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xypaeoniflorin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19초

UPLC-MS/MS를 이용한 작약감초탕 물 추출물 중 11종 성분의 함량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Eleven Marker Components in Traditional Korean Formula, Jakyakgamcho-Tang Decoction Using an Ultra-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to Electrospray Ionization Tandem Mass Spectrometry)

  • 서창섭;신현규
    • 약학회지
    • /
    • 제60권2호
    • /
    • pp.64-72
    • /
    • 2016
  • Jakyakgamcho-tang is a well-known traditional herbal medicine and has been used for the treatment of mainly pains in oriental medicine. In this study, analytical method for the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the eleven marker components, gallic acid (1), oxypaeoniflorin (2), paeoniflorin (3), albiflorin (4), liquiritin (5), isoliquiritin (6), ononin (7), liquiritigenin (8), benzoylpaeoniflorin (9), paeonol (10), and glycyrrhizin (11) in Jakyakgamcho-tang decoction was performed using an ultra-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electrospray ionization-mass spectrometer. The analytical column for separation of the compounds 1~11 was used an UPLC BEH $C_{18}$ ($100{\times}2.1mm$, $1.7{\mu}m$) column and column oven temperature was maintained at $45^{\circ}C$. The mobile phase consisted of 0.1% (v/v) aqueous formic acid (A) and acetonitrile (B) by gradient elution. The flow rate was 0.3 ml/min and injection volume was $2.0{\mu}l$. Correlation coefficient in the calibration curves of the compounds 1~11 were showed a good linearity with more than 0.99. The limit of detection and limit of quantification values of the compounds 1~13 were detected in the ranges 0.06~18.43 ng/ml and 0.18~58.29 ng/ml, respectively. Among the compounds 1~11, the compounds 10 were not detected in this sample, while the ten compounds, 1~9 and 11, were detected $44.05{\sim}19,289.05{\mu}g/g$ in Jakyakgamcho-tang extract.

작약 추출물의 혈소판 작용에 관한 연구 (Effect of Extract from Paeoniae radix on Rabbit Platelets)

  • 박영현;손동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511-515
    • /
    • 2002
  • 최근 동물성 식품 및 지방 섭취 증가로 인한 현대인의 식생활 변화로 혈소판 활성화가 직접적 원인인 뇌심혈관질환의 사망률이 증가되고 성인병 예방과 치료의 대처방안으로 식품의 기능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진경, 항균, 진통, 해열, 이뇨, 지한, 진정 등의 작용을 갖는 작약(Peoniae radix)으로부터 추출, 분리.정제한 분획물에서 혈소판 응집 억제 작용이 있는 생리활성물질을 분리.동정하였다. 작약에서 methanol, ethyl acetate의 용매추출과 이러한 추출물에서 컬럼 및 HPLC로 분리.정제한 2개 물질의 화학구조를 $^1$H-과 $^{13}$C-NMR 스펙트라 분석한 결과 benzoyloxypaeoniflorin과 paeoniflorin을 확인하였고 혈소판 응집 억제작용은 benzoyl-oxypaeoniflorin이 비교적 강하게 나타내었다.

모단(牡丹)(Paeonia moutan Sim) 접목(接木)이 작약(芍藥)(Paeonia albiflora Palls) 근(根)의 유효성분(有效成分)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Graft of Paeonia moutan into Paeonia albiflora on Pharmaceutical Components)

  • 장기운;김필주;정하일;문창식;안병창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06-209
    • /
    • 1991
  • 농가에서 3년간 재배중인 작약(芍藥), 목단(牧丹), 모단(牡丹)을 접붙인 작약(芍藥)(목단(牧丹)/작약(芍藥))근(根)을 수집해서 외형적(外形的) 생육특성(生育特性)과 유효성분(有效成分)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1. 목단(牧丹)/작약(芍藥)을 접목(接木)한 지하부(地下部)의 외형적 생육상태(生育狀態)는 작약(芍藥)의 특성과 같았으나, 달관(達觀) 조사(調査)에 의하면 목단(牧丹)/작약접목근(芍藥接木根)이 작약(芍藥)에 비해 2~3배의 증수량(增收量)을 나타냈다. 2. 목단속(牧丹屬)(Paeonia linne) 식물의 주요(主要) 유효성분(有效成分)인 Paeoniflorin은 목단(牧丹)/작약근(芍藥根)이 0.98%로 작약(芍藥) 0.78%, 목단(牧丹) 0.46%보다 0.2%에서 0.5%까지 각각 높게 나타났으며, 목단(牧丹)에 다량 함유된 Paeonol은 목단접목(牧丹接木)으로 인해 목단(牧丹)/작약(芍藥) 접목근(接木根)에서 함량(含量)이 증가되지는 않았다. 3. 결과적(結果的)으로 수량(收量)과 유효성분(有效成分) 측면을 종합비교(綜合比較)해 볼 때, 작약(芍藥)의 뿌리를 대목(臺木)으로 하여 모단경(牡丹莖)을 접수(接穗)로 접목(接木)함으로서 근생육(根生育)이 괄목할만하게 증대되었고, 약효성분(藥效成分)은 작약(芍藥) 고유의 함량비(含量比)를 유지하는 것으로 추정되어 향후 체계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해 주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