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 측정 시험

검색결과 410건 처리시간 0.034초

맞춤형화장품 베이스로서 나노에멀젼 앰플의 물성 평가 및 피부타입에 따른 만족도 평가 (Evalua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Nanoemulsion Ampoule as Customized Cosmetic Bases and Evaluation of Satisfaction According to Skin Type)

  • 김세연;안형근;김자영;윤경섭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43-355
    • /
    • 2022
  • 맞춤형화장품은 사회환경 변화와 개성을 중시하는 트렌드에 따른 화장품으로서 지속해서 언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나노에멀젼 제형과 앰플 제형의 비율을 달리함으로써 피부타입에 대응한 나노에멀젼 앰플 4 종을 제조하여, 맞춤형화장품 베이스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휘발잔분량을 달리한 나노에멀젼 앰플 4 종에 대해, 90 일 동안의 시간에 따른 입자크기, 다분산지수, 제타전위 및 점도를 측정하였으며, 콜로이드 분산계의 안정성 평가방법으로 터비스캔을 측정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인체 사용성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결과, 나노에멀젼 앰플 4 종은 지성용 시험품보다 건성용 시험품에서 휘발잔분량이 많음을 확인하였다. pH는 6.41 ~ 6.88 범위이며, 입자크기는 170 ~ 174 nm 범위로 90 일 경과 후 변화는 최대 1.2% 이내로서 입자크기 안정성에는 특이점이 없었다. 다분산지수는 모든 시험품에서 0.21 보다 작은 수치 내에서의 변화를 나타냄으로써 거의 일정하며, 단분산에 가까운 입도 분포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제타전위는 초기에 4종의 시험품 모두 -63 mV 이상이며, 시간에 따라 약간 감소 경향을 보이나 최대 2.5% 감소하는 정도로 변화가 거의 없었다. 점도는 초기에 4,100 ~ 5,100 cps 범위로 시간에 따라 감소 경향을 보여 최대 37.7% 감소하였다. 터비스캔 측정에서는 안정성의 척도인 turbiscan stability index가 모두 1.0 이하로 분산 안정성을 보였다. 피부타입에 대응한 나노에멀젼 앰플 4 종의 사용성 만족도 평가(6 점법)에서는 지성용 시험품(5.42 ± 0.67 점) > 중지성용 시험품(5.36 ± 0.67 점) > 중건성용 시험품(5.15 ± 0.69 점) > 건성용 시험품(4.75 ± 0.75 점)의 순으로 평가되었다. 나노에멀젼 앰플 4 종은 물성적으로 안정하며, 피부타입에 따른 맞춤형화장품 베이스로서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다양한 방법으로 확장 가능성도 기대된다.

볏짚을 이용(利用)한 청국장 제조(製造)에 관(關)한 연구(硏究) (Chungkook-jang Koji Fermentation with Rice Straw)

