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thodontic bracket and wire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17초

Comparison of frictional forces between aesthetic orthodontic coated wires and self-ligation brackets

  • Kim, Yunmi;Cha, Jung-Yul;Hwang, Chung-Ju;Yu, Hyung Seog;Tahk, Seon Gu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157-167
    • /
    • 2014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efficacy of polymer- and rhodium-coated wires compared to uncoated wires by measuring the frictional forces using self-ligation brackets. Methods: 0.016-inch nickel titanium (NiTi) wires and $0.017{\times}0.025$-inch stainless steel (SS) wires were used, and the angulations between the brackets and wires were set to $0^{\circ}$, $5^{\circ}$, and $10^{\circ}$. Upper maxillary premolar brackets (Clippy-C$^{(R)}$) with a 0.022-inch slot were selected for the study and a tensile test was performed with a crosshead speed of 5 mm/min. The maximum static frictional forces and kinetic frictional forces were recorded and compared. Results: The maximum static frictional forces and the kinetic frictional forces of coated wires were equal to or higher than those of the uncoated wires (p < 0.05). The maximum static frictional forces of rhodium-coated wi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polymercoated wires when the angulations between the brackets and wires were set to (i) $5^{\circ}$ in the 0.016-inch NiTi wires and (ii) all angulations in the $0.017{\times}0.025$-inch SS wires (p < 0.05). The kinetic frictional forces of rhodium-coated wires were higher than those of polymer-coated wires, except when the angulations were set to $0^{\circ}$ in the 0.016-inch NiTi wires (p < 0.05). Conclusions: Although the frictional forces of the coated wires with regards to aesthetics were equal to or greater than those of the uncoated wires, a study under similar conditions regarding the oral cavity is needed in order to establish the clinical implications.

안면 비대칭의 평가를 위한 기준에 관한 정모 두부 방사선 계측학적 연구 (A FRONTAL CEPHALOMETRIC STUDY ON THE REFERENCE LINES TO ASSESS THE CRANIOMAXILLOFACIAL ASYMMETRY)

  • 백선호;안병근;김선해;손흥범;한호진;강수만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15
    • /
    • 1993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midline having the least difference between the right and left structures among the lines that had been used in the study of the craniomaxillofacial asymmetry. The sample of this study consisted of twenty six Korean girls(average 18.9 years old) having normal facial appearance and occlusion. On the frontal cephalometric films of the sample, we divided the whole craniomaxillofacial area into four portions, i.e., cranial, upper facial, lower facial, and dental portion. So, we have found the midlines having the least difference in the whole craniomaxillofacial area itself, and in the each divided four portions, furtherly in the other portions from aimed portion. The findings were as follow: 1. In the whole craniomaxillofacial area, the connecting line between crista galli and anterior nasal spine and the perpendicular bisecting line between right and left foramen rotundums were suitable for the midline. 2. In the cranial portion, established all six lines were suitable for midlines. In the other portions, the perpendicular bisection line between both condylion, the line passing the contact point between right and left mandibular central insisiors among the perpendicular lines between right and left mandibular central incisial tips were suitable midlines fer evaluating the asymmetry of cranial portion. 3. In the upper facial portion, the perpendicular bisecting line between right and left zygions was the most suitable midline. In the other portions, the line between the crista galli and the most superior point of the odontoid process, the perpendicular bisecting line between right and left gonions, the perpendicular bisecting line between right and left condylions, and perpendicular bisecting line between right and left foramens rotundum were suitable midlines for evaluating the asymmetry of the upper facial portion 4. In the dental portion, the perpendicular bisecting lines between right and left buccal cusps of both maxillary first molars and between right and left mandibular first molars were suitable midlines. In the other portions, the perpendicular bisecting line between right and left landmarks crossing the lesser wing of the sphenoid bone and orbit, the perpendicular bisecting line between right and left mental foramens, and the connecting line between crista galli and prosthion were suitable midlines for evaluating the asymmetry of dental portion. 5. In the lower facial portion, the perpendicular bisecting lines between right and left condylions and between right and left gonions were suitable midlines. In the other portions, the line between the crista galli and anterior nasal spine, the perpendicular bisecting line between right and left foramen rotundums, and the perpendicular bisecting lines between right and left buccal cusps of both mandibular first molars and between right and left maxillary first molars were suitable midlines for evaluating the asymmetry of the lower facial portion.

