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thodontic movement

검색결과 347건 처리시간 0.027초

상악 중절치 후방 이동시의 이동양상에 관한 유한요소법적 연구 (A STUDY ON THE PATTERN OF MOVEMENT DURING RETRACTION OF MAXILLARY CENTRAL INCISOR BY FINITE ELEMENT METHOD)

  • 장재완;손병화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617-634
    • /
    • 1991
  • The retraction of anterior teeth is one of the fundamental methods in orthodontic treatment and a proper position and angulation of anterior teeth after the retraction are very important for esthetics, stability, and function of teeth. In this research we analyzed, by Finite Element Method, the stress distribution on the periodontal ligament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force and moment applied on the crown and predict the pattern of movement of maxillary central incisor. At the same time, the amount of force and moment caused by activation of the loop which was used for retraction of maxillary central incisor was analyzed by Finite Element Method. We observed the following results: 1) We could control the stress distribution on the periodontal ligament by proper moment/force ratio on maxillary right central incisor and predict the pattern of movement of maxillary right central incisor. 2) The amount of stress on the periodontal ligament as well as the moment/force ratio demanded by each pattern of movement increased as the destruction of alveolar bone was worse. 3) The moment/force ratio demanded by each pattern of movement decreased as the angle between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and occlusal plane decreased. 4) The force with the open loop was shown to be large compared to that with the closed loop. Also, the force with the helix decreased by 30% compared to that without the helix. 5) Under the same conditions we observed a larger moment/force ratio when the open loop and/or the helix were used.

  • PDF

두 종류의 Precision Lingual Arch(PLA)로 구치부 교차교합 치료시 발생할 동적인 치아이동 양상의 차이를 Calorific Machine으로 실험한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DYNAMIC 700TH MOVING EFFECTS OF TWO PRECIS10N LINGUAL ARCHS(PLA) FOR CORRECTION OF POSTER10R SCISSOR BITE BY THE CALORIFIC MACHINE)

  • 전윤식;노준;서문석;박인권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9-41
    • /
    • 1998
  • 교정치료란 동적인(dynamic)진료행위 임에도 불구하고 치료를 위해 사용하는 교정장치의 효과를 평가하는데 있어서는 정적인(static) 방법이 주로 이용되어왔다. 대부분의 교정의들은 동일한 치료목표를 위해 여러 종류의 장치가 제시될때 과연 어떠한 장치가 상대적으로 치료결과 및 치료기간 면에서 상대적으로 더 우수한가를 알고 싶어한다. 이에 본 저자들은 구치부 교차교합 해결을 위해 사용하고 있는 PLA중 Burstone식 PLA(single force응용)와 구치직립식 PLA(couple기전 응용) 간의 치아이동 기전과 치아이동 시간의 상대적 차이를 규명하고 얻어진 결과를 임상에 적용하기 위하여 본 교실에서 개발, 제작한 Calorific machine을 이용하여 실험한 후 정상치와 경사치의 이동양상과 치아이동시간을 계측하여 paired t-test를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를 얻었다. 1. 구치직립식 PLA가 Burstone식 PLA 보다 경사치의 정출량과 치근의 수평이동량이 더 큰것으로 나타났다(p=0.0000). 2. 구치직립식 PLA 사용시 정상치 (upright molar)의 치아이동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P=0.3475) Burstone식 PLA는 미미한 양(0.2mm)이지만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p=0.0001). 3. 경사치의 치아이동시간이 Burstone식 PLA의 경우 약 17.8분 정도 소요되었으나 구치직립식 PLA는 3.8분으로 나타났다(P=0.0001).

  • PDF

Doppler ultrasound를 이용한 교정적 치아 이동 시 치수 혈류량의 변화의 측정- 예비실험 (Changes in pulpal blood flow during orthodontic tooth movement studied by Doppler ultrasound)

  • 임경섭;배영민;차정열;유형석;황충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372-382
    • /
    • 2009
  • 교정적 치아 이동 시 지속되는 압력에 의해 혈류변화가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변화양상에 있어서 선학들의 연구 방법 및 그 결과의 다양성이 존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Doppler ultrasound를 이용하여, 교정치료 전과 교정치료 시작 3주, 6주 후 치수 혈류량의 연속적인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만 15세 이상 환자 18명을 연구대상으로 Doppler ultrasound를 이용하여 상, 하악 6전치 중 경도의 총생(2 mm 미만)을 보이는 치아(총생측정: required space-available space)와 인접치아를 포함한 3개의 치아를 대상으로 치수 혈류량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부위별(상, 하악), 치아별, 기간에 따른 치수 혈류량의 변화는 교정 치료 시작 전과 시작 후 3주, 6주 혈류량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치수 생활력 상실의 내재적 위험성을 비교하고자 교정 치료 시작 전 치아별로 치수혈류량을 비교하였을 때, 상악에서는 측절치, 하악에서는 견치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모든 항목에서 적은 값을 나타냈다 (p > 0.05). 본 연구의 결과는 이후에 진행될 Doppler ultrasound의 치아이동유형, 환자의 연령을 고려한 세부적인 실험 시 방법론적인 기초 자료로서 뿐만 아니라, 교정치료 시 치수 생활력의 상실에 대한 참고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ADs와 R-jig를 이용한 상악 구치 원심 이동에 관한 3차원 유한요소 분석 (3-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of maxillary molar distalization using R-jig with TADs)