  • 김경자;류명기;김상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01-308
    • /
    • 1982
  • 볏짚을 이용한 재래식 청국장을 $40^{\circ}C$(A구) 및 $50^{\circ}C$(B구)에서 발효시키고, 일반성분, pH 및 적정산도, 질소화합물, protease의 역가 및 유리아미노산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청국장 Koji 발효중의 품온의 변화는 발효온도에 따라 A, B 시험구 모두 상이하였으나 발효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승하였다가 그후 감소하였다. 2. 수분과 조단백질 함량은 모두 발효시간의 경과에 따른 변화가 없었으며 시험구 사이에도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3. 발효과정중의 pH는 초기 6.4에서 발효 72시간후 pH는 A구가 7.46, B구가 7.82로서 완만하게 증가하였다. 4. 청국장 Koji 발효과정중의 아미노태 질소 및 수용성질소 함량은 모두 증가 현상을 보였으며, 아미노태 질소함량은 숙성후기(60)시간에는 다소 감소하였다. 5 청국장의 조지방 성분은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조섬유함량은 완만한 증가현상을 보였다. 6. 청국장 Koji 발효과정중 protease의 역가는 발효 48시간까지는 증가하여 최고에 달하였다가 이후 감소하였다. 7. 청국장 제조과정중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증자직후에는 2.7%이였으나 발효시간이 경과할수록 증가하였으며, 발효 $40^{\circ}C$에서 72시간 숙성시킨 것이(16.2%) $50^{\circ}C$ 시험구(6.9%)보다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이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발효시킨 양시료 중의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중 glutamic acid가 가장 많았으며 cysteine이 가장 적었다. 8.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청국장의 최적발효조건은 $40^{\circ}C$에서 72시간이었다. 비교를 통한 치료 선량의 정확성을 평가하고, 방사선 치료의 원활하고 정확한 수행을 위해 실용적이고, 보편적인 치료계획 시스템의 정도관리 방법과 절차서를 수립하는데에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와 모양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라디오파를 이용한 온열분포의 측정은 인체조직과 전기적 특성이 비슷한 물질인 한천 팬텀 제작하여 사용하였으며 온도분포 측정은 열전대와 서머그람으로 시행하였다. 생체조직 내에서의 온도분포와 온열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직접 개의 뇌를 이용하여 시행하였으며 4 개의 전극을 이용하여 43$^{\circ}C$로 50분간 가열하고 일주일후 개를 회생시켜 개 뇌에 대한 조직학적 검사를 시행하였다. 한편 팬텀 표면에서 중앙부로 안테나 길이가 2 cm 인 4 개의 전극을 1 cm 간격으로 정사각형이 되도록 삽입하여 가열하였을 때 90% 등온곡선이 반경 1.25의 원형으로 균일하게 분포되었고 종단면상 삽입관의 길이에 따라 균일한 온도분포가 이루어졌다. 전극을 2 cm 간격으로 삽일 하였을 때 90% 등온곡선이 1.75 반경으로 거의 4 각형의 균일한 분포를 얻었으나 전극의 간격이 증가하면 전도율이 떨어져서 전극 중심부에 불균일한 온도분포를 형성하였다. 동물실험에서 정상 개의 뇌 실질에 자입하여 직접 정방형의 중심을 43$^{\circ}C$로 유지하며 50분간 온열 요법을 시행한 후 관찰한 조직병리학적 소견은 liquefactive necrosis, pyknosis of neuronal element 및 polymorphonuclear leukocytes들의 회백질에서 급성기에 관찰되었고 liquefactive necrosis 주위에 lipid-laden macrophage들이 관찰됨이 공통적인 특정이었으며 후기변화로

  • PDF

브로일러에 있어서 항생제의 성장촉진 효과 (The Effect of Antibiotics on the Performance of Broiler Chicks)

  • 한종완;정진성;백인기;이성희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89-95
    • /
    • 1985
  • 항생제인 Spiramycin과 Virginiamycin의 성장촉진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총 360수의 육용계 (broiler chicken) 초생추를 battery에 수용하여 각각 6주씩 2차에 걸친 사양시험과 4일간의 대사시험을 실시하였다. 1차 실험에서는 고단백(21.9%), 고열량( 3159kca1/kg) 사료를 사용하였으며 180수의 숫병아리를 10수씩 무첨가구 Spiramycin(5ppm)구 및 Virginiamycin(5ppm)구에 각각 6반복씩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2차실험에서는 중단백( 19,95%), 중열량(2931 kca1/kg) 사료를 사용하고 90수의 숫병아리와 90수의 암병아리를 10수씩 분리하여 처리당 암ㆍ수 각각 3 반복씩 배치하였다. 사양시험을 통하여 얻어진 증체량, 사료섭취량, 사료효율 및 폐사율은 처리구간에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으나 1, 2차 실험 공히 항생제 B구가 무처리구(1차실험) 또는 항생제 A구(2차실험) 보다 약 3% 높은 증체량을 나타내었다. 사료효율에 있어서도 항생제 B구가 가장 좋은 경향을 보여주었다. 2차실험의 결과에 의하면 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효율에 있어서 암수간에는 유의한(p〈0.01) 차이가 있었다. 대사시험결과 항생제 B구가 타처리구보다 영양소 이용률이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1차 실험에 있어서 조지방의 이용률은 타처리에 비해 유의하게 (p〈0.01) 높았고 조섬유이용률도 항생제 A구에 비해 유의하게 (p〈0.05) 높았다. 한편 대사체중당 소장의 무게와 길이는 항생제 B구가 타처리구에 비해 무겁고 긴 경향을 보여주었다.

