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xyfluorfen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26초

겨풀(Leersia oryzoides SW.)에 대한 Glyphosate와 수종(數種) 제초제간(除草劑間)의상호작용(相互作用) 효과(效果) (Interaction Effects between Glyphosate and Some Other Herbicides on Cutgrass, Leersia oryzoides SW)

  • 임일빈;구자옥;이계홍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329-336
    • /
    • 1987
  • Glyphosate의 수종(數種) 제초제간(除草劑間)의 혼용(混用)에 따른 상호작용(相互作用)을 검토(檢討)할 목적(目的)으로 겨풀에 대한 경엽처리효과(莖葉處理效果)와 피를 위시한 기타 잡초종(雜草種)에 대한 발생전처리효과(發生前處理效果)를 동시에 평가(評價)하였다. 폿트를 이용하여 plastic house에서 수행(遂行)되었으며, 주요(主要) 결과(結果)를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할 수 있다. 1. 약제처리후(藥劑處理後)의 경시적(經時的)인 달관평가(達觀評價)에 의하면, glyphosate에 oxyfluorfen을 혼용(混用)함으로써 겨풀의 살초속도(殺草速度)와 살초효과(殺草效果)가 모두 향상(向上)되었으나 alachlor, simazine, gluphosinate 또는 quizalofop-ethyl의 혼용(混用)으로는 약효발현(藥效發現)이 지연되었고, paraquat 혼용(混用)으로는 효과(效果)가 빨랐던 반면(反面) 약효(藥效)는 떨어지는 경향(傾向)이었다. 2. 처리후(處理後) 30일(日)에의 겨풀 생체중(生體重)으로 보아, 공시약제(供試藥劑) 각각의 고약량(高藥量) 수준(水準)(실용(實用)의 1/2) 혼용(混用)에서는 alachlor 또는 paraquat 이외의 모든 조합(組合)에 서 glyphosate 단제(單劑) 보다 비등(比等) 이상(以上)의 살초력(殺草力)을 나타내었다. 3. Glyphosate에 대한 공시(供試) 약제(藥劑)의 어떤 조합(組合) 혼용(混用)에서도 synergism은 인정(認定)되지 않았고, 오히려 저약량수준(低藥量水準)의 simazme이나 paraquat 혼용(混用)에서는 유의적(有意的)인 길항작용(拮抗作用)이 인정(認定)되었다. 4. 피 및 기타 초종(草種)에 대한 토양잔류성(土壤殘留性) 제초효과(除草效果)는 glyphosate와의 혼용(混用) 여부(與否)에 관계없이 oxyfluorfen, alachlor, simazine 및 일부 quizalofop-ethyl이 처리(處理)된 곳에서 인정(認定)이 되었다.

  • PDF

Oxyfluorfen의 토양중(土壤中) 불활성화(不活性化)에 관여(關與)하는 수종요인(數種要因)의 비교연구(比較硏究) (Comparative Study on Some Factors Affecting the Oxyfluorfen Inactivation in Soil)

  • 김동균;이정명;구자옥;이근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46-153
    • /
    • 1986
  • 토성(土性)과 온도(溫度)가 다른 조건하(條件下)에서 유기물(有機物)과 토양(土壤) 미생물(微生物)의 유무(有無)에 따른 oxyfluorfen의 토양중(土壤中) 불활성화(不活性化) 과정(過程)을 생물(生物) 검정법(檢定法)으로 비교(比較)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고온조건(高溫條件)에서 약제(藥劑)의 불활성화(不活性化)가 일찍 시작되고, 많이 이루어지는 경향(傾向)이었다. 2. 식질토(植質土)보다는 사질토(砂質土)에서 불활성화(不活性化)가 빠르고 많아지는 경향(傾向)이었다. 3. 토성간(土性間)의 50% 및 95% 불활성화(不活性化) 소요일수차이(所要日數差異)는 온도기(溫度期)보다 저온기(低溫期)에서 현저하게 컸다. 4. 사질토(砂質土)에서는 유기물(有機物) 첨가(添加)에 의한 불활성화(不活性化) 차이(差異)가 인정(認定)되었으나 미생물(微生物) 첨가(添加) 효과(效果)는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5. 식질토(植質土)에서는 유기물(有機物)보다 미생물(微生物)의 첨가(添加)로 약제(藥劑)의 불활성화(不活性化)가 촉진(促進)되는 경향(傾向)이었다. 6. 공시(供試)된 모든 토성조건하(土性條件下)에서 유기물(有機物)과 미생물(微生物)이 첨가(添加)됨으로써 약제(藥劑)의 불활성화일수(不活性化日數)(50% 및 95% Probit 생육일수(生育日數)가 짧아지는 경향(傾向)이었으며, 토성별(土性別)로는 식질토(埴質土)나 식양토(埴壤土)보다는 사질토(砂質土)에서 짧아지는 경향(傾向)이었다.

