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KM101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초

E. coli DNA 회복에 미치는 플라스미드 pKM101과 pSL4의 mutator 기능 (Mutator effects of plasmid pKM101 and pSL4 to E. coli DNA repair)

  • 전홍기;이상률;백형석
    • 미생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09-113
    • /
    • 1990
  • Mutator 기능을 가지는 플라스미드 pKM101과 이의 돌연변이체 pSL4를 DNA 수복능력이 다른 Esherichia coli B/r(phr, recA, uvrA, uvrB)균주들에 도입하여 돌연변이원인 UV와 MNNG에 대한 보호효과와 mutagenecity를 조사형ㅅ다. pKM101과 pLS4의 mutator 기능과 보호효과는 repair 기능에 따라 다르나 전반적으로 두 플라스미드의 UV와 MNNG에 대한 저향성과 돌연변이율을 증가시켰고 pLS4는 pKM101보다 그효과가 높았다. 이러한 pLS4와 pKM101의 기능적 차이는 이들 플라스미드의 mutator 유전자상에 일어난 변이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되었다.

  • PDF

Salmonella typhimurium내로의 pKM101 돌연변이체의 유도와 그 특성에 관한 연구 (Induction and Chatacterization of pKM101 Mutants in Salmonella typhimurium)

  • 백형석;강수형;이세영
    • 미생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89-97
    • /
    • 1982
  • Mutator effect를 가진 plasmid pKMlO1을 MNNG처리와 tetrazolium-glactcse 배지에서 MMS에, 의한 Salmonella typhimuriun의 Gal-에서 Gal+로 전환시키는 능력에 따라 pKM101 변이체들을 선택하고 이들의 성질을 chemical과 UV를 사용하여 pKM101과 비교 하였다. pKM101변이체들은 Salmonella typhimurium내에서 모두 안정하였고 정상적으로 다른 균주로 전달되었으며 picillin에 대한 저항성은 원래의 plasmid보다 같거나 높아졌다. 이들 중 두 변이체는 chemical mutagen인 MMS와 4-NQO, 그리고 UV에 의한 Salmonella typhimurimlla의 돌연변이들을 모체 pKMIOI보다 증가시켰으며 다른 변이체들은 이에 대한 효과가 감소 되었거나 전혀 잃은 것이었다. Salmonella typhimurium uvr- 변이주에 있어서 이들 변이체들의 chemical과 UV에 의한 돌연변이율에 미치는 치사효과는 모체 pKMIOI과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plasmid pKMOI의 chemical 및 UV mutator effect가 한 유전인자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

돌연변이와 DNA 손상회복에 미치는 muc 유전자의 기능 (Function of muc Gene on Mutagenesis and DNA Repair)

  • 전홍기;이상률;백형석
    • 미생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92-198
    • /
    • 1990
  • 플라스미드 pKM101과 이의 돌연변이제 pSLA의 mutator 유전자를 subcloning하여 재조합 플라스미드 pJB200과 pJB210을 선별하였고, umuC36- uvrA6-(TK 610) 균주에 도입하여 UV와 MMS에 대해서 보호효과와 돌연변이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재조합된 플라스마드는 UV와 MMS에 대해서 nonmutability인 umu- 균주에서 완전히 돌연변이율을 회복시켰고 보호효과를 크게 증가시켰다. 이 사실은 muc 유전자가 cloning된 재조합 플라스미드가 돌연변이원의 처리에 의해 효과적인 발현을 하며, muc 유전자 만으로도 pKM101의 기능을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pSLA의 muc 유전자가 그 효과에 었어서 높은 영향을 미쳤다. 또한 pKM101의 muc gene을 포함한 pJB210 은 recA - (JC2926) 균주에서 돌연변이 유발능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은 muc 유전자가 recA 유전자에 의존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플라스미드 pKM101 과 pSL4 의 muc 유전자의 발현에 관한 연구 (Expression of mue Gene on Plasmid pKM101 and pSL4)

