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ganic by-product fertilizer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3초

산업폐기물(産業廢棄物)의 비료화(肥料化) (Utilization of Industrial Wastes as Fertilizer)

  • 신제성;한기학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7권
    • /
    • pp.68-79
    • /
    • 1984
  • An increased population and rapidly expanding industrial development have led to enormous amounts of various domestic and industrial wastes. The proper disposal of ever-increasing wastes is a growing global problem. Land treatment is one of the rational approaches that are environmentally safe and economically practical. It has long been practised in many sites. Recycling of industrial wastes on agricultural land can provide better possible means for maintaining environmental quality and utilizing waste-resources. Even though industrial wastes are beneficial as soil amendment and fertilizer, they have some limitation on land application because of wide variability as well as physicochemical problem in their composition. A direct application of solid and liquid wastes on land is being practised in Korea and some experimental results are presented. The direct application of fermentation waste on rice resulted in a 6 percent yield increase. Another organic residue from glutamic acid fermentation is widely used not only as a direct application as a liquid fertilizer but also for a raw material of organic compound fertilizer. These wastes are much promising as sources of plant nutrients, since they have large amounts of nutrients, especially nitrogen with few toxic metals. On the other hand, fertilizers developed from inorganic industrial wastes include calcium silicate, calcium sulfate and ammonium sulfate. The calcium silicate fertilizer simply produced from slag, by-product of iron and steel manufacturing plant is one of the most successful example of the conversion of wastes to fertilizer and slag production capacity totals to over three million MT/year. About 200,000 MT of calcium silicate fertilizer is currently applied in the paddy rice every year. Calcium sulfate, a waste from the wet phosphoric acid process is to some extent used as a filler of compound fertilizers but quite large quantites are directly applied for the reclamation of tidal flat.

  • PDF

구르타민 산발효잔사가공물(酸醱酵殘渣加工物)의 성질(性質)과 비효 -II. 토양(土壤)의 이화학적성질(理化學的性質) 개량효과 (The Chemical Properties and Fertilizer Effect of a Residual By-product of Glutamic Acid Fermentation)

  • 홍종운;정이근;박천서;김영섭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27-230
    • /
    • 1973
  • C/N비(比)가 11정도(程度)로 낮은 유기물(有機物)을 다량(多量)(약(約)60%) 함유하는 한 구르타민산발효(酸醱酵) 잔사(殘渣) 가공물(加工物)과 C/N비(比)가 약(約) 22인 완숙퇴비(完熟堆肥)를 토양(土壤)에 시용(施用)하고 토양유기물(土壤有機物), C.E.C 삼상비(三相比), 입단발달등(粒團發達等)을 조사(調査)했든바 1. 토양중(土壤中) 유기물(有機物), Humic acid, Fulvic acid의 함량(含量)과 C.E.C를 증대(增大)시킴에 있어서 구르타민산발효잔사가공물(酸醱酵殘渣加工物)이 퇴비(堆肥)보다 더효과적이었다. 2. 퇴비(堆肥)와 구르타민산발효(酸醱酵) 잔사가공물(殘渣加工物)의 시용(施用)은 토양(土壤)공극율을 높였으며 전자(前者)는 기상분포비(氣相分布比)를 후자(後者)는 액상분포비(液相分布比)를 높였다. 3. 유기물(有機物)의 시용(施用)은 유효토양입단(有效土壤粒團)을 발달(發達)시켰으며 특(特)히 구르타민산발효잔사구(酸醱酵殘渣區)에서는 대입단(大粒團)(2mm 이상(以上))의 발달(發達)이 많았다.

  • PDF

한국 유기농업 100년($1907{\sim}2007$)의 변화에 관한 연구 (Studies on Change of Organic Farming in Korea from ($1907{\sim}2007$))

