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phenylenediamine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23초

신장상피세포(腎臟上皮細胞)에서 호도약침액(胡桃藥鍼液)이 t-Butylhydroperoxide에 의한 세포막물질이동계(細胞膜物質移動系)의 장애(障碍)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Juglans sinensis Dode aquacupuncture(JS) on t-butylhydroperoxide-induced alterations in membrane transport function in renal epithelial cells)

  • 남상필;조태성;김철홍;윤현민;장경전;송춘호;안창범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0권6호
    • /
    • pp.128-139
    • /
    • 2003
  • Juglans sinensis Dode has been reported to have antioxidant activity. However, the effect of Juglans sinensis Dode aquacupuncture(JS) on reactive oxygen species(ROS)-induced alterations in membrane transport function in renal tubular cell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JS on the organic hydroperoxide t-butylhydroperoxide(tBHP)-induced inhibition of $Na^+$-dependent phosphate($Na^+$-Pi) uptake in opossum kidney (OK) cells, an established renal proximal epithelial cell line. tBHP inhibited $Na^+$-Pi uptake in a time-dependent manner. The inhibitory effect of tBHP was prevented by JS over concentration range of 0.05-1mg/100ml in a dose-dependent manner. Kinetic studies showed that tBHP caused an decrease in Vmax for $Na^+$-Pi uptake without any a significant change in Km. $Na^+$-dependent phosphonoformic acid binding, a irreversible inhibitor of renal $Na^+$-Pi uptake, was decreased by tBHP treatment. The reduction in Vmax and phosphonoformic acid binding by tBHP was prevented by JS. tBHP induced lipid peroxidation and its effect was completely inhibited by JS and antioxidant N,N'-diphenyl-p-phenylenediamine. These data suggest that the oxidant inhibits phosphate uptake by a reduction in the number of active carrier across the membrane. JS may prevent oxidant-induced inhibition of membrane transport function by a mechanism similar to antioxidants in renal epithelial cells. Although the precise constituents remain to be explored, JS may be employed as a useful candidate herb for drug development to prevent and treat oxidant-mediated renal failure.

  • PDF

ELISA 법을 이용한 개 톡소플라즈마병의 조기진단에 관한 연구 (Use of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for detection of toxoplasmosis in dogs)

  • 서명득;주후돈;이병훈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91-500
    • /
    • 199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ct the serum antibodies in the experimentally toxoplasma infected dogs and street dogs by use the of an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And this test was performed on the polystylene microplate by coating with the tachyzoites soluble antigen of T gondii (RH strain), incubated with sera diluted then, added with HPO-conjugated rabbit anti-dog IgG and o-phenylenediamine used as a substrate. Tachyzoites of T gondii harvested from mouse peritoneal cavity were purified by 30, 40 and 50% Percoll density gradient centrifugation and used as the source of antigen.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highest ratio of positive to negative (P/N ratio) was obtained at the level of $l{\mu}g/ml$ protein concentration of antigen with the 1/4000 dilution of the conjugate measured by checker-board titration. It was regarded as the optimum concentration of the antigen and conjugate. 2. Cut-off value in this IgG ELISA was 0.375 that was determined by mean absorbance (at 492nm) of IFA negative serum added with the dauble value of the standard deviation $(mean{\pm}2S.D.)$. 3. Serum ELISA IgG antibodies to T gondii in the exyerimentally infected dogs were detected firstly at the Week 3 after inoculation and the highest titer was recognized at the Week 4, 5 and 6 after inoculation. 4. Stability of the antigen absorbed in the microplates that were preserved at $4^{\circ}C$ and $-25^{\circ}C$ separately were prolonged up to 3 weeks and 10 weeks at $4^{\circ}C$ and $-25^{\circ}C$, respectively. However the reproducibility was not reliable after the preservation of 4 weeks and longer. 5. Positive rate of the specific antibodies in 312 test sera was 28.5%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male (27.8%) and female (29.5%), respectively. 6. The IgG ELISA was proved to be a specific procedure for the detection of antibodies to canine toxoplasma infection and also evaluated as a screening test for the large scale of test samples in laboratory.

