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ganic toxicity

검색결과 341건 처리시간 0.022초

Methylated Organic Metabolites of Arsenic and their Cardiovascular Toxicities

  • Bae, Ok-Nam;Lim, Kyung-Min;Noh, Ji-Yoon;Kim, Keun-Young;Lim, Eun-Kyung;Chung, Jin-Ho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4권3호
    • /
    • pp.161-167
    • /
    • 2008
  • Recently, arsenic-toxicity has become the major focus of strenuous assessment and dynamic research from the academy and regulatory agency. To elucidate the cause and the mechanism underlying the serious adverse health effects from chronic ingestion of arsenic-contaminated drinking water, numerous studies have been directed on the investigation of arsenic-toxicity using various in vitro as well as in vivo systems. Neverthless, some questions for arsenic effects remain unexplained, reflecting the contribution of unknown factors to the manifestation of arsenic-toxicity. Interestingly, very recent studies on arsenic metabolites have discovered that trivalent methylated arsenicals show stronger cytotoxic and genotoxic potentials than inorganic arsenic or pentavalent metabolites, arguing that these metabolites could play a key role in arsenic-associated disorders. In this review, recent progress and literatures are summarized on the metabolism of trivalent methylated metabolites and their toxicity on body systems including cardiovascular system in an effort to provide an insight into the future research on arsenic-associated disorders.

당귀(Angelica sinensis)의 임상활용에 대한 효능 및 부작용연구 (Pharmacological action and Toxicity of Angelica sinensis)

  • 박영철;이지선;김민희;김동윤;이선동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93-108
    • /
    • 2011
  • Objectives : Angelica sinensis has been used extensively in Korean traditional medicine. Although thorough clinical trials are lacking, Various pharmacological actions for Angelica sinensis has been identified newly using animal models. In addition, it was reported that reactive intermediates, potentially causing toxic effects, was isolated from components in Angelica sinensis. In this article, it was purposed for explanation and introduction of new studies for Angelica sinensis. in terms of Pharmacological action and Toxicity. Methods : New studies for Angelica sinensis were reviewed and summarized in terms of pharmacological action and toxicity. Results and Conclusions : Angelica sinensis and its components including phthalide, phthalide dimers, polysaccharides, polyacetylenes, ligustilide와 butylidenephthalide as well as organic acid showed a variety of pharmacological actions on uterine, cardiovascular system and immune system. In addition, it was identified that three components of such as ligustilide, caffeic acid and safrole was biotransformed to reactive intermediates causing possibly toxicity.

유기용매 내성 세균과 이용가능성 (Solvent Tolerant Bacteria and Their Potential Use)

  • 주우홍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12호
    • /
    • pp.1458-1469
    • /
    • 2015
  • 유기용매 내성 세균의 첫 분리 보고 이후 다수의 유기용매 내성 세균들이 토양 폐수 심지어 심해 등 모든 환경에서 분리 보고되고 있다. 대부분의 유기용매 내성 세균은 그람음성세균으로 이는 그람음성 세균이 그람양성 세균 보다 유전적으로 더 내성을 보이기 때문이다. 유기용매 내성 기전은 유기용매 내성 그람음성 세균을 주로 사용하여 집중적으로 구명되어왔다. 유기용매 내성 그람양성 세균의 유기용매 내성 기전은 비교적 최근 연구에서 발견되고 있다. 유기용매는 용매에 따라 다른 독성을 보이며 유기용매 내성세균의 유기용매 내성 수준은 종과 균주에 의존적으로 매우 변화가 심하다. 그러므로 유기용매 내성세균은 다양한 변인과 다유전자에 의한 적응 전략에 의하여 용매독성과 싸우며 용매 스트레스에 적응할 수 있다. 그들은 세포형태 및 세포 행동에서의 변화, 세포표층의 수식, 세포막 적응, 용매 배출 펌프, 샤페론 그리고 항산화 반응 등의 기전을 통하여 유기용매의 과량의 농도에서도 생존할 수 있다. 본 총설에서는 대표적인 유기용매 내성 세균, 유기용매 내성 세균에서의 유기용매에의 적응 및 내성 전략들 나아가 그들의 산업적 및 환경공학적인 잠재적인 영향에 대하여 개관하고자 한다.

농약의 독성에 대한 농민과 도시민의 인지도 분석 (Recognition of Farmer and Urban Resident on Pesticide Toxicity)

  • 조택수;문영희
    • 농약과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48-55
    • /
    • 2000
  • 도시민과 농민의 농약 독성에 대한 인지도를 설문을 통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응답 도시민의 60%는 우리나라의 식량 자급률이 50% 이상 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또 농업에서 농약이 필요하다고 답한 도시민은 응답자의 60% 정도로 나타났다. 도시민은 농민이 농약을 과다하게 사용하고 있으며 또 농작물에 농약이 잔류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잔류농약이 만성독성을 유발시키거나 암의 원인이 된다고 대답하였다. 상당수의 도시민은 유기 농산물을 선호하는 편이었으나 완전한 무농약 재배라고는 믿지 않았다. 농민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 농민은 농약이 농업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 농민의 반 정도는 추천 사용량의 2배 정도의 농도로 농약을 처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민들 역시 농작물에 농약이 어느 정도는 잔류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으나 농약이 잔류허용량 이상으로 잔류된 농작물을 유통시켰을 때 처벌되는 것에 대하여는 모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광반응과 광촉매 반응을 이용한 Diazinon 농약의 분해 기전과 독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gradation Mechanism of Diazinon and the Acute Toxicity Assessment in Photolysis and Photocatalysis)

