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thodontic movement

검색결과 347건 처리시간 0.02초

Effect of nicotine on orthodontic tooth movement and bone remodeling in rats

  • Lee, Sung-Hee;Cha, Jung-Yul;Choi, Sung-Hwan;Kim, Baek-il;Cha, Jae-Kook;Hwang, Chung-Ju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282-292
    • /
    • 2021
  • Objective: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effect of nicotine on orthodontic tooth movement (OTM) and bone remodeling in rats using micro-computed tomography and 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 immunostaining. Methods: Thirty-nine adult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randomized into three groups: group A, 0.5 mL normal saline (n = 9, 3 per 3, 7, and 14 days); group B, 0.83 mg/kg nicotine (n = 15, 5 per 3, 7, and 14 days); and group C, 1.67 mg/kg nicotine (n = 15, 5 per 3, 7, and 14 days). Each animal received daily intraperitoneal injections of nicotine/saline from the day of insertion of identical 30-g orthodontic force delivery systems. A 5-mm nickel-titanium closed-coil spring was applied between the left maxillary first molar (M1) and the two splinted incisors. The rate of OTM and volumetric bone changes were measured using micro-computed tomography. Osteoclasts were counted on the mesial alveolar bone surface of the distobuccal root of M1. Six dependent outcome variables, including the intermolar distance, bone volume fraction, bone mineral density, trabecular thickness, trabecular volume, and osteoclast number, were summarized using simple descriptive statistics. Nonparametric Kruskal-Wallis tests were used to evaluate differences among groups at 3, 7, and 14 days of OTM. Results: All six dependent outcome variable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group-differences at 3, 7, and 14 days. Conclus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nicotine does not affect OTM and bone remodeling, although fluctuations during the different stages of OTM in the nicotine groups should be elucidated in further prospective studies.

상악 전치부 치간 이개와 구치부 교합지지 상실을 가진 환자에서 교정치료를 동반한 완전 구강회복 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on the patient with maxillary anterior diastema and posterior bite collapse with orthodontic treatment)

  • 이선기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8권1호
    • /
    • pp.60-68
    • /
    • 2022
  • 심한 치주염을 가진 환자는 잔존 치조골의 흡수가 증가함에 따라, 병적인 치아 이동이 증가하고 구치부 교합지지 상실의 가능성이 높다. 특히, 상악 전치부에서 병적인 치아 이동이 발생하는 경우, 환자는 심미적인 위축감과 삶의 질 저하를 경험할 수 있다. 중증 치주염 환자에게 교정치료는 새로운 뼈 형성을 촉진하고 치주낭을 감소시키며, 임상적 부착을 얻어 보철 수복에 유리한 결과를 가져옴으로써 이상적인 교합과 기능 회복을 가능하게 한다. 구치부의 교합지지 상실로 인해 전치부 병적 치아 이동이 있는 환자에게 치주치료, 교정치료, 임플란트 치료를 계획함으로써 이상적인 수복공간 확보와 안정적인 교합접촉을 형성하였고, 구치부 교합회복을 통한 기능적인 전악수복을 통해 심미적인 결과를 얻었다.

교정 치료의 한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imit of orthodontic treatment)

  • 김선주;박소영;우혜홍;박은지;김영호;이신재;문성철;백승학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65-175
    • /
    • 2004
  • 치료의 한계를 미리 알 수 있다면 현실적이고 체계적으로 치료목표와 계획을 설정 할 수 있을 것이며, 치료결과 또한 좀 더 예측 가능할 것이다. 대체적으로 볼 때, III급 수술-교정 치료 증례는 통상적인 증례보다 교정 치료를 통하여 얻어야 하는 치아 이동량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어 이를 연구대상으로 선택하였고, 이들이 보인 교정적 치아이동 양상을 측정하여 교정적 치아이동의 한계에 대한 후향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치아 이동량의 측정방법으로서 선택한 치아 위치 측정 기구의 신뢰성을 평가한 다음, 이 방법을 이용하여 연구 대상의 교정적 치아 이동의 한계를 밝히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연구 재료로서 III급 수술-교정 치료를 받은 환자 55명의 치료 전$cdot$후 모형을 이용하였고, 연구 방법으로 각 모형에서 치아의 angulation, inclination 및 견치에서 제2대구치에 이르는 치열궁 폭경의 변화를 측정한 다음, 치아 이동량 측정방법의 신뢰성 검증을 위하여 임의 표본에 대하여 검사자간의 신뢰성을 분석하였으며, 기술 통계량을 얻고 paired t-test를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측정 방법의 양호한 신뢰성을 검증할 수 있었으며, 치아이동 범위는 악궁 내 각 부위에 따라 매우 다양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실험의 연구 대상인 III급 수술-교정 치료 증례에서 치아 이동의 변화량을 해석한 결과, 수술-교정 치료 시 필요한 상$\cdot$하 구치부 치열궁 조화를 이루기 위한 치열궁 폭경의 변화량은 주로 구치부위의 경사 이동에 의한 것임을 추론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 이용된 방법론은 II급 부정교합 등 다른 증례의 치료에서 치료 전$\cdot$후 치아 이동 양상의 해석에 적용할 수 있으며, 만일 이것을 통하여 특정 치료증례에서 치아 이동양상에 대한 충분한 자료를 얻는다면, 해당 치료 증례의 치료 계획 설정을 위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교정적 치아 이동 중 치은열구액의 Interleukin-$1\beta$의 발현 (Interleukin-$1\beta$ levels in human gingiva1 crevicular fluid during orthodontic tooth movement)

