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utlook on the mathematics education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5초

수학사에서 수학의 패러다임 형성과 수학교육관

  • 김종명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53-63
    • /
    • 1997
  • The paper is analyzed the variety of outlook on the mathematics education as the paradigm of the mathematics in the history of mathematics and suggested the direction of outlook on the mathematics education in the future.

  • PDF

고대 그리스의 수리철학과 수학교육관

  • 김종명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83-97
    • /
    • 1999
  • This paper analyzes the philosophy of mathematics and outlook on the mathematics education as the Ancient Greece in the history of mathematics.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the direction of outlook on the mathematics education in the future.

  • PDF

한국의 수학 교육과정과 수학교육관 (On the Mathematics Curriculum of Korea and Outlook on the Mathematics Education)

  • 김종명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33-52
    • /
    • 2004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수학교육의 역사에서 수학교육과정의 개정에 따라 분류하는 방법으로 분석하여 수학교육의 철학적 근거와 수학교육관을 조사했다. 서양 수학교육 철학의 변화는 한국 수학교육과정의 다양한 관점과 변화로 이어졌다. 한국의 수학교육과정의 변화는 수학 교수법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 또한 21세기 정보화의 시대에 대비하는 창의적인 인간을 길러내는 바람직한 수학교육과 수학교육관의 방향을 모색했다.

  • PDF

수리철학의 변화와 수학교육관

  • 김종명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83-100
    • /
    • 2001
  • The paper analyzes the philosophy of mathematics and outlook on the mathematics education as the philosophy of mathematics in the history of mathematics. We have found that various views of the human society have led us to the various philosophy of mathematics. This change of philosophy have important implications to the didactics of mathematics. This study tries to find out the direction of outlook on the mathematics education in the future.

  • PDF

근대 수학교육의 역사에 나타난 수학교육관

  • 김종명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43-54
    • /
    • 1998
  •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variety of outlook on the mathematical education as in the history of modern mathematical education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outlook on the mathematical education in the future.

  • PDF

핀란드 수학교과서에 나타난 표의 의미와 용도, 그리고 교과서 구성을 위한 시사점 (The Meaning and Practical Uses of Tables in Finland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and Its Implications for Developing Mathematics Textbooks)

  • 김수미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73-92
    • /
    • 2017
  • 표는 자료 정리의 효과적 수단이지만, 그래프에 비해 시각적 한계가 뚜렷해서 수학교육분야에서 독립적인 연구주제로서의 위상을 차지하지는 못하고 있다. 그러나 표가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 명시적으로 포함된 만큼 표에 대한 체계적 연구와 합리적인 논의는 필요하다. 이 연구는 표를 다양한 용도로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핀란드 초등학교 수학교과서를 채택하여, 수학교과서에서 표가 어떤 의미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표는 통계영역 뿐만 아니라 수와 연산, 도형, 측정, 비와 비율 등의 수학내용을 전개하기 위한 유용한 수단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 외에도 표의 외양이나 표를 구성하는 자료의 소재나 크기 등에 있어 의미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PDF

한국어 수사의 어원에 관한 수학사적 조망: 하나에서 열까지 (A math-historical outlook on etymology of korean number words: from hana(one) to yoel(ten))

  • 박교식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97-112
    • /
    • 2008
  •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 수사 하나, 둘, ..., 열의 어원에 대한 현재까지의 연구 결과를 수학사적인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조망했다. 수학사적인 관점에서 보면, 하나, 둘, 셋의 어원을 찾는 일은 사실상 가능해 보이지 않는다. 셋과 넷, 넷과 다섯 사이에는 단절이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하나, 둘, 셋, 넷의 어원은 다섯, 여섯, ..., 열의 어원과는 다른 측면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여섯과 일곱 사이에 단절이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일곱, 여덟, 아홉의 조어 메커니즘은 동일할지 모른다. 아홉과 열 사이에 단절이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현재까지의 연구에서는 이러한 단절에 충분히 주목하지 않고 있으나, 수학사에 따르면 수사의 발달에는 여러 번의 단절이 존재 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