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53-p21 system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45초

토양에서 분리한 수종 세균의 농약분해력 검정 및 동정 (Pesticide Degradation Activity of Several Isolates of Soil Bacteria and Their Identification)

  • 박경훈;이영기;이수헌;박병준;김찬섭;최주현;엄재열
    • 농약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38-148
    • /
    • 2006
  • 농약분해에 관여하는 세균을 분리하기 위하여 연작지 시설하우스 토양 및 밭토양시료에서 procymidone, parathion, alachlor에 대해 생육저해를 받지 않는 12개의 균주를 분리한 후, 이들을 표준사용농도 및 그 1/10의 농도가 함유된 배지 상에서 가장 생육이 왕성한 2균주, B52 및 B71을 선발하여 농약 분해능을 조사하였다. 선발된 분리균을 6종의 농약(procymidone, chlorothalonil, ethoprophos parathion, alachlor, pendimethalin)이 40 mg a.i. $L^{-1}$의 농도로 함유된 TSB배지에서 분해율을 조사한 바, 대조구에 비해 분리균 B52는 최고 53.2%, 분리균 B71은 25.0%의 차이를 보여 분리균이 농약을 분해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procymidone, parathion, alachlor에 대한 분해율이 높았다. 이들 3종 농약의 농도에 따른 분해율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5{\sim}40$ mg a.i. $L^{-1}$까지는 균의 생육이 왕성하였고 농약의 분해율도 높았으나 그 이상에서는 농약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나 대체로 균의 생육과 분해율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배양일수별 분해율의 변화는 농약의 종류 및 균주에 따라 다양한 양상을 나타내었는데, B59는 parathion을 6일간의 배양으로 거의 분해하였고 procymidone과 alachlor는 배양 21일까지 거의 비슷한 속도로 분해되었다. 배양액의 pH는 농약의 분해와는 거의 상관이 없어 pH 5 이상에서는 거의 차이가 없었고 pH 4에서는 균이 거의 생육하지 못했으므로 분해율 또한 매우 낮았다. 선발균은 형태적, 생리생화학적 특성 및 미생물 동정장치를 이용하여, B59는 Acinetobacter sp. B71은 Pseudomonas sp.로 동정되었다.

Analysis of virulence traits of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from bovine mastitis in semi-intensive and family dairy farms

  • Guzman-Rodriguez, Jaquelina J.;Leon-Galvan, Ma. Fabiola;Barboza-Corona, Jose E.;Valencia-Posadas, Mauricio;Loeza-Lara, Pedro D.;Sanchez-Ceja, Monica;Ochoa-Zarzosa, Alejandra;Lopez-Meza, Joel E.;Gutierrez-Chavez, Abner J.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1권5호
    • /
    • pp.77.1-77.14
    • /
    • 2020
  • Background: Staphylococcus aureus is one of the main microorganisms that causes bovine mastitis, and its well-known virulence characteristics and interactions with the environment are used to aid the design of more efficient therapies. Objectives: To determine whether the virulence traits, such as antibiotic resistance and biofilm-forming and internalization abilities, of S. aureus isolated from bovine mastitis are related to dairy production system types. Methods: The study was performed in the Mexican states of Guanajuato and Michoacan. Semi-intensive dairy farms (SIDFs) and family dairy farms (FDFs) (454 and 363 cows, respectively) were included. The 194 milk samples from mastitis affected quarters were collected and 92 strains of S. aureus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by biochemical and molecular tests. Antibiotic resistance, biofilm and internalization assays were performed on 30 randomly selected isolated strains to determine virulence traits, and these strains were equally allocated to the 2 dairy production systems. Results: All 30 selected strains displayed a high degree of resistance (50%-91.7%) to the antibiotics tested,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SIDF and FDF isolates. S. aureus strains from SIDFs had an average biofilm forming capacity of up to 36% (18.9%-53.1%), while S. aureus strains from FDFs registered an average of up to 53% (31.5%-77.8%) (p > 0.05). Internalization assays revealed a higher frequency of internalization capacity for strains isolated from FDFs (33.3%) than for those isolated from SIDFs (6.7%) (p > 0.05). fnbpA gen was detected in 46.6% of FDF strains and 33.3% of SIDF strains, and this difference was significant (p < 0.05). Conclusions: Our findings show that the virulence traits of S. aureus isolates analyzed in this study, depend significantly on several factors, such as phenotype, genotype,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which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dairy production system type and daily management practices.

