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verpressure control damper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242초

자동차압·과압조절형댐퍼의 개폐동작횟수 증가에 따른 누설량 실험 연구 (The Experimental Study on the Leakage of Automatic Pressure Differential·Overpressure Control Dampers by Increasing the Number of Damper Operation)

  • 신평식;김학중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2호
    • /
    • pp.56-61
    • /
    • 2016
  • 최근 건축물은 대형화, 고층화되어 화재발생시 소방대의 활동이 제한되어 화염 및 연기에 의한 인명피해가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인명피해를 저감하기 위하여 제연설비가 필수적이며 특별피난계단 부속실 및 비상용승강기 승강장에 급기가압제연설비를 적용하고 있다. 국가 화재안전기준에서는 부속실 및 승강장과 거실과의 차압을 40 Pa 이상 요구하고 있으나 실제 현장에서는 과도한 과압이 다수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과압의 원인은 댐퍼의 누설량의 과다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과압은 피난자의 문개방을 어렵게 하여 피난을 불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확인하고자 자동차압 과압조절형댐퍼의 개폐 동작횟수 증가에 따른 누설량을 측정하여 초기에 공급된 댐퍼의 누설량과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초기 제품과 반복동작 후 누설량의 차이가 발생했으며 정압이 증가함에 따라 누설량 차이가 증가되었다. 선행연구와 비교분석한 결과도 정압에 따른 선형적 증가의 경향이 유사한 추세를 보이고 있다.

고층건축물의 피난경로 가압제연시스템 성능개선대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erformance Improvement Measures of Pressurized Smoke Control Systems for Exit Passageways of High-Rise Buildings)

  • 손봉세;김진수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21권12호
    • /
    • pp.703-714
    • /
    • 2009
  • One of the biggest problems in smoke control systems for high-rise buildings is stack effect, but there are no recognized methods or measures to solve the problem of stack effect as yet. The stack effect can be overcome by forming the uprising current inside the stair hall properly, but there is a limit to the height in supplying into the stair hall the smoke control air volume to be supplied to a floor in case of escape from fire. The limit to the height can be extended by over-coming the stack effect by pressurizing the stair hall and the ancillary room simultaneously. It can also be anticipated that the stack effect can be overcome by connecting the air supply shaft to the stair hall at the top. As a result of computer simulations using a network type of tool, it is found that adequate performance can be achieved by pressurizing the stair hall only for a building of 190m or less, and up to 360m when pressurizing the stair hall and the ancillary room simultaneously. In all those cases, however, an overpressure venting damper is required which operates within a suitable range for venting the overpressure outside.

굴뚝효과와 외부출입문 개방을 고려한 부속실 제연 (Vestibule Smoke Control Considering the Stack Effect and the Opening of the Outside Door)

  • 김용광;손주달;김서영;공하성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5-24
    • /
    • 202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stack effect of the staircase and the failure to take into account the opening of the outside door of the staircase, which are the disadvantages of the existing smoke control only vestibul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new vestibule and the staircase simultaneous smoke control are equipped with an exhaust flap damper with an effective opening area of about 0.25 m2 in the upper part of the staircase, and a ventilator-type air supply fan of about 5 m3/s in the lower part, and take measures to prevent overpressure in the staircase. If you use the new simultaneous smoke control method of the vestibule and staircase, you can achieve the following effects. First, it is possible to open the external entrance door. Second, it can reduce the stack effect. Third, the staircase door closes automatically without fail. And a new method of preventing overpressure was proposed for the vestibule.

자동차압 · 과압조절형댐퍼의 누설량 실험 연구 (The Experimental Study on the Leakage of Automatic Pressure Differential · Overpressure Control Dampers)

  • 신평식;김학중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9권6호
    • /
    • pp.71-75
    • /
    • 2015
  • 최근 건축물은 대형화, 고층화되어 화재발생시 소방대의 활동이 제한되어 화염 및 연기에 의한 인명피해가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인명피해를 저감하기 위하여 제연설비가 필수적이며 특별피난계단 부속실 및 비상용승강기 승강장에 급기 가압제연설비를 적용하고 있다. 국가 화재안전기준에서는 부속실 및 승강장과 거실과의 차압을 40 Pa~60 Pa을 요구하고 있으나 실제 현장에서는 60 Pa 이상의 과압이 다수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과압의 원인은 댐퍼의 누설량의 과다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과압은 피난자의 문개방을 어렵게 하여 피난을 불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확인하고자 국내에 사용되고 있는 자동차압 과압조절형댐퍼의 누설량을 측정하여 실제 누설량이 얼마인지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제조사 별로 최대 누설량은 $0.154m^3/s$로 나타났으며, 최소 누설량은 $0.090m^3/s$로 나타났다. 이 누설량으로 인하여 과압이 발생하면 피난문 폐쇄력이 증가하여 피난에 방해가 될 수 있으므로 댐퍼의 누설량 제한 기준이 필요하다.

유입 공기의 배출 성능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Improvement Plan of Inflowing Air Emission)

  • 이혜영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241-251
    • /
    • 2022
  • 연구목적: 고층 건물 화재시 제연구역이 효과적으로 보호되지 않으면 수직피난경로에 연기나 화염이 유입되어 대피가 어려워진다. 국가화재안전기준에서는 제연구역에 차압 및 방연풍속을 공급하여 능동적으로 연기 유입을 억제하고, 제연구역으로부터 옥내로 유입되는 공기는 옥외로 배출되도록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유입 공기의 배출로 인한 문제점을 확인하고 성능개선 방안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CONTAM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본조건과 변경조건으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밀폐된 복도에서 유입 공기가 배출되면 제연구역에서 과압이 발생하여 개방력을 초과하였고 유입공기가 배출되지 않는 층 에서는 방연풍속이 미달하였다. 결론: "차압 배출댐퍼" 적용, 배출댐퍼 2개층 동시 개방, 복도와 옥외 사이 자동식 창문 설치로 유입공기의 배출 성능이 개선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