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F24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7초

Lactobacillus farciminis로부터 미지의 작은 플라스미드의 분리와 염기서열 분석 (Isolation and sequence analysis of a small cryptic plasmid from Lactobacillus farciminis KCTC3681)

  • 이은모;최신건
    • 산업기술연구
    • /
    • 제28권B호
    • /
    • pp.53-57
    • /
    • 2008
  • From the extensive screening for small cryptic plasmid among about 23 lactic acid bacteria (LAB), 2.4 kb of cryptic plasmid was isolated from Lactobacillus farciminis strain KCTC 3681 and named as pLF24. The plasmid pLF24 was a circular molecule of 2,396 base-pairs in length with a G+C content of 38%. Two protein-coding sequences could be predicted. ORF1 and ORF2 showed homologies to plasmids of gram-positive bacteria. The replication protein coded by ORF2 and the plus origin, were similar to replication regions of other gram-positive bacteria as shown in plasmids such as pLH2, pLS141-1 and pLC2. The nucleotide sequence of pLF24 was deposited into Genbank data base with an accession number of EU429343. The newly isolated plasmid can be used for construction of shuttle vector in Lactobacillus bacteria.

  • PDF

발효 조건과 저장기간에 따른 나박김치의 특성 변화 (Quality Changes of Nabak Kimchi During Storage with Different Levels of Fermentation)

  • 임수연;이혜란;이종미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68-475
    • /
    • 2005
  • 본 연구는 나박김치를 초기 발효시킨 후 김치 냉장고에 저장하면서 먹을 경우 가장 적합한 초기 발효 조건을 결정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발효 온도는 $4^{\circ}C,\;15{\circ}C,\;25{\circ}C$로, 발효 시간은 12시간, 24시간으로 달리하여 초기 발효시킨 나박김치를 $4^{\circ}C$에서 저장하면서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및 관능적 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저장 24일 동안 SF25, LF25, LF15의 pH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SF4, LF4, SF15의 pH는 초기에 상승하다가 저장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적숙기의 pH $4.3{\sim}4.5$ 부근에 도달하는데 SF25는 저장 6일, LF15는 저장 21일 정도 소요되었다. 총산도는 초기 발효 직후 SF4, LF4, SF15의 세 처리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고, 다른 처리군인 LF25의 총산도가 처리군 중에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SF25, LF15 순으로 유의적으로 높았다. 환원당 함량은 모든 처리군에서 저장 기간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다가 최대치를 보이고 감소하였다. LF15, SF25 LF25의 용존 $CO_{2}$함량은 SF4, LF4, SF15의 용존 $CO_{2}$함량에 비하여 더 빠른 기간에 최대치에 달해 시원한 맛을 빠른 기일 내에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명도와 적색도는 모든 처리군에서 저장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감소하고, 황색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총균수와 젖산균수은 초기 발효 직후 LF25가 유의적으로 가장 많았으며 SF4와 LF4는 두 처리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SF4와 LF4는 처리군 중에 유의적으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총균수와 젖산균수의 변화는 용존 $CO_{2}$함량 변화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SF4, LF4, SF15는 관능검사 결과 발효가 지연되어 풋내와 짠맛이 높게 평가되었고 탄산미는 낮게 평가되었다. LF25는 관능검사 결과 다른 처리군에 비해 신맛과 이취가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15^{\circ}C$에서 24시간 발효시킨 나박김치 (LF15)와 $25^{\circ}C$에서 12시간 발효시킨 나박김치(SF25)는 탄산미와 관계가 있는 용존 $CO_{2}$함량이 저장 12일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관능검사 결과 저장 기간 동안 다른 처리군에 비해 풋내와 이취가 적으면서 탄산미가 높게 평가되어 $15^{\circ}C$에서 24시간 발효(LF15)와 $25^{\circ}C$에서 12시간 발효(SF25)가 적합한 초기 발효 조건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물김치류인 동치미나 열무 물김치도 초기 발효 조건에 따라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및 관능적 특성에 많은 차이가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노인의 식후 저혈압과 심박동변이 (Postprandial Hypotension and Heart Rate Variability in Older Adults)

