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smotic dehydration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39초

염지어(鹽漬漁) 동결저장 중 Shelf life 연장을 위한 저온삼투압탈수법(低溫?透壓脫水法)의 적용 (Application of Cold-Osmotic Dehydration Method for Extending the Shelf Life during Frozen Storage of Filleted and Salted Fishes)

  • 이응호;이정석;주동식;조순영;최흥길;김진수;조만기;조덕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722-729
    • /
    • 1997
  • 염지어의 동결저장시 품질변화를 최소화 하기 위한 연구로써, 2종의 어류(고등어, 조피볼락)를 저온삼투압 탈수법으로 전처리한 다음 동결저장$(-18{\pm}2^{\circ}C)$ 중 품질안정성을 검토하였다. 갈변도는 탈수시트로 처리한 염지어가 무처리 염지어 보다 저장 중 증가폭이 적었으며, 과산화물값 및 카로보닐값의 경우 동일어종간에 있어 탈수시트 처리유무에 관계없이 저장 중 증가폭은 거의 차이가 없었다. 또한 가압 및 유립드립의 발생량은 탈수시트로 전처리한 것이 무처리한 염지어 보다 적었고, 보수력도 우수하였다. 한편 염용성질소 함량 및 Ca-ATPase 활성 잔존율은 동결저장 중 저온삼투압 탈수법으로 전처리한 염지어가 무처리 염지어에 비해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어종간의 변화폭은 고등어가 조피볼락에 비해 상당히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동결저장 7일째의 근육조직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해본 결과, 탈수시트로 전처리한 염지 고등어 및 조피볼락은 근원섬유의 기본적 구조 및 Z선이 뚜렷하게 유지 되었지만, 무처리 염지어는 근원섬유의 기본적 구조 및 Z선이 불명확하거나 붕괴되어 있었으며, 특히 염지 고등어가 염지 조피볼락에 비해 동결저장 중 근육조직의 붕괴가 심하였다. 이는 본 저온삼투압탈수법이 냉동내성이 약한 어류에 적용시키면 더 효과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의 화학 및 조직학적 관찰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탈수시트로 전처리한 후 염지어를 동결저장하면, 여러가지 품질악변 중에서 특히 단백질의 변성을 최소화 할 수 있어 향후 다른 어육냉동식품의 shelf life 연장에도 응용가능하리라 생각된다.

  • PDF

사과의 삼투건조시 물질이동 특성 (Mass Transfer Characteristics during the Osmotic Dehydration Process of Apples)

  • 윤광섭;최용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824-830
    • /
    • 1996
  • 삼투건조의 여러 가지 가공변수 중 설탕용액의 농도를 달리하고 침지시간, 침지온도를 달리하여 삼투건조를 행하여 물질이동을 나타내는 Solid Gain(SG), Weight Reduction(WR), Moisture Loss(ML) 등을 조사하여 물질이동특성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온도와 농도 시간에 따른 수분의 이동과 용질의 이동을 확산식으로 평가하였다. 색차의 변화((equation omitted)E)는 $60^{\circ}C에서만$ 높은 값을 보여 갈변이 심해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높은 온도에서는 낮은 농도에서 처리가 더 큰 (equation omitted)E값을 나타내었고, 낮은 온도에서는 농도에 따라서 큰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SG은 농도가 증가할수록 설탕의 흡수가 많아져 증가하였으며, WR 또한 고농도에서 무게감소가 많이 이루어지고 저농도에서는 낮은 값을 보여 설탕농도가 높아질수록 많은 양의 무게감소가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ML는 저농도 보다는 고농도에서 빠른 증가가 일어나 건조가 빠르게 진행됨을 알 수 있었으며 수분 함량은 삼투농도가 높을수록 수분 함량이 점차 낮아져 삼투처리로 건조가 이루어짐을 화인할 수 있었다. 수분의 이동에 따른 확산계수는 같은 온도, 같은 농도에서 각각 농도나 온도의 증가시 높은 값을 가져 확산이 빠르게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용질의 이동에 따른 확산계수는 온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농도의 영향에 있어서는 $20^{\circ}C에서는$ 농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함을 보였으나 $40^{\circ}C와$ $60^{\circ}C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확산계수에 대한 온도의 영향을 Arrhenius 식에 적합시켜 본 결과, 5% 유의 수준에서 수분의 이동은 60 。Brix, 용질의 경우는 40。Brix의 농도에서만 적합하다고 할 수 있었다. 수분과 용질의 확산에 있어서 낮은 농도인 20。Brix에서는 높은 활성화 에너지를 보였으며 상대적으로 고농도인 40 Brix와 60 。Brix에서는 낮은 활성화 에너지를 보여 확산이 쉽게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 PDF