  • 탁명현;이근영;조진우;지영덕;조진형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0권4호
    • /
    • pp.265-277
    • /
    • 2014
  • 목적: 고정식 교정장치에서 removable sliding jig (R-jig)와 temporary anchorage devices (TADs)를 이용하여 상악 구치의 원심 이동 시 힘의 크기와 와이어의 단면 크기에 따른 치아 이동과 치조골에 미치는 효과의 차이를 유한요소방법을 통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정상적인 치아 크기와 악궁 형태를 가진 상악 치아와 상악 치조골을 3차원 형상 모델링하고, 브라켓, 교정용 호선 및 R-jig를 포함한 유한요소 모델을 제작하였다. 골격성 고정원인 mini-implant를 제2소구치와 제1대구치 사이 협측으로 주호선 기준 8 mm 상방 위치시키고, mini-implant를 직접 고정원으로 사용하여 R-jig에 후방력을 부여하였다. 주호선을 $0.019{\times}0.025$ inch SS로 설정하고, R-jig의 와이어 단면 크기를 $0.019{\times}0.025$ inch SS, 후방력의 크기를 200 gm, 결찰을 하지 않는 조건을 기준 조건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R-jig의 와이어 단면 크기, 후방력의 크기를 다르게 한 조건들을 설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R-jig의 와이어 단면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후방력에 의한 R-jig의 변형이 적게 관찰되었지만, 제2대구치의 변위량은 아주 미미한 차이를 보였다. 제2대구치에 가해지는 후방력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변위량도 같이 증가하였고, 원심경사 경향과 수직 변위량도 더 커졌다. 결론: R-jig는 임상적으로 큰 부작용 없이 치아의 원심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상악 치열의 치군 후방이동에 관한 3 차원 유한요소법적 연구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OF THE PHENOMENON DURING DISTAL EN MASSE MOVEMENT OF THE MAXILLARY DENTITION)

  • 신수정;장영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563-580
    • /
    • 1998
  • 치열의 치군 후방이동을 유발하는 교정력에 의해 발생되는 개개 치아의 초기 변위와 응력분포를 평가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상악 치아와 치근막, 그리고 치조골의 해부학적 형태와 생체적 특성을 컴퓨터로 재현하고 모형화된 브라켓을 부착한 3 차원 유한요소 모델을 형성하였다. 치열의 치군 후방이동에 사용되는 구외력과 II급 악간고무, ideal arch wire와 MEAW(Multiloop Edgewise Arch Wire), 그리고 호선에 부여된 tip back bend 에 의해 야기되는 치아 변위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치료방법을 상악 제 2 대구치를 발거한 경우와 발거하지 않은 경우에 각각 적용하여 상악 제 2대구치 존재유무에 따른 치아이동 양상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전치부 헤드기어에 의해 발생되는 치아변위는 후방 치체변위와 후방 경사변위, 그리고 수직변위 모두 치열 전방부에 집중되어 있었다. 2. Ideal arch wire에 II급 악간고무를 적용한 경우, 치아변위가 치열 전방부에 집중되었으나 ideal arch wire에 tip back bend를 부여하면 악간고무에 의한 견인력이 후방으로 전달되었다. 부여하는 tip back bend의 양이 증가할수록 전치부의 후방 치체변위와 설측 경사변위는 감소하였고 구치부의 후방 치체변위와 경사변위는 증가하였으며 II급 악간고무에 의한 전치부 정출이 감소하였다. 3. MEAW와 II급 악간고무를 적용한 결과, 치아변위 경향은 ideal arch wire와 II급 악간고무를 사용한 경우와 유사하였으나 작은 양의 치아변위와 함께 치열내 개개치아의 비교적 균등한 이동양상을 보였다. 4. 상악 제 2 대구치가 존재하는 유한요소 모델에 상악 제 1 대구치까지만 교정장치를 장착하고 후방이동을 시도한 결과 상악 제 1 대구치 치아이동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유한요소모델에서 레버암을 이용한 상악 6전치 설측 견인 시 초기 이동 양상 (The Pattern of Initial Displacement in Lingual Lever Arm Traction of 6 Maxillary Anterior Teeth According to Different Material Properties: 3-D FEA)