  • 장애리;황선경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39-148
    • /
    • 2012
  • Purpose: A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heart rate variability (HVR) of older adults with postprandial hypotension (PPH) with older adults with no PPH. Methods: The samples were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geq}$ 60 years old) with PPH (n=35) and without PPH (n=35). HRV was measured by 10 minutes of electrocardiography using Physiolab 400 and analyzed in time domain (SDNN) and with power spectral analysis in frequency domain (TP, LF, HF, LF/HF). Blood pressure was measured every 15 minutes before and until 120 minutes after the meal. Results: All HRV parameters were lower in the PPH group compared to those with no PPH. Specifically the measures of SDNN, TP, LF, and LF/HF of the PPH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U=385.0, $p$=.008; U=361.0, $p$=.003; U=375.0, $p$=.005; U=368.0, $p$=.004, respectively). Further, the LF and LF/HF of SBP (${\geq}140$ mmHg) group and the LF/HF of DBP (${\geq}$ 90 mmHg)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x^2$=6.33, $p$=.042; $x^2$=33.10, $p$ <.001; $x^2$=11.03, $p$=.004, respectively).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autonomic nervous functions in persons with PPH are less activated than those persons with no PPH. The findings contribute to an understanding of HRV and the association of autonomic nervous function with the mechanism of PPH.

Quadrivalent Combined Vaccine, Including Diphtheria Toxoid, Tetanus Toxoid, Detoxified Whole Cell Pertussis, and Hepatitis B Surface Antigen

  • Bae, Cheon-Soon;Lim, Gwan-Yeul;Kim, Jong-Su;Hur, Byung-Ki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3권3호
    • /
    • pp.338-343
    • /
    • 2003
  • Various factors, such as the adsorption pH, adjuvant dose, and adjuvant age, which affect the adsorption degree and immunogenicity of an antigen,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the effect of pH, antigen content, and adjuvant content on immunogenicity was also studied through animal experiments. Within the ranges studied, a low pH for adsorption, freshly preformed gel, and low pH formulation for the combined DTwP-HepB vaccine were preferrable for the adsorption of the antigens. In addition, a higher DT conten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HBsAg immunogenicity in the combined vaccine. Accordingly, consider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adsorption rate and immunogenicity of the antigens, a novel DTwP-HepB vaccine (40 Lf/ml of diphtheria toxoid, 15 Lf/ml of tetanus toxoid, 20 OU/ml of detoxified whole cell pertussis, $24\;\mu\textrm{g}$ of HBsAg, $24\;\mu\textrm{g}\;Al/ml\;of \;Al(OH)_3\;gel,\;776\;\mu\textrm{g}\; Al/ml\;of\;AIPO_4\;gel$, and pH 7.1) was developed, whose immunogenicity was comparable to the case of administrating, separately and simultaneously, a combined DTwP vaccine (40 Lf/ml of diphtheria toxoid, 15 Lf/ml of tetanus toxoid, 20 OU/ml of detoxified whole cell pertussis, $300\;\mu\textrm{g}\;Al/ml\;of\; AIPO_4\;gel$, and pH 7.1) and mono HepB vaccine [$Hepavax^{\circledR},\;24\;\mu\textrm{g}/ml$ of HBsAg and $500\;\mu\textrm{g}\;Al/ml\;of\;Al(OH)_3\;gel$], which satisfies the potency criteria of the K-FDA for a combined DTwP vaccine and mono HepB vaccine.

