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varian follicle

검색결과 266건 처리시간 0.026초

Phosphate가 제거된 단순배양액 중 아미노산의 첨가가 체외수정시술 후 임신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mino Acids in Simple Phosphate-Free Media on Pregnancy Rate in Human In Vitro Fertilization and Embryo Transfer(IVF-ET))

  • 이지삼;홍정의;유승환;정구성;홍기언;전은숙;허영문;이종인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6권2호
    • /
    • pp.239-249
    • /
    • 1999
  • The role of amino acids in culture media for IVF-ET was examined in a total of 76 cycles. Patients received clomiphene citrate (CC) followed by hMG or GnRH-a combined with gonadotropins (FSH/hMG) for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 Severe male (<$4{\times}10^6$ motile sperm) or age factor (>39 y) patients were excluded in this study. Pregnancy was classified as clinical if a gestational sac or fetal cardiac activity was seen on ultras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ge, duration of infertility, follicle size, the level of $E_2$ on the day of hCG injection, the mean number of oocytes retrieved, total motile sperm count, fertilization rate and the mean number of embryos transferred between bHTF (without amino acids) and mHTF (with amino acids) groups. However, total ampules of gonadotropins were higher (p<0.01) in mHTF group than bHTF group. Significantly (p<0.05) more clinical pregnancies were recorded in mHTF group (13/30) compared with bHTF group (9/46). The multiple pregnancy rates were 11.1% in bHTF group and 7.7% in mHTF group. There were one ectopic pregnancy in mHTF group and one heterotopic pregnancy in bHTF group. Abortion rates were 22.2% in bHTF group and 7.7% in mHTF, respectively. The ongoing pregnancy or livebirth rate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mHTF group (12/30) than bHTF group (7/46).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ddition of amino acids in culture media is essential for culture of zygotes in vitro and adjustment of energy substrates in phosphate-free culture media appears to be beneficial for human IVF-ET procedure.

  • PDF

인공수정시술주기에서 내인성 LH, GnRH Agonist 및 hCG를 이용한 배란유발후 임신율의 비교연구 (Comparison of Pregnancy Rates by Intrauterine Insemination after Ovulation Trigger with Endogenous LH Surge, GnRH Agonist or hCG in Stimulated Cycles)

  • 이종인;허영문;전은숙;윤정임;정구성;홍기언;유승환;이현숙;홍정의;이지삼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6권3호
    • /
    • pp.389-398
    • /
    • 1999
  • Objectiv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endogenous LH surge, GnRH agonist (GnRH-a) or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hCG) as ovulation trigger on pregnancy rate by intrauterine insemination (IUI). Method: Patients received daily 100 mg of clomiphene citrate (CC) for 5 days starting on the third day of the menstrual cycle followed by human menopausal gonadotropin (hMG) for ovulation induction. Follicles larger than >16 mm in diameter were present in the ovary, frequent LH tests in urine were introduced to detect an endogenous LH surge. Final follicular maturation and ovulation were induced by GnRH-a 0.1 mg (s.c.) or hCG $5,000{\sim}10,000$ IU (i.m.) administration except natural ovulation. Pregnancy was classified as clinical if a gestational sac or fetal cardiac activity was seen on ultrasound. Result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age, duration of infertility and follicle size, but more ampules of hMG were used in GnRH-a group compared to hCG 10,000 IU treated group (p<0.05). Lower level of estradiol ($E_2$) on the day of hCG or GnRH-a injection was observed in hCG 10,000 IU group than other treatment groups (p<0.01). The overall clinical pregnancy rate was 19.8% per cycle (32/162) and 22.2% per patient (32/144). Pregnancy rate was higher in natural-endogenous LH surge group (37.5%, 9/24) than GnRH-a (18.8%) or hCG treated group (20.9% & 13.9%), but this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No patient developed ovarian hyperstimulation. Abortion rate was 22.2% (2/9) in hCG 5,000 IU group. Delivery or ongoing pregnancy rate was 37.5% (9/24), 18.8% (3/16), 16.3% (7/43) and 13.9% (11/79) in endogenous LH surge, GnRH-a, hCG 5,000 IU and hCG 10,000 IU treatment groups, respectively. Conclusion: These results support the concept that use of natural-endogenous LH surge in stimulated cycles may be more effective to obtain pregnancies by IUI than GnRH-a or hCG administration.

