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verproduction

검색결과 265건 처리시간 0.035초

사염화탄소로 유발된 산화적 손상에 대한 황칠나무 잎 추출물의 간세포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 of Dendropanax morbifera Leaf Extract on CCl4-induced Oxidative Damage in HepG2 Cells)

  • 박세호;이재열;지광환;양선아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70-378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사염화탄소(CCl4)에 의한 간세포 손상에 대한 황칠나무 잎 열수 추출물의 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CCl4에 의해 손상이 유도된 간세포에 황칠나무 잎 열수 추출물을 처리하면, 세포 독성은 보이지 않으면서 간세포 생존력을 증가시켰다. CCl4로 손상된 세포는 대조군[alanine transaminase (ALT), 10.0 U/L, aspartate transaminase (AST), 15.2 U/L)]과 비교하면, ALT, AST의 방출이 각각 27.6 U/L, 52.4 U/L로 현저히 증가하였다. 그리고 γ-glutamyl transpeptidase (GGT)는 CCl4 처리로 대조군보다 5.4배 과생성 되었으며, 환원형 글루타치온은 44.0%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황칠나무 잎 열수 추출물을 처리하면 ALT, AST 그리고 GGT는 처리한 잎 추출물의 농도에 비례하여 감소하였고, 환원형 글루타치온은 증가하였다. 더욱이 CCl4 처리로 유도된 과생성된 malondialdehyde (MDA)의 함량도 황칠나무 잎 열수 추출물 처리에 의해 효과적으로 억제되었다. CCl4에 의해 과생성된 지방 관찰은 oil red O 염색법을 사용하였고, 황칠나무 잎 열수 추출물의 처리에 따라 세포 내 과생성된 지질함량이 황칠나무 잎 열수 추출물의 처리 농도에 따라 효과적으로 억제되었다. 또한, CCl4에 의해 세포 내 과생성된 활성 산소종은 DCFDA 염색법을 사용하였으며, 황칠나무 잎 열수 추출물의 처리로 감소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황칠나무 잎 열수 추출물이 향후 간 보호에 관련된 기능성 식품 소재로 활용이 가능함을 시사한다.

The Effect of Extract from Sea Buckthorn on DNCB-induced Atopic Dermatitis in NC/Nga Mice

  • Park, Sang-Yong;Shin, Heon-Sub;Yang, Jung-Eun;Han, Sang-No;Kim, Dae-Sung;Kim, Myong-Jo;Heo, Seong-Il;Yi, Tae-Hoo;Lee, Jung-Min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682-692
    • /
    • 2012
  • Sea Buckthorn (Hippophae rhamnoides L.) has been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cough, indigestion, circulatory problems and pain. The associated anti-inflammatory effect of this agent is achieved via the inhibition of Nf-${\kappa}B$ signaling, a property that has been demonstrated to effectively control the symptoms of various skin disorders, including atopic dermatitis.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icacy of Sea Buckthorn in reducing the production of lipopolysaccharide (LPS) activated nitric oxide (NO) by inhibiting the Nf-${\kappa}B$ pathway, as measured by the symptoms of atopic dermatitis (AD) occurring secondarily to inflammation and immune dysregulation. Our data demonstrate that Sea Buckthorn significantly decreased the LPS-induced production of NO (p<0.001). Atopic dermatitis was induced by repeated application of 2,4-dinitrochlorobenzene to the dorsal skin of mice. Topical application of 5% Sea Buckthorn extract improved the symptoms of AD, specifically reducing disease severity scores, scratching behaviors and epidermal thickness.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imals treated with Sea Buckthorn exhibited increased serum IL-12 levels and decreased serum TNF-${\alpha}$, IL-4 and IL-5 levels. Such a modulation of biphasic T-helper (Th)1/Th2 cytokines may result in a reduction in serum IgE levels. Our findings suggest that mechanism of action of Sea Buckthorn in the treatment of AD is associated with a marked anti-inflammatory effect as well as an inhibition of Th2-mediated IgE overproduction via the modulation of biphasic Th1/Th2 cytokines. Such results suggest that topical Sea Buckthorn extract may prove to be a novel therapy for AD symptoms with few side effects.