  • 전홍기;황유경;이상률;백형석
    • 미생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371-376
    • /
    • 1992
  • 플라스미드 pKM101 과 이의 돌연변이체 pSL4 는 UV 및 MMS 에 대해 높은 치사 저항성과 돌연변이률을 나타낸다. pKM101 과 pSLA 의 mucB 유전자의 일부분과 mucA 유전자를 lacZ fusion 벡터인 pMC874 에 subcloning 시켜 플라스미드 pBH31 과 pBH30 을 선별하였고 이 플라스미드들을 $recA^{+}lexA^{-}$, $recA^{-}와lexA^{+}$, 균주에 각각 도입하였다. $recA^{+}lexA^{+}$ 균주에서 pSLA 의 muc 유전자를 포함하는 pBH30 의 $\beta$-galactosidase활성은 pKM101 의 muc 유전자가 연결된 pBH31 보다 높았고 $recA^{-}$$lexA^{-}$ 돌연변이주에서는 UV 조사의 유무에 관계없이 $\beta$-galactosidase를 유도하지 못하였지만 $recA^{-}$ 균주에서는 UV 조사를 하지 않았을 때 pBH30 의 $\beta$-galactosidase가 pBH31 보다 약간 높게 유도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pKM101 과 pSLA 의 기능적 차이가 두 플라스미드의 Muc 단백질의 구조적 차이라고 생삭할 수 있지만, muc 유전자의 조절부위가 돌연변이되너 LexA repessor 가 작용하는 부위의 변화에 의한 것이라고도 생각햐ㄹ 수 있었다. 또한, umuC-lacZ 유전자를 가지는 pBH100 를 construction 하여 umu oeron 의 발현은 UV 조사에 의해 유도되며 recA 와 lexA 유전자에 의해 조절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돌연변이율을 증가시키는 기능이 결여된 플라스미드 pKM101의 분리 및 그 특성에 관한 연구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lasmid pKM 101 mutants Deficient in Their Ability to Enhance Mutagenesis)

  • 박찬규;하지홍;이세영
    • 미생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9-34
    • /
    • 1980
  • As preliminaries for the study of Plasmid pKM101 functions nad their interaction with the host DNA repair genes, seven mutants of pKM101, visualized on tetrazolium-galactose plates, deficient in their abitity to enhance mutagenesis were isolated and paritally characterizee. They all have altered functions not only for mutagenesis against MMS and 4-NQO but for the spontaneous reversion of host cell.

  • PDF

하폐수의 자연환경에서 R plasmid와 재조합 유전자의 전이특성( I ) -$Km^rCm^r$유전자의 클로닝- (Transfer of R plasmids of Bacterial Isolates and Their Cloned R Genes in Natural Wastewater Environments (I) -Cloning of $Km^rCm^r$Gene-)

  • 김치경;이성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447-453
    • /
    • 1989
  • 항생물질 내성유전자를 유전자 조작기법으로 재조합시켜 만든 세균에서 그 유전자들이 전이되는 특성을 하폐수의 자연환경에서 연구하기 위하여, 자연계로부터 분리한 Gram 음성세균 중에서 kanamycin (Km), chloramphenicol (Cm), streptomycin (Sm), sulfadiazine(Su)에 내성을 띄는 균주로 DK1을 선발하였다. DK1 균주는 4개의 plasmid를 가지고 있으나 그 중 크기가 약 68kb인 pDK101 plasmid에 Km$^{${\gamma}$}$ Cm$^{${\gamma}$}$ 유전자를 가지고 있었다. 이 pDK101 plasmid에는 EcoRI site가 16개, PstI site가 32개, SalI site가 6개씩 있었다. pDK101 plasmid 와 vector로 사용한 pKT230을 E. coli으로 처리하여 얻은 절편들로부터 Km$^{${\gamma}$}$Cm$^{${\gamma}$}$ 유전자를 가지는 pDT309와 pDTS29 등의 chimeric piasmid를 제조하였다. 이들을 다시 E. coli C600과 E. coli HB101 에 형질전환 시킴으로써, DKC601, DKC602, DKH 102 그리고 DKH103 등의 재조합 균주를 얻었다. 이들 재조합 균주에서는 모두 Km$^{${\gamma}$}$Cm$^{${\gamma}$}$유전자가 잘 발현되었으며, 그 중 DKC601과 DKH103에서는 각각 pDT529와 pDT309의 chimeric plasmid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전기영동 방법으로 명확히 확인되었다.