  • PDF

Comparison of follitropin ${\beta}$ administered by a pen device with follitropin ${\beta}$ administered by a conventional syringe in patients undergoing IVF-ET

  • Kang, Hyuk-Jae;Kim, Chung-Hoon;Ahn, Jun-Woo;Lee, Hyang-Ah;Kim, Sung-Hoon;Chae, Hee-Dong;Kang, Byung-Moon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8권1호
    • /
    • pp.37-41
    • /
    • 2011
  • Objective: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and convenience of a pen device for the self-administration of follitropin ${\beta}$ with a conventional syringe delivering follitropin ${\beta}$ solution in patients undergoing IVF-ET. Methods: GnRH agonist long protocol was used for controlled ovarian stimulation (COS) in all subjects. A total of 100 patients were randomized into the pen device group or the conventional syringe group on the first day of COS. Local tolerance reactions were assessed within 5 minutes, at 1 hour and at 3 hours after each injection. On the day of hCG injection, patients were asked to rate their overall pain and convenience experienced with self-injection on a visual anlaogue scale (VAS). Result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patients' characteristics between the two groups. The duration of COS was significantly shorter in the pen device group than in the conventional syringe group. Patients included in the pen device group needed a significantly smaller amount of follitropin ${\beta}$. However, no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found in IVF results and pregnancy outcome. The incidence of local pain within 5 minutes, at 1 hour and at 3 hours after the injection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pen device group. VAS scores indicated that injections using the pen device were significantly less painful and more convenient. Conclusion: The pen device for self-administration of follitropin ${\beta}$ is less painful, safer and more convenient for the patients, and can be more effective because of the shorter duration and smaller dose of follitropin ${\beta}$ when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syringe.

Nonmonotonic Effects of Chronic Low-Dose Di(2-ethylhexyl) Phthalate on Gonadal Weight and Reproduction

  • Cha, Sunyeong;Jung, Kayeon;Lee, Min Young;Hwang, Yeon Jeong;Yang, Eunhyeok;Lee, Sung-Ho;Jung, Hyo-il;Cheon, Yong-Pil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2권1호
    • /
    • pp.85-94
    • /
    • 2018
  • Endocrine disruptors have been concerned in toxicology but now challenged as physiological point especially concerned with exposing dose and period. In this study the low-dose chronic administration of di(2-ethylhexyl) phthaltae (DEHP) during reproductive period was examined to evaluate the possible roles. Adult male and female CD-1 mice were exposed to DEHP with drinking water containing $133{\mu}g/L$ and $1,330{\mu}g/L$ DEHP in water according to OECD 433 guide line and sacrificed just after weaning. The weights of uterus and ovary were decreased by drinking of $1,330{\mu}g/L$ DEHP water. There was not adverse effects on either accumulated mating rate and mating rate depend on estrus stage, pregnancy duration, and sex ration at birth. However, the accumulated rate of successful delivery and litter size were significantly high at $1,330{\mu}g/L$ DEHP water. The number of epididymal sperm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drinking of $1,330{\mu}g/L$ DEHP water. In addition, the number of follicles (primary, secondary, tertiary) were more many than control at $1,330{\mu}g/L$ DEHP water drunk mother. Though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identify what are the mechanism of DEHP in folliculogenesis and spermatogenesis. From this study we firstly report the effect of low-dose chronic administration of DEHP with drinking could change the ovarian follicle population size and spermatogenesis rate. Put together, those finding is different from previous high-dose effects and suggest the physiological role of DEHP in gonads and uterus.

