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 red pepper.

검색결과 260건 처리시간 0.03초

열무 물김치의 담금방법이 발효숙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eparation Methods on Yulmoo Kimchi Fermentation)

  • 장명숙;피재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990-997
    • /
    • 1995
  • Effect of preparation method on Yulmoo kimchi(watery kimchi prepared with Yulmoo, leaf radish) fermentation was investigated by measuring physicochemical, microbiological and sensory properties for 20 days. Yulmoo kimchi was fermented at 4$^{\circ}C$ after keeping at room temperature(27$\pm$0.5$^{\circ}C$) for 8 hours. Four types(A, B, C, D) of Yulmoo kimchi were prepared. Sample A was made without wheat flour paste and red pepper powder and sample B was made with wheat flour paste. Sample C was made with red pepper powder, and sample D was made with wheat flour paste and red pepper powder. pH was slowly lowered and stabled after 10 days in all samples. Total acid content increased in all samples. Reducing sugar content initially increased and decreased thereafter. Especially, reducing sugar content of sample B increased in the early stage of fermentation and maintained initial reducing sugar content after 20 days. Total vitamin C content reduced during fermentation in all samples. Especially initial total vitamin C content of sample D increased more than those of other samples relatiely. Lightness and yellowness showed no difference, but on the other hand redness increased gradually in all samples. The number of lactic acid bactgeria reached maximum value in 10~13 days with the total cell numbers and gradually decreased thereafter in all samples. The number of lactic acid bacteria and total cell number of sample D was much more than those of any other samples. As a result of the sensory evaluation, Yulmoo kimchi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characteristics. Sample D showed the highest scores in all characteristics before 10 days of fermentation. However, after 10 days sample B showed the highest scores.

  • PDF

Retort-pouch 된장찌개 품질에 관한 연구 (A Study of Retort-pouch Soybean Paste Pot Stew)

  • 김경자;강정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541-546
    • /
    • 1996
  • This study was attempted to evaluate quality of retort-pouched conuiment food by adding garlic, ginger, redpepper in cooking soybean paste pot stew. Cooked and storaged retort-pouch soybean paste pot stew with four different levels of garlic, ginger, red-pepper (T$_1$garlic 2%, T$_2$: ginger l%, T$_3$: red-pepper 2%,T$_4$: garlic 2%+ginger 1 %) was tested for sensory evaluation, pH, TBA value, and microbiological number changes. 1) No systematic increase of total bacteria counts was detected during the storage periods for bowl or retort pouch soybean-paste samples. The inclusions of ginger extract did not pose any microbiological safty problem. 2) Sensory evaluation conducted by fifteen university students as panelis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five samples in color, flavour, and appearance and a notable preference for T$_1$ sample. 3) There was a slowly increase of TBA value during the first 5-7 days of storage in retort-pouch and bowl. The inclusion of ginger extract at 1.0% level tended to lower TBA values.

  • PDF

고추에 대한 맥주오니(麥酒汚泥) 시용효과시험(施用效果試驗)(제(第)I보(報)) (Effect of Beer Sewage Sludge Application on Red Pepper)

  • 육창수;조성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13-120
    • /
    • 1985
  • 토양비옥도(土壤肥沃度)가 보통(普通)인 사양토양(砂壤土壤)에서 맥주오니(麥酒汚泥)를 새로나고추에 시용(施用)하여 생육(生育)과 수량(收量) 및 토양(土壤)의 화학적성질(化學的性質)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밝히고져 포장시험(圃場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고추의 초기생육(初期生育)은 한발(旱魃)로 인(因)하여 오니처리구(汚泥處理區)가 극(極)히 불량(不良)하였으나 후기(後期)에는 수분공급(水分供給)으로 엽색(葉色)이 푸르고 초세(草勢)가 양호(良好)하여 초장(草長) 절간수(節間數) 및 주간고(主幹高)에서 표준구(標準區)와 큰 차이(差異)는 없었다. 2. 주당숙과수량(株當熟果收量)은 NPK와 PK+, 오니(汚泥)1200Kg, 2400Kg, 및 4800Kg구(區)가 표준구(標準區)에 비(比)하여 각각(各各) 약간(若干) 적었다. 3. 건과율(乾果率)은 NPK+, PK+오니(汚泥)1200kg 2400Kg 및 4800Kg구(區)가 표준구(標準區)에 비(比)하여 다소(多少) 높은 경향(傾向)이었다. 4. 오니(汚泥)1200Kg/10a(N=51Kg상당(相當))시용(施用)은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로서의 비효(肥效)는 충분(充分)히 인정(認定)되었으나 시용량(施用量)의 과다(過多)로 생육조해현상(生育阻害現象)을 보였다. 5. 오니시용(汚泥施用)은 토양(土壤)의 pH를 낮게하고 토양중(土壤中)의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과 치환성염기(置換性鹽基)등을 다소(多少) 증가(增加)시켰다.