Brevibacterium Flavum의 Auxotrophic Mutants에 의한 L-Threonine 생성(生成)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Formation of L-Threonine by auxotrophic mutants of Brevibacterium flavum)

  • 이갑랑;박동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51-261
    • /
    • 1987
  • 본(本) 실험(實驗)은 세균(細菌)에 의한 L-threonine의 효율적인 생성(生成)을 검토할 목적(目的)으로 Brevibacterium flavum ATCC 14067을 사용하여 L-threonine 생성능(生成能)이 우수한 균수(菌株)를 선발(選拔)하기 위해 변이원인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 (NTG)로 처리하여 돌연변이주(突然變異株)를 유도(誘導)한 후(後), 다시 methionine 영양요구주, lysine 영양요구주, isoleucine 영양요구주, lysine 영양요구주, isoleucine 영양요구주, methionine 및 isoleucine 영양요구주를 선발(選拔)하였다. 또한 선발(選拔)된 영양요구성 변이주들 중에서 L-threonine 생성능(生成能)이 원균(原菌)에 비(比)해 $3{\sim}4$배(倍)정도 우수한 B-13균주(菌株)$(met^-)$를 선발(選拔)하여 L-threonine 생성력(生成力), 배지(培地) 조성(組成) 및 배양(培養)에 따른 몇가지 요인(要因)들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L-threonine생성량은 원균주가 1.4mg/ml에 비해 methionine 영양요구성 변이주인 B-13은 4.86mg/ml로서 약 3.5배(倍)의 높은 생성량을 나타내었다. 2. B-13에 의한 L-threonine 생성(生成)에 적당한 배지조성(培地組成)은 glucose 10%, ammonium sulfate 2%, potassium phosphate monobasic 0.2%, magnesium sulfate 0.05%, biotin $200{\mu}g/l$ thiamine $300{\mu}g/l$이였으며 nicotinic acid 0.05% 첨가시 더욱 증가 되었다. 3. B-13에 있어서 유기영양원에 대한 효과는 yeast extract와 Peptone이 양호하였으며 영양요구물질인 metionine은 $100{\mu}g/ml$가 적당하였으며 aspartic acid와 homoserine 첨가시 L-threonine 생성이 증가되었으며 lysine 첨가시에는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4. B-13에 의한 L-threonine 생성에 가장 적절한 pH는 $7.0{\sim}8.0$이였으며 배양일수(培養日數)는 4일(日)이 적당하였다.

  • PDF

Effect of Atrazine, Perfluorooctanoic Acid and Zearalenone on IFNγ, TNFα, and IL-5 mRNA Expression in Jurkat Cells

  • Lee, Sung-Woo;Son, Hwa-Young;Yoon, Won-Kee;Jung, Ju-Young;Park, Bae-Keun;Cho, Eun-Sang;Park, Sang-Joon;Kim, Tae-Hwan;Ryu, Si-Yun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8권3호
    • /
    • pp.286-293
    • /
    • 2010
  • Cytokine production is a sensitive indicator for monitoring perturbations of the immune system by xenobiotics in animals and humans. In the present study, we evaluated the changes in $IFN{\gamma}$, IL-5 and $TNF{\alpha}$ mRNA expression after atrazine (ATZ), perfluorooctanoic acid (PFOA) or zearalenone (ZEA) exposure in Jurkat cells. The IC50 (concentration for a 50% inhibition of cell proliferation) of PFOA and ZEA after 3 days culture were $226.6\;{\mu}M$ and $52.6\;{\mu}M$, respectively. The effects of ATZ on cytokine expression followed in increasing order of $IFN{\gamma}$>IL-5>$TNF{\alpha}$ at $3\;{\mu}M$ and at the lower concentrations the degree of effects on three cytokines were less clear between the cytokines when compared to control level. PFOA had marked increasing effect in order of $IFN{\gamma}$>$TNF{\alpha}$>IL-5 mRNA expression at IC50, and these patterns were continued at the lower concentrations, IC50/2 and IC50/4. ZEA caused the overexpression of cytokine mRNAs in order of IL-5>$IFN{\gamma}$>$TNF{\alpha}$ at both IC50 and IC50/2, and at IC50/4 the overexpression order was IL-5>$TNF{\alpha}$. On other hand, $IFN{\gamma}$ was less distinct compared to the control. These data indicate that ATZ, PFOA and ZEA caused the overtranscription of $IFN{\gamma}$, IL-5 and $TNF{\alpha}$ mRNA, and the overproduction of these cytokines may eventually lead to immune disorders.