  • 오지윤;김문경;손현석;조경덕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0권11호
    • /
    • pp.1087-1094
    • /
    • 2008
  • Diazinon은 전 세계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유기인계 살충제이며 특히 한국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광반응과 광촉매 반응을 이용하여 diazinon의 분해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실험의 결과, diazinon은 인공 자외선의 경우 광반응과 광촉매 반응에서 모두 효과적으로 분해되었고, 특히 광촉매 반응시 광반응보다 더 빠른 분해 효율을 보였으나, TOC는 잘 제거되지 않았다. Diazinon의 광촉매 반응에서 발생한 이온 부산물은 질소의 경우 약 40%가 NO$_3^-$로 회수되었고, 인의 경우는 5% 정도만이 PO$_4{^{3-}}$로 회수되었다. 이에 반해, SO$_4{^{2-}}$이온은 광반응의 경우는 50%, 광촉매 반응의 경우 100%의 회수율을 보였다. 광반응이나 광촉매 반응에 의해서 diazinon의 이온성 부산물의 회수율과 TOC의 분해율이 낮은 이유는 반응에 의한 유기부산물의 생성을 의미한다. 이의 확인을 위한 GC/MS와 LC/MS의 분석 결과 diazinon의 광반응 및 광촉매 반응에 의한 부산물로 diazoxon과 2-isopropyl-4-methyl-6-hydroxy pyrimidine (IMP)이 유기 부산물로 확인되었다. 광촉매 반응에 의하여 처리된 용액의 잔류독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D. magna를 이용하여 처리수의 급성 독성을 알아본 결과, 초기 diazinon의 EC$_{50}$값은 69.6%, 광촉매 반응에 의한 180분 후의 처리수에서는 13.2%로 오히려 독성이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고, 최종 처리수인 360분 후의 처리수에서는 독성이 감지되지 않았다. 이는, 광촉매를 통한 처리시, 독성이 diazinon보다 큰 유기부산이 생성 되었다가 계속 반응이 진행되면서 이들 부산물도 분해되거나 무기화됨을 의미한다.

질소 기아현상에 관한 반론적 연구 (Influence of fresh rice straw application on growth characteristics of tobacco(Nicotiana tabacum L.))

  • 이부경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85-90
    • /
    • 1990
  • Pot experiment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 of decomposing degree of rice straw on growth characteristics of flue-cured tobacco, NC82. Tobacco growth was hindered by fresh straw of rice application. Generally, it was known that if organic matter of high Carbon/Nitrogen ratio had applied in soil, there was temporary nitrogen deficiency in plant caused by soil microorganism utilized nitrogen contained organic matter. In pot experiment, it was supposed that tobacco growth hindered by fresh straw of rice application was not nitrogen deficiency by soil microorganism, but gas toxicity by fresh straw of rice application.

  • PDF

병원에서 사용하는 수술도구 살균제, glutaraldehyde 용액의 살균 효과에 관하여 (Antimicrobial and Other Properties of a New Stabilized Alkaline Glutaraldehyde Disinfectant/Sterilizer)

  • 궁리환
    • 약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36-251
    • /
    • 1987
  • The chemistry, antimicrobial properties, organic soil resistance, toxicity, corrosivity and chemical stability of stabilized alkaline 2%, glutaraldehyde solution(SGS) are discussed. SGS retains the maximum antimicrobial activity of alkaline glutaraldehyde solutions and the chemical stability here to fore observed only with acidic glutaraldehyde solutions. These improvements, along with the inherent resistance of glutaradehyde to neutralization by organic soil, allow SGS to be continuously used for 14 days in situations of high dilution, or 28 days in situations of low dilution.

  • PDF

Evaluation of the Genetic Toxicity of Synthetic Chemical (XVII) -In vitro Mouse Lymphoma Assay and In vitro Supravital Micronucleus Assay with 1, 2-Dichlorobenzene

  • Kim, Youn-Jung;Ryu, Jae-Chun
    • Molecular & Cellular Toxicology
    • /
    • 제3권2호
    • /
    • pp.113-118
    • /
    • 2007
  • Chlorobenzenes due to their acute toxicity and the capability of bioaccumulating are of great health and environmental concern. Especially, 1, 2-dichlorobenzene (CAS No. 95-50-1) is used for organic synthesis, dye manufacture, as a solvent and for other applications in chemical industry. Adverse effects of 1, 2-dichlorobenzene includes increases in liver and kidney weights and hepatotoxicity.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genetic toxicity of 1, 2-dichlorobenzene with more advanced methods, in vitro mouse lymphoma assay $tk^{+/-}$ gene assay (MLA) and in vitro mouse supravital micronucleus (MN) assay. 1, 2-Dichlorobenzene appeared the significantly positive results and the induction of large mutant colonies only in the presence of metabolic activation system with MLA. But in vitro testing of 1, 2-dichlorobenzene yielded negative results with supravital MN assay. These results suggest that 1, 2-dichlorobenzene may play a mutagen rather than clastogen in vitro mammalian system.

석이중 오르시놀 정량 및 급성독성 (Quantitative Analysis of Orcinol and Acute Toxicity of Gyrophora esculenta)

  • 최혁재;김남재;김동현
    • 약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69-179
    • /
    • 2001
  • In previous study, Gyrophora esculenta showed significant inhibitory effect on $\alpha$-glucosidases in vitro and blood glucose elevation in vivo. In the isolating process of active substance, orcinol was separated from Gyrophora esculenta. Orcinol is known to be toxic, therefore, in this study, it was analysed by the TLC densitometry method for quantitative determination from Gyrophora esculenta. The average amount of orcinol of Gyrophora esculenta was 0.2%. For the purpose of removing orcinol, the water extract of Gyrophora esculenta was sequentially fractionated by organic solvents, and the acute toxicity of each fraction was assessed in mice. Among them, the LD50 of butanol fraction was 1.19 g/kg(p.o.) and the weight increase of mice in that group was somewhat retard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