  • 김인숙;박영국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23-431
    • /
    • 2000
  • 교정적 치아이동 중 골개조는 수종의 매개물질에 의하여 조절된다. 특히 IL-$1\beta$는 실험동물의 교정적 치아이동 중 압박측과 긴장측 모두의 치근막과 치조골에서 골흡수를 촉진하고 골형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이 연구는 인체에서의 교정적 치아이동 중 압박측과 긴장측 치은열구액에서 IL-$1\beta$의 발현을 찾고 발현양의 시간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전신질환인 없고 임상적으로 건강한 치주조직을 가진 평균 19.2$\pm$4.2세, 12명의 남녀환자에서 편측 견치를 원심으로 견인하였다. 실험군(원심 견인측)의 근심과 원심, 대조군(동일환자의 반대편 견치)의 근심 치은열구액을 견치 후방 이동 직전, 1시간 후, 24시간 후, 168시간 후의 4개의 시간대 별로 수집하여 총단백질 농도(BCA법)와 IL-$1\beta$(ELISA법) 의 농도를 비교,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실험군에서의 IL-$1\beta$ 농도는 교정력을 가한 후 증가하여 24시간 전후에 최대값에 도달하였다. 2. 대조군에서의 IL-$1\beta$ 농도는 시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교정력을 가한 24시간 후에서 IL-$1\beta$의 농도는 압박측에서 가장 높고, 이어 긴장측과 대조군의 순이었다.

  • PDF

Micro-Implant를 이용한 교정치료로 교합평면 개선 후 하악 구치부 수복증례 (Mandibular Posterior Rehabilitation Case after Occlusal Plane Correction using Micro-Implant Anchorage)

  • 박주미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0권2호
    • /
    • pp.143-150
    • /
    • 2004
  • Endosseous implants have been used to provide anchorage control in orthodontic treatment without the need for special patient cooperation. However these implants have limitation like space requirement, cost, equipments. Recently titanium micro-implant for orthodontic anchorage was introduced. Micro-implants are small enough to place in any area of the alveolar bone, easy to implant and remove, and inexpensive. In addition, orthodontic force application can begin almost immediately after implantation. The mandibular first, maxillary first, mandibula second, and maxillary second molars were the four most commonly missing teeth in adult sample. In case of posterior molar teeth missing, deflective contacts in any position, over time, has produced pathologic change of occlusal scheme because of extrusion of opposing teeth. This case had interocclusal space deficiency by mandibular right molars missing over time. The micro-implants had been used for intrusion of maxillary right molars for interocclusal space. The micro-implant would be absolute anchorage for orthodontic movement. Therefore, the micro-implant would be effective method for correction of occlusal plane.

교정력에 의한 치아이동시 백서 치주조직의 대사성 변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TABOLIC ALTERATION OF PERIODONTAL TISSUE ON ORTHODONTIC TOOTH MOVEMENT IN RATS)

  • 장영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65-70
    • /
    • 1981
  • In the present study orthodontic force was applied to the molars of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treated with the lathyrogen beta-aminopropionitrile (BAPN). Observation resulted in the following conclusions : 1) New alveolar bone formation in response to orthodontic force in BAPN-treated rats exceeded corresponding bone formation in control of cup when measured at two tension sites in the periodontal ligament. 2) BAPN administration produced disorganization of the collagenous fibers of the periodontium of experimental group. Multiple eosinophilic cell-free areas were found distributed throughout the radicular portions of affected periodontal ligaments. 3) The areas of periodontium surrounding orthodontically treated teeth exhibited relatively normal organization under these conditions, while the periodontium of adjacent nonorthodontically treated teeth was disorganized. 4) The present results suggest that the typical histologic response to orthodontic force application can occur in the presence of a chemically and physically altered periodontium.

  • PDF

보철치료를 위한 치아 이동 (Adjunctive orthodontic therapy for prosthodontic treatment)

  • 국윤아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48권12호
    • /
    • pp.868-879
    • /
    • 2010
  • Adjunctive orthodontic therapy may be required to create appropriate space, to address misalignment and tooth size discrepancy for better function and esthetics. The desired interproximal alveolar contour and gingival embrasure form can be developed during treatment. Various applications of temporary anchorage devices for pre-prosthetic tooth movement allowed clinicians to achieve high efficiency, shorter treatment time, and less discomfort of patient. Biomechanical considerations for the periodontal status of the affected teeth are required to successfully control the vertical and horizontal space. Hence, the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have an essential role in maximizing the favorable treatment outcome. In particular, pivotal Clinical decisions such as whether to open or close the space should be made by consensus of the involved dentists. This article presents the orthodontic treatment approaches for prosthodontic works including mesiodistal and vertical space regaining specially for cases of unrestored teeth over an extended period of time.

교정치료시 하악 전치부 치은퇴축의 고려 (Gingival recession of lower anterior incisors in orthodontic treatment)

  • 김윤상;조진형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8권2호
    • /
    • pp.215-224
    • /
    • 2008
  • Purpose: These case reports show the orthodontic treatment of lower anterior incisors with gingival recession. Materials and Methods: Three cases were treated by an orthodontist and a periodontist. Each case had lingually tilted lower anterior incisors, anterior crossbite and skeletal Cl III pattern. Results: A variety of etiological factors were thought to cause gingival recession: aging, oral hygiene, tooth malpositioning, occlusal trauma. Conclusion: Due to the interaction among many possible contributing factors, it is difficult to predict whether further gingival recession may occur at a given site. The position and the movement of the lower anterior incisors with gingival recession are important factors in diagnosis and orthodontic treatment plan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