  • PDF

전자눈을 이용한 햅쌀, 묵은쌀 및 이의 혼합쌀 판별 분석 (Discrimination analysis of new rice, stale rice, and their mixture using an electronic eye)

  • 홍지화;이재훤;조영호;최경후;이민휘;박영준;김현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469-473
    • /
    • 2017
  • 본 연구는 햅쌀과 묵은쌀 및 이의 혼합곡 판별을 위하여 전자 눈 분석을 이용한 쌀 신곡과 구곡 판별법 개발 연구를 수행하였다. 국내에서 수집된 신구곡을 대상으로 GOP 시약처리를 통해 효소 활성에 따른 정색 반응을 확인한 후 전자눈 장비를 이용하여 신곡과 구곡의 판별에 적합한 색깔 코드의 선별과 이를 이용한 쌀 신곡과 구곡의 판별법을 개발하였다. 미지시료를 이용하여 판별 정확도를 분석한 결과 신곡과 구곡인 단일곡은 100%의 정확도로 판별이 되었으나 혼합곡의 경우 혼합된 비율에 따라 판별 정확도가 달라졌다. 혼합곡은 신곡과 구곡의 혼합 비율에서 구곡이 비율이 높아질수록 판별 정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전자눈 분석을 통하여 햅쌀과 묵은쌀을 판별할 수 있는 실용적인 판별 체계를 구축하였으므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판별식은 쌀 신구곡 판별을 위한 과학적인 근거자료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재래식 된장의 발효과정 중 이화학적 특성과 Angiotensin 전환효소 저해능 및 항돌연변이원성의 변화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Property,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Effect and Antimutagenicity During the Fermentation of Korean Traditional Soy Paste (Doenjang))

  • 이창호;김원찬;이인구;이오석;박희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603-610
    • /
    • 2006
  • 전통 된장의 발효 중 이화학적 성질 및 기능적 특성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전통 메주를 제조한 후 된장을 발효하면서 일정 간격으로 된장 숙성중의 이화학적 성질 및 amylase와 protease 활성, ACE 저해활성, 항돌연변이원성 등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pH는 된장 숙성기간 내내 감소하였으며, 총산은 숙성기간에 길어짐에 따라 증가하였다. NaCl의 함량은 숙성 45일까지 15.4%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아미노산도의 변화는 된장숙성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환원당 함량은 숙성 60일까지는 6.4%로 증가하였으나, 그 이후에는 감소하였다 총당은 숙성 60일일 때 16.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Amylase와 pretense의 활성은 숙성 60일일 때 4.03 unit/mL 와 7.29 unit/mL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숙성이 더욱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Tyrosinase의 저해 활성과 ACE 저해 활성은 숙성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항돌연변이 활성은 숙성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S. enterica serovar Typhimurium TA100을 사용한 경우 변이원 MNNG와 NPD에 대한 항돌연변이 활성은 90일 숙성시 각각 70.21%와 60.01%를 나타내었다. 또한, S. enterica serovar Typhimurium TA98을 사용한 경우 변이원 NPD와 NQO에 대한 항돌연변이 활성은 90일 숙성시 각각 50.91%와 46.35%를 나타내었다. 된장의 isoflavon 중 genistin, daidzein 및 genistein은 각각 $31.30{\mu}g/g$, $574.88{\mu}g/g$$532.92{\mu}g/g$으로 나타났다.

(호도약침액)胡桃藥鍼液 독성물질(毒性物質)에 의한 간조직(肝組織) 손상(損傷)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Juglandis Semen Herbal Acupuncture on Toxic Agent-Induced Liver Cell Damage)