Spinosin Inhibits Aβ1-42 Production and Aggregation via Activating Nrf2/HO-1 Pathway

  • Zhang, Xiaoying;Wang, Jinyu;Gong, Guowei;Ma, Ruixin;Xu, Fanxing;Yan, Tingxu;Wu, Bo;Jia, Ying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8권3호
    • /
    • pp.259-266
    • /
    • 2020
  • The present research work primarily investigated whether spinosin has the potential of improving the pathogenesis of Alzheimer's disease (AD) driven by β-amyloid (Aβ) overproduction through impacting the procession of amyloid precursor protein (APP). Wild type mouse Neuro-2a cells (N2a/WT) and N2a stably expressing human APP695 (N2a/APP695) cells were treated with spinosin for 24 h. The levels of APP protein and secreted enzymes closely related to APP procession were examined by western blot analysis. Oxidative stress related proteins, such as nuclear factor-erythroid 2-related factor 2 (Nrf2), and heme oxygenase-1 (HO-1) were detected by immunofluorescence assay and western blot analysis, respectively. The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level was analyzed by flow cytometry, the levels of Aβ1-42 were determined by ELISA kit, and Thioflavin T (ThT) assay was used to detect the effect of spinosin on Aβ1-42 aggreg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ROS induced the expression of ADAM10 and reduced the expression of BACE1, while spinosin inhibited ROS production by activating Nrf2 and up-regulating the expression of HO-1. Additionally, spinosin reduced Aβ1-42 production by impacting the procession of APP. In addition, spinosin inhibited the aggregation of Aβ1-42. In conclusion, spinosin reduced Aβ1-42 production by activating the Nrf2/HO-1 pathway in N2a/WT and N2a/APP695 cells. Therefore, spinosin is expected to be a promising treatment of AD.

5종 생약(진피, 청피, 귤핵, 지실, 지각)의 Flavanone Glycoside 함량분석과 Peroxynitrite 소거효과 (Quantitative Analsysis of Flavanone Glycosides and Peroxynitrite Scavenging Effect of the Five Oriental Medicinal Drugs (Aurantii nobilis Pericarpium, Citrii unshiu Pericarpium, Citrii unshiu Semen, Aurantii Fructus, Poncirii Fructus))

  • 누그로호 아궁;박명곤;진성은;최재수;박희준
    • 생약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70-375
    • /
    • 2009
  • Overproduction of peroxynitrite ($ONOO^-$) causes a variety of disease such as atherosclerosis, hypercholesterolemia, diabetes mellitus or obesity. Peroxy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and HPLC analysis on the five Oriental medicinal drugs belonging to the genus Citrus, Aurantium or Poncirus (Rutaceae family) and HPLC analysis were taken to evaluate flavanone glycosides with peroxynitrite scavenging activity. The $IC_{50}s$ of the five crude drugs were shown as follows: Aurantii nobilis Pericarpium (Jinpi, 18.3 ${\mu}g$/ml), Citrii unshiu Pericarpium (Chungpi, 7.50${\mu}g$/ml), Citrii unshiu Semen (Gyulhaek, >50.0${\mu}g$/ml), Aurantii Fructus (Jigak, 18.3${\mu}g$/ml), and Poncirii Fructus (Jisil, >50.0${\mu}g$/ml) where Korean crude drug's names are noted in the parenthesis. Peroxynitrite scavenging effect of flavanones or their glycosides usually contained in Citrus species were observed as follows: hesperetin (1.89 ${\mu}g$/ml), naringenin (7.77 ${\mu}g$/ml), hesperidin (8.44 ${\mu}g$/ml), poncirin (>50.0 ${\mu}g$/ml)and ponciretin(>50.0 ${\mu}g$/ml). The activities of naringin and poncirin with ${\alpha}$-L-rhamnopyranosyl($1{\rightarrow}2$)-${\beta}$-D-glucopyranosyl moiety were weak. HPLC analytical data revealed that Jinpi (the peels of mature fruits of Citrus unshiu) and Chungpi (the peels of immature fruits of C. unshiu) had high quantities of hesperidin as the value of 142.1${\pm}$0.21 and 104.51${\pm}$1.10 mg/g dried weight, respectively. Poncirin was clearly detected in only Jisil and naringenin and naringin were not observed on the HPLC chromatogram of the five crude drugs.

