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TsOH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3초

Marked Difference in Solvation Effects and Mechanism between Solvolyses of Substituted Acetylchloride with Alkyl Groups and with Aromatic Rigns in Aqueous Fluorinated Alcohol and in 2,2,2-Trifluoroethanol-Ethanol Solvent Systems

  • Oh, Yung-Hee;Jang, Gyeong-Gu;Lim, Gyi-Taek;Ryu, Zoon-Ha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3권8호
    • /
    • pp.1089-1096
    • /
    • 2002
  • Solvolyses rate constants of trimethylacetyl chloride (2), isobutyryl chloride (3), diphenylacetyl chloride (4) and p-methoxyphenylacetyl chloride (5) in 2,2,2-trifluoroethanol (TFE)-water, 1,1,1,3,3,3-hexafluoro-2-propanol (HFIP)-water and TFE-et hanol solvent systems at $10^{\circ}C$ are determined by a conductimetric method. Kinetic solvent isotope effects (KSIE) are reported from additional kinetic data for methanolyses of various substituted acetylchlorides in methano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ose reactions analyzed in terms of rate-rate profiles,extended Grunwald-Winstein type correlations, application of a third order reaction model based a general base catalyzed (GBC) and KSIE values. Regardless of the kind of neighboring groups (CH3- or Ph-groups) of reaction center, for aqueous fluorinated alcohol systems, solvolyses of 2, 3, 4, and 5 were exposed to the reaction with the same mechanism (a loose SN2 type mechanism by electrophilic solvation) controlled by a similarity of solvation of the transition sate (TS). Whereas, for TFE-ethanol solvent systems, the reactivity depended on whether substituted acetyl chloride have aromatic rings (Ph-) or alkyl groups (CH3-); the solvations by the predominant stoichiometric effect (third order reaction mechanism by GBC and/or by push-pull type) for Ph- groups (4 and 5) and the same solvation effects as those shown in TFE-water solvent systems for CH3- groups (2 and 3) were exhibited Such phenomena can be interpreted as having relevance to the inductive effect ( $\sigmaI)$ of substituted groups; the plot of log (KSIE) vs. ${\sigma}I$ parameter give an acceptable the linear correlation with r = 0.970 (slope = 0.44 $\pm$ 0.06, n = 5).

유색미 품종별 전분 구조 및 이화학적 특성 (Starch Structure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lored Rice Varieties)

  • 박지영;오성환;한상익;이유영;이병원;함현미;최용환;오세관;조준현;송유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1권3호
    • /
    • pp.153-162
    • /
    • 2016
  • 유색미 가공소재 탐색 및 용도 다양화를 위해 일품을 포함하여 흑미 메벼 6품종, 적미 메벼 3품종, 흑미 찰벼 5품종, 적미 찰벼 1품종으로 일품과 유색미 15개의 품종의 전분 이화학적 구조적 특성을 분석하여 가공용도 다양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1. 유색미의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눈큰흑찰이 조단백, 조지방, 식이섬유이 함량이 다른 품종에 비해 높은 경향이었고, 적미의 모든 품종은 조지방이 흑미에 비해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2. 유색미 가루를 이용한 찰벼 품종의 아밀로스 함량은 3~5%, 메벼 품종의 아밀로스 함량은 15~18%를 나타내었고, 메벼 품종 중 조은흑미는 14%대로 다소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일품이 80%로 가장 높은 총 전분 함유량을 보였고, 눈큰흑찰과 흑진주가 70, 71%로 가장 낮은 총 전분 함량을 나타내었다. 3. 유색미 가루의 호화특성을 분석한 결과, 모든 유색미의 호화개시온도는 $68^{\circ}C$였으며, 일품의 호화개시온도인 $67.95^{\circ}C$와 비슷하였다. 최고점도는 일품이 가장 높았으며, 적진주, 홍진주, 건강홍미 순으로 적미 메벼 품종이 흑미 품종과 적진주 찰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치반점도 값으로 본 노화정도 찰벼 품종에서 느린 것으로 확인되었고, 조은흑미는 메벼품종 중에서 노화정도가 느린 것으로 분석되었다. 4. 유색미의 전분외형은 대부분 $2{\sim}5{\mu}m$ 크기의 다각형의 치밀한 입자로 이루어져있으며, 결정성 분석에서는 모두 A type의 전분구조를 이루고 있었지만 결정성은 품종마다 다소 차이를 보였다. 5. 아밀로펙틴의 체인 길이 분석에서는 16개의 품종에서 12${\leq}24$인 B사슬 함량이 50%이상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DP<12 함량이 대부분 33~35%함량을 나타내었다. 중합도 36개 이상의 장쇄사슬은 흑미가 적미에 비해 함량이 높은 경향이었다.

