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sseointegration

검색결과 397건 처리시간 0.026초

치조골이식과 디지털 방법을 활용한 상악 중절치 임플란트 심미 수복 증례 (Aesthetic implant restoration with alveolar bone graft and digital method on maxillary central incisor: a case report)

  • 장한솔;표세욱;김선재;장재승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0권2호
    • /
    • pp.168-174
    • /
    • 2022
  • 상악 전치부의 임플란트 식립 시 치은 퇴축이나 골 결손 문제를 동반하는 경우에는 심미적인 임상 결과를 얻기가 쉽지 않다. 본 증례에서는 상악 우측 중절치에서 순측 치조골판의 소실이 진단되어 발치 후 연조직을 확보한 후에 골 이식을 동반하는 임플란트 식립을 계획하였다. 또한 이상적인 임플란트 식립 위치를 위해 디지털 가이드 수술을 시행하였고, 치조골 결손부가 광범위하기 때문에 하악지에서 자가골 채취 후 이종골과 함께 골유도재생술을 동반하였다. 충분한 임플란트의 골 유착 기간을 거친 뒤 2차 수술 및 인상 채득을 통한 임시 보철물을 제작하였고, 주기적인 외형 조정을 통해 연조직의 형태를 개선하였다. 최종 보철물 제작시에는 양극 처리를 시행한 맞춤형 지대주를 사용하여 자연 치아의 색조를 유도하였고, 구강 스캔을 통하여 임시 보철물의 형태를 재현해 줌으로써 심미적이고 기능적인 지르코니아 보철물을 장착해 주었다.

고상반응법에 의한 아커마나이트 분말의 합성 및 생체활성도 평가 (Synthesis of akermanite bioceramics by solid-state reaction and evaluation of its bioactivity)

  • 고재은;이종국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191-198
    • /
    • 2022
  • 치과용 임플란트 재료로 주로 사용되는 지르코니아 및 티타늄 합금은 생체불활성 특징으로 인하여 골유착 및 골형성 능력이 떨어진다. 이러한 문제를 쉽고 간단하게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생체활성 물질을 표면에 코팅하여 생체 활성을 높이는 방법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수한 골결합 능력을 가진 실리케이트계 세라믹인 아커마나이트(Ca2MgSi2O7)를 고상반응법으로 합성하고, SBF 용액 내 침적실험을 통하여 합성 아커마나이트 분말의 생체활성을 분석하였다. 고상반응 출발원료로는 탄산칼슘(CaCO3), 탄산마그네슘(MgCO3), 이산화규소(SiO2) 분말을 사용하였다. 분말을 혼합 및 건조한 후, 가압 성형하여 디스크 형태로 만든 후, 고상반응 온도를 변화시키며 아커마나이트 상의 합성을 유도하였다. 합성된 아커마나이트 펠릿의 용해 및 생체활성 분석을 위하여 SBF 용액 내 침적 시키고, 침적시간에 따라 아커마나이트의 표면 용해 및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석출을 분석하였다. 합성반응 온도가 높아질수록 아커마나이트 상이 뚜렷하게 나타난 반면에, SBF 용액 내 용해는 천천히 진행되었다. 합성된 아커마나이트 분말의 생체활성도는 대체적으로 우수하였으나, 그 중에서도 1100℃에서 고상반응 하여 합성한 분말에서 적절한 용해 및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입자의 석출이 잘 일어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디지털 안궁이전과 가상교합기를 이용하여 하악의 운동을 고려한 구치부 수복 증례 (Posterior rehabilitation considering mandibular movement with digital facebow transfer and virtual articulator: A case report)

  • 김민범;권호범;임영준;김명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0권4호
    • /
    • pp.431-441
    • /
    • 2022
  • 디지털 안궁이전 장치로 하악의 운동로를 기록하고 캐드 소프트웨어(CAD software) 상에 반영할 수 있는데 이를 고려한 보철 수복은 치료 결과를 향상시킨다. 본 증례는 상하악 대구치가 소실된 환자에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임플란트를 식립 및 보철 수복한 증례이다. 구내 스캔 후 디지털 진단 왁스업을 토대로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를 제작한 뒤 임플란트 식립했다. 6개월의 충분한 골유착 후, 맞춤형 지대주와 첫번째 임시 보철물을 장착하였다. 2개월 후 지대주 수준에서 구강 스캔 및 디지털 안궁이전 장치로 가상 교합기 상마운팅하고 하악 운동을 기록했다. 하악의 움직임을 고려하여 두번째 임시 보철물을 제작, 장착 후 안정된 교합 상태에서 더블 스캔 과정으로 복제하여 지르코니아 최종 보철물을 디자인하고 장착했다.

