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namental tree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9초

일본 규슈지역에서의 조경수로서 상록활엽수의 이용실태 분석 (Use Situation Analysis of Evergreen Broad-Leaved Trees as Landscape Trees in Kyushu Area, Japan)

  • 박석곤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29-39
    • /
    • 2011
  • This study aimed to select evergreen broad-leaved trees (EBT) that can be produced and planted in Korea by analyzing the current use of the trees for landscaping in the Kyushu area of Japan, a warm temperate region. The results revealed the total production of EBT was higher than that of conifers and due to the suitable growth environment of the area and the subsequent high demand for them. The landscape tree production methods in Japan were divided into container nursery and outdoor nursery, and the uses and species of the trees varied depending on the method; a variety of native species were produced in container nursery rather than in outdoor nursery, whereas trees used as ornamental, gardening, and shade plants were produced in outdoor nursery rather than in container nursery.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in Fukuoka, a major city in Kyushu that is adjacent to Korea, the planting rate of EBT, used as ornamental, gardening, and shade plants, was higher than that of deciduous broad-leaved trees and conifers. In the city, the planting rate of Cinnamomum camphora was the highest, Elaeocarpus sylvestris var. ellipticus, Ternstroemia gymnanthera, Ilex rotunda, Quercus glauca, Camellia sasanqua, Eurya emarginata, Pittosporum tobira, Raphiolepis indica var. umbellata, Hedera rhombea, Kadsura japonica, Trachelospermum asiaticum var. asiaticum. These species were verified in Kyushu area for their application as landscape trees and are expected to serve as landscape trees in Korea if the planting areas of them are expanded by global warming, urban heat island and regional microclimate.

병솔꽃나무(Callistemon citrinus (Curt.) Skeels)의 개화결실 및 증식특성 (Characteristics of flowering, fruit setting and propagation of Callistemon citrinus (Curt.) Skeels)

  • 김찬수;정은주;김지은;소인섭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07-113
    • /
    • 2002
  • 본 연구는 외래도입 병솔꽃나무(Callistemon citrinus)의 개화결실 습성과 효율적인 증식방법을 구명 하고자 수행하였다. 병솔꽃나무의 삭과는 개화후 4년간 가지에 존속하며, 종자의 수와 크기는 3년생 삭과와 2년생 삭과가 비슷한 반면 1년생 삭과는 크게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삭과로부터 종자를 탈리시키기 위해 건조시킨 결과 삭과의 상대 수분함량이 약 75%일 때 삭과열개율이 100%에 달했다. 발아율은 3$0^{\circ}C$에서 건조시킨 종자가 가장 높았으며, 그 중 2년생 삭과에서 탈리된 종자의 발아율이 높았다. 반면 50, 7$0^{\circ}C$에서 건조되어 탈리된 종자의 발아율은 낮았다. 가을철 2차 개화를 유도하기 위하여 봄철 개화 후 삭과가 달린 가지를 전정한 개체에서는 모든 개체에서 가을에 개화하였으며 , 개화량은 평균 14송이였다. 반숙지를 IBA 100mgι$^{-1}$ 에 24시간 침적처리한 결과 86.4%가 발근되었으며, 평균 12.6개의 1차근을 가지며 생장이 가장 양호하였다.

산지형 사찰에 있어 조경식물 배치형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planting Arrangement of Ornamental Trees And Shrubs in Intermane Buddhist Temples.)