  • PDF

Differential Effects of herbicidal Compounds on Cytoplasmic Leakages of Green- and White-Maize Leaf Segments

  • Kim, Jin-Seog;Park, Jung-Sup;Kim, Tae-Joon;Yoonkang Hur;Cho, Kwang-Yun
    • Journal of Photoscience
    • /
    • 제8권2호
    • /
    • pp.61-66
    • /
    • 2001
  • Using maize green- and white-leaf tissue, we have examined the effect of various chemicals on cytoplasmic leakage with respect to the light requirement or chloroplast targeting for their activities. Oxyfluorfen, oxadiazon, diuron, and paraquat, which are known as representative herbicides acting on plant chloroplasts, caused the electrolyte leakage only in the green tissues, whereas 2, 4-dinitrophenol, rose bengal (singlet oxygen producing chemical) and methyl-jasmoante (senscence-stimulating chemical) play a role both in green- and white-tissue. Benzoyl(a) pyrene, generating superoxide radical upon light illumination, functions only in white tissues. Tralkoxydim, metsulfuron-methyl and norflurazon showed no effect in two tested plant samples. In terms of light requirement in electrolyte leakage activity, diuron, oxyfluorfen, oxadiazon, rose bengal, and benzoyl(a) pyrene absolutely require the light for their functions, but other chemicals did not. based on these results, we could classify into four different response types according to whether chemicals require light or chlroplasts for their action. This classification is likely to be applied to simply and rapidly identify the requirement of light and chlroplasts for the actions of chemicals, thereby it makes easy to characterize many new herbicides that their action mechanisms are unclear, and to elucidate the mode of action of them.

  • PDF

고대 화경수누법(火耕水?法)을 응용한 직파 논[直播畓] 제초법 (Weeding Hypothesis on Direct Seeding Rice Field as Applied by the Old Firing and Water Dressing Method)

  • 구자옥;국용인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7
    • /
    • 2011
  • 제초를 위한 화경수누법, 즉 화누법은 고대 중국의 "제민요술"에서 유래되어 16~18세기에는 우리나라의 "위빈명농기" "농가집성" "과농소초"에 옮겨진 제초법이다. 직파된 벼논에서 벼와 잡초종들이 입모된 이후에 군락 초관위로 불놓아 태워진 연후에 물을 관수하므로써 잡초를 제거하고 선별적으로 벼를 안전하게 살려 재생시키는 방법이다. 불로 태우는 대신에 이에 걸맞는 비선택성이며 비이행성인 제초제(예, paraquat, oxyfluorfen 등), 또는 방사선 등을 처리하여 손쉽고 안전하게 제초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으로 응용할 수 있을 것이다.

Protoporphyrinogen Oxidase 저해형 제초제에 대한 밀과 보리의 Protoporphyrin IX축적 및 항산화 방어계 차이 (Difference of Protoporphyrin IX Accumula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Wheat and Barley by Protoporphyrinogen Oxidase-Inhibiting Herbicides)

