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ganic cultivation

검색결과 930건 처리시간 0.034초

Comparison of OECD Nitrogen Balances of Korea and Japan

  • Kim, Seok-Cheol;Park, Yang-Ho;Lee, Yeon;Kim, Pil-Joo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95-302
    • /
    • 2005
  • The nitrogen (N) balance in Korea during 1985-1997 wa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surface balance method of the PARCOM guidelines and compared with Japanese N balance. The some differences were founded in the coefficients used on calculating N balance in two nations. Of the important parameters, which can make a big difference in balance, N input by organic fertilizers was not included in Korea different with Japanese, due to absence of reliable statistics and then made lower the input. Nitrogen destruction rate from livestock manure was adjusted differently with 15% in Korea but 28% in Japan. There was some difference in the conversion factors of livestock number into manure N quantity in two nations, but the gap was ignoble scale except beef cattle. Our manure N production rate of beef cattle might be evaluated to be so lower than Japanese. Biological N fixation by pulses was very higher in Korea than in Japan but scarcely affect the increase of total N input, due to small cultivation area. In contrast, N fixation rate by free-living organisms in Korean and Japanese wet paddies showed the big difference with 7.6 and $37.0kg\;ha^{-1}\;yr^{-1}$, respectively, and therefore $29.4kg\;ha^{-1}\;yr^{-1}$ of nitrogen was estimated to be more inputted in Japan. Although there are many points to be more specified and improved, still, Korean N balance was very high with $250-257kg\;ha^{-1}$ in the mid of 1990s, which was the second highest level in OECD countries and furthermore increased continuously during the investigation. In contrast in Japan, which has similar fanning system with Korea, N balance was lower with $130-158kg\;ha^{-1}$ and has decreased continuously since 1993. This high N balance was mainly due to a high usage of chemical fertilizers in our intensive fanning system and the fast increment of livestock feeding. Therefore, the more active action to decrease chemical fertilizer utilization and reduce livestock feeding density is required in the government and farmer sides.

채취시기별 엄나무, 참죽, 오가피 햇순의 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sprouts of Kalopanax pictus, Cedrela sinensis, Acanthopanax cortex at different plucking times)

  • 임희진;장혜림;정용진;윤경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56-364
    • /
    • 2013
  • 햇순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엄나무, 참죽 및 오가피 2차 순의 영양성 및 기능성 등 이화학적 특성을 1차 순과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수분과 조지방은 2차 순에 비해 1차 순의 함량이 높았으며, 조섬유와 탄수화물의 함량은 2차 순이 1차 순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유기산은 1차 순에 비해 2차 순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유리아미노산은 엄나무와 참죽에서 2차 순이 1차 순에 비해 높은 함량을 보였으나 오가피는 1차 순이 2차 순에 비해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특히, 엄나무와 참죽의 2차 순은 감칠맛에 관여하는 glutamic acid의 함량이 1차 순에 비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무기질은 모든 햇순의 2차 순이 1차 순에 비해 높은 함량을 보였다. 햇순 2차 순의 총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차 순에 비해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오가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제외한 모든 항산화 활성에서 1차 순이 2차 순에 비해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햇순은 1차 순에 비해 영양성은 잘 유지되고 있으나 기능성이 감소되어 향후 기능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재배조건에 대한 연구 및 2차 순의 식품학적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가공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향후 채취 시기별 이화학적 특성 및 기능성 변화에 대한 메커니즘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인삼 하우스 직파재배시 파종밀도, 혈당 파종립수, 솎음처리가 생육과 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ed Density, Number of Seeds Sown Per Hole and Thinning Treatment on Growth Characteristics and Disease Occurrence in Greenhouse-Cultivated Ginseng)

  • 모황성;박홍우;장인배;유진;박기춘;현동윤;김기홍;서태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98-206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wing density, number of seeds sown per hole, and thinning treatment on growth characteristics and disease occurrence in Panax ginseng under direct sowing cultivation in a blue plastic greenhouse. Seedling were grown from 2 or 3 seeds sown, and the healthiest was only retained, while the rest were thinned out at the foliation stage. $NO_3$-N, $P_2O_5$, and organic matter content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growth conditions in the plastic greenhouse and in conventional shade in the soil. Disease also tended to be higher in the conventional shade than in the plastic greenhouse. Plant height and stem length showed an increasing trend with increasing sowing density and number of seeds sown per hole. However, these measures noticeably decreased when thinning treatment was conducted. Growth of the subterranean part of ginseng was not markedly influenced by sowing density, the number of seeds sown per hole, or thinning treatment. Root weight, which is an important factor in yield,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number of seeds sown and thinning treatment. Interestingly, root weight tended to be higher in the thinning treatment plot than the untreated control plot. Damping-off and root rot increased noticeably as the number of seeds sown increased. Disease also tended to be substantially higher in the thinning treatment plot than the untreated control. However, physiological disorder of the plants did not vary with sowing density, the number of seeds sown, or thinning treatment.