The healing pattern of a 4 mm proximal infrabony defec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a 2 mm defect adjacent to dental implant in a canine mandible

  • An, Min Kuk;Kim, Hyun Ju;Choi, Jin Uk;Kim, Kyoung-Hwa;Lee, Yong-Moo;Rhyu, In-Chul;Seol, Yang-Jo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52권5호
    • /
    • pp.422-434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nd compare the healing patterns of 2-mm and 4-mm proximal infrabony defects adjacent to dental implants in canine mandibles. Methods: Four male beagles were used. Two groups were created: a 2-mm group (n=4) and a 4-mm group (n=4) depending on the horizontal dimension of proximal infrabony defects adjacent to implants. Bone healing patterns between the 2 groups were evaluated and compared at 8 and 16 weeks using radiographic, histological, histomorphometric, and fluorescent labelling analyses. Results: According to microcomputed tomography, the median bone volume fraction, bone mineral density, and the percentage of radiographic distance from the defect bottom to the most coronal bone-to-implant contact (radio-mcBIC) were 32.9%, 0.6 g/cm3, and 73.7% (8 weeks) and 45.7%, 0.7 g/cm3, and 76.0% (16 weeks) in the 2-mm group and 57.7%, 0.8 g/cm3, and 75.7% (8 weeks) and 50.9%, 0.8 g/cm3, and 74.7% (16 weeks) in the 4-mm group, respectively. According to histomorphometry, the median bone area fraction, mcBIC and the percentage of BIC amounted to 36.7%, 3.4 mm, and 58.4% (8 weeks) and 49.2%, 3.4 mm, and 70.2% (16 weeks) in the 2-mm group and 50.0%, 3.0 mm, and 64.8% (8 weeks) and 55.7%, 3.0 mm, and 69.6% (16 weeks) in the 4-mm group, respectively.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groups for any variables (P>0.05). Conclusions: The proximal defects that measured 2 mm and 4 mm showed similar healing patterns at 8 and 16 weeks, and the top of bone formation in the defects was substantially limited to a maximum of 1.6 mm below the implant shoulder in both groups.

Randomized clinical trial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two types of sandblasted with large-grit and acid-etched surface implants with different surface roughness

  • Jeon, Jun-Hyung;Kim, Min-Joong;Yun, Pil-Young;Jo, Deuk-Won;Kim, Young-Ky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48권4호
    • /
    • pp.225-231
    • /
    • 2022
  •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two types of sandblasted with large-grit and acid-etched (SLA) surface implants with different surface roughness. Patients and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a clinical record review of 55 patients (mean age, 53.00 years). A total of 80 SLA surface implants was placed. Among the 80 implants, 38 implants placed in 29 subjects had surface roughness (Ra) of 3.09 ㎛ (test group, TG), while the other 42 implants placed in 31 subjects had a surface roughness (Ra) of 2.50 ㎛ (control group, CG). A comparison was made of implant primary/secondary stability; success and survival rates; marginal bone loss; and soft tissue assessment including probing pocket depth (PPD), plaque index (PI), gingival index (GI), and bleeding on probing (BOP) between the groups at 1 year after implant placement. Results: Among the implants that were initially registered, 1 from the TG and 4 from the CG dropped out, leaving 37 implants in the TG and 38 implants in the CG to be traced and analyzed. Although 1 TG case showed unstable primary stability, all cases showed stable secondary stability. Success and survival rates at 1 year after implant placement were 100% in both groups. Marginal bone loss was 0.07 mm and 0.00 mm for the TG and CG, respectively,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Among the several parameters for evaluation of soft tissue, the TG showed lower PI at 1 year after implant placement (TG=0.00, CG=0.29; P=0.0004), while the remaining categori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the two types of SLA implants with different surface roughness have no difference in efficacy or safety. Therefore, both of the implants can be used safely and with promising outcomes.