  • PDF

반자성 물질을 이용한 자기공명영상검사에서의 인공물 감소 (Reduction of Artifacts 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with Diamagnetic Substance)

  • 최우전;김동현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581-588
    • /
    • 2019
  • 자기공명영상검사는 조직의 대조도 와 해상력이 우수하지만, 인공물이 발생 될 경우 진단에 영향을 주어 판독이 불가능한 영상을 생성하기도 한다. 치아에 삽입된 금속은 강자성체 또는 상자성체로 되어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자화율 차이로 인하여 기하학적 왜곡을 유발하여 영상진단에 저해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를 저감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반자성 물질을 사용에 따른 금속 인공물 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자성 물질로는 치아교정용 와이어와 브라켓인 스테인리스 스틸이 사용되었고 반자성 물질은 구리, 아연, 비스무트를 사용하였다. 검사장비는 1.5T, 3T가 사용되었으며 사용된 시퀀스는 SE, TSE, GE, EPI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체 제작된 팬텀을 물질은 균등한 신호를 위하여 아가로스 겔(10%)을 사용하였으며 인공물 유발 물질은 스테인리스 스틸은 팬텀의 정중앙에 위치시켜 검사하고 각 길이 10mm의 정 육면체 반자성 물질의 씌워 검사하였다. 인공물 측정은 Image J를 사용하여 순수한 팬텀 영상에서 자성물질을 포함한 영상을 감산하여 얻은 영상에서 Low Threshold 값을 10으로 설정 한 후 Wand tool을 사용하여 인공물 영역설정 후 면적을 구하였다. 스테인리스 스틸에서 발생한 금속 인공물은 반자성 물질 중 비스무트를 사용한 영상에서 금속 인공물이 가장 많이 감소하였으며 구리와 아연은 약간은 감소하지만, 그 정도의 차이는 크지 않다고 하겠다. 이러한 이유는 비스무트의 반자성 자화율이 가장 작아서 강자성체에서의 자화율을 가장 많이 상쇄하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1.5T 와 3T 모두에서 비스무트를 사용한 영상의 인공물이 가장 적게 나왔다. 시퀀스별 인공물 감소는 1.5T에서는 TSE에서 가장 많이 인공물이 감소하였으며 3T에서는 SE에서 가장 많은 인공물이 감소하였다. 따라서 반자성물질의 따른 인공물 변화의 결과는 자화율(${\chi}$)이 가장 낮은 비스무트를 사용한 영상에서 금속인공물이 기준인 Implant 인공물 보다 줄어든 양상을 보여 자화율이 낮은 물질일수록 금속 인공물이 줄어든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기존 금속 인공물의 해결 방법의 단점으로 지적되어온 스캔 시간의 증가 등이 나타나지 않으면서도 인공물을 줄일 수 있는 방법으로 향후 치아 교정 물질뿐만 아니라 치아 보철물 전체에 대한 금속 인공물 저감에 관한 연구의 기초 자료로 사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상악 전치부 후방 견인 시 이동 양상과 응력 분포에 관한 삼차원 유한요소법적 연구 (The pattern of movement and stress distribution during retraction of maxillary incisors using a 3-D finite element method)

  • 정애진;김운수;이수행;강성수;최희인;조진형;김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98-113
    • /
    • 2007
  • 상악 전치부 후방 견인 시의 이동 양상 및 응력 분포를 건조 두개골을 전산화 단층 촬영에 의해 3차원 영상화한 유한 요소 모델 상에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피질골 절단술의 시행 여부와 고정원, 힘의 작용점을 각기 달리 설정하여 8개의 실험군을 구성하여 비교하였다. 통상적인 T-loop을 이용하여 공간폐쇄를 하는 경우 전치부는 후하방으로 경사이동 하였으며, 구치부에서도 약간 전방 이동하였다. 피질골 절단술을 동반하여 전치부를 견인한 경우, 전치부 골편에서의 응력 분포가 전반적으로 넓게 분포되었으며, 전치부 경사의 정도가 적은 반면에 변위량은 훨씬 더 많았다. 협측에서의 견인 시 상악 협측에 식립된 미니 임플랜트와 견치 Power arm간에 견인력을 가한 경우가 미니 임플랜트로 고정원이 강화된 제2소구치와 견치 브라켓 간에 견인력을 가한 경우보다 전치부의 후하방 경사 정도가 적었다. 구개측에서 Powerarm에 대한 견인 시 정중구개봉합 부위에 식립한 미니 임플랜트로부터 견인력을 가한 경우가 상악 제1, 2대구치 간 구개면에 식립된 미니 임플랜트로부터 견인력을 가한 경우보다 전치부의 후하방 경사 정도가 컸다. 이러한 결과로써 치아이동 시 피질골 절단술의 효과와 저항중심에 대한 교정력 벡터 조정의 의미를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