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ven

검색결과 1,158건 처리시간 0.027초

단삼추출물의 항산화능 검색 및 약과에의 첨가효과 (Screening of Antioxidant Activity in Dansam(Salvia miltiorrhiza) and Additional Effect on the Shelf-Life and the Characteristics of Yakgwa)

  • 김윤화;한영실;백재은;송태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63-469
    • /
    • 2003
  • 단삼을 ethanol로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고, methanol로 추출하여 용매별로 순차 분획하여 농축시켜 분획별 추출물을 얻었다. 항산화효과를 실행하기 위해 DPPH 방법으로 전자공여능을 측정하였다. 식품에의 첨가에 대한 보존효과를 실험하기 위해 약과에 단삼 에탄을 추출물을 0.0, 0.25, 0.5, 0.75, 1.0%별로 첨가하여, 제조 한 후 5일간 6$0^{\circ}C$의 Drying oven에 넣어 24시간 단위로 AV, POV, TBA가를 측정하였다.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단삼에탄을 추출물은 IC50이 8.27과 12.59$\mu\textrm{g}$/$m\ell$이었으며, 메탄을 추출물의 각 분획별 전자공여능은 Ethyl acetate층> Chloroform 층> Buthanol층> Water층> Hexane층 순으로 나타났다. 지질산패도 실험 결과, 단삼 첨가한 약과는 무첨가군에 비해 지질산화가 적게 일어났으며 그 효과는 첨가농도가 증가할수록 항산화효과도 크게 나타났다. 6$0^{\circ}C$에서 5일 동안 저장할 때, 산가의 경우RAE(상대적항산화효과)가 무첨가군을 100으로 보았을 때, 단삼의 경우 첨가량별로 130, 217, 269, 282로 증가하였다. POV의 RAE도 단삼의 경우 122, 187, 215, 267 증가를 보였다. TBA value의 RAE는 단삼은 137, 286, 419, 555로 뚜렷한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단삼과 울금 추출물 첨가 약과가 무첨가군에 비하여 저장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Effects of Dietary Fiber Extracts from Brewer's Spent Grain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icken Patties Cooked in Convective Oven

  • Kim, Hyun-Wook;Hwang, Ko-Eun;Song, Dong-Heon;Lee, Soo-Yeon;Choi, Min-Sung;Lim, Yun-Bin;Choi, Ji-Hun;Choi, Yun-Sang;Kim, Hack-Youn;Kim, Cheon-Jei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45-52
    • /
    • 2013
  • Brewer's spent grain (BSG) is a by-product of beer manufacturing.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dietary fiber extracts from brewer's spent grain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icken patties. The total fiber content of BSG dietary fiber extracts after extraction increased from 58.11% to 68.57%, and the extracted dietary fiber extracts were added to chicken patties at 0, 1, 2, 3, and 4%, respectively. The effects of the BSG dietary fiber extracts on pH, color, cooking loss, reduction in patty diameter, salt-soluble protein solubility, texture,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hicken patties were evaluated. The addition of BSG dietary fiber extracts decreased pH and lightness values, and increased redness and yellowness. Chicken patties formulated with 3-4% BSG dietary fiber extracts had the lowest cooking loss among all treatments (p<0.05). The diameter of chicken patties was not affected by the addition of BSG dietary fiber extracts. Additionally,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salt-soluble protein solubility after adding 3% BSG dietary fiber extracts compared to that in the control. Textural and sensory properties were different among the chicken patties, and the 3% BSG dietary fiber-added chicken patty had the highest acceptability. Our results indicate that 3% BSG dietary fiber extract can be used as a good source of dietary fiber for improving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icken patties.

