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53 mutations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26초

진행된 성문상부암에서 PCR-SSCP에 의한 p53의 변이 양상과 임상적 의의 (p53 Mutations in Advanced Supraglottic Cancer)

  • 홍성언;강진오;백형환;윤경식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9권2호
    • /
    • pp.107-112
    • /
    • 2001
  • 목적 : 진행된 성문 상부암 환자에서 p53 유전자 변이 양상을 파악하고 이의 임상적 예후 인자로서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경희대학병원에서 병기 3 또는 4의 진행된 후두암으로 진단 받고 근치적 목적의 전 또는 부분 후두 절제술을 시행 받고 4600 cGy 이상의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 60례 중 적절한 조직을 확보 할 수 있었던 환자 2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직 일부는 면역 염색을 시행하였고 일부는 p53 유전인자의 exon 5번 부터 8번까지 PCR-SSCP 시행후 PCR-SSCP 상 이상 소견이 있는 환자들의 DNA를 염기서열 분석하였다. 이 결과를 임상적 소견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PCR-SSCP 검사 결과 exon $5\~8$번에서 전체 26례 중 8례$(31\%)$에서 변이를 나타내었다. 8례 모두 점돌연변이었으며 transition이 전체 8례 중 6례이었다. Exon 5번의 변이가 3례, exon 6번의 변이가 4례, axon 7번의 변이가 1예이었다. 전체 환자의 평균 생존 기간은 67.4개월 이었고 p53 변이가 없는 군이 70.2개월, p53 변이가 있는 군이 61.3개월로 p53 변이가 있는 군의 생존 기간이 감소되어 나타났으나 두 군간의 생존 기간의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596). 환자를 병기 III과 IV로 나누어 SSCP상 변이의 차이를 비교하였는데 병기 III은 양성이 $25\%$이었고 병기 IV는 $36\%$로 나타나 병기 IV 에서 약간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p=0.563). 임파절 음성인 환자 중 SSCP 양성은 $25\%$이었고 임파절 양성인 환자 중 SSCP 양성은 $42\%$이었으나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p=0.437). 결론 : PCR-SSCP 를 이용한 p53 유전인자 변이의 검색은 생존 기간, 병기, 임파절 전이 등과 관련이 없으며 예후인자로서 유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 PDF

대장암에서 PCR-SSCP와 DHPLC를 이용한 p53 돌연변이의 검출 (Detection of p53 Mutation in Colorectal Cancer Using PCR-SSCP and DHPLC)

  • 박상범;한상만;남윤형;장원철
    • 대한화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460-465
    • /
    • 2003
  • p53 유전자의 변이는 다양한 인체암 중 가장 일반적인 유전자적 변화로 알려져 있으며, 양성에서 악성 대장암으로 전이되는 과정에서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PCR-SSCP와 DHPLC를 이용하여 대장암 환자의 조직에서 p53 유전자의 엑손 5-8에서 돌연변이를 분석하였다. SSCP에서는 50개의 샘플중 엑손 5에서 C13109>T 형태의 돌연변이가 7례가(14%) 발견되었고, DHPLC에서는 C13109>T 7례와 C13202>A, C13204>G 형태의 돌연변이 2례, 모두 9례의(18%) 변이가 검출되었다. DHPLC 분석법을 이용하여 SSCP에서 발견하지 못했던 2례(4%)의 변이를 더 발견하였다. 최종적으로 염기서열분석법을 통해 위의 결과를 확인하였고, p53 돌연변이 검출법으로 SSCP보다 DHPLC가 더 감도가 좋고 효과적인 검출법임을 확인하였다.

구강종양에서 p53 종양억제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UTATIONS OF P53 TUMOR SUPPRESSOR GENE IN ORAL TUMORS)

  • 주성채;표성운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6권1호
    • /
    • pp.45-52
    • /
    • 2000
  • Nowadays, there are a lot of evidence that mutation of the p53 tumor suppressor gene is one of the most common genetic abnormalities in neoplastic progression. In this study, we analyzed 20 specimens of oral tumors(squamous cell carcinoma 14 cases, ameloblastoma 3 cases, adenoid cystic carcinoma 2 cases, malignant schwannoma 1 case)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direct sequencing which used an automated DNA sequencer and software for detection of mutations. Polymerase chain reactions were performed with 4 sets of primers encompassing exon 5, 6, 7, 8, and direct sequencing method was employed.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1. We detected 10 point mutations out of 20 specimens (50%). 2. The genetic alterations included 7 mis-sense mutations resulting in single amino acid subtitutions, 2 silent mutations, 1 non-sense mutations encoding a stop codon. 3. Mutations were mostly in exon 7(7 out of 10 mutations, 70%) and involved codons 225, 234, 235, 236, 238, 247. 4. Therse were 4 cases of $T{\rightarrow}A$ transversion, 2 cases of $C{\rightarrow}A$ transversion, $A{\rightarrow}G$ transition, 1 case of $C{\rightarrow}G$, $T{\rightarrow}G$ transversion respectively. 5. We could find out point mutations more conveniently using PCR - Automated Direct Sequencing method.