  • PDF

Bacillus sp. DSNC 101이 생산하는 $\alpha$-L-Arabinofuranosidase의 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alpha$ -L-Arabinofuranosidase from Bacillus sp. DSNC 101)

  • 조남철;진종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65-68
    • /
    • 2001
  • Bacillus sp. DSNC 101의 배양 상징액으로부터 $\alpha$-L-arabinofuranosidase를 정제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정제된 효소의 분자량을 SDS-PAGE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56kDa로 나타났으며 효소 활성도에 대한 최적 온도와 최적 pH는 각각 55$^{\circ}C$와 7.0이었다. p-nitrophenyl-alpha-L-arabinofuranoside에 대한 Km 값과 Vmax는 1.0mM과 113.6U/mg이었으며 Hg$^{2+}$과 Cu$^{2+}$의 첨가는 효소 반응을 완전히 저해하였다. Ba-cillus sp. DSNC 101은 탄소원으로 볏짚을 사용할 때 $\alpha$-L-arabinofuranosidase를 생산하였으나 xylan이나 glucose, cellulose를 탄소원으로 배양할 때는 생산되지 않았다.

  • PDF

DNA Probe에 의한 $Km^r$ 유전자의 전이 추적 (Tracking of the $Km^r$ Gene in Conjugal Transfer by Using DNA Probe)

  • 이성기;김치경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83-490
    • /
    • 1992
  • 수계 환경에서 일어나는 유전자의 전이행방을 이해하기 위하여, conjugation에 의하여 전이되는 kanamycin 내성 ($Km^r$) 유전자에 대하여 DNA probe를 이용하여 Southern hybridization 방법으로 추적하였다. 자연계로부터 분리한 $Km^r$ 세균과 $Km^r$ 유전자를 유전자 조작기법으로 변형시킨 GMM 균주들을 donor로 하여 conjugation을 했을 때, $Km^r$ 유전자는 자연계 분리 균주에서보다 수질환경에 관계없이 10~00배 잘 전이되었다. LB 배지에서 GMM 균주의 $Km^r$ 유전자가 전이된 conjugant에서는 새로 생성되는 plasmid가 많이 나타났고 AW와 FW에서는 conjugation 시간에 따라 plasmid의 재배열 현상이 다양하였다. LB에서 얻은 conjugant들의 plasmid에 대하여 $Km^r$ DNA probe로 Southern analysis를 한 결과, plasmid의 재배열이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conjugant들의 $Km^r$ plasmid는 donor에서와 같은 위치에서 hybridization signal이 나타났다. 그러나 AW에서 50시간 conjugation시켰을 때 DKI의 pDK101과 DKC601의 pDT529, 그리고 AW에서 30시간 conjugation 시켰을 때 DKC600의 pDK101은 전혀 나타나지 않고, 소실되었다. 또 전이된 $Km^r$ plasmid의 크기는 AW와 FW의 수질에 따라 약간 변화되어 나타났다. 그러므로 DNA probe에 의한 Southern hybridization 방법은 수질환경에서 특정 유전자의 전이행방을 추적하는데 매우 유용하다고 판단된다.