  • 심재성;배정관;서병기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63-81
    • /
    • 2004
  • 본 논문은 한국 전통사찰의 경관현황을 개관하고 조경식물을 통한 가람의 종교적 이미지를 부각시켜 불교신도들의 경건한 수도와 함께 관광적 효과를 한층 거양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산지형 사찰인 낙산사, 부석사 및 불국사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에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1. 사찰경 내 수목의 식재현황 및 유형조사대상 사찰에서 석가모니불을 주로 모시는 곳인 대웅전 앞에는 아무런 교.관목이 식재되어 있지 않았다. 극락보전과 무량수전에서는 공통적으로 주목이 식재되어 있었으며 사찰에 따라 매자나무 외 15종이 식재되어 있었다. 또한 불국사의 비로자ㅣ불에서는 백목련을 위시하여 25종의 수목이 식재되어 있음을 볼 수 있었다.한편 낙산사와 불국사의 원통전 및 관음전에는 사철나무 외 26종의 수목이 식재되어 있었다.2. 수목과 사찰 건물과의 연관성 및 산지형 사찰의 교관목 식재모형수목과 각각 건물의 특성과는 특별한 연관성을 발견할 수 없었다. 다만 불교적 의미를 갖는 수종으로서 배롱나무와 불두화가 식재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대체적으로 지역적 특성, 기후 환경과 친화적인 식물이 식재되어 있었으나 수목과 사찰 건물과의 관계를 고려한 배식형식을 찾아보기 어려웠다. 본 조사를 토대로 산지형 사찰에서 교.관목을 식재할 때 활용할 수 있는 모형을 제시하였다.

  • PDF

평지형 사찰의 조경식물 배치에 관한 조사연구 (An Investigation Study of The planting Arrangement of Ornamental Plants in Four Level Land Buddhist Temples)

  • 심재성;배정관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123-138
    • /
    • 2004
  • 평지형 사찰의 경관현황을 개관하고 경내 수목의 식재현황, 유형 및 각 사찰이 지니고 있는 특성과 수목간의 연관성을 구명하기 위해 월정사, 신흥사, 신륵사 및 미타사를 대상으로 2000년 3월부터 9월까지 답사,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4개 사찰의 대웅전 앞에는 수목이 식재되지 않았다. 다만 예외적으로 대웅전의 역할을 하고 있는 월정사 적광전에는 산철쭉 외 5종의 수목이 식재되어 있었다. 신흥사 및 신륵사의 극락보전과 월정사의 무량수전에는 공통적으로 주목이 식재되어 있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월정사와 미타사에서는 금송도 식재되어 있었다. 특히 월정사의 조사당, 무량수전 및 삼성각에는 한결같이 금송이 식재되어 있었다. 월정사의 적광전과 삼성각, 및 신흥사의 극락보전에는 수수꽃다리가 식재되어 있음이 관찰되었고, 신흥사의 명부전과 신륵사의 극락보전에서는 불두화가 관찰되었다. 한편 신흥사와 신륵사에 식재된 향나무는 양 사찰의 대표수종으로 자리하고 있었다. 수목과 각 사찰건물간의 연관성에 대해 종합적으로 고찰하였고, 평지형 사찰에서 수목을 식재할 때 활용할 수 있는 모형을 제시하였다.

  • PDF

전통정원에서 '오동(梧桐)'의 수종, 식재 위치와 경관적 활용 (Species, Planting Position and Scenic Utilization of 'Paulownia Tree(梧桐)' in the Traditional Garden)