  • 이경태;김철홍;윤현민;장경전;안창범;송춘호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2권1호
    • /
    • pp.117-132
    • /
    • 2005
  • Objectives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whether Juglandis Semen herbal acupuncture (JSA) exerts the protective effect against toxic agent-induced live. cell damage. Methods : The cell damage was estimated by measuring lactate dehydrogenase (LDH) release, and lipid peroxidation was estimated by measuring maiondialdehyde (MDA), a product of lipid peroxidation, in rabbit liver slices. Results : When tissues were incubated with 0.5 mM Hg for $10{\sim}120\;min$, LDH release and lipid peroxidation were increased as a function of incubation time, and these effects were significantly prevented by addition of 0.1% JSA. Hg increased LDH release and lipid peroxidation in dose-dependent manner over the range of $0.1{\sim}l\;mM$ concentrations, which were reduced by 0.1% JSA. When tissues were treated with 0.5 mM Hg in the presence of $0.05{\sim}l\;%$ JSA, LDH release and lipid peroxidation induced by Hg were prevented by JSA in a dose-dependent fashion. JSA at 0.5 and 1% prevented completely effects of 0.5 mM Hg. When tissues were treated with 0.5 mM Hg for 60 min, LDH release and lipid peroxidation were increased, which were significantly prevented by addition of 0.1 % JSA. tert-Butyl hydroperoxide (tBHP) increased LDH release and lipid peroxidation, which were significantly reduced by 0.1 % JSA. Such protective effects were similar to those of N,N'-diphenyl-p-phenylenediamine (DPPD), a potent antioxidant. When tissues were treated with 0.5 mM Hg, activities of catal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were inhibited, and glutathione content was also reduced. Such effects were prevented by JSA, but not by DPPD. JSA prevented Hg-induced morphological changes. Conclusions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JSA exerts the protective effect against liver cell injury induced by toxic agents through antioxidant action, and this effect may be attributed to an increase in activities of endogeous anitoxidant enzymes and GSH content. However, antioxidant effect of JSA is different from that of a well-known potent antioxidant DPPD.

  • PDF

신선도와 전자눈을 이용한 현미 신곡, 구곡 및 혼합곡의 판별 (Identification of New, Old and Mixed Brown Rice using Freshness and an Electronic Eye)

  • 홍지화;박영준;김현태;오상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3권2호
    • /
    • pp.98-105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벼의 보관기간 동안 감소되는 물질인 peroxidase 등의 효소의 활성도를 알아보는 신선도 감정법과 색을 인지하는 전자눈 장비를 이용하여 현미의 신곡과 구곡을 판별할 수 있는 칼라 코드를 선정하였고, 현미의 신 구곡 판별식을 개발하였다. 동일한 시기에 수집된 시료의 판별식 검증을 통해 현미 신곡, 구곡 및 이의 혼합곡에 대한 판별 정확도를 분석하여 실용적인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수확시기에 수집된 현미로부터 개발된 판별식의 활용도를 검토하기 위하여 신곡 수확 시점으로부터 약 8개월이 경과한 시료를 무작위 채취하여 보관기간에 따른 판별 정확도를 분석함으로써 현미의 신곡과 구곡 판별에 효소 지표의 적용 가능성을 연구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현미의 신곡과 구곡의 판별 지표로 효소를 선정하여 신선도 감정법인 G O P 시약을 처리를 통한 효소 활성정도를 육안으로 감정한 후 전자눈 장비를 이용하여 신곡과 구곡 그룹 간에 차이나는 칼라코드를 29개 선발하였다. 선발된 칼라코드의 식별능은 최소 0.263에서 최대 0.922의 분포를 나타내었고 평균 식별능 값은 0.62로 나타났다. 2. 선발된 칼라 코드를 이용한 현미 신곡과 구곡 단일곡의 분류되는 적중률은 PCA 및 DFA 분석 결과 모두 100%로 나타나 현미의 신곡과 구곡을 판별할 수 있는 판별식으로 채택하였다. PCA 분석 결과보다 DFA 분석 결과가 신곡과 구곡 그룹을 보다 더 잘 구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개발된 판별식의 실용적인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판별식 개발 시료와 동일한 시기에 수집된 신곡과 구곡 및 이의 혼합곡 시료를 이용하여 검증 시험을 추진하였다. 기 개발된 판별식에 미지의 시료를 대입한 결과, 신곡과 구곡 단일 시료는 100%의 판별정확도를 나타내었고 혼합곡은 96.9%의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4. 수확 후 얼마 지나지 않은 겨울에 수집된 시료를 이용하여 구축한 판별식을 보관 기간이 8개월 정도 지나고 효소활성도가 급격하게 떨어질 것으로 추정되는 여름 시료에도 적용이 가능한지 알아보기 위하여, 신곡과 구곡 시료를 대상으로 검증시험을 실시하였다. 여름에 수집한 구곡 시료를 기 구축된 판별식에 대입한 결과 구곡은 모두 100% 구곡으로 판별이 되었으나, 신곡 시료는 100% 구곡으로 판별이 되어 신곡의 판별 정확도는 0%로 나타났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효소 함량이 변화됨을 알수 있었고 검사 시기별 판별식의 개발과 검증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