  • PDF

Absence of P53 Gene Mutations in Exons 5 - 7 Among Breast Cancer Patients of Bengalee Hindu Caste Females, West Bengal, India

  • Roy, Abhishikta Ghosh;Sarkar, B.N.;Roy, Rakesh;Rao, V.R.;Bandyopadhyay, A.R.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9호
    • /
    • pp.4477-4479
    • /
    • 2012
  • Background: The high incidence and relatively good prognosis of breast cancer has made it the most prevalent cancer in the world today. A large number of distinct mutations and polymorphisms in the p53 gene have been reported worldwide, but there is no report regarding the role of this inherited susceptibility gene in breast cancer risk among the Bengalee Hindu Caste females of West Bengal, India. Aim of the Study: We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and the nature of p53 gene mutations and polymorphisms in exons 5-7 in a cohort of 110 Bengalee Hindu breast cancer patients and 127 age, sex and caste matched controls by direct sequencing. Results: We did not observe any mutations and polymorphisms in our studied individuals. Conclusion: We therefore conclude that mutations in exons 5-7 of p53 gene are rare causes of breast cancer among Bengalee Hindu caste females, and therefore of little help for genetic counseling and diagnostic purposes.

사람 폐암과 췌장암 세포주에서 K-ras p53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대한 연구 (Mutational Analysis of K-ras and p53 Genes in Human Lung and Pancreatic Carcinoma Cell Lines)

  • 정경이;정노팔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31-238
    • /
    • 1996
  • 여러 종류의 폐암과 췌장암 세포주를 배양하여 DNA를 분리하였다. 분리한 DNA는 PCR(Polymerase Chain Reaction)로 증폭하여 염기 서열화를 시행하여 K-ras와 p53 유전자들의 돌연변이 종류. 빈도 및 가능한 관계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연구한 암세포주 중 약 81%가 종양 유전자 K-ras와 암 억제 유전자 p53 중 적어도 하나의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었으며 두 유전자 각각에 대해서는 암 세포주 중 약 54.5%에서 돌연변이가 나타났다. 발견된 돌연변이의 종류는 1개의 세포주에 발견된 넌센스 돌연변이 이외에는 모두 미스센스 돌연변이가 일어났으며 2개의 세포주에서 일어난 염기 삽입이외에는 모두 염기 치환이 일어났다. 현재까지 p53 코돈 중 ras와 동시에 돌연변이가 일어난다고 보고된 코돈 이외에도 p53 코돈 164-165과 248이 K-ras와 동시에 돌연변이가 발생하였고, p53 유전자의 돌연변이의 위치에 관계없이 K-ras 유전자에서는 exon 1. 코돈 12개에서 돌연변이가 발생하였다.

  • PDF

위암조직에서 p53 유전자의 돌연변이 (p53 Gene Mutation in Gastric Cancer Tissue)

  • 구기범;박성훈;정호영;이명훈;유완식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6권4호
    • /
    • pp.214-220
    • /
    • 2006
  • 목적: 종양 억제, 세포 주기 조절 및 세포 고사의 기능과 연관 있는 유전자인 p53은 인간 종양에서 가장 흔히 발견되는 돌연변이 유전자로 알려져 있다. 위암에 있어서 p53의 돌연변이 정도와 생존율 등을 비교하여 각각의 상관관계와 예후 인자로써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9년 3월부터 2001년 4월까지 경북대학교병원에서 위암으로 수술한 331명 환자의 조직을 이용하여, polymerase chain reaction single-strand conformation polymorphism 방법으로 p53 돌연변이를 확인하고, 환자의 임상 병리학적 인자와의 관계를 비교하였고, 환자의 생존율을 비교하였다. 결과: 전체 331명의 환자들의 조직 중 66예(19.9%)의 조직에서 p53 돌연변이가 관찰되었다. 이들 66예 중에서 exon 5에서 23예, exon 6에서 8예, exon 7에서 21예, exon 8에서 17예의 돌연변이를 보였는데, 이중 3예에서 2개의 exon에 돌연변이(exon 5와 exon 6, exon 6과 exon 7, exon 6과 exon 8)를 보였다 p53 돌연변이는 나이와 성별, 육안형, 병리학적 병기, 조직학적 분류, 종양의 위치에 따라서 차이는 없었으나, 장형 156예 중 36예(23.1%), 미만형 145예 중 19예(13.1%)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07), p53 돌연변이에 따른 생존기간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632). Exon 5는 장형(9.7%)에서 미만형(2.8%))보다 p53 돌연변이 빈도가 높았고(P=0.024), 림프절 전이가 있는 군에서 림프절 전이가 없는 군보다 p53 돌연변이의 빈도가 유의하게 높았다(25.0% vs 15.6%, P=0.034). 나머지 항목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근치적 절제술을 시행한 예에서의 p53 돌연변이에 따른 생존율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704). 결론: p53 돌연변이는 위암 환자의 예후인자로써 가치가 충분하지 않다.

