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steoblast progenitor cell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8초

제대혈액에서 골조직 특이세포로의 분화 (Differentiation of Osteoblast Progenitor Cells from Human Umbilical Cord Blood)

  • 홍승진;이은아;채규태;한훈
    • IMMUNE NETWORK
    • /
    • 제2권3호
    • /
    • pp.166-174
    • /
    • 2002
  • Background: Human umbilical cord bloods, which could be taken during the delivery are utilized as a source of hematopoietic stem cells. Also in cord blood, there are several kinds of stem cells such as endothelial and mesenchymal stem cells. Methods: We isolated the mesenchymal stem cells from human umbilical cord bloods and confirmed the differentiation of these cells into osteoblast progenitor cells. The mesenchymal stem cells derived from umbilical cord blood have the ability to differentiate into specific tissue cells, which is one of characteristics of stem cells. These cells were originated from the multipolar shaped cells out of adherent cells of the umbilical cord blood mononuclear cell culture. Results: The mesenchymal stem cells expressed cell surface antigen CD13, CD90, CD102, CD105, ${\alpha}$-smooth muscle actin and cytoplasmic antigen vimentine. Having cultrued these cells in bone formation media, we observed the formation of extracellular matrix and the expression of alkaline phosphatase and of mRNA of cbfa-1, ostoecalcin and type I collagen. Conclusion: From these results we concluded that the cells isolated from the umbilical cord blood were mesenchymal stem cells, which we could differentiate into osteoblast when cultured in bone formation media. In short, it is suggested that these cells could be used as a new source of stem cells, which has the probability to alternate the embryonic stem cells.

쥐의 골수로부터 추출한 줄기세포를 이용한 조골세포로의 분화 유도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에 관한 분석 연구 (PROBLEMS IN OSTEOGENIC DIFFERENTIATION OF RAT BONE MARROW STROMAL CELLS)

  • 김인숙;조태형;장옥련;이규백;박용두;노인섭;;이종호;김명진;황순정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7권1호
    • /
    • pp.1-8
    • /
    • 2005
  • This study was aimed to characterize osteogenic potential of rat bone marrow stromal cells (BMSC) isolated with standard flushing method and investigate the plasticity of transdifferentiation between osteoblastic and adipocytic lineage of cultured BMSC. Unlike aspiration method in human, rat bone marrow was extracted by means of irrigation with culture media that elevates the possibility of co-extraction of committed osteoprogenitor, or preosteoblast or other progenitor cells of several types present inside bone marrow. The cultured stromal cells showed high ALP activity which is representative marker of osteoblast without any treatment. Osteogenic inducers such as Dex and BMP-2 were examined for the evaluation of their effect on osteogenic and adipocytic differentiation of stromal cells, because they function as osteoinductive agent in stromal cells, but simultaneously induce adipogenic differentiation. Osteogenic differentiation was evaluated by measuring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or mRNA expression of osteoblast markers such as osteopontin, bone sialoprotein, collagen type I and CbfaI, and in vitro matrix mineralization by von Kossa staining. Oil red staining method was used to detect adipocyte and adipocytic marker, aP2 and $PPAR{\gamma}2$ expression was examined using RT-PCR. It can be supposed that irrigation procedure resulted in high portion of already differentiation-committed osteoprogenitor cell showing elevated ALP activity and strong mineralization only under the supplement of $100{\mu}M$ ascorbic 2-phosphate and 10mM ${\beta}$-glycerophosphate without any treatment of osteogenic inducers such as Dex and BMP-2. Dex and BMP-2 seemed to transdifferentiate osteoprogenitor cells having high ALP activity into adipocytes temporarily, but continuous treatment redifferentiated into osteoblast and developed in vitro matrix mineralization. This property must be considered either in tissue engineering for bone regeneration, or in research of characterization of osteogenic differentiation, with rat BMSC isolated by the standard irrigation method.

In vitro에서 polycalcium 복합조성물이 파골세포와 조골세포에 미치는 영향 (In vitro Activities of Polycalcium, a Mixture of Polycan and Calcium Lactate-Gluconate, on Osteoclasts and Osteoblasts)

  • 최재석;김주완;김기영;문승배;하유미;구세광;조광근;최인순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8호
    • /
    • pp.1199-1203
    • /
    • 2011
  • 본 실험에서는 폴리칸(베타-글루칸)과 칼슘 락테이트 글루코네이트 1:9 (g/g) 복합 조성물인 Polycalcium의 시험관 내(in vitro) 골다공증에 대한 효과를 사람 유래 조골세포(human primary osteoblast)와 설치류 유래 파골 전구세포(raw264.7 cell)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Polycalcium이 조골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10 mg/ml 농도의 polycalcium 처리군에서 무처리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조골세포의 수적 증가가 각각 배양 3, 7 및 10일 후에 확인되었으며, 또한 10 mg/ml 농도의 polycalcium 처리군에서 무처리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있는 ALP함량의 증가가 확인되었다. Polycalcium이 파골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각각 $10^{-5}$, $10^{-3}$$10^{-1}$ mg/ml polycalcium 처리군에서 무처리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파골세포의 수적 감소가 배양 4일 후에 확인되었다. 이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polycalcium이 조골세포의 증식 촉진 효과와 함께 파골세포 형성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람의 허벅지지방유래 줄기세포의 특성 분석 (Characterization of Human Thigh Adipose-derived Stem Cells)