  • PDF

초고추장첨가 멸치(Engraulis japonica)육젓필레통조림의 제조 및 특성 (Processing and Characteristics of Canned Salt-fermented Anchovy Engraulis japonica Fillet using Red Pepper Paste with Vinegar)

  • 권순재;윤문주;이재동;강경훈;공청식;제해수;정제헌;김정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726-732
    • /
    • 2014
  • A traditional Korean seafood (fermented anchovy) is made from the muscle and viscera of anchovies Engraulis japonica.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torting condition on the quality of canned, salt-fermented anchovy fillet using red pepper paste with vinegar. Salt-fermented anchovy fillets were prepared by fermenting anchovies with salt (15%) at $5^{\circ}C$ for 15 days, and then cold air drying the fillets for 1 hour. Each batch of dried fermented anchovy fillets (60 g) was filled with 35 g of mixed red pepper paste with vinegar (red pepper paste 64%, vinegar 2%, starch syrup 13%, sugar 14%, coke 6%, soju 0.4%, crushed garlic 0.3%, ginger 0.3%), placed in a can (RR-90), seamed using a vacuum seamer, and sterilized for either Fo 9 or 11 min in a steam system retort at $121^{\circ}C$. After sterilization, we measured the pH, total volatile basic nitrogen (TVB-N), amino-N, color value (L, a, b), texture profile, thiobarbituric acid (TBA) value, sensory evaluation, and viable bacterial count of the canned fillets. We did not detect viable bacterial counts in cans subjected to either sterilization treatment,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physicochemical and sensory quality between the two. In fact, most sensory evaluators reported difficulty distinguishing the products. Thus, our results show that sterilization for Fo 9 min is preferable to that for Fo 11 min in the preparation of canned salt-fermented anchovy fillet using red pepper paste with vinegar.

분생포자수(分生胞子數) 및 영양상태(營養狀態)가 고추 탄저병균(炭疽病菌)(Colletotrichum dematium f. sp. capsicum)의 분생포자(分生胞子) 발아(發芽)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Conidial Number and Nutrition on the Germination of Conidia in Colletotrichum dematium f. sp. capsicum Causing Red Pepper Anthracnose)

  • 정봉구;이상범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41-46
    • /
    • 1986
  • 고추 탄저병균(炭疽病菌)(Colletrichum denzatium f. sp. capsicum)의 발아(發芽)에 미치는 영양원(營養源) 및 환경요인(環境要因)의 영향(影響)을 구명(究明)코져 slide 발아법(發芽法)으로 실시(實施)하여 얻어진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고추 탄저병균(炭疽病菌) 분생포자(分生胞子) 발아(發芽)의 온도범위(溫度範圍)는 $15{\sim}35^{\circ}C$ 이고 최적온도(最適溫度)는 $28^{\circ}C$, pH 범위(範圍)는 $4.5{\sim}8.0$이고 최적(最適) pH 는 5.5 였고 상대습도(相對濕度)는 포화(飽和)에 가까운 90% 이상(以上)의 상대습도(相對濕度)에서 발아율(發芽率)이 현저(顯著)히 좋았다. 2. 고추 탄저병균(炭疽病菌)의 포자발아(胞子發芽)는 PSB(potato sucrose broth), RPFD(red pepper fruit broth), GPFB(green pepper furit broth) 및 PLB (pepper leaf broth) 에서는 높은 발아율(發芽率)을 나타내었으나 살균증류수(殺菌蒸溜水)(D.W) 에서는 발아율(發芽率)이 현저(顯著)히 떨어지는 경향(傾向)이었다. 3. 탄소원(炭素源)과 질소원(窒素源)의 투여(投與)는 발아(發芽)에 절대적(絶對的)인 영향(影響)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確認)되었으며 K,P 및 S 등(等)의 무기염류(無機鹽類)는 뚜렷한 경향(傾向)을 보이지 않았다. 4. 탄소원(炭素源)이 발아(發芽)에 미치는 효과(效果)에서 단당류(單糖類)인 glucose 와 galactose 에서, 이당류(二糖類)인 lactose 에서 그리고 다당류(多糖類)인 가용성(可溶性) 전분(澱粉)에서 90% 이상(以上)의 높은 발아율(發芽率)을 나타내었다. 5. 현탁액(懸濁液)의 분생포자(分生胞子) 밀도(密度)가 $1{\times}10^4\;conidia/ml$ 일때 가장 높은 발아율(發芽率)을 나타내었고 $2{\times}10^4\;conidia/ml$ 이상(以上)일 때 발아율(發芽率)은 현저(顯著)히 감소(減少)되었으며 $5{\times}10^4\;conidia/ml$의 포자밀도(胞子密度)에서는 극(極)히 낮은 발아율(發芽率)을 보이는 것으로 미루어 포자밀도(胞子密度)의 증가(增加)가 self-inhibitor 로 작용(作用)하는 것으로 추측(推測)되며 기질(基質)을 제거(除去)한 분생포자(分生胞子)의 발아율(發芽率)은 기질(基質)을 제거(除去)하지 않은 분생포자(分生胞子)의 발아율(發芽率)보다 낮은 경향(傾向)을 보였으며 분생포자(分生胞子) 밀도(密度)가 증가(增加)할수록 더욱 현저(顯著)한 발아율(發芽率)의 감소(減少)를 가져왔다.