  • PDF

유잉육종의 p53 돌연변이 (p53 Mutations in Ewing's Sarcoma)

  • 배대경;선승덕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143-151
    • /
    • 2000
  • 목적 : p53 종양억제 유전자는 사람의 암에서 변형이 가장 많이 발견되는 유전자로 유잉 육종에서 p53 유전자의 변형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유잉육종 환자 35례의 파라핀 블록을 사용하였으며, 유전자의 결핍과 p53 유전자의 염기서열의 변형을 관찰하였다. 결과 : 정성적인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이용한 p53의 4-9번까지의 유전자검사중 2례에서 동일성의 유전자 결핍이 관찰되었으며, exon 5-8의 유전자 중합효소 연쇄반응에서는 3례에서 missense 점돌연변이가 관찰되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p53은 유전적으로 적은 부분에서 유잉육종에 관여하는 것으로 관찰 되었다.

  • PDF

Targeted Resequencing of 30 Genes Improves the Detection of Deleterious Mutations in South Indian Women with Breast and/or Ovarian Cancers

  • Rajkumar, Thangarajan;Meenakumari, Balaiah;Mani, Samson;Sridevi, Veluswami;Sundersingh, Shirley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3호
    • /
    • pp.5211-5217
    • /
    • 2015
  • Background: We earlier used PCR-dHPLC for mutation analysis of BRCA1 and BRCA2. In this article we report application of targeted resequencing of 30 genes involved in hereditary cancer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91 patient samples were analysed using a panel of 30 genes in the Illumina HiScan SQ system. CLCBio was used for mapping reads to the reference sequences as well as for quality-based variant detection. All the deleterious mutations were then reconfirmed using Sanger sequencing. Kaplan Meier analysis was conducted to assess the effect of deleterious mutations on disease free and overall survival. Results: Seventy four of the 91 samples had been run earlier using the PCR-dHPLC and no deleterious mutations had been detected while 17 samples were tested for the first time. A total of 24 deleterious mutations were detected, 11 in BRCA1, 4 in BRCA2, 5 in p53, one each in RAD50, RAD52, ATM and TP53BP1. Some 19 deleterious mutations were seen in patients who had been tested earlier with PCR-dHPLC [19/74] and 5/17 in the samples tested for the first time, Together with our earlier detected 21 deleterious mutations in BRCA1 and BRCA2, we now had 45 mutations in 44 patients. BRCA1c.68_69delAG;p.Glu23ValfsX16 mutation was the most common, seen in 10/44 patients. Kaplan Meier survival analysis did not show any difference in disease free and overall survival in the patients with and without deleterious mutations. Conclusions: The NGS platform is more sensitive and cost effective in detecting mutations in genes involved in hereditary breast and/or ovarian cancers.

두경부 종양에서 DHPLC를 이용한 p53체세포 돌연변이 검출 연구 (Analysis of p53 Somatic Mutation in Head and Neck Cancer Using Denatur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DHPLC))

  • 김광열;박상범;한상만;남윤형;장원철
    • 대한화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33-38
    • /
    • 2004
  • 두경부 편평 세포암종(HNSCC: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의 발생과 관련하여 p53 종양 억제 유전자 (tumor suppressor gene) 의 돌연변이는 높은 비율로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단국대학교 병원에서 두경부 종양으로 진단 받고 수술 받은 환자의 조직 50개를 대상으로 p53 종양 억제 유전자의 exon 5-8 까지의 영역에서 DNA를 추출하여 PCR-SSCP(polymerase chain reaction single strand conformational polymorphism) 방법과 DHPLC(denatur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방법으로 p53체세포 돌연변이(somatic mutation)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SSCP 분석 방법은 16개(32%), DHPLC 분석 방법은 17개(34%) 를 검출하였고 그 중 SSCP와 DHPLC 분석 방법 모두 exon 8번에서 결실(deletion) 형태의 돌연변이를 확인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자동 염기 서열 분석기(automatic DNA sequencer) 를 통하여 모든 돌연변이를 확인하였다. DHPLC 분석방법이 SSCP 방법보다 분석 시간이나 노력이 덜 소모되며 보다 더 정확한 돌연변이 검출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흡연과 암 (Smoking and Cancer: a Review of the Recent Evidence)

  • 김남득;전성실
    •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9-14
    • /
    • 1998
  • By far, the largest known preventable cause of cancer is cigarette smoking. The percentage of cancer deaths in Korea due to tobacco is still increasing. Smoking cigarette at an early age has become more common among women. Tobacco consumption is related causally to cancer to the lung, mouth, larynx, esophagus, bladder, kidney, uterine cervix, and pancreas. Recently, several studies demonstrated that there is very strong correlation between cigarette smoking and p53 mutations in lung cancer, head and neck cancer, and bladder cancer. The recent findings of cigarette smoking and cancer, p53 and bcl-2 mutations, adverse effects of smoking on the effects of radiotherapy, and benefits of quitting will be discuss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