낙동강 본류의 대표위치별 하천모래의 골재 활용성 평가 (Aggregate Utilization Estimation of River Sand according to Typical Location of Main Stream of Nakdong-River)

  • 박재임;배수호;권순오;김창덕;이승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3719-3725
    • /
    • 2012
  • 최근, 건설공사의 급증으로 인한 양질의 하천모래의 고갈로, 콘크리트용 대체골재로서 바다모래, 부순모래 및 순환잔골재 등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미세척 바다모래는 함유된 염화물로 인하여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할 경우, 철근부식 유발로 구조물의 내구성에 악영향을 미치고, 부순모래는 미립분이 많고 입도조정이 어려워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낙동강 세사는 낙동강 중 하류에 대규모로 분포하고 있고, 입도를 제외하면 콘크리트용 잔골재로서 품질이 우수하므로 이에 관한 연구가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콘크리트 잔골재로서 낙동강 세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그것의 물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낙동강 본류 대표위치별로 시료를 채취하여 이들의 절건밀도, 입도, 단위용적질량 등의 물성을 평가하였는데, 그 결과 낙동강 세사는 입도를 제외하면 잔골재로서의 물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이크로파 가열이 감자가루 저장중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icrowave Heating o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Potato Flour in Storage)

  • 최옥자;고무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61-466
    • /
    • 1991
  • 감자의 저장성과 가공적성 개선을 목적으로 감자에 마이크로파로 0초, 60초, 120초, 180초 동안 각각 가열한 다음 가루로 만들어 12개월 동안 저장하면서 마이크로파 가열효과를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감자가루 총지질의 함량은 마이크로파 가열시간이 길수록 감소되었고, 12개월 저장하였을 경우, 저장기간이 길수록 총지질의 함량은 감소하였으나 마이크로파로 가열하여 저장한 감자가루는 저장기간 동안 총지질의 감소량이 적었다. 감자가루 주요 지방산은 linoleic acid(30.92%), palmitic acid(29.35%), linolenic acid(8.90%), stearic acid(8.23%)로 나타났다. 마이크로파 가열을 하였을때 마이크로파 가열시간이 길수록 18 : 2, 18 : 3 등의 불포화 지방산들의 비율은 증가하고, 16 : 0, 18 : 0 등의 포화 지방산들의 비율은 상대적으로 감소하였다. 저장기간 동안 지방산의 조성은 저장기간이 길수록 포화 지방산들의 비율은 증가하고 불포화 지방산들의 비율은 감소하였는데 마이크로파로 가열한 경우 저장시에 나타나는 포화 지방산의 증가와 불포화 지방산의 감소현상이 현저하게 억제되었고 마이크로파 가열시간이 길수록 억제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 PDF

공주(公州), 포항(浦港), 그리고 양양(襄陽) 지역(地域) 굴참나무 천연림(天然林) 생태계(生態系)의 물질생산(物質生産)에 관(關)한 연구(硏究) (Biomass and Net Primary Production of Quercus variabilis Natural Forest Ecosystems in Gongju, Pohang, and Yangyang Areas)

  • 박관수;이승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6호
    • /
    • pp.692-698
    • /
    • 2001
  • 충청남도 공주, 경상북도 포항, 그리고 강원도 양양 지역에서 생육하는 평균수령 41년, 45년, 그리고 54년생 굴참나무 천연림 생태계의 지상부 현존생물량 및 연순생산량을 추정하기 위해 2000년 7-8월에 각 지역별 10주씩 총 30주의 표본목을 선정 벌목하였다. 수식 $Wt=aD^b$를 사용하여 추정한 지상부 총 현존생물량은 공주지역에서 91.31ton/ha, 포항지역에서 207.6ton/ha, 그리고 양양지역에서 71.39ton/ha으로 나타났다. 포항지역에서의 현존생물량 207.6ton/ha은 국내에서 보고된 굴참나무림의 현존생물량 중 가장 높은 값을 보이는 것으로 사료된다. 부위별 구성비는 모든 조사지역에서 수간목부, 수피, 생지부, 그리고 잎의 순으로 높았다. 총 연순생산량은 공주지역 7.81ton/ha, 포항 11.5ton/ha, 그리고, 양양 6.40ton/ha으로 포항지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른 조사 지역에 비해 평균 연령이 비슷하거나 낮았던 포항지역에서 지상부 현존생물량이 최소 2배 이상 높게 나타난 것은 조사지역간 기후특성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아임계수 추출에서 6-gingerol의 6-shogaol 전환을 위한 생강 건조 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drying conditions for the conversion of 6-gingerol to 6-shogaol under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from ginger)