패혈증환자에서 APACHE III Scoring System의 예후적 가치 (The Prognostic Value of the First Day and Daily Updated Scores of the APACHE III System in Sepsis)

  • 임채만;이재균;이성순;고윤석;김우성;김동순;김원동;박평환;최종무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2권6호
    • /
    • pp.871-877
    • /
    • 1995
  • 연구배경: 중환자의 예후를 정량화하는 체점체계 중 APACHE III system은 중환자실 제 1병일 점수는 물론 일갱신 점수도 환자의 위험도를 갱신하는 것이 알려진 바 있어 패혈증 환자들에서 APACHE III score의 예후 지표로서의 가치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방법: 48명의 패혈증 환자들에서 후향적으로 중환자실 제 1병일, 2병일 및 3병일의 APACHE III score를 조사하여 패혈증 생존자와 비생존자 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패혈증 생존자는 비생존자에 비해 APACHE III system에 따른 중환자실 제 1병일 정수가 유의하게 낮았으며, 제 2일 및 제 3일의 점수도 각각의 전날 점수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폐혈증 비생존자의 경우 제 1병일 점수가 생존자에 비해 높았고, 제 2병일 및 제 3병일 점수 역시 각각의 전날 점수에 비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APACHE III system에 따른 제 1병일 점수 및 제 3병일까지의 점수의 일변동은 패혈증 환자의 예후를 반영하는 것으로 사려된다.

  • PDF

개방식우사내 Fan과 Sprinkler설치가 착유우의 생리적 변화 및 유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prinkler and Fan Cooling System in Loose Barn on the Physiological Parameter and Milk Productivity in Holstein Cows During Summer)

  • 정태영;이현민;김종민;김동일;이연섭;이인형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41-52
    • /
    • 1996
  • 고온다습한 여름철에 우사내 fan + sprinkler에 의한 방서대책이 Holstein착유우의 생리적 반응, 유생산성 및 유조성분 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외기 온도가 가장 높은 15:00시에 측정한 대조구와 처리구의 건구 온도, 상대 습도, 이슬점 온도 및 수증기압 등은 각각 30.15 : 30.4$0^{\circ}C$, 71.44 : 70.82%, 24.32 : 24.26$^{\circ}C$, 30.51 : 30.50mbar로 fan + sprinkler설치가 기상 조건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2. 피부온도는 대조구(34.02$^{\circ}C$)에 비하여 fan + spinkler 처리구(32.96$^{\circ}C$)가 유의하게 저하되었다(P<0.05). 또한 직장온도도 대조구가 41.21$^{\circ}C$, 처리구가 39.53$^{\circ}C$로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낮았다(P<0.05). 3. 혈청 Cortisol 농도는 대조구가 1.44$\mu\textrm{g}$/dL로 처리구의 0.90$\mu\textrm{g}$/dL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4. 평균 산유량은 대조구가 23.66kg, 처리구가 25.87kg으로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5), 시험축을 유기별로 나누어 유량을 조사한 바 대조구 보다 처리구가 비유초기, 중기 및 후기에서 각각 8.16%, 2.83% 및 12.14%의 증가를 보였으나 유의차는 없었다. 5. 우유중 유당, 유단백 및 무지고형분 등의 함량 및 생산량은 대조구와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유지방 함량의 경우 대조구가 3.22%, 처리구가 3.37%로 처리구가 0.15% point 증가했으나 유의차는 없었다. Fan + sprinkler가 설치된 시설에서 사육된 젖소에서 생산된 우유내 체세포수는 대조구에 비해 26.63%가 감소되었으나 유의차는 발견할 수 없었다. 이상의 시험 결과에서 볼 때 fan + sprinkler를 이용한 방서 방법은 고온 stress를 완화시켜 유생산성의 증가에 기여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라고 본다.

  • PDF

제주지역 학교급식 조리종사자의 HACCP 관련 지식 및 수행도 분석 (The Analysis of the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Knowledge and Performance Degree of HACCP System in Jeju)