초음파검사에 의한 소의 번식장애 감별진단 및 치료법 개발 1. 처녀젖소에서 발정주기의 16일째에 CIDR의 치료에 대한 난소구조물의 반응 (Development of Differential Diagnosis and Treatment Method of Reproductive Disorders Using Ultrasonography in Cows 1. Response of Ovarian Structures to CIDR Treatment at Day 16 of Estrous Cycle in Dairy Heifers)

  • 강현구;강병규;칠한선;중미역언;서국현;손창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31-139
    • /
    • 1998
  • Progesterone을 함유하고 있는 CIDR(Controlled Internal Drug Release)의 질내삽 입은 황체기를 인위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다. CIDR의 삽입이,삽입시 존재했던 우세난포 (dominant follicle)의 반응과 난포의 발육반응 그리고 2회 또는 3회의 난포주기를 가지고 있는 처려우에서 CIDR의 삽입기간동안 난포의 성장 및 발육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비교검 토하기 위하여 배란후 16일째의 처녀우 4마리에 7일동안 CIDR를 삽입하였다. CIDR의 삽입 은 발정의 발현을 억제시켰으며 그리고 발정주기의 길이를 정상 발정주기보다 유의성있게 연 장시켰다($26.3{\pm} 0.5 vs 20.8{\pm}$ 1.5일, p<0.05). CIDR의 삽입시 혈장 progesterone 농도는 $3.6{\pm}$ 2.7 ng/ml 이었으며, 17일과 23일 사이에는 2.1-4.4 ng/ml($3.6{\pm}1.2 ng/ml$) 사이를 유지했다. 혈 장 estradiol-179의 농도는 난포의 발육 및 배란전 배란난포의 성숙을 나타내는 특징적인 변화 양상을 나타래었다. 4마리의 처녀우중 2마리는 CIDR 삽입전 발정주기당 2회의 난포주기를 가진 반면, 나머지 2마리는 주기당 3회의 난포주기를 가졌다. 그렇지만 CIDR의 삽입기간동안 모든 처녀우는 주기당 3회의 발정주기를 가졌다. CIDR의 삽입전 발정주기당 3회의 난포주기 를 갖는 처녀우에서 CRR의 삽입은 세 번째 난포주기에서 배란성 우세난포의 우세기 (dominant phase)를 연장시켰다. 3회의 난포주기를 갖는 2마리에서 CIDR의 삽입후 배란난포 는 존속시간과 우세기가 유의성있게 연장되었다. CIDR의 삽입전 발정주기당 2회의 난포주기 를 갖는 다른 2마리의 처녀우에서 CIDR의 삽입후 우세난포는 곧바로 퇴행되었고 새로운 난 포주기를 형성하였으며, 우세난포의 우세기와 배란난포의 존속기간을 연장시키지 않았다. CRR의 삽입은 CIDR의 삽입후 이어지는 발정주기동안 난포의 발육 및 성장에 영향을 미치 지 않았으며 발정주기의 길이, 난포주기, 혈장 progesterone 및 estradiol-179 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황체기 후반부에 CIDR의 삽입은 CIDR삽입전 발정주기동안 3회 의 난포주기를 갖는 처녀우에서 배란성 우세난포의 발육과 배란까지의 기간을 연장시켰고 2회 난포주기를 갖는 처녀우에서는 우세난포를 곧바로 퇴행시킨후, 새로운 난포주기를 형성 하였다.

  • PDF

Detrimental effects of lipopolysaccharides on maturation of bovine oocytes

  • Zhao, Shanjiang;Pang, Yunwei;Zhao, Xueming;Du, Weihua;Hao, Haisheng;Zhu, Huabi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8호
    • /
    • pp.1112-1121
    • /
    • 2019
  • Objective: Gram-negative bacteria lipopolysaccharide (LPS) has been reported to be associated with uterine impairment, embryonic resorption, ovarian dysfunction, and follicle retardation. Here, we aimed to investigate the toxic effects of LPS on the maturation ability and parthenogenetic developmental competence of bovine oocytes. Methods: First, we developed an in vitro model to study the response of bovine cumulusoocyte complexes (COCs) to LPS stress. After incubating germinal vesicle COCs in $10{\mu}g/mL$ of LPS, we analyzed the following three aspects: the expression levels of the LPS receptor toll-like receptor 4 (TLR4) in COCs, activities of intracellular signaling protein p38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p38 MAPK) and nuclear factor-kappa B (NF-${\kappa}B$); and the concentrations of interleukin (IL)-$1{\beta}$,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and IL-6. Furthermore, we determined the effects of LPS on the maturation ability and parthenogenetic developmental competence of bovine oocytes.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that LPS treatment significantly elevated TLR4 mRNA and protein expression levels in COCs. Exposure of COCs to LPS also resulted in a marked increase in activity of the intracellular signaling protein p-p38 MAPK and NF-${\kappa}B$. Furthermore, oocytes cultured in maturation medium containing LPS had significantly higher concentrations of the proinflammatory cytokines IL-$1{\beta}$, TNF-${\alpha}$, and IL-6. LPS exposure significantly decreased the first polar body extrusion rate. The cytoplasmic maturation, characterized by polar body extrusion and distribution of peripheral cortical granules, was significantly impaired in LPS-treated oocytes. Moreover, LPS exposure significantly increased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levels and the relative mRNA abundance of the antioxidants thioredoxin (Trx), Trx2, and peroxiredoxin 1 in oocytes. Moreover, the early apoptotic rate and the release of cytochrome C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response to LPS. The cleavage, morula, and blastocyst formation rate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parthenogenetically activated oocytes exposed to LPS, while the incidence of apoptotic nuclei in blastocyst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nclusion: Together, these results provide an underlying mechanism by which LPS impairs maturation potential in bovine oocytes.