  • 홍형순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0-30
    • /
    • 2013
  • 인류 문명과 함께해 온 나무 중 하나인 '오동'은 정원수로도 널리 사용되어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전통 정원에 '오동'이 어디에 어떻게 식재되었는가? 또 그로부터 취한 효용성은 무엇이었는가를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규명하고자 한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의 전통 정원에서 '오동나무'와 '벽오동' 등 수종을 명확히 구분하고, 또 이들을 방위에 따라 가려서 식재하였는가? 둘째, 의기(宜忌)에 준해서 정전(庭前)에 오동나무 식재를 금기시했다면 어떤 위치에 식재하였는가? 셋째, 옛 사람들은 왜 오랜 기간에 걸쳐 오동을 즐겨심고 가꾸었으며, 이를 통해 어떠한 효용을 취하고자 했는가이다. 본 연구의 방법은 여러 사료들에 담긴 내용과 의미를 고찰하고 해석하는 기술(description)적 연구방법이 사용되었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백과사전류와 농서, 원예서 등 고문헌을 고찰한 결과, '오동'에 대한 설명이 편찬자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구체적인 수종의 구분도 모호하다. 따라서 방위에 따라 '오동'의 수종을 가려서 식재하는 등의 제한이 적용되지는 않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오동'의 식재와 관련된 의기 사항은 "산림경제"가 아닌 "증보산림경제"와 "임원경제지"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2. 옛 정원을 묘사한 시문을 통해서도 오, 동, 오동, 벽동 등의 어휘가 큰 구분 없이 사용되었음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정원에 도입된 '오동'의 수종은 오동나무와 벽오동을 비롯해 개오동나무도 활용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3. '오동' 식재와 관련된 의기 사항이 보편적으로 적용되지는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정전(庭前)' 즉, 뜰 앞이나 뜰 가 등 집 가까이에도 오동이 즐겨 식재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4. 옛 정원의 정원수로서 오동의 효용성은 '가을의 전령'으로서 계절감을 강조하는 수목으로서의 역할을 하였다. 5. 오동은 일시적 경관의 정취를 더하는 수목으로서의 효용성도 있었다. 즉, 옛 사람들은 '달'과 가장 잘 어울리는 사물을 '오동'이라고 보았고, 이 둘이 병치된 운치를 즐겼다. 또 '오동'은 잎에 떨어지는 빗소리를 즐기는 등 비오는 날의 정취를 더해주는 수목 중 하나로 활용되었다. 본 연구의 한계는 많은 한문 자료 중 번역물에 국한하여 연구가 진행되었다는 점이다. 추후 연구과제는 새로운 사료의 발굴과 번역 성과물이 축적됨으로써 보다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생육환경특성을 고려한 아파트단지내 조경수목 선정 및 적정 성토높이 - 상계동 쓰레기 매립지를 중심으로 - (The Appropriate Mounding Height and Selection of Ornamental Trees on the Considering of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 the Apartment Complex - In the case of Sanggyoi-Dong Sanitary Sandfill -)

  • 이경재;한봉호;조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37-148
    • /
    • 1997
  • 본 연구는 상계동 쓰레기 매립지 위에 조성된 아파트 단지내 수목식재지에 대한 연구로 토양특성, 배수상태, 식재상태, 수목피해도 분석을 통하여 적정 성토높이와 적정수종을 선정하기 위한 것이다. 토양특성에 있어서는 토양산도가 pH 5.9~7.4로 중성 및 약알칼리성 토양이었다. 1990년 조사결과보다 1994년 조사결과에서 심한 피해현상을 나타내는 수종으로는 침엽수는 소나무, 잣나무, 젓나무이었으며, 낙엽수로는 은행나무, 벚나무이었다. 이러한 원인으로는 수목식재밀도, 쓰레기침출수에 의한 토양오염, 배수불량 등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심한 피해를 받고 있는 수종을 쓰레기 침출수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적정 성토높이는 약 80cm이상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상계동 쓰레기매립지에 조성된 아파트단지에 생육이 적정한 수종으로는 느티나무, 복자기, 중국단풍, 회화나무, 가중나무이었으며 이들 수종의 적정 성토높이는 50~60cm이었다.

  • PDF

오존에 노출된 버즘나무의 광합성 특성과 민감성 지표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and a Sensitive Indicator for $O_3$-exposed Platanus orientalis)

  • 이재천;오창영;한심희;김판기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20-226
    • /
    • 2005
  • 오존 노출이 버즘나무의 광합성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2년생 버즘나무 유묘에 하루에 8시간씩 100 ppb의 오존을 처리하였다. 오존 처리를 진행하는 동안, 3주마다 버즘나무의 엽내 엽록소 함량과 광합성 특성을 측정하였다. 오존에 의한 잎의 가시적 피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또한 엽내 엽록소 함량은 대조구와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광합성량, 기공전도도, 수분이용효율은 오존 처리 6주 후에 대조구보다 감소하였다. 한편 탄소고정효율과 광화학 효율은 오존 처리 3주와 6주 후에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볼 때, 탄소고정효율은 오존 스트레스에 가장 민감한 파라미터로 나타났으며, 이것은 오존 민감성을 평가하기 위한 매우 적당한 지표로 생각되었다.