배지최적화를 통한 재조합 바실러스 서브틸리스에서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파시엔스 유래 γ-글루타밀펩타이드전달효소의 대량생산 (Overproduction of a γ-glutamyltranspeptidase from Bacillus amyloliquefaciens in Bacillus subtilis through medium optimization)

  • 조혜빈;제텐드라 쿠마르 로이;박우진;전병운;김영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610-616
    • /
    • 2017
  • 본 연구를 통해 BAGGT를 재조합 B. subtilis를 이용하여 대량 생산하기 위하여 유전자 클로닝, 발현 시스템 구축 및 배지 최적화를 진행하였다. 이중프로모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야생형 균주에 비해 42배 효소 생산성이 향상된 발현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또한 PBD 분석을 통해 당밀과 CSL이 재조합 B. subtilis 시스템에서 BAGGT의 생산성에 큰 영향을 주는 인자임을 확인하였으며, 염류의 첨가에 의한 효소 생산성 증대 효과는 미비하거나 부정적이었다. 탄소원으로 당밀을 선택하고 고가의 질소원인 트립톤을 저가의 CSL로 교체한 후 CCD 분석을 통해서 결정된 최적배지 사용 시 최적화 이전의 LB 배지 대비 4.3배의 생산성 증대를 이루었으며, 이는 LB 배지에서 야생형 균주의 BAGGT 생산성 대비 180배의 효소 생산성 개선에 해당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식품용 효소로서 BAGGT의 대량생산을 위한 공정을 구축하였으며, 이후 정미성 소재 생산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재조합 효모의 유가배양에서 Exoinulinase생산을 위한 Promoter의 선별 (Selection of Constitutive Promoter for Exoinulinase Production in Fed-Batch Culture of Recombinant Yeast)

  • 김이경;고지현;김연희;김성구;남수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06-211
    • /
    • 2001
  • Klyyveromyces marxianus exoinulinase를 Saccharomyces cerevisiae에서 구성적으로 과발현 생산하기 위해, 구성적 promoter인 GAPDH, ADH1, PGK 및 ENOI promoters 하류에 exoinulinase 유전자 (INUI)의 ORF를 in frame으로 연결한 각각의 plasmi에 YIGP, pADHI,-INU, pPGK-INU 및 pENO-INU 를 구축하였다. 이들 각 plasmid를함유한 형질전환주 4종을 포도당 농도 5% 배지에서 회분배양한 결과 균체증식은 promoter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exoinulinase 발현수준과 plasmid 안정성은 사용한 promoter 에 크게 좌우되었다. 즉 exoinulinase 발현수준은 GAPDH PGK ADH1 ENO1 promoter 각각 1.70, 1.67 1.29, 0.80 unit/ml 였으며 plasmid 안정성은 GAPDH promoter 계의 55%를 제외하고 모두 80%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plasmid 안정성과 exoinulinae 발현수준을 고려하여 ADH1 및 PGK 발현계를 선정하여 유가배양하였다 Yeast extract와 포도당을 간헐적으로 공급한 유가배양 결과, 두 발현계에서 약 30 g-DCW/1의 균체농도를 얻었지만, ADHI promoter 계에서는 3.70 unit/ml 의 최대 exoinulinase 활성과 96%의 plasmid 안정성을 보여TRh 반면에 PGK promoter 계는 각각 2.70 unit/ml/와 80%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plasmid 안정성과 긴 배양시간을 고려할 때 비선택적 영양배지를 사용하는 고농도세포 유가배양에서 ADH1 promoter가 exoinulinase 의 구성적 과발현, 생산에 더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미생물을 이용한 트립신 과대 생산 연구 - Streptomyces용 숙주-벡터계를 이용한 트립신 유전자의 대량발현 최적화 - (Overproduction of Bacterial Trypsin in Streptomyces - Optimization for Streptomyces griseus Trypsin Production by Recombinant Streptomyces)

