논발생(發生) 담수조류(湛水藻類)에 관(關)한 연구(硏究) - V. 시비반응(施肥反應) 및 방제(防除) (Fresh-water Algae Occurred in Paddy Rice Fields - V. Fertilizer Response and Chemical Control)

  • 이한규;박재읍;류갑희;이정운;박영선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6
    • /
    • 1993
  • 논에 발생(發生)하는 주요(主要) 조류(藻類)의 번식(繁殖)에 미치는 시비(施肥) 및 염분농도(鹽分濃度)의 영향(影響)과 약제방제법(藥劑防除法)을 구명(究明)하기 위한 시험(試驗)을 1991년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남조류(籃藻類)인 흔들말(Oscillatoria)의 발생량(發生量)은 질소비료(窒素肥料)의 증시(增施)에 따라 증가(增加)하였고 녹조류(綠藻類)인 그물말(Hydrodictyon)의 발생량(發生量)은 인산비료(燐酸肥料)의 증시(增施)에 따라 증가(增加)하였다. 2. 그물말은 질소비료(窒素肥料)에 극(極)히 민감(敏感)하여 질소비료(窒素肥料)의 증시(增施)에 따라 민감장해(敏感障害)를 일으켰다. 3. 유그레나도 다량(多量)의 질소비료(窒素肥料) 시용(施用)으로 번식장해(繁殖障害)를 보였으나 그물말에 비(比)하여 민감(敏感)하지는 않았다. 4. 흔들말, 클라도포라 및 깃돌말(Navicula)은 내염성(耐鹽性)을 보였다. 5. Piperophos/dirnethametryn은 정체성(靜滯性) 녹조류(綠藻類)인 그물말과 부유성(浮遊性) 단세포(單細胞) 녹조류(綠藻類) 및 유그레나의 방제(防除)에 효과(效果)가 높았고 propineb와 류산동(硫酸銅)도 그물말에 대(對)하여 높은 방제효과(防除效果)가 인정(認定)되었다.

  • PDF

벼 담수직파논에서 새섬매자기와 미국외풀 발생밀도에 따른 쌀 수량 감소와 경제적 방제수준 (Rice Yield Loss and Economic Threshold Levels by Densities of Scirpus planiculmis and Lindernia dubia in Wet-Seeded Rice Paddy Fields)

  • 권오도;안규남;이인;신서호;박흥규;신해룡;문병철;국용인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48-354
    • /
    • 2011
  • 벼 담수직파재배에서 잡초 경합밀도별 쌀 수량 감소는 새섬매자기의 경우, $m^2$당 24본 이상에서, 미국외풀은 48본 이상에서 유의적으로 낮아졌으며 새섬매자기($m^2$당 192본)와 미국외풀($m^2$당 386본)의 최대 경합밀도에서 각각 43%, 22% 정도 감소되었다. 새섬매자기 발생밀도에 따른 수량 예측 모델식은 Y=531.3kg/(1+0.003931x), $r^2$=0.964, 미국외풀은 Y=547.0kg/(1+0.000792x), $r^2$=0.922으로 나타나 벼에 대한 새섬매자기의 경합력이 미국외풀 보다 약 5.0배 정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ousens(1985) 방법에 따른 초종별 경제적 방제수준은 새섬매자기는 $m^2$당 7.2본, 미국외풀은 34.9본으로 나타나 이에 비해 잡초 발생밀도가 높을 때는 방제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유리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광역친환경 농업단지에서 재배된 벼의 시기별 생장과 무기성분 비교 (Comparison of Growth of Rice and Nutrient Concentration in a Season in Large-scale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Districts)

  • 정지은;최현석;정석규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03-218
    • /
    • 2017
  • 전국 광역친환경 농업단지 중 전남 장흥과 순천 그리고 충북 옥천 3개소를 대상으로 논에서 재배된 벼의 시기별 생장과 무기성분을 조사하였다. 장흥 농가는 기본 시험구와 기본 시험구에 N(질소)를 20% 추가한 유박 추가 시비구를 포함하였다. 6월 토양의 pH와 EC 그리고 K 농도는 유박 추가 시비를 포함한 장흥 농가에서 유의성 있게 높게 나타났다. 토양 1kg당 시기별 무기태 N는 이앙 후 6월에 장흥 농가가 다른 농가보다 80 mg 이상으로 많았으나 재배시기가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시기별 벼의 T-N농도는 최고 분얼기에 장흥 농가에서 높았으며 수확기에는 유의성 있는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벼의 P 농도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처리 간에 별다른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초장은 순천 농가에서 재배된 벼가 101 cm로 작았으나 건물중은 72 g으로 높게 나타났다. SPAD는 장흥 농가에서 높은 수준을 보였다. 외래품종인 밀키퀸을 재배한 옥천 농가는 완전립이 93%로 정조중과 현미, 백미 모두 ha당 생산량이 크게 증가하여서 연간 조수입도 2,671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그러나 옥천 농가는 대량의 퇴비 시비로 수확 후 토양에 잔존하는 양분수지(T-N + P + K)가 ha당 900 kg 이상으로 높은 수준을 보인 반면에 장흥 농가는 300 kg으로 낮은 수준이 관찰되었다.