  • 이효원;윤진현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99-411
    • /
    • 2007
  • Korean organic farming has been well developed over the last two decades. It demonstrates that the number of certificated farm for organic agriculture and products have been drastically increased in recent year. However, the organic farmers have thought that organic farming rely only on organic fertilizer and they don't keep organic farming principle in which organic farmer should enhance biological activity and crop rotation. This study was to compare nutrient input, recommendation, cropping system and organic product circulation between the early $20^{th}$ century and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The population of Korea has increased 7.3 times more than that of a century ago but cultivated land has been decreased during 100 years. The rice production in 2002 was 4.2 times higher than that of production in 1912. The input of N, P and K in 1907 on the basis of King's suggestion was 95.6kg/ha, 15.9kg/ha and 3.0kg/ha, respectively. Nitrogen came from excreta (40%), green manure (55%) and compost (5%) in the early 20th century. On the other hand, organic farmer input organic resources such as wood chip (30.1%), compost (27.8%), rice straw (14%) and others (25%) these days. In terms of nutrient balance calculated nutrient and absorption by plants, organic rice farmer apply excessive nitrogen and phosphorus to the soil. They was used to put $7{\sim}10$ times more nitrogen than that of a century ago. Nutrient recommendation was similar in N and P between early 20th century and early $21^{st}$ century. Farmers in both century did not rotate crops in the field. Today, organic farmers engaged in more continuous cultivation than in early 20th century. Farmers in the early $20^{th}$ century produced locally, consumed locally the agricultural products, but organic farmers in the $21^{st}$ century produce the organic product in the local farmland and consumed in the large city and also a lot of foreign organic products have been imported in recent year.

  • PDF

국내생산퇴비의 부숙토 기준에 대한 적합성 검토 (Comparison of compost product quality with nature soil standard)

  • 최훈근;이재안;김규연;이길철;이중기;박귀환;박정수;배재근
    • 유기물자원화
    • /
    • 제9권2호
    • /
    • pp.77-86
    • /
    • 2001
  • As construction and expansion of wastewater treatment works is continuing, generation of sludge is increasing. Bur most sludge is not used appropriately but disposed by landfill dumping to sea. Furthermore direct landfilling of sludge cake containing moisture content over 75% has been legally prohibited since 2001 that's enforcement will be more strict in 2003. Such a situation means nowadays recycling of organic waste such as sludge and food waste is necessary. Composting is one of recycling methods commonly and used as an effective means of stabilizing organic waste and then compost can be used as fertilizer. However fertilizer law management which include standard of compost products and other fertilizers applied all sludge products indiscriminiately and was not flexible. So MOE has graded organic composts according to land applications to improve recycle of organic wastes. The classified organic compost which contains low contaminants has been possible to use as various purpose. This study enalyzed 30 samples which were raw materials for compost and compost products management well and to estimate the quality of compost products. Heavy metals were measured in Raw materials and OM/N, NaCl and VS were tested in compost products as well as heavy metals. As a result, approximate 10% of raw materials was not suitable to the grade A and 6.7% over the grade B of the regulation on raw materials for compost. In the case of 30 produced compost propducts approximate, 57% of composts was not compatible with the grade A and B of the regulation on composting product. The qualities of compost products were worse than raw materials, because the compost products have more regulation item raw materials have.

  • PDF

유기질 부산물 비료에서 추출한 부식산 중 아미노산 특성 (Amino Acids in Humic Acids Extracted from Organic By-product Fertilizers)

  • 양재의;김정제;신명교;박용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28-136
    • /
    • 1998
  • 토양의 질소 중 대부분은 유기태 질소이며, 아미노산은 유기태 질소의 주된 분획물이다. 부산물 비료는 토양에 유기물을 공급해 주며 부식산은 유기물의 주된 구성성분이다. 아미노산은 분해되어 유효태 질소로 전환되기 때문에 토양비옥도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연구에서는 제조원료가 상이한 11종류의 시관 부산물 비료로부터 부식산을 추출하고, 부식산에 함유되어 있는 아미노산의 함량 및 분포를 조사했다. 공시재료로 사용한 부산물비료의 대부분은 비료공정규격을 충족시켰으나, 일부 비료는 유기물함량이 낮고, C/N비가 너무 높아 부숙되지 않은 채 판매되고 있었다. 수피비료의 경우 부숙이 진행될수록 부식산, 훌부산 함량, ${\Delta}KogK$값이 감소되었고, 부식산/훌부산 비, RF값은 증가되어 이론과 일치했다. 부식산의 형태는 Rp형태에서 B형태로 전환되었다. 부산물비료 부식산 중 총 아미노산 함량은 1.2~5.6%였고, 이중 중성 아미노산이 0.8~4.5%로 가장 높았다. 부엽토, 톱밥, 수피등 식물성원료로 제조한 부산물비료의 경우 중성>산성>염기성 아미노산의 순서였고, 계분, 돈분등 동물성원료로 제조한 부산물비료의 경우 중성>염기성>산성 아미노산의 순서였다. 부산물비료를 비교할 때, 총 아미노산 분포는 부엽토>톱밥>돈분>계분>니토 순(順), 산성아미노산은 수피>톱밥>부엽토>니토 순(順)이었다. 염기성 아미노산 분포는 산성 아미노산과 역순이었다. 중성아미노산은 부엽토>톱밥>수피>니토의 순이었다. 수피비료의 경우, 부숙이 진행될수록 산성 아미노산함량은 증가했으나. 염기성 및 중성아미노산 분포는 감소했다. 부산물비료의 원료 및 부숙정도에 따라 아미노산의 함량 및 분포는 다름을 알 수 있었다.