  • 고민정;남화현;정명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5호
    • /
    • pp.447-451
    • /
    • 2019
  • 건조한 생강을 아임계수 추출 기술을 이용하여 6-gingerol, 6-shogaol을 추출하고 유효성분의 추출 효율과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추출 결과, 건조를 할 경우, 건조 조건에 따라 6-shogaol이 증가하기도 했으나 극한 조건으로 건조하여 생강의 수분함량이 매우 낮아질 경우, 오히려 생강 조직 사이의 공간이 감소하고 그로 인한 추출 용매의 mass transfer가 낮아져 6-gingerol과 6-shogaol 함량은 모두 감소하였다. 또한 비교적 높은 온도인 60, $80^{\circ}C$에서 4시간의 건조를 시킬 경우, 6-shogaol은 열분해가 되었다. 결과적으로 생강의 $60^{\circ}C$, 2시간이 가장 적절한 건조 조건이었다. 특히, 생강의 건조 조건과 유효성분의 추출 경향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는 오직 물만을 사용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친환경적이며 안전하고 독성이 없는 아임계수 추출 방법이 최적화된 생강 시료의 건조 조건에서 6-shogaol의 유효성분을 선택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잠재성과 우수성을 확인한 결과이며, 다양한 식물에서 유효성분을 추출하거나 가공하는 식품 산업에 응용하여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플라즈마 중합 코팅된 타이어 코드의 노화에 따른 접착력 변화 연구 (Study of Aging and Durability on Plasma Polymerized Tire Cords)

  • 강현민;윤태호
    • 접착 및 계면
    • /
    • 제4권1호
    • /
    • pp.28-34
    • /
    • 2003
  • 강철 타이어 코드의 접착력 향상을 위하여 아세틸렌 플라즈마 중합 코팅, 아르곤 에칭+아세틸렌 플라즈마 중합 코팅, 그리고 아르곤 에칭+담채를 이용한 아세틸렌 플라즈마 중합 코팅을 실시하였으며, 접착력은 TCAT시편으로 측정하였다. 플라즈마 중합 코팅된 타이어 코드의 내구성을 고찰하기 위하여 제 1 단계로 아세틸렌 플라즈마 중합 코팅된 타이어코드를 상온에서 1, 3, 5, 10, 15일 동안 방치한 후 TCAT 시편을 제조하여 접착력변화를 측정하였으며, 제 2 단계로는 플라즈마 중합 코팅된 코드로 TCAT 시편을 제조한 후 증류수, 10% NaCl 수용액에서 또는 $100^{\circ}C$ 오븐에서 1, 2, 3, 4주간 노화시키면서 접착력 변화를 측정하였다. SEM/EDX을 이용하여 코드의 파괴표면을 분석하였으며, 황동코팅과 비교 분석하였다. 아르곤 에칭+담채를 이용한 아세틸렌 플라즈마 중합으로 코팅된 강철 타이어 코드의 접착력은 황동코팅된 시편의 접착력과 거의 같은 수준이었다. 타이어 코드의 상온 노화시험에서 황동코팅된 시편이 아세틸렌 플라즈마 중합 코팅된 시편에 비하여 우수 내구성을 보여주었으나, TCAT 시편의 노화에서는 아세틸렌 플라즈마 중합 코팅이 황동코팅에 비하여 우수하거나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 PDF

인 함유 폐기물을 활용한 퇴비화 공정에서의 질소 손실 저감 (Reduction of nitrogen loss in aerobic composting process using phosphorus-bearing waste)