다기능성 멀칭지의 개발 및 적용성 평가(제l보)-멀칭지의 저평량화를 위한 연구- (Development of Multi-functional Mulch Papers and Evaluation of Their Performance-Studies for Reducing the Basis Weight of Mulch Paper-)

  • 이학래;류정용;윤혜정;주성범;박용
    • 펄프종이기술
    • /
    • 제30권3호
    • /
    • pp.38-45
    • /
    • 1998
  • Soil and water contamination caused by the abundant use of agricultural chemicals including herbicides and fertilizers draws public concerns since these chemicals may pollute the agricultural lands as well as the food products grown on these lands. As a method to reduce the use of agricultural chemicals mulching with thin plastic film has been commonly practised for many years. Although use of the plastic film for mulching is very effective in preventing the growth of weed, it is almost impossible to remove all of the plastic film from the agricultural land and the remaining film eventually contaminates the soils. Therefore, it is very imperative to develop a mulching material that decomposes completely to prevent soil pollution problems and to enhance the competitive edge of domestic agriculture. Mulch papers are believed to have many positive characteristics in preventing problems caused by the plastic mulch film since it decomposes completely after use. However, the basis weight of mulch papers needs to be reduced to improve its handling properties and to reduce the raw material costs of pulps. In this paper the possibilities of using domestic old corrugated containers in producing mulch papers were examined. Also use of unbleached softwood kraft pulps and dry strength additives were exploited along with two-layered sheet forming technology in decreasing the basis weight of the mulch paper. Results showed that reduction of 20g/$m^2$ of basis weight of mulch paper was possible by the appropriate raw material selection and application of strength resin. To use the mulch papers in paddy fields, however, further research to improve its durability should be pursued.

  • PDF

액비시용에 따른 논 포장에서의 수질환경 영향 (Environmental impact on water quality from paddy fields treated liquid manure)

  • 장태일;손재권;최진규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276-276
    • /
    • 2015
  • 농경지에서의 액비 수요는 최근 증가하고 있으나 적정 액비시비량에 대한 기준과 사후 관리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어 환경문제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시험포장을 선정하고 논에서의 질소 및 인의 동태를 모니터링하고, 관개수, 배출수 및 침투수 중 영양물질 및 중금속 잔류 특성을 분석하였다. 시험구는 대조구(화학비료 표준시비구, A)와 양돈분뇨액비 표준시비처리구(B)로 구성하였으며, 기상관측 측정을 위하여 자동기상관측기, 유입량은 수도미터계량기로 관측하였으며, 시험포장으로부터 유출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압력식수위계를 각 처리구별로 설치하였다. 침투에 의한 영양물질의 유출부하량 평가를 위하여 침투계 1조 및 중금속 포집이 가능한 ceramic porus cup 4조를 각 처리구별로 설치하였다. 2014년 6월 9일 써래질 후, 6월 19일 $15{\times}30cm$, 1주 당 3본씩 "동진벼"를 기계이앙 실시하였고, 대조구 A는 농촌진흥청의 추천시비량, 처리구 B는 지상분무방식(액비시비 후 경운을 하는 방식 및 관개수 공급 후 액비를 시비하는 희석식)을 적용하였다. 기비 시비일은 6월 6일, 분얼비 시비일은 6월 26일, 수비 시비일은 7월 30일이었다. 강우량 대비 유출량 비인 유출률은 0.03에서 0.91까지 나타났으며, 담수의 수질조사는 평시 조사로 주 1회 실시하고 있으며, 분석결과는 SS의 경우 처리구 B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영양물질(T-N, T-P 등)의 경우는 대조구 A에서 꾸준히 높은 농도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들 농도는 시비 시기에 따라 첨두값이 다르게 나타났다. 특히 $TH_3-N$의 경우 휘발성이 강하기 때문에 처리구 B에서 매우 낮은 값을 보여주었다. 유출수의 화학성분 분석결과는 완효성인 화학비료의 특징으로 전체적으로 대조구 A에서 수질농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BOD의 경우는 처리구 B에서 높게 나타났다. 침투수의 T-N은 대조구 A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TH_3-N$의 휘발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이며, $NO_3-N$은 처리구 B에서 더 높게 나타나 토양중으로 침출되는 양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액비시용에 따른 농경지 위해성 평가와 관리방안 개발을 위한 1차년도의 연구 성과로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하여, 향후 새만금 유역내 축산밀집지역에서 나타날 수 있는 축산분뇨 관리정책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국산밀 생산을 위한 천안지역 논에서의 밀-벼 이모작 작부체계 (Wheat-Rice Double Cropping System in Rice Fields of the Cheonan Area for the Production of Domestic Wheat)