돼지분변으로부터 분리한 유산균주들의 헬리코박터 저해력과 항균활성 및 배양특성 (Inhibiton Activity and Charateriz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from Pig Feces)

  • 문기혁;박훤범;윤정원
    • KSBB Journal
    • /
    • 제20권2호
    • /
    • pp.76-83
    • /
    • 2005
  • Lactic acid bacteria were isolated from pig feces for probiotics. The six isolated strains were identified as Lactobacillus paracasei (Lp), Lactobacillus fermentum (Lf), Lactobacillus brevis (Lb), Lactobacillus plantarum (P1 , P2), and Pediococcus pentosaceus (P3) by its sugar utilization,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Pl was showed largest antibacterial inhibition zone among the isolated strains. It was against Salmonella gallinarum 25mm, E. coli 20.5mm, Staphylococcus aures 24mm, and Pseudomonas aeruginosa 28mm by inhibitory zone, respectively. Lf was showed hyper acid tolerance, $80\%$ survival rate for 40 minutes, and P1, Lb showed hyper bile tolerance, $408\%,\;283\%$ survival rate for 9 hrs, respectively. Therefore the Lf, P1, and P2 strains were expected to probiotics.

토착미생물과 EM 활용 액비 처리가 방울토마토의 토양 화학성과 미생물상 및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rtigation with Indigenous Microorganism and EM on Soil Chemical and Microbial Properties and Growth of Cherry Tomatoes)

  • 최현석;정지식;국용인;최인영;정석규
    • 유기물자원화
    • /
    • 제27권4호
    • /
    • pp.15-24
    • /
    • 2019
  • 본 실험은 방울토마토(Lycopersicon esculentum var. cerasiforme) 농가에서 자가제조한 토착미생물 액비를 3년 및 5년간 연용 처리하였을 때 토양 화학성 및 미생물상과 작물의 생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비교하고자 수행하였다. 실험구는 3-year IM(토착미생물 3년 노지 처리구), 5-year IM(토착미생물 5년 노지 처리구), EM(effective microorganisms; EM 10년 온실 처리구)으로 분류하였고, 모두 1,000배로 희석하여 웃거름으로 관주하였다. IM과 EM 액비 자재의 pH 수준은 16주간 증가하였고 특히 EM의 pH는 1.2정도 상승하였다. IM 자재의 EC는 약간 높았지만 EM과 비슷한 수준인 0.2 dS/m으로 나타났다. 온실 내 포트 실험에서는 IM으로 처리된 토마토 뿌리의 건물중이 크게 증가하였다. 액비 처리에 따른 농가 현장 실험에서는 IM 액비 처리구의 pH는 7.5로 높았고 EC도 8.4 dS/m로 염류 과잉 수준을 보였다. EM 처리구의 유기물함량은 62 g/kg으로 가장 높았고 전질소 등 필수 무기성분 농도를 증가시키는데 영향을 끼쳤다. 하지만 IM 처리구에서도 토마토 생장을 위한 적절한 토양 화학성 수준이 관찰되었다. EM 처리구에서 세균수와 방선균수가 가장 증가하였다. EM으로 처리된 작물의 대량 무기성분 농도는 인산을 제외하고는 높게 나타났고 3-year IM과 5-year IM 처리구에서는 비슷한 무기성분 농도가 관찰되었다. 잎의 SPAD와 PSII 수준은 3-year IM 처리에서 낮게 나타났다. 토마토 작물의 엽폭, 엽장, 엽수, 수관면적, 초장, 경경은 생육 중기에는 EM 처리구에서 높은 수준이었으나 생육 후기에는 처리구 간에 비슷하였다. EM 처리로 잎 건물중은 IM 처리보다 2배 이상 높았지만 수확과수는 2배 이상 감소되었다.

Effect of remimazolam and propofol anesthesia on autonomic nerve activities during Le Fort I osteotomy under general anesthesia: blinded randomized clinical trial