생쥐 난포의 체외배양 중 생식샘자극호르몬에 따른 미세리보핵산 발현 양상 (Profiles of microRNAs in Mice Follicles According to Gonadotropins during in vitro Culture)

  • 김용진;구승엽;김윤영;오선경;김석현;최영민;문신용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6권4호
    • /
    • pp.265-274
    • /
    • 2009
  • 목 적: 미세리보핵산 (microRNA, miR)은 전사 후 (post-transcriptional) 단계에서 목표 유전자 (target gene)의 발현을 억제하여 세포의 발달과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난포의 성장과정 중의 miR 발현 양상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존 연구는 생쥐 난포의 체외배양 후 생식샘자극호르몬 (gonadotropin)과 사람융모성생식샘자극호르몬 (hCG) 첨가에 따른 난자와 난구세포에서의 miR 발현 양상을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생후 12일된 생쥐 (C57BL6)의 난소 적출 후, 전동 난포 (preantral follicle)를 분리하여 무작위로 $20\;{\mu}L$ 점적의 배양액만 있는 군 (control group), 재조합 난포자극호르몬을 첨가한 군 (FSH group), 재조합 황체형성호르몬을 첨가한 군 (LH group), FSH와 LH를 같이 첨가한 군 (FSH+LH group)으로 나누어 배양하였다. 난포가 충분히 성장하였을 때, 다시 hCG를 첨가한 군 (hCG (+) group)과 첨가하지 않은 군 (hCG (-) group)으로 나누어 hCG (-) group에서 난자와 난구세포를 각각 분리하여 RNA를 추출하였다. 36시간 후, 배란된 난자 난구세포 복합체 (cumulus oocyte complex, COC)에서 난자와 난구세포를 각각 분리하여 RNA를 추출하고, mmu--miR-16, -miR-27a, -miR-126, -miR-721 등의 miR에 대한 primer를 이용하여 실시간 중합연쇄반응을 시행하였다. 결 과: 배란율과 MII 난자 생성율은 다른 군들에 비해 FSH+LH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각 군내의 난자와 난구세포 사이에서도 miR 발현 양상의 차이가 관찰되었다. 또한, 난자와 난구세포에서의 miR 발현 양상은 각 군간 차이가 있었으며, hCG (+)군과 hCG (-)군간에도 차이를 나타냈다. 결 론: 생쥐 난포의 체외배양 중 난자 및 난구세포에서의 miR 발현 양상은 gonadotropin의 종류 및 난자의 성숙도에 따라 다르다. 이러한 결과는 표적 유전자의 발현에 대한 추후 연구를 통한 확인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우 난소의 Follicular Fluid의 특징과 과립막 세포의 스테로이드호르몬 분비에 대한 Anti-Inhibin Serum의 첨가효과 (Effects of Characteristics of Ovarian follicular Fluid and Ant-Inhibin Serum on Steroid Hormone Secretion by Hanwoo Granulosa Cells In Vitro)