  • 김영복;양경;윤성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4권3호
    • /
    • pp.234-245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천안지역의 논에서 밀-벼 이모작 작부체계 기술을 확립하여 천안지역 호두과자 원료곡인 국산밀 생산 증진과 경지이용률 증대에 기여하고자 최근 변화하고 있는 기상여건을 분석하여 이모작 재배여건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코자 2015년부터 2017년에 걸쳐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밀 후작으로 벼는 출수 후 40일간의 적산온도 범위는 $840{\sim}920^{\circ}C$이었으며, 안전출수 한계 $800^{\circ}C$를 감안할 때 6월 29일, 7월 6일 이앙은 적합하였으나, 7월 13일 이앙은 필요적산온도에 미치지 못하였다. 일조시간은 전체적으로 최적 일조시간인 6.0~6.1.시간보다 약간 높은 6.3~6.5시간으로 조사되었다. 2. 웃거름 질소시비수준에 따른 밀의 간장 및 수장과 관련된 특성은 질소시비수준이 높을수록 간장 및 수장이 높았고, 특히 식물체의 질소농도는 고도의 상관성을 보여주었다. 3. 10a당 밀의 수량성은 질소시비량이 많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수당립수, $m^2$ 당 수수도 같은 경향이었다. 밀의 품종 간 10a당 평균수량은 수안 > 고소 > 금강 순으로 높았다. 4. 벼의 이앙~출수까지의 소요일수는 조평, 운광, 해담 순으로 짧았다. 10a당 백미수량은 이앙기가 빠를수록 증수하였으며, 6월 29일 이앙하였을 때는 3품종 모두 500 kg/10a 이상의 수량성을 보여주었다. 5. 본 시험을 통하여 천안지역 기후조건하의 논에서 이모작 적합품종은 고소밀-해담벼였다.

아밀로스 함량이 낮은 흑색 다수성 찰보리 '흑수정찰' (Waxy Black Barley (Hordeum vulgare L.) Cultivar, 'Heuksoojeongchal', with High Yield and Low Amylose Content)

  • 김양길;이미자;김경호;박종호;박태일;윤영미;최창현;손재한;강천식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504-509
    • /
    • 2018
  • '흑수정찰'은 도복에 강한 흑색 찰성 보리로 육성된 품종으로 파성은 III이며 이삭의 밀도는 밀수형이고, 까락이 긴 장망형으로 출수기는 4월 29일로 조숙종인 서둔찰보리보다 3일, 성숙기는 6월 3일로 3일 정도 늦었다. 간장은 89 cm로 서둔찰보리(82 cm) 대비 7 cm 크고, 수장은 5.0 cm로 서둔찰보리(4.4 cm)보다 컷다. $m^2$ 당 수수는 543개로 서둔찰보리보다 적었다. 1수립수 54립, 천립중(36.0 g)은 무거웠다. 리터중(622 g)은 서둔찰보리보다 가벼웠다. 토양 전염 바이러스병인 보리호위축병은 저항성이었으며, 한해는 서둔찰보리보다 약하였으나 도복은 강하였다. 품질특성 중 베타글루칸 함량(6.7%)은 서둔찰보리에 비해 높았으며 아밀로스 함량(5.5%)은 낮았다. 흑색 찰성 보리로서 백도는 낮았으나 흡수율과 퍼짐성은 비슷하였다. 수량성은 전작 재배지역에서 높았으나 전체지역 평균의 수량성은 4.33 MT/ha으로 서둔찰보리와 비슷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