  • Yuto Tsuji;Kyotaro Koshika;Tatsuya Ichinohe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24권4호
    • /
    • pp.273-283
    • /
    • 2024
  • Background: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remimazolam and propofol on changes in autonomic nerve activity caused by surgical stimulation during orthognathic surgery, using power spectrum analysis of blood pressure variability (BPV) and heart rate variability (HRV), and their respective associations with cardiovascular fluctuations. Methods: A total of 34 patients undergoing Le Fort I osteotomy were randomized to the remimazolam (Group R, 17 cases) or propofol (Group P, 17 cases) groups. Observables included the low-frequency component of BPV (BPV LF; index of vasomotor sympathetic nerve activity), high-frequency component of HRV (HRV HF; index of parasympathetic nerve activity), balance index of the low- and high-frequency components of HRV (HRV LF/HF; index of sympathetic nerve activity), heart rate (HR), and systolic blood pressure (SBP). Four observations were made: (1) baseline, (2) immediately before down-fracture, (3) down-fracture, and (4) 5 min after down-fracture. Data from each observation period were compared using a two-way analysis of variance with a mixed model. A Bonferroni multiple comparison test was performed in the absence of any interaction. One-way analysis of variance followed by Tukey's multiple comparisons test was performed when a significant interaction was observed between time and group, with P < 0.05 indicating statistical significance. Results: Evaluation of autonomic nerve activity in comparison with baseline during down-fracture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BPV LF (P < 0.001), an increasing trend in HRV LF/HF in Group P, and an increasing trend in HRV HF in Group 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HR or SBP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During down-fracture of Le Fort I osteotomy, sympathetic nerve activity was predominant with propofol anesthesia, and parasympathetic nerve activity was predominant with remimazolam anesthesia.

신체 증상 장애 환자의 심박변이도와 증상 심각도의 연관성 (Associations Between Heart Rate Variability and Symptom Severity in Patients With Somatic Symptom Disorder)

  • 김은환;김희선;함진실;김준범;오주영
    • 정신신체의학
    • /
    • 제31권2호
    • /
    • pp.108-117
    • /
    • 2023
  • 연구목적 신체 증상 장애(Somatic Symptom Disorder, SSD)는 다양한 신체 증상의 발현을 특징으로 하며, 현재까지 환자군 내에서 증상 심각도에 따른 자율신경계 활성의 차이에 대해서는 연구된 바가 거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체 증상 장애 환자군에서 심박변이도(Heart Rate Variability, HRV) 차이를 검정하여 증상 심각도에 따른 자율신경계 변화를 반영하는 대표적 지표를 분석하였다. 방 법 2020년 9월 18일부터 2021년 10월 29일까지 강남세브란스병원 정신건강의학과에 내원했던 환자 중, DSM-5 진단 기준에 따라 SSD로 진단받은 환자 총 51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수집하였다. 이후, 집단 간 인구사회학 및 임상적 선택편의 보정을 위해 역확률 가중치(Inverse Probability Treatment Weighting, IPTW)를 적용하여 HRV 지표 차이 검정을 실시하였다. 결 과 신체 증상 심각도와 LF (nu), HF (nu), LF/HF, 그리고 SD1/SD2, Alpha1/Alpha2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IPTW 적용 후 비중증군은 27명(53.0%), 중증군은 24명(47.0%)로 보정되었고, 인구사회학적 요인 및 임상적 특성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아 동질성이 확보되었다. 본 모형 분석 결과 고위험군일수록 시간 영역의 RMSSD (β=-0.70, p=0.003), pNN20 (β=-1.04, p=0.019), 주파수 영역은 LF (nu) (β=0.29, p<0.001), HF (nu) (β=-0.29, p<0.001), LF/HF (β=1.41, p=0.001), 그리고 비선형 영역에서는 SampEn15 (β=-0.35, p=0.014), SD1/SD2 (β=-0.68, p<0.001), Alpha1/Alpha2 (β=0.43, p=0.001)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검정되었다. 결 론 신체 증상 심각도에 따른 HRV 지표의 차이는 시간과 주파수 영역, 그리고 비선형 영역 전반에서 검정되었으며, 신체 증상이 심할수록 교감신경의 과활성화 및 부교감신경의 저하를 시사하는 HRV 지표들이 유의미하게 높은 경향성을 보였다.