내부연결 임플란트의 보철 수복 후 성공률에 미치는 위험요소에 관한 10년간의 후향적 연구 (A 10-year retrospective study on the risk factors affecting the success rate of internal connection implants after prosthetic restoration)

  • 이서인;김민정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1권2호
    • /
    • pp.113-124
    • /
    • 2023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임플란트 보철물의 종류 및 특성과 생존율 분석을 통해 성공률을 높이는데 도움이 되는 데에 있다. 대상 및 방법: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산본치과병원에서 2011~2020년에 식립한 임플란트 중 한 명의 보철전문의에 의해 수복된 사례에 대하여 그 특성과 실패에 대한 상관관계 등을 조사하였다. 실패의 원인은 골유착 실패, 임플란트주위염, 고정체 파절, 지대주 파절, 나사 파절, 나사 풀림, 보철물 파절, 보철물 유지력 상실 등으로 분류했다. 보철방식, 캔틸레버 여부, 식립 위치 등과 임플란트 실패와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결과 분석은 SPSS ver 25.0 (IBM, Chicago, IL, USA)을 이용하여 Chi-square test, Kaplan-Meier 생존분석 등을 통하여 도출했다. 결과: 총 2587개의 임플란트가 식립되었으며, 그 중 1141개의 임플란트가 단일관(Single Crown)으로, 1446개의 임플란트가 고정성 국소의치(Fixed Partial Denture)로 수복되었고 누적생존율은 88.1%이었다. SC의 성공률은 86.2% (984개), FPD의 성공률은 89.6% (1295개)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그 중 유의한 차이가 있었던 요인은 지대주 파절, 나사 파절, 나사 풀림 등이었다 (P < .05). 결론: 10년간의 추적조사 결과 생물학적인 요인보다는 생역학적인 요인으로 인한 실패가 더 많이 발생했고 임플란트의 성공률은 보철방식 별로 상이했으며 영향을 미치는 요인도 상이했다. 추후 임플란트의 성공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가 더 필요할 것이다.

The cumulative survival rate of dental implants with micro-threads: a long-term retrospective study

  • Dong-Hui Nam;Pil-Jong Kim;Ki-Tae Koo;Yang-Jo Seol;Yong-Moo Lee;Young Ku;In-Chul Rhyu;Sungtae Kim;Young-Dan Cho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54권1호
    • /
    • pp.53-62
    • /
    • 2024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long-term cumulative survival rate (CSR) of dental implants with micro-threads in the neck over a 10-year follow-up period and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urvival rate of dental implants.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based on radiographic and dental records. In total, 151 patients received 490 Oneplant® dental implants with an implant neck micro-thread design during 2006-2010 in the Department of Periodontology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Implant survival was evaluated using Kaplan-Meier analysis. Cox proportional hazard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implant failure. Results: Ten out of 490 implants (2.04%) failed due to fixture fracture. The CSR of the implants was 97.9%,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CSR between external-and internal-implant types (98.2% and 97.6%, respectively, P=0.670). In Cox regression analysis, 2-stage surgery significantly increased the risk of implant failure (hazard ratio: 4.769, P=0.039).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fluencing factors, including sex, age, implant diameter, length, fixture type, location, surgical procedure, bone grafting, and restoration type. Conclusions: Within the limitations of this retrospective study, the micro-thread design of the implant neck was found to be favorable for implant survival, with stable clinical outcomes.

완전 디지털 시스템을 이용한 상악동 거상술 및 구치부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 수복 증례 (Sinus floor elevation and implant-supported fixed dental prosthesis in the posterior area, with full-digital system: a case report)

  • 박강수;김선재;표세욱;장재승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2권2호
    • /
    • pp.157-164
    • /
    • 2024
  • 진단, 수술, 인상, 보철물 제작 등 임플란트 치료 전 과정에서 디지털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본 증례에서는 디지털 수술 가이드를 이용하여 합병증 없이 상악동 거상술을 시행하고, 계획된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하였다. 골유착을 위한 치유 기간 이후, CAD-CAM(Computer-aided design/Computer-aided Manufacturing)으로 맞춤형 지대주 및 임시 보철물을 제작하여 장착하고, 환자의 적응도와 교합을 평가하였다. 임시 보철물상에서 교합 변화가 관찰되어, 광중합형 컴포지트 레진으로 수리하였다. 최종 보철물 제작 시, 지대주의 수직 침하, 임시 보철물의 형태와 적응된 교합 관계를 반영하기 위해, 이중 스캔과 지대주 수준의 디지털 인상을 채득하였다. 치은 압배 없이 치은 연하 변연을 인기하기 위해, CAD-CAM 소프트웨어상에서 라이브러리화된 지대주 데이터를 중첩하고, 지르코니아 최종보철물 제작하여 장착하였다. 구치부 임플란트 수복 시, 디지털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통적인 방법에서 겪는 어려움을 줄이고, 수술부터 보철물 제작까지 효율적인 치료 과정과 안정적이고 예지성 있는 결과를 얻어 보고하는 바이다.