말레이시아 농산물 수출입 동향 (The Export-import Trends of Agricultural Products in Malaysia)

  • 김충수;이석영
    • 농업과학연구
    • /
    • 제33권2호
    • /
    • pp.97-106
    • /
    • 2006
  •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agricultural sector of the Korea, the direction of market trends on agriculture of the Malaysia was reviewed. The most dominating agricultural area in value is palm oil products, and forest products, sea products poultry products and rubber products is in order. The cultivated area of highest two top plants, oil palm and rubber, was about 4.4 million hectares in 2005, but it is decreasing year by year. Comparatively, rice field, pine apple and fruits tree cultivating area is increasing in tendency by the year. Among all the agricultural products, those items such as pork meat, poultry, egg were self-sufficient, rice, fruits, vegetables and sea products were about 70 to 80% self-sufficient, and beef meat, goat meat and milk were below 20% self-sufficient. Most of the grains, such as wheat, rice, barley, corn etc. and their processed food were imported. Also, temperate fruits such as apple, pear, and water cultivated as well as sprouting vegetables are imported. Ornamental products as cutting flowers and orchids are exported to mainly to the Singapore, but high quality temperate fruits and vegetables are imported from Australia. Oil palm exportation covers the balance of the other items imported and obtaining the foreign money as well in Malaysia.

  • PDF

타란툴라 거미물림 1례 (A Case Report of Spider Bite by Tarantula)

  • 김도영;한승백;김지혜;백진휘;정현민;이형민;김아진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85-87
    • /
    • 2014
  • A total of 631 species of spiders have been reported in Korea. However, there are no spiders with noxious venom such as Latrodectus sp. Because of this, to date, no serious medical problems due to spider bites have been reported in Korea, and only two cases of spider bite were officially reported. However, as the number of earning spiders from other countries is increased, the number of cases of spider bite has also shown a recent increase. A 17-year-old man presented with numbness of both extremities after being bitten by a spider which he had as a pet. The spider is called an Indian ornamental tree spider (Poecilotheria regalis sp.), one kind of tarantula species. Herein, we report on a case of a spider bite by a tarantula.

  • PDF

조선조 가구의 장식적 표현기법과 무늬의 특징-덴마크와 한국의 민속가구 비교를 중심으로- (The Characteristics of Ornamental Technique and Motifs in Folk Furniture of Chosun Dynasty-In Reference to a Comparison between Danish and Korean Folk Furniture-)

  • 최정신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2호
    • /
    • pp.57-66
    • /
    • 199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som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ornamental technique and motifs in folk furniture between Denmark and Korea which had quite different background of development of folk furniture as one of a cross-cultural study. Furniture made and used in the 18th and 19th century was investigated in order to eliminate the influence of internationalism in the design area in the 20th century. This study was fulfilled by many study trips all over the districts in Denmark to identify Danish folk furniture as well as literature study. Study trips to folk museums. Insa-dong, Janghanpyung furniture market were done for Korean folk furniture. Characteristics of ornament in Danish folk furniture were as followings; Main materials of the Danish folk furniture were conifers, especially pine tree, as pine was very common and easy to get from their surroundings. The most popular and unique types of decoration in Danish folk furniture was painting. Colors used in painted furniture were very bright and vivid. This might be a reaction to the long and dark winter of Scandinavian countries. Motifs used in Danish folk furniture had been chosen to reflect their surroundings. Flowers, six-angular stars, animals, human figures and Biblical motifs were popular sources of decoration for Danish folk furniture. Characteristics of Korean folk furniture were as followings; Main materials of Korean folk furniture were broad-leaved trees as well as conifers, because of their beautiful wood grain. The Korean ways of decoration were different from Danish ones. The method of painting with bright from Danish ones. The method of painting with bright colors was hardly ever used in Korea, except only in lacquering. The most popular decoration method for Korean folk furniture was revealing the natural wood grain with transparent vegetable oil finish, instead of painting. Metal ornament was unique to Korean folk furniture. therefore a lot of metal ornaments were attached on the furniture. Motifs used in Korean folk furniture were more like symbolic than Danish ones. Korean people tried to express their longings and norms through the motifs, such as longevity, prosperity, good luck, and many sons, etc. Therefore, it was natural for Korean motifs to have special symbolic meaning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