심박변이도를 통한 침자극과 스트레스의 상관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with Acupuncture Stimulation and Stress Using Heart Rate Variability)

  • 이승기;박경모;최우진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97-209
    • /
    • 2004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case-control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cupuncture stimulation on autonomic nervous system for patients with HRV and to find out relationship with anti-stress effects. Methods : The study group consists of 24 patients with self-recognition of stress as the case group, and 20 normal person as the control group by similar age. We measured HRV of case and control groups before acupuncture stimulation, prick acupuncture in Hegu(LI4), Taichong(Liv3), Shenme(H7), Neiguan(P6), Zusanli(S36). After treating for 20 minutes, measurement values of HRV and PSV were compared for pre-acupuncture and post-acupuncture. Results : 1. LF norm, HF norm, LF/HF between the case and control groups were significant different in HRV before acupuncture stimulation in the 1st experiment. 2. HRT, SDNN, SDSD, LF norm, HF norm, and LF/HF of the case group were significant different in HRV after acupuncture stimulation in the 1st experiment. HRT of the case group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HRV after acupuncture stimulation in the 1st experiment. 3. LF norm, HF norm, LF/HF of the case group were significant different between the 1st and 2nd experiment in HRV before acupuncture stimulation. 4. LF norm, HF norm, and LF/HF were significant different between the 1st and 2nd experiment in HRV of patients whose symptoms improved. But HRV of patients whose symptoms unimproved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 The results suggest that acupuncture stimulation is associated with changed activity in the sympathetic and 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 Measurement values of HRV is suitable to estimate the activity of automatic nervous system.

  • PDF

간장 세포막의 유동성과 산화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솔잎(Pine Needle) 부탄올획분의 영향 (Effects of Pine Needle Butanol Fraction on Membrane Fluidity and Oxidative Stress in Liver Membranes of Rats)

  • 최진호;김대의;최민경;조원기;김창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1082-1087
    • /
    • 2003
  • 솔잎 추출물의 BuOH획분을 하루 25, 50, 100 mg/kg BW로써 SD계 흰쥐에 45일동안 투여하여 간장 세포막의 유동성(MF), 기초 및 유도산소라디칼(BOR 및 IOR), 산화적 스트레스로서 과산화지질(LPO) 및 산화단백질(OP), 리포푸신(LF)의 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MF은 간장의 mitochondria에서 BuOH-50 및 BuOH-100 투여군에서 16∼22%의 유의적인MF의 증가효과가 인정되었지만(p<0.01∼0.001), 간장 microsomes에서는 BuOH획분의 투여에 의한 MF의 유의적인 증가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다. BOR 및 IOR의 생성은 간장의 mitochondria에서 BuOH-25, BuOH-50, BUOH-100 투여군은 각각 11∼27% 및 11∼28%의 BOR 및 IOR의 생성 억제효과가 인정되었고(p<0.05∼0.001), microsomes에서 BuOH-50, BuOH-100 투여군 및 BuOH-25, BuOH-50, BuOH-100 투여군은 각각 l1∼24% 및 l5∼24%의 유의적인 IOR의 생성 억제효과가 인정되었다(p<0.05∼0.001, p<0.01∼0.001). LPO의 생성은 간장의 mitochondria에서 BuOH-100투여군과 microsomes에서는 BuOH-50, BuOH-100투여군에서 각각9%, 9∼l3%의 유의적인 LPO의 생성 억제효과가 인정되었고(P<0.05∼0.01), OP의 생성은 간장의 mitochondria에 서 BuOH-50 및 BuOH-100투여군에 서 10∼12%의 유의적인 OP의 생성 억제효과가 인정되었지만(p<0.05), 간장의 microsomes에서는 유의성을 인정할 수 없었다. 그렇지만, 간장의 chloroform층에서 LF의 축적은 BuOH-50, BuOH-100투여군에서 8∼9%의 유의적인 LF의 축적 억제효과가 인정되었다(p<0.05). 따라서 솔잎 추출물의 BuOH 획분의 투여는 간장의 유동성을 촉진하고 산화적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생리적 노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