임플란트 길이, 직경 및 식립 위치에 따른 임플란트 안정성에 관한 후향적 연구 (Retrospective study of implant stability according to the implant length, diameter and position)

  • 김지혜;전진용;허유리;손미경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269-275
    • /
    • 2013
  •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임플란트 직경, 길이 및 식립 부위가 임플란트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후향적 평가를 통해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 및 방법: 72명의 환자에게 식립된 총 90개의 임플란트(US II plus$^{TM}$, Osstem co, Busan, Korea)를 대상으로 임플란트 식립 직후와 인상 채득 당시에 공진주파수분석법(RFA)으로 임플란트 안정성 지수(ISQ)가 측정되었다. 상 하악에 식립된 직경은 4 mm와 5 mm이고 길이는 10 mm, 11.5 mm, 13 mm인 임플란트가 실험대상으로 선택되었다. 측정된 ISQ 값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우선적으로 성별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Independent t-test를 시행하였다. 임플란트 직경, 길이, 식립부위에 따른 ISQ 값의 실험군간 차이는 One-way ANOVA를 이용해 분석하였고, 사후검정을 위해 Tukey HSD test가 사용되었다. 임플란트 식립시와 인상채득시의 차이는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결과:인상채득시가 임플란트 식립 직후보다 임플란트 안정성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임플란트 길이가 증가할수록 ISQ 값은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직경 5 mm 임플란트는 4 mm 임플란트 보다 유의성 있게 높은 ISQ 값을 보였다(P<.05). 하악에 식립된 임플란트가 상악보다 더 높은 ISQ값을 보였다(P<.05). 결론:본연구결과, 임플란트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직경이 큰 임플란트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악보다는 하악에서 더 높은 임플란트 안정성이 확인되었다. 임플란트 식립 직후의 일차 안정성보다 골유착 후 이차 안정성이 더 높게 나타남으로서 RFA를 이용한 방법이 골유착을 통한 임플란트 안정성의 변화를 평가함에 있어 임상적으로 유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임플란트 안정성 평가와 이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에 대한 고려는 임플란트 하중 시기를 결정하고 임플란트 성공률을 증가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임플란트 식립 부위의 골밀도 평가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bone density assessment on dental implant sites)

  • 박수원;장수미;최병환;손한나;박봉찬;김창환;손장호;성일용;이지호;조영철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6권5호
    • /
    • pp.417-422
    • /
    • 2010
  • Introduction: Bone density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for the long term success of endosseous implants. The bone density varies from site to site and from patient to patient. A preoperative evaluation of the bone density is quite useful to oral surgeons for planning dental implantation. More accurate information on the bone density will help surgeons identify suitable implant sites, thereby increase the success rate of dental implant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bone density measured preoperatively by computed tomography (CT) and the implant primary stability measured by resonance frequency analysis. Furthermore, the effects of the implant sites, gender, age and generalized systemic disorder patients on the bone density and primary implant stability were examined. Materials and Methods: One hundred and fourteen patients were selected. None of the patients had undergone a tooth extraction or bone graft history in the previous year. Preoperatively, the patients underwent CT scanning to evaluate the Hounsfield unit (HU), and resonance frequency analysis (RFA) was used to evaluate the implant primary stability at the time of implant installation. All implants were 4.0 mm diameter and 11.5 mm length US II. All patients were recorded and the HU and implant stability quotient (ISQ) value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sites, gender and age. Results: The highest HU values were found in the mandibular anterior site ($827.6{\pm}151.4$), followed by the mandibular molar site ($797{\pm}135.1$), mandibular premolar site ($753.8{\pm}171.2$), maxillary anterior site ($726.3{\pm}154.4$), maxillary premolar site ($656.7{\pm}173.8$) and maxillary molar site ($621.5{\pm}164.9$). The ISQ value was the highest in the mandibular premolar site ($81.5{\pm}2.4$) followed by the mandibular molar site ($80.0{\pm}5.7$), maxillary anterior site ($77.4{\pm}4.1$), mandibular anterior site ($76.4{\pm}11.9$), maxillary premolar site ($74.2{\pm}14.3$) and maxillary molar site ($73.7{\pm}7.4$). The mean HU and ISQ value were similar in females and males. (HU: P=0.331, ISQ: P=0.595)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also found in the age group respectively. However,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variables showed a closed correlation between the HU and ISQ value.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ed close correlation between the bone density (HU) and primary stability value (ISQ) at the time of implant installation (Correlation coefficients=0.497, P<0.01). These results strengthen the hypothesis that it might be possible to predict and quantify the initial implant stability and bone density from a presurgical CT diagno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