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Weeding Hypothesis on Direct Seeding Rice Field as Applied by the Old Firing and Water Dressing Method

고대 화경수누법(火耕水?法)을 응용한 직파 논[直播畓] 제초법

  • Guh, Ja-Ock (Korean Agricultural History Association) ;
  • Kuk, Yong-In (Dept. of Development in Resource Plants, College of Life Science and Natural Resources, Sunchon National University)
  • 구자옥 (농업사학회) ;
  • 국용인 (순천대학교 생명산업과학대학 자원식물개발학과)
  • Received : 2011.02.15
  • Accepted : 2011.03.16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It was a method of weed removing, called as whagyeongsoonoobeob. Namely, the Hwanoobeob was the weeding method came from "Jeminyosool" in old China, and had been descended to "Wibinmyeongnonggi", "Nonggajibseong" and "Gwanongsocho" in the $16\sim18^{th}$ century of our country. The method was applied to rice paddy after applying direct-seeding, burning by unit before watering to remove weeds and to save rice plants. It would be applied with a method of using non-selective herbicide such as paraquat and oxyfluorfen, or radiation treatment, as a simple and safe weed removing method.

제초를 위한 화경수누법, 즉 화누법은 고대 중국의 "제민요술"에서 유래되어 16~18세기에는 우리나라의 "위빈명농기" "농가집성" "과농소초"에 옮겨진 제초법이다. 직파된 벼논에서 벼와 잡초종들이 입모된 이후에 군락 초관위로 불놓아 태워진 연후에 물을 관수하므로써 잡초를 제거하고 선별적으로 벼를 안전하게 살려 재생시키는 방법이다. 불로 태우는 대신에 이에 걸맞는 비선택성이며 비이행성인 제초제(예, paraquat, oxyfluorfen 등), 또는 방사선 등을 처리하여 손쉽고 안전하게 제초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으로 응용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가사협(5․6세기). 제민요술 구자옥 등. 2008. 번역판. 제민요술 한국농업사학회. p. 151.
  2. 구자옥, 김미희, 김영진. 2009. 온고이지신 제 3권. 농촌진흥청. p. 102-106.
  3. 김안로. 1481-1537. 희락당고, 김안로의 호가 희락당이며 공포정치를 단행하여 사사됨, 재인용 문헌임.
  4. 박광호. 2007. 벼 복토직파 표준재배법. 삼성엘리트 인쇄(주). p. 44-45.
  5. 승정원일기. 1623-1893. 문서와 사건기록서. 1623년 이전 기록은 소실됨. 재인용문헌임.
  6. 신속. 1675. 농가집요 농촌진흥청 고농서구역총서 7 농촌진흥청. p. 214.
  7. 원사농사. 1279. 농상집성 구자옥 등(2008) 번역판. 농상집요 한국농업사학회. p. 122.
  8. 응소(후한). 한서 중국 전한의 229년 역사서. 조선전이 실려있다. 120권:8-9.
  9. 정초. 1429. 농사직설 고농서구역총서 7 농촌진흥청. p. 215.
  10. 염정섭. 2007. 농서집요:조선시대 경운․제초기술의 전개․고대농업기술의 재조명. 한국과학기술한림원 58-59 재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