차가버섯(Inonotus obliqua) 인공재배를 위한 균사 배양적 특성 (Mycelial characteristics for the artificial cultivation of Inonotus obliqua (Pers.) Pilot)

  • 장현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35-143
    • /
    • 2002
  • 차가버섯 인공재배를 위한 균사배양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차가버섯균의 적정배지는 BDA(Birch Dextrose Agar)에서 66.3mm/10일로 균사생장과 균사밀도가 가장 좋았으며, 그 다음은 GDA, PDA, CDA, PODA, ODA, YM, MCM, MEA(pH7.2), CHA, MEA(pH4.7) 순이었다. 2) 차가버섯의 균사생장과 밀도에 가장 적정한 온도는 3$0^{\circ}C$ 이었으며 4$0^{\circ}C$에서는 균사가 사멸하였다. KNAC3005 균주는 3$0^{\circ}C$에서 66.3mm/10일로 균사생장과 밀도가 가장 양호하였으며, 온도별로는 25, 20, 15, 35, 10, 5$^{\circ}C$순으로 균사생장 속도와 밀도가 좋았다. 3) 차가버섯의 균사생장과 밀도에 가장 적정한 산도(pH)는 6.0에서 88.4mm/10일이며 그보다 높거나 낮으면 균사생장과 밀도에 저해를 받는다. 4) 차가버섯의 균사생장에 적합한 탄소원은 maltose로 331mg/25$m\ell$/15일이며, 최적 질소원은 peptone으로 347mg이다. 최적 유기산은 glutamic acid로 357mg이었다 최적 비타민은 biotin으로 370mg/15days이며 C/N율은 40이 적정하였다.

묵논 습지의 토양 및 식생 특성 (Soil and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Abandoned Paddy Field)

  • 윤광성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29-142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휴경 연차에 따른 논토양의 물리 화학적 특성과 식생의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묵논의 습지 생태계로서의 가치와 다양한 생물 서식처로서의 기능에 적합한지를 평가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물리 화학적 특성과 식생 천이과정, 그리고 묵논 습지로서의 기능적 가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휴경 연수가 증가 할수록 표토가 조립화 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둘째, 휴경 연수에 따라 유기물과 유효인산, 칼슘의 함량이 차이가 나타났으며, 칼륨과 마그네슘, CEC는 크게 변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식생 천이과정의 단계별로 식물종 구성비를 보면, 출현종수는 초기에 14종에서 중기로 갈수록 증가하고 후기로 가면 다시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 조사 지소별 종구성적 조합에 의한 유사도 분석 결과를 보면 크게 천이단계별로 3그룹으로 분류되어 나타났다. 천이 초기는 댓골 상단, 하단이 중기 단계는 논방골 1단, 2단, 3단이, 천이 후기는 논방골 4단, 5단으로 그룹화 되었다. 넷째, 환경부 습지기능평가표와 RAM을 기준으로 논방골 묵논 습지에 대한 기능가치분석을 실시 한 결과 전체 가치평균이 2.13으로 "보통"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Use of Hairy Vetch Green Manure as Nitrogen Fertilizer for Corn Production