  • PDF

생홍고추를 이용한 핫소스 제조 기술 (Technical Development of Hot Sauce with Red Pepper)

  • 권동진;김유진;이성;유진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91-396
    • /
    • 1998
  • 핫소스의 수입을 억제하고 우리 기호에 적합한 한국식 핫소스를 개발하기 위하여 생홍고추를 이용한 한국식 핫소스의 제조방법을 조사하였다. 개발 대상으로 선정한 Tabasco hot sauce의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수분은 95.66% (w/w), 염도 2.79% (w/w), 적정산도 3.62% (w/w), 조섬유 0.42% (w/w), 환원당 0.03% (w/w), capsanthin 0.89% (w/w), capsaicin 4.28 mg%, pH 3.26이었다. 생홍고추를 oak통에 담아 $10^{\circ}C$에서 12개월간 숙성시켜 제조한 한국식 핫소스의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수분은 92.05% (w/w), 염도 8.82% (w/w), 적정산도 3.88% (w/w), 조섬유 3.14% (w/w), 환원당 1.78% (w/w), capsanthin 0.13% (w/w), capsaicin 2.32mg%, pH 3.29이었다. Capsaicin과 capsanthin을 제외한 환원당, 염도, 조섬유의 함량이 수입 핫소스보다 많은 편이었다. 12개월 숙성기간 동안 일반성분은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젖산균과 효모는 숙성 초기부터 숙성 3개월까지 급속히 증가하고 이후 완만히 증가하다가 숙성 8개월부터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었다. 한국식 핫소스와 수입 핫소스에 대하여 맛, 향, 색 및 전체적인 기호도에 대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한국식 핫소스가 수입 핫소스보다 기호도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고추 oleoresin의 품질안정성(品質安定性) (Studies on the Stabilities of Red Pepper Oleoresin)

  • 김치순;이규희;배정설;오만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85-90
    • /
    • 1987
  • 고추가루로부터 acetone을 추출용매(抽出溶媒)로 하여 oleoresin을 제조한 후 capsanthin과 capsaicin의 안정성(安定性)을 검토(檢討)하고, oleoresin-linoleate aqueous model system을 이용하여 ascorbic acid, 금속(金屬), 염류(鹽類), EDTA 등을 첨가하여 capsanthin의 변화(變化)를 측정(測定)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추출용매(抽出溶媒)로는 acetone이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고추가루로부터 oleoresin의 수율은 14.2%이었다. 2. Capsaicin은 capsanthin에 비하여 고온에서 상당히 안정하였으며 $pH\;3{\sim}8$에서 oleoresin중의 capsanthin과 capsaicin도 비교적(比較的) 안정하였다. 3. Ascorbic acid를 $10^{-3}M$ 첨가시 capsanthin의 산화반응에 prooxidant로서 작용하였으나 $10^{-1}M$ 첨가시에는 antioxidant로서 작용하였다. 4. $Cu^{+2}M$, $Fe^{+3}M$ 이온은 capsanthin의 산화반응(酸化反應)을 촉진시켰으며 농도(濃度)가 높을수록 영향이 컸다. 5. EDTA는 capsanthin에 대하여 항산화(抗酸化) 효과(效果)를 나타내었다.