강우시 불투수성 지역의 비점오염물질 EMCs 산정 및 초기세척효과 분석 (Analysis of First Flushing Effects and EMCs of Non-point Pollutants from Impervious Area during Rainfall)

  • 안태웅;김태훈;오종민
    • 생태와환경
    • /
    • 제45권4호
    • /
    • pp.459-473
    • /
    • 2012
  • 본 연구는 강우시 불투수성 지역에서 비점오염원 유출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불투수성 지역의 강우사상 특성은 강우강도에 대한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강우강도가 크게 작용하면, 초기강우 현상이 잘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선행무강우일수에 의해서 비점오염물질의 농도차가 큰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불투수성 지역의 비점오염원 유출 경향을 보면, 강우초기 유출 유량에 포함되어 유출되는 오염물질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고, 일정 시간 경과 후에는 지속되는 강우에도 불구하고 오염물질의 농도는 증가하지 않고 낮은 농도로 안정적인 유출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이유는 건기 시 도로 표면에 집적되어 있던 오염물질들이 강우시 초기에 유출되어 비점오염물질의 농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투수성 지역에서 발생하는 비점 오염물질 항목별 단위면적당 오염부하량은 매우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불투수성 지역의 특성상 아스팔트로 되어 있는 도로 및 주차장, 교량 등이 있는 불투수면이 대부분의 토양상부를 덮고 있기 때문에 강우시 불투수성 지역 내 모니터링 지점에서 강우가 집중되어 유출되기 때문에 비점오염물질의 유출이 증가하기 때문에 오염부하량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강우시 초기세척 효과는 TSS의 경우, Event 1, Event 2에서 초기세척효과가 매우 잘 관찰되었으며, TSS> $COD_{Mn}$ >T-P 순으로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SS와 $COD_{Mn}$가 가장 민감하게 강우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비점오염원 유출특성에 대한 다양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향후 비점오염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데 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비점오염원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수계환경의 오염부하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탈지 겨자씨 소재 가식성 필름의 물리적 특성 향상을 위한 콜드 플라즈마의 적용 (Application of cold plasma treatment as a method to improve the physical properties of defatted mustard meal-based edible films)

  • 정하은;오윤아;민세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5호
    • /
    • pp.634-639
    • /
    • 2021
  • 질소, 산소, 헬륨, 아르곤, 그리고 공기 가스로 DMM 필름을 CP 처리했을 때 산소와 공기를 이용한 처리는 필름의 신장률에 변화를 주지 않으면서 인장 강도와 모듈러스를 감소시켰고, 헬륨과 아르곤 가스를 이용한 CP 처리는 인장 강도와 신장률에 변화를 주지 않으면서 모듈러스를 감소시켰기 때문에 산소, 공기, 헬륨, 그리고 아르곤 가스를 이용한 CP 처리를 통해 필름의 인장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용한 가스와 상관없이 CP 처리는 필름의 색, 수증기 투과도, 그리고 표면 형태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헬륨-CP와 아르곤-CP 처리는 필름의 인쇄 적성을 증가시켰다. DMM 필름에 대한 아르곤-CP의 처리 전력 및 처리 시간은 필름의 황색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나(p<0.05), 처리 전력과 시간의 변화에 따른 경향은 확인할 수 없었다. 전체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아르곤-CP 처리가 DMM 필름의 물리적 특성을 향상시키는 기술로 발전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고, 이를 통해 DMM 뿐만 아니라 이와 유사한 농산물 가공 부산물을 소재로 제작된 필름의 특성을 개선하는 기술로 CP 처리가 개발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