  • 최인호;차경석;정동화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4권2호
    • /
    • pp.213-230
    • /
    • 2008
  • 최근 치료기간의 단축과 심미성을 동시에 충족시키는 6전치를 설측에서 견인하는 레버암을 이용한 견인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악골의 고전적인 2가지 물성으로 구성된 유한 요소 모델 (단순모델)과 새로이 개발된 24가지 물성으로 구성된 모델 (복합모델)을 생성하여 상악 6전치를 후방 견인 시, 각 치아와 치주인대에 나타나는 초기 이동량과 응력분포를 분석하였다. 23세 성인 남자의 CT 촬영으로 얻은 DICOM 영상정보를 3차원 리버스 엔지니어링 컴퓨터영상프로그램 Mimics를 이용하여 상악골 및 상악 전치부의 3차원 입체영상모델로 재구성하여 finite element analysis (FEA) 모델을 완성하였다. 모델은 상악골, 상악 전치부 각 치아의 치주인대, lingual traction arm의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상악 6전치의 저항중심 부위를 지나도록 교합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200g의 후방견인력을 적용한 후 나타나는 초기 이동량 및 응력 분포를 3차원 유한 요소법을 이용한 해석을 통해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24가지 물성으로 구성된 복합모델이 2가지 물성으로 구성된 단순 모델에 비해 상악 중절치에서 보다 후방 이동되는 양상이 크게 나타났으며 수직적인 회전 양상 역시 크게 나타났다. 두 모델 모두 중절치와 측절치는 조절성 경사이동의 형태로 후방이동양이 견치보다 크게 나타났으나 견치는 이동량이 적은 대신 치근의 이동이 더 크게 나타났다. 수직적 이동양상에 있어 두 모델 모두 측절치와 견치의 접촉점을 중심으로 절치는 하방으로 견치는 상방으로 움직이는 회전양상을 나타났다. 응력의 비교에서는 단순 모델과 복합 모델에서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비록 각기 다른 물성으로 인해 후방 이동량에서는 차이가 나타났으나 기본적인 치아의 이동양상은 두 모델에서 모두 같게 나타났다.

치아이동에 의한 백서 삼차신경감각핵군내 c-Fos의 발현 (C-FOS EXPRESS10N IN THE RAT TRIGEMINAL SENSORY NUCLEUS COMPLEX FOLLOWING TOOTH MOVEMENT)

  • 민경호;박효상;배용철;성재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441-452
    • /
    • 1998
  • 이 연구의 목적은 말초조직에 유해 자극을 가하였을 때 중추 신경계내 이차 신경 세포체내에 발현되어 neuronal marker로 사용되고 있는 c-fos를 사용한 면역 조직화학법으로 치아이동시 동반되는 동통의 투사경로의 이해에 도움을 주고자하는 것이다. 생후 9주령의 210gm내외의 Sprague-Dawley계 웅성 백서 21마리를 교정력을 가하지않고 마취만을 시행한 정상 대조군과 교정력 적용 시간 경과에 따라 1시간, 3시간, 6시간, 12시간, 1일, 3일군으로 나누어 각 해당 시간동안 상악 우측 제1 대구치와 상악 우측 측절치사이에 Ni-Ti coil spring를 결찰하여 30gm내외의 지속적인 교정력을 가한 후 희생시켰다. 희생시킨 백서의 뇌간을 적출하여 토끼의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화학 염색을 시행하였다. 삼차신경 감각핵군내 부위에 따른 c-fos 면역 반응 세포를 측정하여 교정력 적용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를 관찰하였다. $\cdot$c-fos면역 반응 세포의 배측에서의 분포는 자극측 중위핵과 미측핵의 이행부위에서 시작하여 제1경추 척수 후각에 까지 이어졌는데 가장 많은 분포를 보인 곳은 미측핵의 문측 부위였다. 그리고 주로 I층 과 II층에서 관찰되었다. $\cdot$복측에서의 c-fos면역 반응 세포의 분포는 자극측 중위핵의 미측 부위에서 시작하여 미측핵의 중간부위에 까지 이어졌다. $\cdot$교정력 적용3, 6시간군에서 c-fos면역 반응 세포가 가장 많이 관찰 되었으며 12시간군에서 감소되기 시작하여 1일, 3일군에서는 현저히 감소 하였다. 위로 미루어 볼때 지속적인 교정력에 의한 동통은 중위핵과 미측핵의 이행부위, 미측핵, 제 1경추 척수후각에서 매개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구순구개열 환아에서의 치조골이식 (TOOTH MOVEMENTS TO THE SITE OF ALVEOLAR BONE GRAFT)