  • PDF

고추재배를 위한 시설하우스 폐양액의 재활용 (Recycling of Hydroponic Waste Solution for Red Pepper (Capsicum annum L.) Growth)

  • 박창진;김경희;유경열;옥용식;양재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4-28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시설하우스 폐양액이 고추의 생육과 양분 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폐양액 관주시 부가적으로 얻을 수 있는 관개 효과를 산출함으로써 폐양액의 토양 시비에 따른 농업적 가치를 평가하였다. 시설하우스 폐양액의 토양 관주시 Ca, Mg K 등 염류의 증가로 인하여 pH와 EC는 상승하였고, 총질소는 암모늄태 질소와 질산태 질소의 증가와 함께 처리 후 100 mg $kg^{-1}$ 이상 증가하였다. 고추 생육은 화학비료 70% 및 폐양액 30% 혼합처리구와 화학비료 50% 및 폐양액 50% 혼합처리구에서 양호하였으며 양분 흡수도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고추 수확량은 화학비료 70% 및 폐양액 30% 혼합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1일 발생되는 폐양액(288 L 10 $a^{-1}\;day^{-1}$)을 토양에 시용하여 증발산되는 수분을 보충할 경우 최고 $409.86m^2$의 면적을 관개할 수 있는 것으로 산출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폐양액의 토양처리는 화학비료 대체 효과와 폐양액의 정화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으며 적정량 시용시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지속적인 처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빙점 강하제를 첨가한 다진 홍고추가 김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ashed Red Pepper Admixed with Various Freezing Point Depression Agent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 성정민;임정호;김순임;정진웅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861-868
    • /
    • 2009
  • 본 연구는 빙점 강하제를 첨가한 다진 홍고추의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김치에 첨가하여 특성변화를 살펴보았다. 빙점강하제로는 NaCl, glucose, pectin, ascorbic acid를 사용하였으며 비율을 달리하여 다진 홍고추에 첨가한 후 김치를 제조하여 관능평가를 한 결과 관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NaCl 함량임을 확인하였다. 이에 glucose, pectin, ascorbic acid 함량은 각각 5%, 1% 및 0.5%로 정하였으며 NaCl 함량을 3, 5 및 10%로 달리하였다. 그 결과 대조구와 3, 5, 10% NaCl 첨가한 처리구의 염도는 각각 1.92, 2.28, 2.47 및 3.10%로 NaCl 첨가에 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pH는 시료들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산도는 제조직후를 제외하고 NaCl 함량이 높을수록 낮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환원당은 저장 20일째 대조구의 경우 70% 수준 감소한 반면 NaCl 첨가구는 45~55% 감소하여 NaCl 함량이 높을수록 환원당 함량의 감소률이 적었다. 초기 vitamin C의 함량은 대조구는 37.22 mg%였으며 ascorbic acid를 첨가한 처리구들은 125.88-145.23 mg%로 2배 이상 차이를 보였으며 NaCl 첨가구의 감소율이 대조구에 비해 적었다. 젖산균수도 NaCl 함량이 높을수록 적은 경향을 보였다. 관능평가 결과 외관, 조직감은 숙성 20일째까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맛과 전반적인 기호도는 숙성기간동안 3% NaCl 처리구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순창 고추장민속마을에서 생산한 장아찌의 이화학적 특성 비교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ickles Manufactured in Folk Villages of Sunchang Region)

  • 정도영;김용석;이선규;정성태;정은정;전북대학교 응용생물공학부(식품공학);신동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92-99
    • /
    • 2006
  • 전북 순창지역의 고추장민속마을에서 생산한 장아찌 제품의 품질을 균일화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10품목의 장아찌 제품 90종을 수집하여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감, 마늘, 오이, 무, 더덕, 매실장아찌는 고추장으로 버무렸으며, 깻잎장아찌는 된장으로, 울외장아찌는 주박으로, 고추장아찌는 된장과 간장으로 버무렸다. 장아찌 제품의 수분 함량, pH 및 총산함량은 원료의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당도는 $22.10{\pm}3.04$(간장고추) - $55.53{\pm}7.67$(마늘장아찌) $^oBrix$로서 비교적 높았으며, 고추장으로 절임한 경우가 된장이나 간장 절임보다 높았다. 염도는 $3.56{\pm}1.11$(매실장아찌) - $9.15{\pm}6.35%$(간장고추)로서 매우 높았으며, 간장으로 절임한 제품에서 높았다. 경도는 제품에 따른 차이가 매우 컸으며, 총균수는 $5.62{\pm}0.10$(간장고추) - $6.83{\pm}0.55$ log CFU/g(된장깻잎)로서 비슷하였다. 결론적으로, 제품의 품질 균일화와 함께 염도가 높은 장아찌 제품들의 염도를 낮추는 제조 방법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