  • 국용인;구자옥;천상욱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79-88
    • /
    • 1997
  • Protoporphyrinogen oxidase(Protox) 저해형 제초제로 알려진 oxyfluorfen(OF), acifluorfen(AF), bifenox(BF) 및 oxadiazon(OD)에 대해 밀이 보리보다 특이적으로 내성을 보인 요인이 이들 제초제 처리로 인하여 발생된 singlet oxygen을 무독화할 수 있는 항산화효소 및 항산화제의 능력 차이와 Protox 저해에 의한 protoporphyrin Ⅸ(PPIX)의 축적량에 기인하는지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내성을 보인 밀과 감수성을 보인 보리에 OF, AF, BF 및 OD을 $10^{-6}$ M로 침지처리후 광에 2, 4, 6 및 8시간 경과후에 항산화효소 활성 변화를 본 결과, 이들 네 가지 약제 처리 후 monodehy-droascorbate reductase(MDAR), catalase(CAL) 및 superoxide dismutase(SOD)의 활성은 밀보다 보리에서 활성의 감소폭이 컸다. POX 활성은 OF 처리후 단지 8시간에만 밀보다 보리에서 활성이 적었을 뿐, 그밖의 AF, BF 및 OD 처리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GR활성은 4약제 처리후 시간이 경과될수록 활성이 증가하였으나, 밀과 보리간에 활성의 차이는 없었다. 네 가지 약제 처리 후 항산화제인 vitamin C 함량은 밀보다 보리에서 함량 감소가 컸었다. Vitamin E는 OF처리에서만 밀이 보리보다 함량 감소가 적었을 뿐 그 밖의 약제에 대해서는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carotenoid 함량은 AF처리에서만 밀이 보리보다 함량 감소가 적었을 뿐 그 밖의 약제에 대해서는 차이가 없었다 Glutathione(GSH, GSSG) 함량은 네 가지 약제처리 모두 밀보다 보리에서 함량이 많았다. 이들 약제 처리후 PPIX 축적량은 밀보다 보리에서 많았고, 특히 OF및 AF 처리에서는 각각 밀보다 보리에서 2.3배 및 1.3배가 더 많이 축적되었다.

  • PDF

논잡초방제용(雜草防除用) 제초제(除草劑)의 혼합효과(混合效果)에 관한 연구(硏究) (Study on the Behaviour of Mixtures of Herbicides in Transplanted Lowland Rice Field)

  • 김순철;최충돈;이수관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69-74
    • /
    • 1983
  • 이앙답(移秧畓)에 사용(使用)되는 제초제(除草劑)들의 상호작용(相互作用) 관계(關係)를 해명(解明)하고 최소(最少) 혼합비율(混合比率)을 구명(究明)하여 효과적(效果的)인 제초제(除草劑) 사용(使用) 체계(體系) 수립(樹立)과 신제초제(新除草劑) 개발(開發)을 위한 기초(基礎) 자료(資料)를 얻기 위해 현재(現在) 시중(市中) 판매중(販賣中)에 있거나 시험연구중(試驗硏究中)에 있는 우량제초제(優良除草劑), butachlor, chlormethoxynil, Sw751, S47, SL 49, naproanilide 등(等) 14 종(種)을 91개(個)의 혼합조합(混合組合)으로 조성(組成)한 다음 이들을 피 (63%)-물달개비(16%)-울챙고랭이(10%)-너도방동산이(5%)-마디꽃(4%)의 상태(狀態)로 되어 있는 잡초군락형(雜草群落型)에 처리(處理)하였던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91개(個)의 혼합조합중(混合組合中) 길항적(拮抗的) 반응(反應)(Antagonism)을 보였던 혼합조합수(混合組合數)는 38 조합(組合)이였는데, 이 중 길항적(拮抗的) 반응(反應)이 5% 미만(未滿)인 것은 chlormethoxynil과 perfluidon 외(外) 10조합(組合), 길항적(拮抗的) 반응(反應)이 6~10%였던 것은 butachlor+SL 49 외(外) 11 조합(組合), 길항적(拮抗的) 반응(反應)이 11% 이상(以上)이였던 것은 butachlor+ nitrofen 외(外) 14 조합(組合)이였다. 2. 상가적(相加的) 반응(反應)(Additive)(혼합효과(混合效果) ${\pm}$ 2%) 을 보인 혼합조합(混合組合)은 butachlor와 bifenox, Sw 751, thiobencarb, naproanilide/thiobencarb, piperphos/dimethametryne, CG 113/napranilide 혼합(混合) 등(等) 40 조합(組合)이였다. 3. 공력적(共力的) 반응(反應)(synergism)을 보인 것은 13혼합조합(混合組合)이였는데 이 중 공력적(公力的) 효과(効果)가 5% 미만(未滿)인 혼합조합(混合組合)은 ACN/MCPB/nitrofen과 napronilide, naproanilide/thiobencarb, chlormethoxynil 혼합(混合), thiobencarb와 chlormethoxynil, nitrofen 혼합(混合), butachlor와 S47/bifenox 조합(組合)이였고 공력적(公力的) 효과(効果)가 6~10%였던 조합(組合)은 nitrofen과 chlormethoxynilide 혼합(混合), butachlor와 naproanilide, ACN/MCPB/nitrofen 혼합조합(混合組合)이였으며, 공력적(公力的) 효과(効科)가 11% 이상(以上)이였던 것은 chlormethoxynil과 butachlor, bifenox 혼합(混合), nitrofen과 ACN/MCPB/nitrofe 혼합조합(混合組合)이였다. 4. diphenylether 계(系) 제초제(除草劑)인 oxyfluorfen과 carbamate계(系) 제초제(除草劑)인 thiobencarb의 상호작용성(相互作用性)은 공력적(共力的) 효과(効果)가 인정(認定)되었으며 최대(最大) 상호작용지수(相互作用指數)는 약(約) 2에 해당하였고, 살초율(殺草率)이 90% 기대(期待)되는 최소약량(最少藥量) 혼합비율(混合比率)은 oxyfluorfen의 경우 0.012kg ai/ha 였고 thiobencarb의 경우는 0.45 kg ai/ha였다.