  • 성환후;민관식;양병철;노환국;최선호;임기순;장유민;박성재;장원경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19-124
    • /
    • 2001
  • 본 연구는 한우 난포발달에 있어서 난포액 및 inhibin의 생리적 역할을 검토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Anti-inhibin serum(AI)생산을 위해 사용된 항원은 porcine inhibin-$\alpha$-subunit 19~32의 peptide를 사용하여 adjuvant 용액을 혼합, 앙고라종 토끼 5두(체중 2.5kg)에게 주 2회 간격으로 면역 실시 후 52일째의 토끼로부터 항혈청을 생산하였다. 과립막 세포의 체외배양을 위해 D-MEM(10% FCS와 antibiotics를 첨가)을 배양액으로 하여 1$\times$$10^{6}$ cells/$m\ell$로 조절하였으며, 호르몬은 RIA 및 ELISA법으로 분석하였다. Western blotting법에 의해 과립막 세포 및 황체조직의 각 세포질을 SDS-PAGE로 분리하여 nitro cellulose membrane에 transfer하여 검토한 결과, 직경 1.0 cm의 성숙 난포의 granulosa cell의 세포질에서 특이하게 Inhibin이 존재하고 있음이 확인되었으나, 황체조직 및 성숙 난포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난포 크기별 난포액의 progesterone 및 estradiol-17$\beta$을 농도를 분석한 결과, estradiol-17$\beta$농도는 난포 크기가 직경 2.0 cm부터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난포 크기가 적을수록 감소되었다. 이에 반해, Progesterone 농도는 직경 2.0 cm 난포에서 가장 높았으며 난포 크기가 적을수록 낮았다. 과립막 세포의 48시간 체외배양에서 bFF 5% 처리구와 bFF 5%+AI 5% 처리구에서는 progesterone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억제되었으나, AI 5% 단독 처리구에서는 대조구와 큰 차이가 없었다. 또한, estradiol-17$\beta$농도는 5% AI구와 5% AI+5% bFF 처리구에서는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였다. 그러나, 5% bFF 단독처리구에서는 대조구와 큰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한우에 있어서 성숙난포에 존재하는 Inhibin은 AI처리에 의해 내인성 Inhibin의 기능이 약하되어 FSH분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난포발달 및 난포세포의 스테로이드호르몬합성에 중요하게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돼지난소에서 난포폐쇄시 과립층세포의 아포토시스와 대식세포에 관한 형태학적 연구 (A Morphological Study on the Granulosa Cell Apoptosis and Macrophages during Follicular Atresia in Pig Ovary)