  • 송임숙;채인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1권8호
    • /
    • pp.870-886
    • /
    • 2008
  • 본 연구는 학교급식 조리종사자들의 HACCP 관련 지식과 수행도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현재 학교급식에서 HACCP의 적용 실태를 파악하고, 조리종사자에게 필요한 교육 내용 및 방법을 규명하여 향후 학교급식에서 보다 체계적인 HACCP 시스템이 실행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영양사의 연령은 30대가 60.8%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고, 경력은 10${\sim}$15년 미만이 31.9%, 학력에 있어서는 4년제 대학 졸업자가 60.4%로 나타났는데, 이는 영양교사화로 인하여 전문학사 자격소지 영양사들이 방송통신대학 및 4년제 대학교의 편입을 통하여 학사자격을 취득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고용상태는 정규직영양사가 62.6%로 나타났고 근무학교는 초등학교가 50.5%로 절반을 차지하였으며, 급식유형은 도시형이 59.3%이고, 급식관리 방식은 단독관리가 80.2%로 나타났다. 조리종사자의 연령은 만 41${\sim}$50세가 60.7%, 근무기간은 5${\sim}$10년 미만 (34.2%), 학력은 고졸 (77.2%), 고용상태는 비정규직 조리사 (42.2%)가 가장 많았고, 조리종사자의 53.3%가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었다. 위생교육 실시횟수는 주 1회 이상 (48.4%)이, 교육방법은 구두교육 (40.7%)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위생교육에서 HACCP이 차지하는 비중은‘많이 포함된다’가 53.8%로 나타났다. 조리종사자의 대부분 (98.1%)이‘위생교육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고 HACCP 이해정도에 있어서는‘잘 이해한다’가 47.0%로 나타났으며 HACCP 관련 교육현황에서 모든 항목에 대하여 92% 이상의 높은 교육 실시율을 보였다. 조리종사자의 HACCP 지식수준은 평균 84.2점 (100점 만점)으로 나타나 보통 이상의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급식유형 (p < .001), 근무기간 (p < .05), 학력 (p < .01), 고용상태 (p < .001), 자격증 유무 (p < .001), 학교별 (p < .01)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영양사의 교육 실시 횟수가 많을수록 (p < .01), 조리종사자가 교육 경험이 있고 (p < .01), 교육 경험횟수가 많을 경우 (p < .05), HACCP에 대하여‘매우 잘 이해한다’고 응답한 경우 (p < .05)에 지식 수준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조리종사자의 HACCP 수행도는 평균 4.40점 (5점 만점)으로 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영양사의 조리종사자의 HACCP 수행도에 대한 인지도 평균은 4.13점으로‘잘한다(4점)’에 근접한 것으로 조사되어, 영양사의 인지도가 유의적으로 낮았다 (p < .001). 조사대상자의 수행도는 급식유형 (p < .05), 고용상태 (p < .05), 자격증유무 (p < .01), 학교별 (p < .01)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위생교육 실시횟수가 증가할수록 (p < .01), 교육방법에서 실연교육인 경우 (p < .05)에 수행도가 유의적으로 높았고, 조리종사자가 교육 경험이 있고 (p < .01), HACCP에 대하여‘매우 잘 이해한다’고 응답한 경우(p < .001) 유의적으로 높은 수행도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살펴볼 때, 학교급식에서 위생교육을 실시하는 영양사의 인지도와 교육받은 내용을 실천에 옮겨야 하는 조리종사자의 실제 수행도간의 차이를 올바르게 인식하여 효과적인 HACCP 교육매체 개발 및 교육방법의 활용, 조리종사자의 수준 등을 고려한 체계적인 교육실시를 통한 위생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argeted Resequencing of 30 Genes Improves the Detection of Deleterious Mutations in South Indian Women with Breast and/or Ovarian Cancers

  • Rajkumar, Thangarajan;Meenakumari, Balaiah;Mani, Samson;Sridevi, Veluswami;Sundersingh, Shirley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3호
    • /
    • pp.5211-5217
    • /
    • 2015
  • Background: We earlier used PCR-dHPLC for mutation analysis of BRCA1 and BRCA2. In this article we report application of targeted resequencing of 30 genes involved in hereditary cancer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91 patient samples were analysed using a panel of 30 genes in the Illumina HiScan SQ system. CLCBio was used for mapping reads to the reference sequences as well as for quality-based variant detection. All the deleterious mutations were then reconfirmed using Sanger sequencing. Kaplan Meier analysis was conducted to assess the effect of deleterious mutations on disease free and overall survival. Results: Seventy four of the 91 samples had been run earlier using the PCR-dHPLC and no deleterious mutations had been detected while 17 samples were tested for the first time. A total of 24 deleterious mutations were detected, 11 in BRCA1, 4 in BRCA2, 5 in p53, one each in RAD50, RAD52, ATM and TP53BP1. Some 19 deleterious mutations were seen in patients who had been tested earlier with PCR-dHPLC [19/74] and 5/17 in the samples tested for the first time, Together with our earlier detected 21 deleterious mutations in BRCA1 and BRCA2, we now had 45 mutations in 44 patients. BRCA1c.68_69delAG;p.Glu23ValfsX16 mutation was the most common, seen in 10/44 patients. Kaplan Meier survival analysis did not show any difference in disease free and overall survival in the patients with and without deleterious mutations. Conclusions: The NGS platform is more sensitive and cost effective in detecting mutations in genes involved in hereditary breast and/or ovarian cancers.