  • PDF

시판 부산물비료의 화학성 분포 (Chemical Properties Distributions of Commercial Organic By-product Fertilizers)

  • 이창호;윤영만;옥용식;임수길;김정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6
    • /
    • 2004
  • 각종 농업생산 활동을 통해 배출되는 유기성 부산물을 자원으로 재활용하기 위하여 퇴비화시켜 사용하고 있다. 퇴비화에 의한 재활용은 식물양분의 공급뿐 아니라 토양의 물리, 화학, 생물학적 특성의 개량을 가져올 수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 시판되는 퇴비의 경우 부재료 관리 등에 한계성이 있어, 중금속 등의 유해물질을 함유하거나 미부숙된 비료가 유통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판되고 있는 부산물비료의 화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전국 각지에서 생산되는 약 600여종의 시판품 중에서 100 여종을 입수하여 화학성 및 유해물질 함량을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부산물 비료의 중금속 (Cd. Pb, Cu, Cr) 함량과 OM/N의 경우 좌측으로 극편향된 분포를 보여서 집단의 대표 값으로는 평균 보다는 중위값이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한편 현재의 품질기준을 넘어서는 부산물비료의 출현빈도는 낮았지만, 그 비료들 중의 유해물질 함량은 전체 분석시료의 중위값보다 훨씬 큰 값을 보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부터 부산물비료 각각의 품질 평가에는 중위값,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부산물비료 전체가 미치는 영향의 파악에는 가중평균값을 이용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판단할 수 있었다.

무 생육(生育)에 대(對)한 도시하수오니(都市下水汚泥)의 시용효과(施用效果) (Effect of Municipal Sewage Sludge Application on the Growth of Radish(Raphanus sativus L.))

  • 김복진;홍승범;김태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19-423
    • /
    • 1996
  • 대구 달서천 하수종말처리장에서 부생되어 나오는 도시하수오니의 유기질 비료자원으로서의 활용 가치를 보기 위하여 알타리무를 공시작물로 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오니중 유기물, 질소, 인산 등의 함량이 각자 53.59, 2.87. 3.50%로 유기질 비료자원으로서 활용가치가 있는 것으로 기대되나, 카드뮴 및 납 함량이 각각 1.10, 28mg/kg이었다. 2. 오니의 시용으로 토양의 pH, 유기물 함량, 전질소 함량, 유효 인산 함량, 치환성 석회 및 고토 함량, 양이온치환용량 등이 증가되었으며, 중금속(Cd, Pb등) 함량도 다소 증가되는 경향이었다. 3. 오니의 시용으로 수확기 식물체중 질소 및 인산 함량이 증가되었으며, 중금속 원소인 카드뮴 및 납 함량도 증가되었으나, 그 정도는 카드뮴에서 현저하였다. 4. 오니의 시용은 알타리무의 수량을 증가시켰으나 표준시비량에 오니 2.000kg/10a 및 3.000kg/10a구와 오니 6.000kg/10a 단용구에서는 수량이 감소되어, 오니의 과다 시용은 작물 생육에 피해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유기농 조제분유 제품의 제조기술 현황과 소비 전망 (Current State of Organic Infant Formula in Korea)

  • 김재훈;장치훈;진현석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24권2호
    • /
    • pp.55-60
    • /
    • 2006
  • 유기농 제풍이 아기에게 더 안전하다는 인식은 유기농 제품에 특별히 영양소가 더 많이 들어 있다는 의미는 아니다. 일부 미네랄 함량은 토양 질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화학 비료를 많이 사용해서 토양이 오염된 경우, 미네랄 함량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비타민, 당질, 단백질, 지질 등 기본적인 영양소는 크게 달라지지 않는다. 그보다 아기의 건강을 위협하는 화학 농약의 피해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는 것이 유기농 제품의 가장 큰 장점일 것이다. 이와 같이 소비자들이 바라는 유기농 식품은 안전하고, 믿을 수 있고, 품질이 좋고 건강에 도움이 되며 나아가 환경과 생태계에 도움이 되는 식품일 것이다.