  • PDF

한우에 대한 현미의 사료가치 평가 (Evaluation of Feeding Value of Brown Rice in Korean Native Beef Steers (Hanwoo))

  • 오영균;김경훈;최창원;강수원;정일병;노환국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3호
    • /
    • pp.393-400
    • /
    • 2006
  • 현미의 한우에 대한 사료가치 평가를 위해 옥수수 50%와 100%를 현미로 대체한 배합사료의 반추위 발효성상, in situ 영양소 분해율, in vivo 전장소화율을 측정한 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옥수수와 현미의 체내 영양소 소화율과 영양가는 유사하였으나 반추위 내 분해율은 현미가 옥수수에 비하여 빠르게 나타났다. 옥수수와 현미가 함유된 시험사료를 급여한 후 반추위 pH는 시험사료 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NH3-N 농도는 현미 급여수준이 증가할수록 낮아졌다(P<0.05). 반추위액의 총휘발성지방산 함량은 옥수수구가 현미구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초산과 프로피온산 비율(A/P)은 옥수수구에 비해 현미를 급여한 구에서 높은 수치를 보였다(P<0.05).이러한 결과를 볼 때 소 사료에 옥수수를 대체하여 현미를 사용하는 것에 영양학적으로 문제가 되지 않으며, 특히 곡류사료 위주 사양체계 하에서 낮은 초산과 프로피온산 비율에 대한 현미의 긍정적인 효과가 기대되어 이러한 곡류 내 가용성탄수화물의 이용성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토종 순종계를 이용한 토종닭 생산 및 생산성 연구 (The Study on Production and Performance of Crossbred Korean Native Chickens (KNC))

  • 박미나;홍의철;강보석;김학규;서보영;추효준;나승환;서옥석;한재용;황보종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47-354
    • /
    • 2010
  • 본 시험은 토종닭의 교배 조합이 생산성과 도체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공시계는 4개 교배 조합으로 발생된 3원 교잡종 초생추를 이용하였다. 시험 설계는 재래계와 육용계의 교배 조합에 의해 부화된 4계통을 각각 A(CS$\times$H), B(CH$\times$S), C(RS$\times$H), D(LH$\times$B)로 하고 암수를 구분하였으며, 계통과 성별에 따라 각각 10수씩 9반복으로 총 90수를 완전 임의 배치하였다. 시험사료는 한국가금사양표준 (2007)에서 제시한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준육용계 사료를 육계 초기(CP 20.0%, ME 3,050 kcal/kg), 전기(CP 18.0%, ME 3,100 kcal/kg) 및 후기 사료(CP 16.0%, ME 3,150 kcal/kg)로 나누고, 자체 제작하여 공시하였다. 체중과 섭취량은 매주 측정하였고, 도체율은 각각, 5주령과 10주령에 조사하였다. 체중의 경우, 5주령까지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5주령 이후부터는 D계통에서 체중이 높게 나타났다(P<0.05). 증체량과 사료 섭취량은 체중과 함께 D계통이 5주령 이후로 가장 높았으며(P<0.05), 전 기간 동안의 증체량과 사료 섭취량도 D계통이 다른 계통에 비해 높았고(P<0.05), 사료 요구율도 D계통에서 가장 낮았다. 체중, 증체량, 사료 섭취량 및 사료 요구율은 D계통을 제외한 다른 계통 사이에서 차이가 없었다(P>0.05). 생체중, 도체중 및 도체율은 5주령에는 계통간 차이가 없었으나, 10주령에는 D계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이런 결과들은 한국토종닭 교잡종의 생산성적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로서 이용될 것이라 사료된다.

우분에 퇴비화 첨가제 수준이 퇴비화 과정 중 이화학적 성상변화와 줄무늬 지렁이 생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xing Ratios of Cow Manure and Composting Bulking Agent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Earthworm (Eisenia foetida) Survival)

  • 황보순;조익환
    • 유기물자원화
    • /
    • 제22권1호
    • /
    • pp.57-66
    • /
    • 2014
  • 본 연구는 가축분의 퇴비화에 일반적으로 첨가되는 왕겨를 수준별(0(CRH0구), 10(CRH10구), 20(CRH20구), 30(CRH30구) 및 40%(CRH40구))로 우분과 혼합한 다음 부숙기간별 이화학적 변화를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생존율을 조사하여 가축분의 효율적인 vermicomposting의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부숙이 경과함에 따라 3주부터 모든구에서 지렁이의 생존이 가능하였다. 처리구별 탄질비는 왕겨 혼합구가 CRH0구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왕겨 혼합구에서도 왕겨 수준을 30~40%를 혼합한 구(CRH30, CRH40)가 부숙기간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지렁이가 생존하기 시작한 3주째의 탄질비는 23.26~34.44로 나타났다. 부숙이 경과함에 따라 pH와 전기전도도는 CRH0구에서 가장 높았고(p<0.05), 왕겨 혼합 비율이 높을수록 pH와 전기전도도는 낮은 경향이었다. 지렁이가 생존하기 시작한 pH와 전기전도도는 각각 7.58~7.74와 0.41~1.17 mS/cm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우분에 왕겨를 수준별로 혼합하여 부숙 시켰을 경우 이화학적 성상 변화는 모두 지렁이 생존이 가능한 범위로 나타났으나, 우분의 효율적인 지렁이 퇴비화를 위해서는 왕겨 혼합 비율에 따른 지렁이의 생육과 증식 조사를 위한 시험이 필요하다고 사료되어 진다.