  • 송영학;이동민;백경민;정연구
    • 유기물자원화
    • /
    • 제19권3호
    • /
    • pp.54-6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인을 함유하고 있는 뼈 폐기물과 Mg염을 첨가하여 struvite 결정화 반응을 유도하여 퇴비화 공정에서 암모니아 손실을 저감시키고자 하였다. 뼈 폐기물은 식당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건조, 분쇄한 다음 사용하였다. 인 용출실험 결과 뼈 폐기물에는 회분 기준으로 약 20.9%의 인이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퇴비화 반응은 식종퇴비 첨가 여부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식종퇴비를 첨가한 경우 퇴비화 반응이 더 빨리 진행되었다. 식종퇴비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반응 초기 pH가 낮은 기간이 더 길게 유지되었으며, 이는 뼈 폐기물에 포함된 인 용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struvite 결정화 반응 유발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Struvite 결정화 반응을 통한 질소의 보전 효과는 암모니아 손실량 및 퇴비의 암모니아 함량 변화로부터 분명히 관찰되었다. 즉, Mg염과 뼈 폐기물을 첨가한 경우 암모니아 손실량은 감소하였으며, 퇴비의 암모니라 함량은 상대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struvite 결정화 반응은 건조퇴비의 암모니아 함량 분석으로 확실히 파악할 수 있었다. 하지만 뼈 폐기물을 첨가한 경우 struvite 결정화 반응은 수용성 인산염을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음파 세척법을 이용한 사용 후 태양광 셀로부터 Si 회수 연구 (A Study to Recover Si from End-of-Life Solar Cells using Ultrasonic Cleaning Method)

  • 이동헌;고민석;왕제필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30권5호
    • /
    • pp.38-48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사용 후 태양광 셀을 HCl 용액 및 초음파세척기의 cavitation효과를 사용하여 셀 표면의 불순물(Al, Zn, Ag 등)을 제거하여 Si을 선택적으로 회수하기 위한 최적 공정 조건을 찾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태양광 셀에서 Si을 선택적으로 회수 하기 위해 HCl 용액 및 초음파세척기를 사용하여 침출을 진행하였고, 반응이 끝난 태양광 셀은 증류수로 세척 후 건조 오븐에 건조를 실시하였고, 반응된 HCl 용액은 감압 여과 실시 후 여과된 용액은 ICP-Full Scan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건조 된 태양광 셀은 유발을 사용하여 파쇄 후 XRD, XRF, 및 ICP-OES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Si의 순도 및 회수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은 산용액 농도, 반응 온도, 반응 시간, 초음파 세기를 변수로 두고 실험을 진행하였다. 위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태양광 셀로부터 Si을 선택적으로 회수하기 위한 최적 공정 조건은 산용액 농도 3M HCl, 반응 온도 60℃, 반응 시간 120min, 초음파 세기 150W인것을 알 수 있었고, 최종적으로 Si의 순도는 99.85%, 회수율은 99.24%로 측정되었다.

건조에 따른 구기자 중 etofenprox와 fenitrothion의 잔류량 변화 및 가공계수 (Dissipation and Processing Factor of Etofenprox and Fenitrothion Residue in Chinese Matrimony Vine by drying)

  • 노현호;이재윤;박효경;정혜림;이정우;조승현;권혜영;경기성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13-220
    • /
    • 2018
  • BACKGROUND: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characteristics of residual pesticides in time-dependent manner and calculate half-lives of the residual pesticides in fresh and dried Chinese matrimony vine. In addition, processing factors were calculated based on the residual concentrations in them. METHODS AND RESULTS: The test pesticides, etofenprox and fenitrothion, were sprayed onto the Chinese matrimony vine plants at once or twice (at seven-day interval) and then samples were collected at 0 (after 3 hours), 1, 3, 5 and 7 days after the last spraying. Dried samples were prepared in hot-air drying oven at $60^{\circ}C$ for 48 hours until water content of less than 20%. Residual concentrations of etofenprox in fresh and dried samples decreased by 54.0-60.9% after 7 days of the last pesticide-application. In case of fenitrothion, the concentrations were found to have decreased by 69.2-76.5%. Processing factors of etofenprox were 2.6-3.0 for the one-time spraying and 2.5-3.0 for the two-time spraying and those of fenitrothion were found to be 1.5-22 for the one-time spraying and 1.6-2.0 for the two-time spraying. First half-lives of etofenprox and fenitrothion in fresh and dried samples ranged from 5.0 to 6.3 and from 3.4 to 4.0 days, respectively. The third half-lives were found to be 15.0-18.9 and 10.2-12.1 days, respectively. CONCLUSION: Residual concentrations of the tested pesticides in the studied crop decreased, but those in the dried samples appeared to have increased. In addition, processing factor and half life were constant regardless of spraying ti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