  • 박창식;한승로;김수일;조근자;김원식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4호
    • /
    • pp.571-584
    • /
    • 2004
  • 난포폐쇄는 과립층세포와 난포막세포들의 아포토시스에 의해 이루어지고, 이 과정에 대식 세포는 아포토시스 소체들의 포식작용과 각종 사이토카인 분비를 통해 난포폐쇄의 개시와 완성에 직, 간접적으로 관여함이 널이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난포 폐쇄시 일어나는 아포노시스가 어디에서부터 개시되고, 어떻게 파급되는지, 아포토시스 소체의 제거방법, 퇴화된 난모세포의 제거 방법, 이들을 제거하는 대식세포의 난포내 진입 시기와 방법 등에 대해서는 아직 확실히 밝혀져 있지 않다. 이에 저자들은 가임기 돼지(Yorkshire-breed)를 실험동물로 난소내 난포의 광학현미경적 및 투과전자현미경적 관찰과 TUNEL 및 돼지 대식세포 단크론항체 4E9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으로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난포 폐쇄는 과립층세포의 아포토시스로부터 개시되고 그 시기에 난포막 속층 세포들의 아포토시스도 같이 일어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과립층세포의 아포토시스는 당해 세포의 과립층내 위치에 관계없이 핵농축으로부터 시작되고 짧은 시간안에 과립층 전체로 파급되고 난모세포를 둘러싸고 있는 괴립층세포의 아포토시스가 가장 마지막에 일어나는 것으로 보인다. 난포 과립층세포의 아포토시스는 핵의 농축과 변형, 세포내 소포들의 출현이 특징적이었고, 아포토시스 소체들은 인접한 정상적인 과립층세포와 대식세포들에 의해 포식되었다. 아포토시스 소체들을 포식한 정상 괴립층세포는 자신도 곧 아포토시스를 일으켜, 이들의 포식작용은 일시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모든 아포토시스 소체들과 퇴화된 난모세포는 대식 세포들이 제거함을 알 수 있었다. 대식세포는 아포토시스의 개시와 함께 난포내로 진입하고, 그 진행과 함께 난포내 모든 부위로 이동하여 아포토시스 소체들과 퇴화 난모세포를 제거하는 것으로 보인다. 처음부터 난포막에 있던 일부 대식세포들은, 아포토시스를 일으켜 난포 바닥막을 와해시킨 난포막세포들의 아포토시스 소체들을 제거하여, 폐쇄된 난포의 난소 실질화를 통해 난포 폐쇄의 완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번식주기에 있어서 자성무지개송어 (Oncorhynchus mykiss) 뇌하수체의 생식소자극호르몬 분비세포와 난형성에 특이하게 작용하는 내분비물질 및 혈장성분의 연중변화 (Annually Reproductive Cycles of Gonadotropic Cells, Endocrine Materials and Plasma Components in Special Relation to Oogenesis in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 윤종만;김계웅;박관하
    • Applied Microscopy
    • /
    • 제31권1호
    • /
    • pp.19-35
    • /
    • 2001
  • 계절성 번식기 동안에 자성무지개송어 (Oncorhynchus mykiss)의 혈장내 $estradiol-17\beta$, 혈장성분, 전기영동상 그리고 미세구조 변화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정상적인 자연조건에서 혈장내 $estradiol-17\beta$는 난황형성기(vitellogenic season)말인 9월에 peak를 나타내었고, 산란이 이루어진 시기 이후인 12월에는 서서히 감소하였으며, 난소의 재형성 초기인 2월과 3월에는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estradiol-17\beta$의 변화 추이를 볼 때 이 호르몬은 자성 무지개송어에서 혈장내 calcium, phosphorus, glucose, albumin및 total protein수준의 증가에 의해서 증명된 것과 같이 난황전구물질(vitellogenin)의 생성을 자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Latematuring단계 혹은 산란중인 난모세포의 전기영동상(분자량이 각각 약 70,000과 200,000 Da)은 late perinucleolus단계의 난모세포의 전기명동상보다 훨씬 두껍고 진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 단백질 2개의 전기영동상은 $estradiol-17\beta$ 호르몬 peak와 일치하는 추이를 나타내면서 SDS-PAGE에서 확인되었다. 생식소 숙도지수 일명 성성숙지수, [gonadosomatic indices(GSI)]는 10월로부터 그 이듬해 1월까지 유의성 있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성숙난자의 급격한 수적인 증가와 일치하면서 1월에 가장 높은 peak를 나타내었다. 산란 전단계에서 estradiol-17 수준과 CSI간에는 정 (+)의 상관관계 (r=0.701, p<0.01)를 나타내었고, 간숙도지수 [hepatosomatic index (HSI)]는 번식시기인 12월에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번식시기 (12월)에 생식소 자극호르몬 분비세포(gonadotropes)는 granules와 globules와 같은 생식소자극호르몬을 포함한 봉입체로 가득찬 상태를 나타내었다. 난황형성기에는 late perinucleolus 난모세포가 난황의 축적을 통해서 early maturing난모세포로 변형되는 과정이며, 이 시기의 난모세포는 late maturing단계로 되면서 난황으로 완전히 가득찬 상태로 확인되었다. 핵이주 단계에 있는 난모세포의 과립막세포의 미세구조를 살펴보면 팽창된 조면 내형질세망과 tubular cristae가 있는 간상의 미토콘드리아로 구성되어 있었다. 방사대 (zona radials)와 난황막 사이에 있는 미세융모(finger-like projections)는 각각 성장하면서 난황형성기에 pore canals을 이루면서 서로 연결되나, 난성숙기에 방사대가 더욱더 치밀하게 되면 수축되어 봉쇄되면서 위축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방사대는 외측에 않은 homogeneous layer와 내측에 2개의 두꺼운 helicoidal layers (zona radiata interna and zona radials externa)총 3개의 구조물로 구성되어 있었다. 정상적인 환경조건에서 볼 때 난포는 난형성과 생식소에서 분비되는 스테로이드 흐르몬의 생성에 충분할 만큼 조직의 발달과 호르몬의 주기적인 분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