사료 단백질 및 에너지 수준이 재래닭의 성장과 혈액의 성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Energy, Protein on Growth and Blood Composition in Cross-bred with Korean Native Chicks)

  • 이현수;강보석;나재천;류경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99-405
    • /
    • 2009
  • 본 연구는 재래닭의 사료 급여 체계 확립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두 차례의 사양시험을 수행하였다. 공시 동물은 시험 1($0{\sim}5$주)에서 재래닭(우리맛닭) 1일령 수컷 720수를 사용하여 펜당 20수씩 배치하였고, 시험 2($6{\sim}10$주)에서는 동일한 종의 재래닭 35일령 480수를 펜당 20수씩 공시하였다. 사료내 에너지 수준과 CP 함량은 시험 1에서 3,000, 3,050, 3,100 kcal/kg, 21, 22, 23%이며, 시험 2에서는 3,050, 3,100, 3,150 kcal/kg, 18, 19%로 급여하였다. 조사 항목은 증체량, 사료 섭취량을 측정하여 생산성을 계산하였으며, 각 실험 종료시 혈액을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시험 1 : $0{\sim}5$주간 에너지 수준에 따른 생산 능력은 증체량에서 3,050, 3,100 kcal/kg 처리구가 3,000 kcal/kg 처리구보다 통계적으로 개선되었으며(P<0.05), CP 함량에 의한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에너지 수준에 따른 사료 섭취량은 증체량과 상이한 경향을 나타내어 3,000 kcal/kg 처리구가 3,050, 3,100 kcal/kg 처리구보다 높았으며(P<0.05), CP 함량에 의한 차이는 21% 처리구가 22, 23% 처리구보다 높게 나타내었다(P<0.05). 사료 효율은 증체량과 동일한 경향으로 3,050, 3,100 kcal/kg 처리구가 3,000 kcal/kg 처리구보다 통계적으로 개선되었으며(P<0.05), CP가 높은 수준의 사료를 급여시에 낮은 수준의 CP 처리구에 비하여 개선되었다(P<0.05). 혈중 총단백질과 글루코스, 총콜레스테롤은 에너지 수준과 CP 함량이 높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HDL은 에너지 수준이 높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LDL은 CP 함량이 낮은 처리구에서 증가하였다. 시험 2 : $6{\sim}10$주간 사료내 에너지 수준에 따른 증체량의 변화는 3,100 kcal/kg 처리구보다 3,050, 3,150 kcal/kg 처리구가 개선되었으며, CP 함량 18%처리구가 19%처리구보다 통계적으로 높았다(P<0.05). 또한, 에너지 수준에 따른 사료 섭취량은 증체량과 같은 경향을 보였으며, CP 함량 19%처리구가 18%처리구보다 개선되었다(P<0.05). 사료 효율에서 사료의 CP 함량에 의한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에너지 수준이 높아질수록 개선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혈액내 총단백질과 글루코스는 CP 함량이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중성지방은 사료의 에너지 수준이 높아질수록, CP 함량이 낮아질수록 증가하였다. HDL은 에너지 수준이 높아질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LDL은 중성지방과 같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 재래닭의 생산 능력 극대화를 위한 적정 사료의 ME와 CP 함량은 사육 전기 5주간에는 3,050 kcal/kg, 22%, 사육 후기 5주간에는 3,150 kcal/kg, 19% 수준이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육계에 있어서 옥수수 주정박의 진정 대사 에너지가 측정 및 사료내 첨가가 생산성과 영양소 이용률에 미치는 영향 (Evaluation of True Metabolizable Energy and the Effect of Corn Distillers Dried Grains with Solubles in the Diets on Broiler Performance and Nutrient Availability)

