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53 돌연변이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22초

비소세포폐암에서 p53유전자의 구조적 이상 및 단백질 발현이 예후에 미치는 영향 (Correlation of p53 Protein Overexpression, Gene Mutation with Prognosis in Resected Non-Small Cell Lung Cancer(NSCLC) Patients)

  • 이이형;신동환;김주항;임호영;정경영;양우익;김세규;장준;노재경;김성규;이원영;김병수;김병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1권4호
    • /
    • pp.339-353
    • /
    • 1994
  • 연구배경 : p53 유전자는 염색체 17p에 존재하는 종양억제유전자인데, 돌연변이가 있는 경우의 mutant protein은 그 반감기가 4~8시간으로 wild type protein의 반감기 6~20분에 비하여 현저한 증가를 보이게 된다. 결과적으로 돌연변이가 있는 경우 p53 단백질이 과축적되어 과발현이 유발되는데, 이러한 기전을 이용하여 p53 면역조직화학염색은 p53유전자의 돌연변이의 검색 방법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유방암에서는 p53 핵단백질의 과발현이 있는 경우에 없을 때보다 무병생존기간 및 전체 생존기간 모두에서 유의하게 나쁜 임상 경과를 취함이 보고되고 있지만 폐암에서는 p53 유전자의 돌연변이 유무, 또는 p53단백의 과발현 유무가 예후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까지 확실하지 않다. 저자 등은 한국인의 폐암에서 p53 종양억제 유전자의 돌연변이 빈도를 확인하고 이들이 폐암 환자의 임상 경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며, 면역조직화학염색 및 PCR-SSCP 분석의 감수성과 특이성을 염기서열분석과 비교하여 확인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근치적 폐절제술 후 임상경과를 추적중인 원발성폐암환자 75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면역조직화학검사 및 분자생물학적 연구를 위하여는 이들의 종양조직(paraffin block)을 이용하였다. p53 단백질의 면역조직화학검사를 위한 일차항체로는 DO7(Novocastra, U.K.)을 사용하였고, PCR-SSCP 및 염기서열분석 등을 위하여는 파라핀 포매조직에서 암조직을 선택적으로 박절하여 DNA를 추출하여 이용하였다. 결과: 1) 전체 75예 폐암환자의 면역조직화학염색 결과 27예(36%)에서 p53단백질의 과발현을 보였다(Table 2.3, Fig 1). 2) 전체 환자의 p53 핵단백질 과발현 여부에 따른 중앙전체생존기간은 p53 음성군과 양성군 모두 25개월, 무병생존기간은 두군 모두 13개월로 동일하였다(Fig. 2). 3) PCR-SSCP 분석에 의한 p53 유전자의 mobility shift는 시험한 58예중 16예(27.6%)에서 확인되었다(Fig 3). Mobility shift 유무에 따른 중앙전체생존기간은 shift가 있는 군과 없는 군에서 각각 27개월과 20개월, 무병생존기간은 각각 8개월, 10개월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염기서열분석을 통한 p53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시험한 29예중 10예(34.5%)에서 확인되었다(Fig 4). 염기서열분석 결과 돌연변이 유무에 따른 중앙전체생존기간은 돌연변이가 있었던 군과 없었던 군에서 각각 27개월, 22개월이었으며, 무병생존기간은 각각 20개월과 10개월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돌연변이가 있는 경우 조기재발을 하는 경향을 보였다(Fig 5, 6). 5) 면역조직화학염색은 PCR-SSCP 결과를 기준으로 할 때 민감도 67.0%, 특이도 74.0%, 그리고 일치도는 62.5% 이었다. PCR-SSCP의 결과는 염기서열분석 결과를 기준으로 할 때 민감도 91.8%, 특이도 96.2%, 일치도는 95.3% 이었다. 결론 : p53 핵단백질의 과발현 정도, PCR-SSCP 및 염기서열분석상 돌연변이 유무는 비소세포폐암환자의 근치적수술후 예후의 예측지표로서는 그 효용성이 적었으나, 돌연변이가 있는 경우 조기재발을 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p53유전자의 돌연변이 검색법으로는 면역조직화학염색보다는 PCR-SSCP법이 우수하였다.