  • 조해성;박재홍;김광철;최성철;이긍호;최영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40-149
    • /
    • 2007
  • 치조파열 및 구개열과 같은 선천성 기형은 이환된 환자에게 기능적, 심미적으로 많은 문제점을 야기하므로 정상으로 회복시켜 주는 것은 중요한 문제이다. 장기간 방치될 경우 영양장애, 구강위생 불량, 호흡기 감염, 언어 장애, 악안면 변형, 그리고 정신적인 문제 등이 복합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구순구개열 환자의 치료는 여러 전문 치료 분야의 복합적 인 접근이 필요하다. 골이식은 구순구개열 환자에 있어 중요한 치과치료 단계이다. 치아의 맹출과 치열의 안정화를 위해 치열궁은 골결손이 없이 완전해져야 한다. 또한 치열궁의 파열이 있는 부위로는 정상적인 교정적 치아이동이 곤란하다. 따라서 구순구개열 환자에 있어 골이식은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는 외과적 술식이다. 치조골을 이식함으로써 치조열은 안정화되고, 견치 또는 절치가 이식부위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골 이식 후, 교정을 통해 치조열 부위의 공간을 폐쇄함으로써 보철치료 없이 치열을 재형성 할 수 있다. 골이식술에는 다양한 이식재료가 사용되었다. 자가골을 이식할 경우 장골이 가장 선호되며, 그밖에 경골, 늑골, 두개골, 하악골을 이용하기도 한다. 그리고 골이식은 골이식 시기에 따라 일차골이식, 조기 이차골이식, 이차골이식, 만기 이차골이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차골이식은 혼합치열기 말경에 시행되는 것을 말하며 가장 좋은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영구 견치가 맹출되기 전에 이차골이식을 시행하면 인접치아의 맹출과 보존에 도움이 된다. 본 증례에서는 치조구개파열 환자의 장골에서 골을 채취하여 골 이식을 시행한 후, 골이 채워진 이식 부위에 인접 치아가 성공적으로 이동하거나 치축이 개선되고 교정치료를 통해 치열궁 배열의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Three-dimensional assessment of upper lip positional changes according to simulated maxillary anterior tooth movements by white light scanning

  • Kim, Hwee-Ho;Lee, Jin-Woo;Cha, Kyung-Suk;Chung, Dong-Hwa;Lee, Sang-Mi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281-293
    • /
    • 2014
  • Objective: Esthetic improvements during orthodontic treatment are achieved by changes in positions of the lips and surrounding soft tissues. Facial soft-tissue movement has already been two-dimensionally evaluated by cephalometry. In this study, we aimed to three-dimensionally assess positional changes of the adult upper lip according to simulated maxillary anterior tooth movements by white light scanning. Methods: We measured changes in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of labial landmarks in relation to maxillary incisor movements of normal adults simulated with films of varying thickness by using a white light scanner. Results: With increasing protraction, the upper lip moved forward and significantly upward. Labial movement was limited by the surrounding soft tissues. The extent of movement above the vermilion border was slightly less than half that of the teeth, showing strong correlation. Most changes were concentrated in the depression above the upper vermilion border. Labial movement toward the nose was reduced significantly. Conclusions: After adequately controlling several variables and using white light scanning with high reproducibility and accuracy,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showed moderate values (0.40-0.77) and significant changes could be determined. This method would be useful to predict soft-tissue positional changes according to tooth movements.

The Effect of a Condylar Repositioning Plate on Condylar Position and Relapse in Two-Jaw Surgery

  • Jung, Gyu Sik;Kim, Taek Kyun;Lee, Jeong Woo;Yang, Jung Dug;Chung, Ho Yun;Cho, Byung Chae;Choi, Kang Young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4권1호
    • /
    • pp.19-25
    • /
    • 2017
  • Background Numerous condylar repositioning methods have been reported. However, most of them are 2-dimensional or are complex procedures that require a longer operation time and a highly trained surgeon.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a new technique using a condylar repositioning plate and a centric relation splint to achieve a centric relationship. Methods We evaluated 387 patients who had undergone surgery for skeletal jaw deformities. During the operation, a centric relation splint, intermediate splint, final centric occlusion splint, and condylar repositioning plate along with an L-type mini-plate for LeFort I osteotomy or a bicortical screw for 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were utilized for rigid fixation. The evaluation included: a physical examination to detect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temporomandibular joint dysfunction, 3-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and oblique transcranial temporomandibular joint radiography to measure 3-dimensional condylar head movement, and posteroanterior and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y to measure the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movement of the bony segment and relapse rate. Results A 0.3% relapse rate was observed in the coronal plane, and a 2.8% relapse rate in the sagittal plane, which is indistinguishable from the dental relapse rate in orthodontic treatment. The condylar repositioning plate could not fully prevent movement of the condylar head, but the relapse rate was minimal, implying that the movement of the condylar head was within tolerable limits. Conclusions Our condylar repositioning method using a centric relation splint and miniplate in orthognathic surgery was found to be simple and effective for patients suffering from skeletal jaw deform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