  • 홍의철;정완태;강근호;박희두;서옥석;나재천;김원;노환국;황보종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81-389
    • /
    • 2009
  • 본 연구는 아미노산 소화율과 육계의 생산성에 대하여 CDDGS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시험 1> CDDGS의 $TME_n$가는 $2,937{\pm}50.1\;kcal/kg$ 이었다. <시험 2> 공시계는 1일령 Ross종 육계 192수를 CDDGS 첨가 수준에 따라 총 4처리구, 처리당 4반복, 반복당 12수씩 완전 임의 배치하였다. 시험 사료는 육계 초기($0{\sim}2$주), 전기($2{\sim}4$주)와 후기($4{\sim}6$)의 기본 사료에 CDDGS를 0, 6, 12, 18% 첨가하였으며, ME가와 CP는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증체량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섭취량은 CDDGS 비급여구가 급여구보다 증가하였다(P<0.05). CDDGS 처리구에서 인의 소화율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아미노산 소화율은 CDDGS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lysine, threonine, aspartic acid 및 glycine에서 낮게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로부터, CDDGS는 높은 ME가를 가지고 있으며, CDDGS 첨가구는 대조구에 비해 아미노산 소화율이 낮았으나, 육계 생산성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영상처리기술에 의한 핵연료봉의 제원 측정 (Dimension Measurement of Nuclear Fuel Rods Using an Image Processing Technology)

  • 구대서;민덕기;유길성;신희성;홍권표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79-84
    • /
    • 1999
  • 영상처리 방법에 의한 핵연료봉의 제원을 측정하기 위하여 영상처리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핵연료봉의 직경을 측정하였다. 카메라와 시험체간의 거리, 카메라 위치, 조명세기 및 조명종류와 같은 요소가 핵연료봉 제원 측정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영상처리 방법에 의한 핵연료봉 직경의 백분율 측정 상대오차는 4.88%이고 백분율 측정 표준편차는 ${\pm}3.34%$였다. 한편 영상처리 방법이 아닌 기존 방법에 의한 백분율 측정 상대오차는 12.77%이고 백분율 측정 표준편차는 ${\pm}9.72%$였으며, 영상처리 방법에 의한 직경 측정 정확도가기존 방법에 의한 결과보다 약 3배정도 향상되었다.

  • PDF

사료내 비태인과 단백질 수준이 산란계의 생산 능력, 혈액의 조성, 복강지방 및 간의 아미노산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Betaine and Protein Levels on Performance, Blood Composition, Abdominal Fat and Liver Amino Acid Concentration in Laying Hens)

  • 박재홍;박수영;류경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57-163
    • /
    • 2005
  • 산란계 사료내 비태인의 첨가가 사료내 조단백질 수준에 따라 산란계의 생산성, 난 품질, 혈액 성상, 복강 지방 및 간의 아미노산 함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구명하기 위하여 산란계 18주령 ISA-Brown산란계 432수를 이용하여 24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처리구는 조단백질(14.5, $16.5\%$)과 비태인(0, 600ppm)을 각각 다른 수준으로 급여하여 $2\times2$ 요인분석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사료는 대사 에너지 수준이 2,800kcal/kg, methionine과 lysine, cysteine의 수준은 단백질 수준에 비례하도록 배합하였다. 산란율과 난중은 매일 조사하였고, 사료 섭취 량과 계란 품질은 4주마다 측정하였다. 시험 종료시 복강지방과 간을 채취하였으며, 혈액중의 총단백질과 알부민, 요산 함량을 측정하였다. 산란율은 단백질 $16.5\%$ 처리구가 $14.5\%$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비태인 급여에 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난중은 단백질 $16.5\%$ 처리구와 비태인 600ppm 첨가구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산란량 또한 단백질 $16.5\%$ 처리구와 비태인 600ppm 첨가구에서 증가하였다(P<0.05). 그리고 사료요구율도 단백질 $16.5\%$ 처리구와 비태인 600ppm 첨가구에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P<0.05). 난각강도, 난각 두께, 호유닛은 비태인 첨가로 처리구간에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혈청의 total protein과 albumin 함량은 처리구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고, uric acid는 사료내 단백질 수준에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지만, 비태인 급여 수준의 차이가 미치는 영향은 없었다. 복강지방 함량은 비태인 600ppm 첨가구에서 무첨가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감소되었다(P<0.05). 간의 아미노산 함량은 높은 단백질 수준$(16.5\%)$ 또는 비태인(600ppm) 첨가로 인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그리고 단백질 함량이 낮은 $14.5\%$ 처리구에서는 비태인을 첨가함으로써 간의 아미노산 함량에 상승 효과를 나타내었다(P<0.05). 본 시험 결과, 비태인은 산란계의 생산성을 개선시키며, 복강 지방을 감소시키고, 저단백질 사료에서 간의 아미노산 함량 증가에 효과적으로 작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