  • PDF

강우 시 주거지역에서의 비점오염원 유출특성 분석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s during the Precipitation in Residential Area)

  • 권헌각;임태효;나승민;이춘식;천세억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91-40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주거지역에 대해 세분류 형태로 구분하여 각각에 대해 강우 시 유출수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주거 형태에 따른 비점오염원의 유출 특성을 분석해 보았다. 단독주거지역 및 아파트지역의 강우사상별 유출형태 및 농도 변화 형태를 분석한 결과 대다수의 강우사상에서 초기유출수의 농도가 높게 나타나는 형태를 나타내었으나 두 지점의 경우 강우량별 유출율의 차이가 크게 조사되었다. 평균 유출부하량은 단독주거지역의 경우 BOD $101.0kg/km^2$, SS $232.2kg/km^2$, T-N $18.2kg/km^2$, T-P $2.0kg/km^2$이며, 아파트지역의 평균 유출부하량은 BOD $108.82kg/km^2$, SS $329.18kg/km^2$, T-N $57.67kg/km^2$, T-P $4.21kg/km^2$으로 산정 되었다. 평균 EMCs는 단독주거지역에 대해 산정된 평균 EMCs의 경우 BOD 6.6 mg/L, SS 12.8 mg/L, T-N 1.518 mg/L, T-P 0.099 mg/L로 조사되었다. 아파트 지점 평균 EMCs의 경우 BOD 6.3 mg/L, COD 11.2mg/L, SS 14.5 mg/L, T-N 3.1 mg/L, T-P 0.2 mg/L로 조사되었다. 주거 형태에 따른 초기세척비율을 산정한 결과, 단독주거지역의 경우 총유출량 기준 초기 30%의 유출 시, $MFF_n$ 값이 T-P 1.04 > T-N 0.97 > BOD 0.90 > SS 0.80의 순으로 비율차이를 나타내었다. 아파트지역 n=30에서 수질항목별 $MFF_n$ 값의 경우, BOD 1.49 > T-P 1.40 > SS 1.30 > T-N 0.96의 순으로 비율차이를 나타내었다.

유전공학기법으로 변형시킨 내성유전자네 대한 수질환경에서의 전이동태

  • 이성기;김치경
    • 미생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22-331
    • /
    • 1992
  • 수질환경에서 일어나는 GEM 균주의 항생물질내성유전자의 전이동태를 연구하기 위하여, $Km^{r}$ plasmid 의 conjugation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conjugant 들에 나타나는 plasmid 의 재배열을 agarose gel 에서 비교분석하였고, DNA probe 유전자의 행방을 추구하였다. GMM 균주들 (DKC600 과 DKC601) 의 $Km^{r}$유전자는 자연계 분리균주(DK1) 보다 더 높은 전이율이 나타났으나, recipient 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다. Conjugant 들에서 나타나는 plasmid 의 재배열도 donor가 GMM 균주에서 전이된 plasmid 들은 특이하게 그 분자량이 커졌다. LB 에서 수온이 10.deg.C 보다는 25.deg.C 이상 그리고 pH 가 9 에서 5에 가까울수록$Km^{r}$ 유전자는 더 많이 전이되었으나, FW 에서는 수온과 pH 에 의한 영향이 거의 없었다. 또 FW 에서는 GMM 균주의 conjugant 들에서 chromosome 이외에 plasmid 가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 이와 같이 plasmid 들이 다양하게 재배열된 conjugant 들에서 Southern analysis 에 의하여 $Km^{r}$ 유전자의 행방을 알아본 결과, LB 에서는 DK1 뿐만 아니라 GMM 균주들의 $Km^{r}$ plasmid 가 전이된후 그대로 존재하였다. 그러나 FW 의 수질환경에서는 donor 의 $Km^{r}$ plasmid / 는 없어지고 chromosome 에서 hybridization signal 이 나타났다. 또 FW 에서는 donor 가 DK1 일 경우 pDK101 은 수온과 pH 의 영향없이 pDK101 이 그대로 전이되었다. 그러므로 LB 나 AW 에서는 DK1 뿐만 아니라 GMM 규주들의 Km$^{r}$ plasmid 가 전이된후 conjugant 에 그대로 존재하였고 기타의 plasmid 들이 다양하게 재배열되었지만, FW 수질환경에서는 DKC600 의 $Km^{r}$ 유전자가 수온이나 pH 에 상관없이 chromosome 에 integration 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