  • Seo, Jong-ho;Lee, Ho-jin;Hur, Il-bong;Kim, Si-ju;Kim, Chung-kuk;Jo, Hyeon-suk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294-299
    • /
    • 2000
  • Hairy vetch (Vicia villosa Roth) winter annual is very effective on reducing chemical nitrogen fertilizer for subsequent com by fixed organic green manure nitrogen fixed during hairy vetch growth. In this experiment, hairy vetch produced above-ground dry matter of 5 ton/ha, nitrogen yield 200 kgN/ha, at com planting on the average during 1997 and 1998. Changes in com yield and nitrogen uptake for two years were investigated after application of nitrogen fertilizer 0, 60, 120, 180, 240 kgN/ha on plot of winter fallow and hairy vetch green manure, respectively. Nitrogen status such as ear-leaf N%, SPAD value at silk and dough stage, and com yield decreased in proportion to reduction of nitrogen fertilizer at winter fallow, but nitrogen status and yield of com were not different among nitrogen fertilizer rate at hairy vetch green manure. Com yield (total dry matter) at 0 kgN/ha plot of hairy vetch was 22, 20 ton/ha in 1997, 1998, respectively and com could produce more dry matter 9, 13 ton/ha by hairy vetch green manure compared with winter fallow under the condition of no nitrogen fertilizer in 1997, 1998, respectively. Com yield (total dry matter) at 60kgN/ha of hairy vetch green manure was higher than that of high N fertilizer rate such as 180, 240 kgN/ha of winter fallow. Nitrogen uptake of com at plot of hairy vetch-no nitrogen fertilizer slightly decreased than at plot of hairy vetch - nitrogen fertilizer, but com absorbed more nitrogen of 141, 159 kgN/ha by hairy vetch green manure compared with winter fallow under no nitrogen fertilizer condition in 1997, 1998, respectively. Nitrogen fertilizer reduction for com by hairy vetch green manure was 149, 161kgN/ha in 1997, 1998, respectively. Still more, com could absorb more soil nitrogen by nitrogen fertilizer 60kgN/ha of hairy vetch green manure than by high nitrogen fertilizer such as 180, 240 kgN/ha at winter fallow. It is concluded that nitrogen fertilizer for corn could be reduced by winter cultivation and soil incorporation of hairy vetch at com planting.

  • PDF

자연적인 자운영 재입모를 위한 적정 벼 재배유형 (Rice Cropping Methods for Natural Reestablishment of Chinese Milkvetch)

  • 김영광;홍광표;정완규;최용조;송근우;강진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473-477
    • /
    • 2001
  • 벼-자운영의 연속재배체계 확립을 통해 자운영을 지속적으로 이용하고자 기계이앙 및 직파 파종시기와 재배양식을 달리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운영의 식물체 무기성분함량은 T-N이 2.92%, P$_2$ $O_{5}$가 0.74%, $K_2$O가 4.28%로 ㏊당 30 ton정도의 녹비가 생산되면 벼 재배시 인산을 제외하고는 표준시비량 이상에 해당되었다. 2. 자운영 녹비의 포장 잔존율은 초기 1주일 이내에 급격히 떨어져 토양에 환원되었고, 무기성분의 잔존율도 같은 경향이었다. 질소성분에 비해 인산과 가리성분의 환원정도가 더 빨랐고, 심토에 비해 표토에서 낮은 결과를 보였다. 3. 무경운 직파재배에서는 5월 25일 이후 파종할 경우 파종 시기에 관계없이 벼 수확후 자연적인 자운영 재입모로 다음해 피복이 가능하였다. 4. 무경운이앙은 자운영의 지상부 예취 없이는 벼 이앙이 불가능하여 농가활용이 곤란하였고, 경운이앙은 5월 25일 이앙시 벼 수확후 자운영의 자연적인 입모가 극히 불량한 반면, 6월 4일 경운후 이앙시 벼의 충분한 생육과 수량이 확보되고 운영의 자연적인 재입모로 다음해에도 자운영 조성이 가능하였다. 5. 자운영포장에 벼 이앙시 결주율은 경운에 비해 무경운에서 높았고 이앙심도도 무경운이앙시 예취된 자운성 때문에 얕아 도복이 우려되었다. 6. 자운영 후작 포장의 벼 수량은 무경운직파의 경우 입모가 불량하여 수량이 낮았으나, 경운이앙의 경우 자운생이 재배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해 4~6% 증수되었다.

  • PDF

딸기 주요 병원균에 대한 친환경제제 NaDCC의 항균활성 및 병 방제효과 평가 (Evalua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and Disease Control Efficacy of Sodium Dichloroisocyanurate (NaDCC) Against Major Strawberry Diseases)

  • 김다란;강근혜;조현지;윤혜숙;곽연식
    • 농약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7-53
    • /
    • 2015
  • 딸기에는 여러 가지 병이 발생하여 경제적으로 막대한 손실을 유발하며 많은 양의 농약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유기농산물과 식품안전성에 관한 소비자의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화학농약 대체제에 의한 병해 방제법 개발이 다각적으로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광범위 소독제로 사용하고 있는 NaDCC의 딸기 주요 병원균(딸기 시들음병, 딸기 탄저병, 딸기 역병 그리고 딸기 세균성모무늬병)에 대한 항균활성 및 방제효과를 검증하고, 친환경제제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NaDCC는 150~300 ppm 농도로 처리했을 때 병원진균의 균사생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고, 포자 발아율도 68% 이상 경감시키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NaDCC는 딸기 세균성모무늬 병원균에 대하여서도 우수한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는데, 포장조건에서 딸기 세균성 모무늬병의 발생을 50%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NADCC는 딸기 병 방제용 방제제 후보물질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토마토에 대한 NH4-Beaker Deposit 비료의 질소공급 효과 (The Effect of Nitrogen Supply on Tomato Plants by NH4-Beaker-Deposits)