  • PDF

위암 환자에 있어서 p53 유전자 돌연변이, 종양 p53 단백질 과발현 및 혈청 p53 항체 (p53 Gene Mutation, Tumor p53 Protein Overexpression, and Serum Anti-p53 Antibody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 봉진구;이명훈;송경은;김태봉;유완식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3권4호
    • /
    • pp.206-213
    • /
    • 2003
  • Purpose: The clinical implication of p53 mutation in gastric cancer is still unclear, as shown by the discordant results that continue to be reported in the literature. Materials and Methods: To assess p53 gene mutation, tumor p53 overexpression, and serum anti-p53 antibody, we employed a polymerase chain reaction-single strand conformation polymorphism (PCR-SSCP) analysis, an immunohistochemistry using monoclonal antibody DO-7, and an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respectively. Results: Of 169 surgical specimens of gastric cancer, mutation at exon $5\∼8$ of the p53 was identified in 33 ($19.5\%$) and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lymph node metastasis. Overexpression of p53 was found in 62 specimens ($36.7\%$) and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umor differentiation. Serum anti-p53 antibody was positive in 18 patients ($10.7\%$). Twenty-three of the mutated tumors ($69.7\%$) and 39 of the non-mutated tumors ($28.7\%$) displayed immunoreactivity. Twelve of the immunopositive tumors ($19.4\%$) and 6 of the immunonegative tumors produced anti-p53 antibody. Thes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1 and P=0.005,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urvival according to the mutation of p53. Conclusion: Mutation and overexpression of p53 can be easily detected by immunohistochemistry. However, standardization of the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method, as well as guidelines for interpreting the stained result, will produce concordant results and thereby improve clinical application.

  • PDF

목이 및 석이 메틸 알콜 추출물의 항돌연변이원성 (Antimutagenic Effects of Methyl Alcohol Extracts from Auricularia auricula and Gyrophora esculenta)

  • 함승시;김득하;이득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281-1287
    • /
    • 1997
  • 목이(Auricularia auricula)와 석이(Gyrophora esculenta)로부터 각각 얻어진 메틸 알콜 추출물에 대하여 E. coli PQ37/pKM101 균주를 이용한 SOS chromotest 방법으로 시료자체의 변이원성 유무 및 4가지 양성변이원 물질에 대한 항돌연변이성을 검토하였다. 시료자체의 돌연변이원성 유무에 있어서는 SOS induction factor (IF) 값의 증감이 없었으므로 돌연변이원성이 없는 것으로 인정되었다. 4가지 양성 돌연변이원 물질에 대한 항돌연변이성 실험결과, 4-nitroquinoline-1-oxide (4NQO)에서는 목이, 석이 각각 52%, 59%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고,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 (MNNG)에 대해서는 49%, 58%, mitomycin C (MMC)에 대해서는 53%, 64% 그리고 3-amino-1,4-dimethyl-5H-pyrido-(4,3-b) indol (Trp-P-l)에 대해서는 각각 61%, 64%의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는 SOS chromotest에서는 양성변이원 4종 모두에 있어서 돌연변이 억제활성이 인정되었고, 특히 석이가 목이보다 대체로 강한 항돌연변이활성을 나타내었다.

  • PDF

미세절편으로 얻은 위암 조직세포에서 p53 유전자의 돌연변이와 종양단백 발현에 관한 연구 (Comparative Study of p53 Mutation and Oncoprotein Expression in Gastric Adenocarcinoma)

  • 김철;주재균;최찬;김영진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3권3호
    • /
    • pp.145-150
    • /
    • 2003
  • Purpose: The p53 tumor suppressor gene is believed to play a pivotal role in preventing the uncontrolled cellular growth characteristic of cancer. Mutation of the p53 gene represent one of the most common genetic alterations in human cancers, and the acquisition of such defects is strongly associated with tumor progression and metastasi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ation between p53 immunoreactivity and the mutation of p53 gene in gastric adenocarcinoma obtained by laser capture microscope. Materials and Methods: Formalin fixed paraffin embedded tissue specimens were obtained from 20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for gastric cancer. According to UICC TNM system, 3 of the cases were Ia, 2 cases II, 4 cases IIIa, 5 cases IIIb, and 6 cases IV. Results: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revealed eight cases as negative (less than $10\%$), twelve cases as postive (more than $10\%$). The locations of mutations were as follows; 7 cases had point mutation at exon 4, and 3 cases point mutation at exon 8. There was no mutation at exon 5, 6, 7 and 9. The mutation was observed in 1 case out of 8 p53 oncoprotein negative cases, and 7 cases out of 12 p53 positive cases. The mutation was more common in p53 positive cases (P<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53 mutation observed by DNA sequencing after laser capture microdissection and expression of p53 oncoprotein. Conclusion: These result suggest that he expression of p53 oncoprotein not to be related to the mutation of p53 gene at exons 4 through 9 in gastric canc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