  • 허진영;윤진아;강현미;박세아;김해권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4권4호
    • /
    • pp.233-241
    • /
    • 2010
  • 사람의지방줄기세포는지방조직내에존재하는 줄기세포로 얻기 쉽고, 골수줄기세포와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지방을 추출하는 과정, 공여자의 나이, 체질량, 추출 부위에 따라 세포의 특성이 달라지며, 이질적인 세포군을 얻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허벅지 지방에서 유래한 줄기세포 특성 분석 및 중배엽, 내배엽성 세포로의 분화능을 알아보았다. 허벅지 유래 줄기세포는 골수줄기세포와 유사한 섬유아세포와 유사한 모양을 보였으며, 체외에서 56.5번의 분열을 하였고, 약 $5{\times}10^{22}$개의 세포를 얻을 수 있었다. 이들은 SCF, Oct4, nanog, vimentin, CK18, FGF5, NCAM, Pax6, BMP4, HNF4a, nestin, GATA4, HLA-ABC, HLA-DR과 같은 유전자를 발현하였으며, Oct4, Thy-1, FSP, vWF, vimentin, desmin, CK18, CD54, CD4, CD106, CD31, a-SMA, HLA-ABC 등과 같은 단백질을 발현하였다. 또한 이들은 지방, 골, 연골 세포와 같은 중배엽성 세포로 분화하였고, 더욱이 인슐린 분비세포와 같은 내배엽성 세포로도 분화하였다. 결론적으로, 사람의 허벅지 유래 줄기세포는 골수 줄기세포와 유사하게 체외에서 증식이 가능하였으며,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 패턴을 가지고 있었으며, 다양한 세포로 분화 가능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보아 허벅지 지방유래 줄기세포는 골수 줄기세포를 대체할 수 있는 세포치료제의 재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수산화칼슘계 근관 충전제가 파골 세포의 분화 및 활성에 미치는 영향 (A effect of calcium hydroxide endodontic materials on the differentiation and the activation of osteoclast)

  • 장은영;권훈;이장희;이창섭;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07-218
    • /
    • 2001
  • 본 실험은 수산화칼슘계 근관 충전제가 파골 세포의 분화 및 활성에 미치는 직접적인 억제 효과의 유무를 고찰하고자 chick embryo tibia의 골수로부터 추출한 파골 세포의 전구세포와 0.1, 0.01, $0.05{\mu}g/ml$로 희석된 네가지 실험 물질인 $Ca(OH)_2$ powder, Vitapex$^{(R)}$, Metapaste$^{(R)}$, pulpdent$^{(R)}$를 사용하였다. 파골세포의 분화 및 활성에 미치는 억제 효과를 관찰하고자 분화된 파골 세포의 수와 흡수와 면적이 측정되고 이들 약제의 효과가 세포독성에 의한 결과인지를 알아보고자 U2OS 골아세포에 대한 MTT assay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파골세포의 분화에 대한 억제 효과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분화된 파골세포의 수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Metapaste$^{(R)}$, $Ca(OH)_2$ powder, Vitapex$^{(R)}$. 하지만, 모든 농도에서 분화된 파골세포의 수가 증가한 pulpdent$^{(R)}$ 군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2. 통계학적으로 분화된 파골세포 수의 감소가 유의한 결과를 나타낸 $0.1{\mu}g/ml$로 희석된 세가지 실험 물질인 $Ca(OH)_2$ powder, Vitapex$^{(R)}$, Metapaste$^{(R)}$ 가운데, Vitapex$^{(R)}$ 군만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세포독성을 나타내고 다른 두 집단은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0.2% DMSO군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3. $0.1{\mu}g/ml$로 희석된 세가지 실험 물질인 $Ca(OH)_2$ powder, Vitapex$^{(R)}$, Metapaste$^{(R)}$과 대조군에서 흡수와의 양상과 면적을 관찰해 보면, $Ca(OH)_2$ powder군을 제외하고 대조군과 실험군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0.2% DMSO군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볼때, 수산화칼슘은 파골 세포 분화 및 활성의 직접적인 억제 작용에 기인한 경조직 흡수의 억제에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