  • 장경란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8-14
    • /
    • 2000
  • 암모늄태질소를 질소의 급원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요소와 유안을 질소조성물로 하여 2대1로 혼합한 후 다시 점결제 및 확산완충계와 혼합하여 비커형태의 용기안에 충진하여 제조된 시제품인 $NH_4$-Beaker Deeposit비료를 토마토유묘의 정식기에 유묘의 밑으로 1회 국지사용하여 토마토에 대한 생육 및 수량과 질소공급 효과를 일반 시비방법인 $NH_4NO_3$를 3회 전층 분배시용한 관행의 대구조와 비교하였다. 1년차 시험에서 질소의 용출을 조절하기 위하여 유안과 요소를 2:1로 혼합한 질소조성물에 7.5 g의 석고를 점결제로 사용하였을 때 토마토과실 수량은 1주당 6345 g으로 관행의 대조구의 수량인 5865 g보다 증수되었다. 토마토과실과 경엽의 총 질소흡수량 또한 7.5 g의 석고를 점결제로 사용한 $NH_4$-Beaker Deposit비료 시용구에서 8997 mg으로 관행의 7215 mg보다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다. 2년차 시험에서는 C/N율이 10인 퇴비를 확산완충제로 비커에 충진한 시험구 5를 제외한 모든 $NH_4$-Beaker Deposit비료의 시용구에서의 질소흡수량이 높았다. 질소의 용출을 조절하기 위하여 7.5 g의 석고를 비커안에 충진하고, 그 윗부분으로 질소의 확산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점질토양을 확산 완충제로 충진한 처리구에서의 토마토과실의 질소흡수량은 주당 8646 mg으로 가장 높았으며 관행의 대조구와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었다. 토마토작물의 뿌리분포를 조사한 결과 확산완충제로 점질토양, C/N율이 16인 퇴비를 사용한 처리구의 경우 뿌리가 비커로 집중분포 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굴지성에 반하여 비커안으로 자라는 현상을 나타냈다. 토마토 수량 및 질소흡수량을 고려할 때 7.5 g의 석고를 점결제로 사용하고, C/N율이 16인 부엽퇴비 및 점질토양을 확산완충제로 비커에 충진하여 제조한 시제품이 가장 좋은 처리로 판단되었다.

  • PDF

Relationship between Selected Metal Concentrations in Korean Raspberry (Rubus coreanus) Plant and Different Chemical Fractions of the Metals in Soil

  • Ahn, Byung-Koo;Lee, Jang-Choon;Han, Soo-Gon;Lee, Jin-Ho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591-596
    • /
    • 2011
  • The applications of chemical fertilizers and various types of organic materials may cause heavy metal accumulation in soil. In this study, w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fferent chemical forms of heavy metals such as Cr, Cd, Pb, Cu, Ni, and Zn retained in soil and the metal concentrations in Korean raspberry plant. Forty five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2 to 6 years old Korean raspberry cultivation fields (RCFs), Gochang, Korea, to determine total, exchangeable (1.0 M $MgCl_2$-extractable), DTPA-extractable metal contents. The leaves and fruits of raspberry plant were sampled at harvest stage. Total metal contents in soils ranged from $0.87mg\;kg^{-1}$ to $66.82mg\;kg^{-1}$. Exchangeable and DTPA-extractable metals ranged between 0.02 and $0.67mg\;kg^{-1}$ and between $0.05mg\;kg^{-1}$ and $7.07mg\;kg^{-1}$, respectively. The metal concentrations in the plant leaf and fruit determined on a dry-basis were between $1.30mg\;kg^{-1}$ and $38.82mg\;kg^{-1}$ and between $0.05mg\;kg^{-1}$ and $21.51mg\;kg^{-1}$, respectively, but Cd and Pb were not detected in the leaf. The total, exchangeable, and DTPA-extractable contents of the metal ions in soil were directly correlated one another, but the contents of different metals in the different fractions were inversely correlated in general. Most of total and DTPA-extractable metals in the soil were directly correlated with the contents of the same metals in the plant, whereas exchangeable metals in the soil were not statistically correlated with the same metals in plants. Thus, we concluded that the metal contents in the raspberry field soils were much lower thanthe levels of Soil Contamination Warning Standard (SCWS), and the plant metal concentrations were also less than the maximum permissible limits. The total and DTPA-extractable metals in the soil were closely related to the metal concentrations in the pl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