열풍건조 전 감자의 삼투압농축시 물질이동과 공정의 최적화 (Mass Transfer and Optimum Processing Conditions for Osmotic Conditions of Potatoes prior to Air Dehydration)

  • 김명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497-502
    • /
    • 1990
  • 삼투압 농축중 설탕용액의 농도와 온도 및 침지시간에 따른 감자 내부의 수분손실, 고형분 증가나 손실 및 몰랄농도를 반응 표면 분석법으로 조사하였고, 이차 다항 회귀 모델로써 예측하였다. 또한 삼투압 농축과 데치기가 6%수분(wet basis)까지 열풍조건시 비타민 C 함량유지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였다. 감자내부의 수분손실, 고형분 증가나 손실, 몰랄농도, 속도 매개변수 및 비타민 C 함량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설탕농도이었고 그 다음 침지시간과 침지온도 순이었다. 수분손실과 설탕흡수는 초기 10분간 침지과정에서 빠르게 이루어진 후 증가현상이 둔화되었다. 설탕용액 $(60\;Brix,\;80^{\circ}C)$에서 20분간 침지 후 44.6%의 수분손실이 되었다. 삼투압 농축후 건조시킨 감자가 데치기 한 후 건조시킨 감자보다 높은 비타민 C 함량을 유지하였다. 30% 이상의 수분손실과 50% 이상의 비타민 C 함량유지의 관점에서 삼투압농축공정의 최적조건은 $60-70^{\circ}C$의 침지온도와 60 Brix의 설탕농도 및 16-20분간의 침지시간이었다.

  • PDF

사과장아찌 제조를 위한 전처리 공정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Pre-treatment Process for Manufacturing Apple Jangachi)

  • 오철환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05-113
    • /
    • 2018
  • In this study, optimized pre-treatment conditions were investiga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gochujang apple jangachi. The moisture content was decreased by 14% in 60% sugar solution and 17% in 30% salt solution during 12 hours. On the one hand, in the case of dry sugar and salt method, moisture content was decreased rapidly by 20% and 24%, respectively during 12 hours. Compared with the sugar and salt solution method, the dry sugar and salt method was more effective in reducing moisture content during 12 hours. In the case of osmotic dehydration of the apple parts in the dry sugar method, the moisture content of the flesh, flesh including peel, and peel of apple decreased by 23%, 20%, and 16%, respectively during 6 hours. However, in the dry salt method, the moisture content of the flesh, flesh including peel, and peel of apple decreased by 19%, 12% and 13%, respectively during 2 hours. During this time, the pH tended to decrease, regardless of the presence of sugar and salt. Total acidity was slightly increased in the case of salt. In hot air drying after osmotic dehydration, the moisture content of flesh including peel of apple decreased from 64% and 67% to 31% and 27%, respectively at 90 minutes, and from 64% and 67% to 11% and 18% at 150 minutes, respectively. The moisture content of the peel decreased from 51% to 10% at 120 minutes. As a result of the sensory evaluation, the overall acceptance of the flesh and flesh including peel was highly evaluated, resultantly, the products were considered to be suitable for the production of gochujang apple jangachi.

전처리 방법에 따른 채소류의 열풍건조특성 (Effect of Pretreatments on the Drying Characteristics of Dried Vegetables)