  • PDF

실새삼의 광합성색소 생합성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Biosynthetic Characteristics of Photosynthetic Pigments in Dodder(Cuscuta australis R. Br.) Plant)

  • 김진석;곽현희;김병철;조광연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14-324
    • /
    • 1997
  • 우리나라에서 자생하고 있는 실새삼에는 광합성색소 생합성과정이 존재하는지, 있다면 다른 식물에 비하여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광합성색소 대사과정에 작용점을 가지는 제초제에 대하여 반응을 나타내는지를 확인하고자 실험하였다. 1. 야외의 자연광 조건에서 자라고 있는 실새삼 생육지의 엽록소함량은 메꽃 줄기와 비교하여 볼 때 9배가 낮았고, 메꽃 잎과 비교하여 볼 때는 약 50배 낮은 경향이었다. 2. 종자로부터 발아된 실새삼 유묘의 경우 선단부위가 색소함량이 가장 높았다. 생육지의 경우는 신장지(extension stem)에서 색소함량이 가장 높았고, 권지(twining stem), 선단 15cm 아래의 절간 순으로 엽록소와 카로티노이드 함량이 낮은 경향이었다. 그리고 생장이 계속됨에 따라 오래된 줄기에서의 엽록체 퇴화가 신속하게 일어나는 경향이었다. 3. 생육지의 색소함량은 광도에 따라 생체중 1g당 엽록소 함량이 20-170${\mu}g$까지, 카로티노이드 함량은 40-120${\mu}g$ 범위까지 변하는 경향이었다. 자연일장조건에서 채취하여 낮은 색소함량을 가진 줄기를 여러 광도에 24시간 둘 경우 91${\mu}Em^{-2}s^{-1}$PAR 내외의 광도까지는 초기색소함량의 3배까지 증가되었고, 광도가 456${\mu}Em^{-2}s^{-1}$PAR 이상에서는 엽록소 함량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4, 5mM의 ALA를 외부에서 공급할 경우 메꽃의 근경으로부터 나온 신초에서는 Pchlide가 7배 이상 증가되었으나 실새삼 생육지 선단에서는 40% 정도만 증가되었다. 한편 ALA를 공급한 후 저광도에 둘 경우 미미한 엽록소 증가경향만 보여 상대적으로 실새삼은 ALA에 대해 매우 둔감한 특정을 보였다. 5. Paraquat, norflurazon, oxyfluorfen, diuron 등의 제초제를 처리할 경우 모든 처리에서 색소소실이 관찰되었다. 아울러 oxyfluorfen을 처리하면 일반식물에서와 같이 protoporphyrin IX의 축적도 얼어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실새삼은 낮은 수준이지만 엽록소 및 카로티노이드 생합성과정이 정상적으로 작동되나 조직부위별로 그 수준이 다르고 주변환경의 영향 특히 광도에 따라 크게 조절되고 성장함에 따라 하부조직에서의 엽록체 퇴화가 빠른 특징을 보였다. 색소대사 과정에 작용점을 가지는 제초제들에 대하여 제초반응은 나타내지만 낮은 수준의 광합성색소 생합성 능력과 기주식물로부터의 영양분 탈취라는 특성을 고려하여 볼 때 탁월한 제초효과를 보여주지는 못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마늘 P. E. Mulching 재배시(栽培時) 효과적(效果的)인 제초제(除草劑) 선발(選拔)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Selection of Effective Herbicides in Polyethylene Film Mulching Culture of Garlic (Allium sativum L.))