후보모돈의 실내.외 사육방식이 번식 및 이유성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aising System on the Reproductive and Weaning Performances in Replacing Gilts)

  • 김계웅;옥영수;김석은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8
    • /
    • 2009
  • 본 연구는 충남 당진군소재 대규모 양돈장에서 2007년 7월 1일부터 2008년 6월 30일까지 762복의 후보모돈에 대한 실내 외 돈방별 사육환경이 초산차 번식 및 이유형질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 분석하여 양돈농가의 모든 생산성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으며, 그 연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실내 외 사육장소간에는 유의한 차이없이 서로 비슷한 임신기간으로 각각 116.11일과 116.12일로 나타났다. 분만율은 운동장사육 후보돈에서 92.54%로 군사방 후보모돈 91.57% 보다 약간 높은 경향이었으나, 두 집단간에 유의성은 없었다. 2. 총산자수는 운동장사육 모돈 10.44두, 군사돈방 모돈 9.46두와 포유개시두수는 운동장사육 모돈이 9,77두, 군사돈방 모돈이 8.59두로 조사되었다. 운동장사육 후보모돈에서 군사돈방 후보모돈 보다 총산자수는 0.98두, 그리고 포유개시두수는 1.18두로 유의하게 양호한 성적을 보였다(p<0.001). 3. 사산수(율)는 운동장 후보모돈이 0.22두(2.10%), 군사돈방 후보모돈이 0.33두(3,53%)로 운동장사육 후보 모돈이 유의하게(p<0.01) 양호하였다. 운동장사육 후보모돈과 군사돈방 모돈의 도태두수는 각각 0.23두(2.27%)와 0.26두(2.77%)로써 서로 비슷한 성적을 보였다. 그리고 미이라 발생두수에서도 운동장과 군사돈방이 각각 0.21두(2.0%)와 0.28두(2,29%)로 사육 돈방간에 유의성 없이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4. 이유두수는 군사돈방보다 운동장에서 사육한 후보모돈이 1.22두가 유의적으로(p<0.001) 높은 성적을 보였다. 이유일령은 운동장과 군사돈방에서 각각 22.39일과 23.21일로써, 군사돈방 후보모돈보다 운동장 사육 후보모돈에서 유의적으로 짧았다(p<0.001). 자돈 이유육성율은 운동장과 군사돈방 후보모돈에서 각각 97.13%와 96.65%로 두 사육집단간에는 유의성 있는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군사돈방에서 사육한 후보모돈보다 운동장사육 후보모돈이 초산차의 번식능력이나 이유성적 등이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여러 가지 배양조건에서 돼지 난포란의 체외수정 및 체외발달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In Vitro Fertilization and In Vitro Development of Porcine Embryos in Different Culture System)

  • 김재영;박향;김재명;이정형;박흠대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9-25
    • /
    • 2004
  • 본 연구는 돼지 체외수정란의 생산에 있어서 체외배양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정액의 차이와 보관시간에 따른 체외성숙난자의 체외수정 및 체외발달율을 조사하였고, NCSU23와 G1.3/G2.3 배양액으로 체외배양 시 분할율과 체외발달율을 조사하였고, 체외배양액에 GSH를 첨가 시 배발달율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액상정액과 동결정액을 사용하여 정액에 따른 체외수정율은 각각 46.2 및 39.7%로써 액상정액을 이용한 것이 수정율이 높았지만 유의적(P<0.05)인 차이는 없었다. 한편 배반포로의 발달율은 액상정액이 동결정액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 0.05) 2. 정소상체미부 정액을 day 1, 2, 3 보관후 체외수정을 유도하였을 때 수정율은 각각 60.5, 61.0 및 56.8%로서 2일 동안 보관후 사용하였을 때가 높았지만 유의적(P<0.05)인 차이가 없었다. 또한 상실배와 배반포기까지의 배발달율에서도 2일 동안 보관 후 사용하였을 때가 높았지만 유의적(P<0.05)인 차이는 없었다. 3. NCSU-23와 G1.3/G2.3으로 나눠 배양 시 분할율과 상실배기까지의 배발달율은 각각 52.8, 62.1%와 16.0, 28.9%로서 G1.3/G2.3에서 유의적(P<0.05)인 차이로 높았다. 그러나 배반포기로의 배발달율을 각각 11.6와 4.7%로서 NCSU-23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4. NCSU-23을 기본 배양액으로 하여 1 mM GSH가 첨가된 군의 분할율은 62.3%로서 GSH가 첨가되지 않은 군 53.5%보다 유의적(P<0.05)인 차로 높았지만, 상실배나 배반포기까지의 배발달율은 GSH가 첨가되지 않은 군보다 높았지만 유의적(P<0.05)인 차는 존재하지 않았다.ne을 처리하는 것이 수태율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25^{\circ}C$에서 발현되었고 이 중 79.1%가 3일령, 4일령과 5일령에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계분의 경우 $25^{\circ}C$ 처리구에서 35.12%(56.95mg/kg), $37^{\circ}C$에서 45.89%(74.40mg/kg)로 나타나 주로 $25^{\circ}C$ 이상에서 발현한 것으로 특징지어졌다. 우분의 경우 $10^{\circ}C$ 처리구에서 28.21%(43.86mg/kg), $25^{\circ}C$에서 49.30% (76.66mg/kg)로 나타나 주로 $25^{\circ}C$ 이하에서 발현한 것으로 나타났다. 3. 배양온도에서 검지 된 뷰틸산의 량은 6일 동안 돈분에서 1,463.87mg/kg, 계분에서 96.72mg/kg, 우분에서 129.18mg/kg이 발현되었으며 돈분의 경우 93.31%(1,365.95mg/kg)가 $25^{\circ}C$에서 발현되었고 이 중 87.92%가 3일령, 4일령과 6일령에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계분의 경우 $37^{\circ}C$ 처리구에서 76.60%(74.09 mg/kg)로 발현되었고 이 중 88%가 1일령, 2일령과 5일령에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우분의 경우 61.55%(79.51mg/kg)가 $25^{\circ}C$에서 발현되었고 이 중 89.6%가 1일령, 3일령과 4일령에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4. 배양온도에서 검지된 이소밸릭산의 량은 6일 동안 돈분에서 6,885.99mg/kg, 계분에서 307.47mg/kg,