  • 윤광섭;배동호;최용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92-301
    • /
    • 1997
  • 건조채소류의 제조시 품질손상을 줄이고자 삼투건조와 steam 및 boiling water, microwave를 이용하여 전처리를 행한 후 열풍건조하여 적절한 전처리 방법을 알아보고자 건조와 재수화 공정을 행하여 각 공정의 물리적인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기존의 건조 모델을 적용하여 수분이동 메카니즘을 설명하고, 건조당근의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전처리는 처리시간이 길수록 수분과 carotene 함량이 낮아졌으나 물리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최적 처리 시간을 STEAM과 WATER 는 각 10분, MICRO는 1분으로 결정하였다. 최적 조건에서 전처리를 행한 후 $69^{\circ}C$, 상대습도 33%의 열풍건조 조건에서 건조를 행한 후 열탕에서 10분간 재수화 하여 carotene 및 수분함량, 색도와 복원율 등을 알아본 결과, 건조 효율은 타처리구가 삼투처리보다 우수하였으나 carotene 함량은 삼투건조가 높은 값을 보였고 그 효과는 재수화 후에도 지속하였다. 전처리를 각기 달리한 당근의 품질에 대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외관과 색도 그리고 종합적인 기호면에서 건조 후의 품질은 삼투처리한 열풍건조의 경우가 전처리 하지 않은 동결건조 처리구 보다 건조 및 재수화 후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건조공정을 기존의 건조모델로 표현하고자 적합성 여부를 조사해 본 결과 전처리방법에 관계없이 quadratic 모델이 가장 높은 적합도를 보여 수분의 이동을 시간의 함수로 나타낼 수 있었다. 재수화 공정에의 적용성은 기존의 건조 및 흡습모델로 표현하기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사과의 삼투건조시 유리당과 유기산의 변화 (Changes of Free Sugar and Organic Acid in the Osmotic Dehydration Process of Apples)

  • 윤광섭;이준호;최용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095-1103
    • /
    • 1996
  • 사과의 건조시 발생하게 되는 품질저하 현상을 개선하고자 sucrose를 삼투용매로 하여 침지온도와 농도 그리고 시간을 변수로 삼투건조하여 유리당, 유기산, ascorbic acid 함량변화에 대해 분석하였다. 유리당은 sucrose, glucose, fructose, sorbitol 등이 분석되었으며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침지시간이 길어질수록 총당량이 증가하였으며 온도보다는 농도의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sucrose함량이 가장 많이 증가하였으며, fructose는 거의 없었고 glucose는 약간 증가하는 경향으로 각각의 유리당의 함량은 온도, 농도, 침지시간이 증가할수록 양이 증가하였다. 유기산은 malic acid와 fumaric acid가 주로 분석되었으며, 그외 oxalic acid, citric acid, maleic acid, succinic acid가 소량 분석되었다. 낮은 온도에서의 처리가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농도가 증가할수록 유기산의 함량이 많았고 침지시간이 길어질수록 유기산 함량이 줄어 들었다. Ascorbic acid도 저온$(20^{\circ}C)$과 농도$(60^{\circ}brix)$에서의 처리가 손실이 적었으며 온도가 낮을수록, 농도가 높을수록 더 큰 값을 보였으며 시간의 변화에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품질변화 kinetics를 model화하기 위하여 반응속도론에 상사시켜 본 결과 유리당의 변화는 1차반응 속도식이, 유기산의 변화와 ascorbic acid의 변화는 2차반응 속도식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품질변화 속도상수에 대한 온도의 영향은 Arrhenius 식에 비교적 따른다고 볼 수 있다. 삼투건조 동안 유리당과 유기산, ascorbic acid 함량의 변화를 예측하고자 수립한 예측모델은 비교적 높은 $r^2$를 보여 각 조건에 따른 함량변화를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삼투건조와 진공주입이 사과 건조제품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smotic Dehydration and Vacuum Impregnation on the Quality of Dried Apple)

  • 최희돈;이해창;김윤숙;최인욱;박용곤;석호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78-183
    • /
    • 2008
  • 삼투건조와 진공주입에 의한 사과의 물질이동 특성과 열풍건조 시 건조특성, 그리고 제조한 사과 건조제품의 품질을 비교하였다. 삼투건조 시 사과 시료의 중량이 감소하고 수분손실이 증가한 반면 진공주입 시에는 중량이 증가하고 수분손실이 감소하였으며, 진공주입 시 고형분 증가가 컸다. 50$^{\circ}C$에서의 열풍건조시 건조시간에 따른 사과 시료의 수분함량 변화를 Page model에 적용하여 지수 n, k 및 건조시간을 산출하였다. 건조시간이 대조구의 4.45 hr에서 삼투건조 시 5.82 hr, 진공주입 시 6.38 hr로 증가하는 반면 k는 대조구의 0.456 $hr^{-1}$에서 각각 0.326 $hr^{-1}$과 0.277 $hr^{-1}$로 감소하였으며, n은 대조구의 0.938에서 각각 0.754와 0.950으로 변화하였다. 삼투건조 및 진공주입한 사과 건조제품의 품질을 대조구와 비교하였다. 삼투건조에 의해 건조제품의 수축도와 복원력이 대조구에 비해 크게 감소한 반면 압착력이 크게 증가하였고 적정산도와 ascorbic acid의 함량이 크게 감소하였다. 진공주입에 의해서는 대조구에 비해 수축도와 압착력이 증가하였다. 복원한 사과 건조제품에 대한 관능적 기호도 측정 결과 삼투건조한 사과 건조제품이 외관, 조직감, 종합적인 기호도 등의 모든 관능검사 항목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고, 건조상태에서의 관능적 기호도 측정 결과에서는 진공주입한 사과건조제품이 모든 관능검사 항목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기호도를나타내었다.