  • 정태원;연규복;조진태;송영준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05-110
    • /
    • 1983
  • 마늘 프로에치렌 피복(被覆) 재배시(栽培時) 보통재배(普通栽培)보다 초기저온기(初期低溫期)에 많이 발생(發生)하는 잡초(雜草)를 방제(防除)하기 위(爲)하여 '78, '79, '82 3년간(年間) 우수(優秀)한 제초제(除草劑)를 선발시험(選拔試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음. l. 마늘밭의 우점잡초(優占雜草)는 무피복구(無被覆區)에서 명아주(98.1%) 피복구(被覆區)에서 구슬갓냉이(39.7%) 명아주(34.3%)였다. 2. 포리에치렌 피복재배(被覆栽培)에 있어서 효과적(效果的)인 제초제(除草劑)는 alachlor EC, pendimethalin EC, oxyfluorfen EC, acifluorfen EC 이며 5월(月) 15일(日) 이후(以後)는 metabenzthiazuron WP, prometryne WP 등(等) 화본과용(禾本科用) 제초제(除草劑)가 좋았다. 3. 마늘에 대한 약해(藥害)는 acifluorfen EC 에서 약간 있었으나 수량(收量)에는 별 영향이 없다. 4. 포리에치렌 피복재배시(被覆栽培時) 우수(優秀)한 제초제(除草劑)를 처리(處理)함으로서 무피복재배(無被覆栽培)의 제초제처리(除草劑處理)보다 22~37%의 증수(增收)를 할 수 있었으며 26~37%의 증수(增收)를 할 수 있었으며 26~84%의 소득(所得)도 올릴 수 있었다. 5. 흑색(黑色) 불투명(不透明) 포리에치렌 피복재배(被覆栽培)도 관행(慣行) 재배(栽培)보다 20%의 수량증수(收量增收)와 56%의 소득(所得) 증가(增加)를 할 수 있었다

  • PDF

안개에 기인하는 한국(韓國)들잔디(Zoysia japonica)의 잡초경합(雜草競合) 및 제초제반응(除草劑反應) 특이성(特異性) (Specifics in Weed Competition and Herbicide Response of Korean Lawngrass(Zoysia japonica) under Foggy Condition)

  • 구자옥;이병렬;천상욱;한성욱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62-269
    • /
    • 1995
  • 인공안개조건하에서 한국들잔디의 생장.잡초경합양상 및 제초제 반응을 검토코자 온실내 pot 시험으로 수행하였다. 안개조건에서 들잔디의 초장 및 엽령은 전 생육기간을 걸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최종 파종 후 100일째 분얼수 및 지상부 생체중등의 수량은 각각 24 및 29% 감소되었다. 안개조건에서 발생 잡초수는 큰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으나 그 발생량은 두배 이상으로 증가되었으며 주요한 발생초종은 바랭이, 피, 미국개기장, 쇠비름, 흰명아주, 한련초 및 방동사니류 등이었다. 안개조건에서 잡초와의 경합은 40일 이상 경합 기간의 처리가 들잔디의 초장을 크게 감소시켰고 분얼수는 전 경합기간처리에서 감소되었다. 또한 안개조건에서 pot당 입묘수 및 지상부생체중은 역시 40일 이상으로 경합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였다. 들잔디의 초장을 근거로 한 약해는 토양처리된 Oxyfluorfen에서 가장 컸고 안개처리조건하에서는 Bensulide에서 약해정도가 더 컸고 그에 따른 초장감소가 인정되었으나 Flazasulfuron 및 Mecoprop는 오히려 초장이 증가되었다. 한편 지상부생체중으로 본 약해는 Flazasulfuron 처리에서는 무처리와 대등하였으나 나머지 다른 제초제들은 심하게 증가하였다. 약제처리 후 40일째 생체중을 근거로 한 잡초방제가는 안개조건의 Bensulide 및 Mecoprop 처리에서 각각 6 및 13% 감소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