글루타민 결핍에 의한 PC3 인체 전립선 암세포의 G2/M 세포주기 억제 유발 (Induction of G2/M Cell Cycle Arrest by Glutamine Deprivation in Human Prostate Carcinoma PC3 Cells)

  • 신동역;최성현;박동일;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832-83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생체 내 구성요소 및 에너지원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글루타민 결핍에 의한 인체 전립선 PC3 암세포의 증식에 관한 기전 연구를 실시하였다. 글루타민 결핍에 의한 PC3 세포의 증식억제는 세포주기 G2/M arrest와 연관성이 있었으나, apoptosis 유발 현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글루타민 결핍에 의한 G2/M arrest는 전사 및 번역 수준에서 Cdc2, cyclin A 및 cyclin B1의 발현 억제 및 p53 비의존적인 p21(WAF1/CIP1)의 발현 증가와 연관성이 있었다. 아울러 글루타민 결핍은 Chk1 및 Chk2의 인산화를 증가시켰으나, Cdc25C의 인산화는 감소시켰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글루타민 결핍에 의한 PC3 세포의 증식억제가 apoptosis 유발과는 상관없이 G2/M arrest를 유발시킨다는 첫 번째 증거이다.

Effect of Dietary Essential Oils on Growth, Feed Utilization and Meat Yields of White Leg Shrimp L. vannamei

  • Kim, J.D.;Nhut, T.M.;Hai, T.N.;Ra, C.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4권8호
    • /
    • pp.1136-1141
    • /
    • 2011
  • Effect of dietary essential oils on growth, feed utilization and meat yields of white leg shrimp L. vannamei was investigated. White shrimp fry weighing 0.62 g were kept in one of 12 tanks (75 head/500 L holding tank) in a closed recirculation system. Four experimental diets, a commercial diet (control), phytoncide oil (PO), oregano oil (OO) and fermented garlic liquid (GL) were fed for 16 weeks. The mean water quality values for the whole experimental period were $27.8{\pm}1^{\circ}C$, $7.6{\pm}0.3$, $15.5{\pm}0.3$ g/L and $6.1{\pm}0.3$ mg/L for water temperature, pH, salinity and dissolved oxygen, respectively. At the end of the trial, 10 shrimp per tank were randomly sampled and meat yields (%) were evaluated after peeling the shell and removing the head. After a 16 week feeding trial, final weight of shrimp ranged from 21.9 g to 23.6 g. Feed convers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groups (p>0.05), which was the lowest (1.95) in the control and highest (2.30) in the PO. Specific growth rate was also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and ranged from 3.18% to 3.25%. Average daily gain of 0.2 g was obtained in all treatments. Mortality varied from 35.1% for control to 44.9% for OO. Meat yields maintained constant at 52.1% for control to 53.0% for PO. The study suggested that natural essential oils could not exert any improvement in growth performance, mortality and meat yields of white leg shrim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