열풍건조 전 전처리 방법이 당근 후레이크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etreatment before Air Drying on the Quality of Carrot Flake)

  • 이병우;신건진;김명환;최춘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30-434
    • /
    • 1989
  • 3가지 전처리 방법으로 열풍건조한 당근 후레이크의 품질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100^{\circ}C$의 물에 10분간 브랜칭한 후 설탕용액$(60^{\circ}C,\;30^{\circ}\;Brix)$에 2볼간 침지한 방법의 제품이 색도면에서 생당근과 가장 유사하였고 또한 carotene과 Cu값도 높게 나타났다. 반면 설탕용액$(80^{\circ}C,\;40\;Brix)$에서 14분간 침지한 후 건조한 방법이 갈색화반응과 수축현상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관능검사 결과, 당 용액에 침지한 후 열풍건조한 방법간에는 유의차가 나지 많았으나 브랜칭만한 후 건조한 방법과는 유의차가 났다.

  • PDF

Proline accumulation and 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proline biothesynthesis and degradation in Brassica napus

  • Xue, Xingning;Liu, Aihua;Hua, Xuejun
    • BMB Reports
    • /
    • 제42권1호
    • /
    • pp.28-34
    • /
    • 2009
  • To understand the molecular mechanism underlying proline accumulation in Brassica napus, cDNAs encoding ${\Delta}^1$-pyrroline-5-carboxylate synthetase (BnP5CS), ornithine $\delta$-aminotransferase (BnOAT) and proline dehydrogenase (BnPDH) were isolated and characterized. Southern blot analysis of BnP5CSs in B. napus and its diploid ancestors suggested a gene loss may have occurred during evolution. The expression of BnP5CS1 and BnP5CS2 was induced, while the expression of BnPDH was inhibited under salt stress, ABA treatment and dehydration, prior to proline accumulation. The upregulation of BnOAT expression was only detected during prolonged severe osmotic stress. Our results indicate that stress-induced proline accumulation in B. napus results from the reciprocal action of activated biosynthesis and inhibited proline degradation. Whether the ornithine pathway is activated depends on the severity of stress. During development, proline content was high in reproductive organs and was accompanied by markedly high expression of BnP5CS and BnPDH, suggesting possible roles of proline during flower development.

생쥐난자의 초급속동결 (Ultrarapid Freezing of Mouse Ova)

  • 박영식;서태광;이택후;전상식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03-208
    • /
    • 199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fficiently use the ultrarapid freezing method in the cryopreservation of mouse ova. For this, the effects of dehydration method, oval vigour and $0^{\circ}C$ controlling method on post-thawing viability were investigated. Fresh mouse ova were dehydrated in mPBS with 3.5M DMSO and /or 0.25M sucrose, and directly immersed in L$N_2$ for ultrarapidly freezing. The frozen ova were thawed at 37$^{\circ}C$, rehydrated in mPBS with 0.25M sucrose, and then repeatedly washed in HAM's Fl0 before evaluating the morphological normality of frozen-thawed ova. The results obtained showed that there was difference between treatments in a experiment. 1) The post-thawing viability of ova dehydrated in multi-step (48.4$\pm$13.8%) was higher than that of ova in two-step (40.9$\pm$14.0%). 2) The post-thawing viability of fertilized ova (87$\pm$14.0%) was significantly(p<0.0l) higher than that of unfertilized ova (5.4$\pm$5.4%). 3) The post-thawing viability of ova dehydrated and rehydrated using a cooling machine (95.8$\pm$4.2%) was significantly(p<0.05) higher than that on ice(84.1$\pm$9.9). In conclusion, in order to efficiently cryopreserve ova in vitro with ultrarapidly freezing method, highly viable embryos should be selected, heavy osmotic shock to the dehydrating ova should be avoided, and embryos in high osmotic condition were dehydrated and rehydrated in a constantly low temperat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