  • 김종희;홍순광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28-33
    • /
    • 2008
  • Streptomyces griseus trypsin (SGT)을 코드하는 sprT 유전자와 그 하류에 존재하는 두 개의 조절 유전자 rsgtR1 및 sgtR2를 동시에 갖고 있는 재조합 벡터 pWHM3-TR1R2를 S. lividans TK24 및 S. griseus IFO 13350에 도입하여, 트립신의 생산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배지를 조사하였다. S. lividans TK24/pWHM3-TR1R2의 경우 배양 5일을 기준으로 R2YE에서 가장 높은 생산성(0.74 unit/mL)을 나타냈고, C5/L. (0.66 unit/mL), Livid (0.08 unit/mL), NDSK(0.06 unit/mL) 순으로 나타났다 S. griseus IFO 13350/pWHM3-TR1R2의 경우에는 전반적으로 배양 7일에 트립신 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C5/L (1.518 unit/mL), R2YE(1.284 unit/mL), NDSK (0.932 unit/mL), Livid (0.295 unit/mL) 순으로 나타났다. S. griseus IFO 13350/pWHM3-TR1R2를 C5/L 배지에서 7일간 배양한 배양액으로부터 $25%{\sim}60%$ ammonium sulfate 침전, CM-sepharose 및 Sp-sepharose column chromatography를 통하여 트립신을 고순도로 정제할 수 있었다. 최종 purification fold는 6.5배, 순수 정제된 트립신의 specific activity는 69,252 unit/mg, 회수율은 1.4%이었다.

벼 냉해의 초기 기작으로서 생체막과 세포질 사이의 대사 불균형 (Metabolic Imbalance between Glycolysis and Mitochondrial Respiration Induced by Low Temperature in Rice Plants)

  • 이근표;부용출;정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3권4호
    • /
    • pp.236-240
    • /
    • 2000
  • 식물의 저온 스트레스 및 방어체계에 대한 기작론적 연구의 일환으로서, 저온에서 보이는 벼 유묘의 생장력 상실과 생체막의 상전이 및 세포질 대사 변화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주변환경의 온도가 내려감에 따라 유묘의 생장속도는 점차 감소하여 약 $13^{\circ}C$ 이하에서는 생장이 실질적으로 정지하였다. 이 온도는 미토콘드리아 내막의 물리적 상전이 온도 및 기능적 상전이 온도와 일치하였다. 또한 해당과정의 중간생성물인 glucose 6-phosphate(G6P), fructose 6-phosphate(F6P)의 함량과 온도간의 상관곡선에서 보여주는 변곡점도 $13^{\circ}C$ 부근에서 나타났다. 이들-세포생리의 생화학적, 생물물리적 특성들의 불연속적 변화를 나타내는-온도들의 일치는 저온하에서의 생장정지가 우선적으로 미토콘드리아막의 상전이에 기인하며, 이 상전이가 세포 대사의 불균형을 일으키는 주요인임을 시사한다. 저온처리된 벼를 다시 상온으로 옮겼을 때 축적된 G6P와 F6P함량의 급격한 감소가 관찰되었다. 이는 상온환원시 TCA cycle을 거쳐 호흡전자전달에 필요한 전자공여체를 짧은 시간에 과다생성시키는 요인이 되어 결과적으로 세포의 산화적 스트레스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