  • PDF

친환경 유기농자재 처리에 따른 정화토양의 개선 효과 (Impact of Environmentally-friendly Organic Agro-Materials on Chemical Properties of Remediated Soils)

  • 김동진;안병구;이진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753-767
    • /
    • 2013
  • 정화토양 RSA(remediated soil A)와 RSB(remediated soil B)의 토양 특성을 조사한 결과, 사질양토로서 작물 별 토양 특성 권장 기준에 적정 토성이지만, 높은 토양 pH와 치환성 칼슘, 다소 낮은 양이온치환용량(cation exchange capacity, CEC)과 치환성 칼륨, 매우 낮은 토양유기물 함량과 유효인산 함량을 보여 작물 생육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친환경농자재인 부산물비료, charcoal, biochar를 토양개량제로 처리 후 토양 특성이 수준 이상의 개선을 보여준 것으로 보인다. 토양 pH 경감 효과는 볼 수 없었으나, 토양유기물 함량 증가, 유효인산 함량 증가 등의 효과가 있었으며, 총질소(total nitrogen, T-N)와 치환성 칼륨의 함량이 다소 증가하였다. 그리고, 치환성 칼슘의 함량이 작물 별 권장 기준 이상으로 높은 것을 감안하였을 때 biochar 처리구에서 치환성 칼슘 함량을 감소시킨바, 지속적인 연구 또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토양경작법에 의하여 정화된 토양에 대하여 부산물비료, charcoal, biochar 등의 친환경농자재를 토양개량제로 사용할 경우 토양 개선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생각되며, 특히 biochar의 경우 토양 특성 변화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정화토양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관리 할 경우 토양의 질을 꾸준히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구르타민 산발효잔사가공물(酸醱酵殘渣加工物)의 성질(性質)과 비효 -I. 그 성질(性質)과 옥수수에 대(對)한 비효 (The Chemical Properties and Fertilizer Effect of a Residual By-product of Glutamic Acid Fermentation -I. Chemical properties and effect on the growth of corn)

  • 홍종운;정이근;박천서;김영섭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59-163
    • /
    • 1973
  • 당밀(糖密)을 원료(原料)로 하여 발효법(醱酵法)으로 구르타민산(酸)소다를 제조(製造)할 때 부생(副生)하는 잔사(殘渣)를 가공(加工)하여 만든 구르타민산잔사가공비료(酸殘渣加工肥料) 시제품(試製品)에 대(對)하여 그 성질(性質)을 조사(調査)하고 그 비효를 요소(尿素), 퇴비(堆肥) 및 미강(米糠)과 대비(對比)해 옥수수 재배시험(栽培試驗)을 통(通)하여 검토(檢討)했든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아래와 같다. 1) 공시(供試) 구르타민산잔사가공물(酸殘渣加工物)은 유안(硫安), 염안(鹽安) 및 종류미상(種類未詳)의 복염등(複鹽等)의 무기물(無機物)과 수용성(水溶性) 아미노산류(酸類) 및 불용성(不溶性) 탄소화합물(炭素化合物)의 혼합물(混合物)임이 밝혀졌다. 2) 이 물질(物質)에 함유(含有)된 속효성N비료부분(肥料部分)의 효과는 요소(尿素)와 대등(對等)하다. 3) 이 물질(物質)에 함유(含有)된 유기물(有機物)은 옥수수의 수량(收量)에 미친 효과면에서 퇴비(堆肥)나 미강(米糠)과 대등(對等)한것 같다. 4) 이 물질(物質)의 시용(施用)은 옥수수의 양분흡수(養分吸收)나 기타(基他) 생리작용(生理作用)에 특이성(特異性)있는 해(害)를 미치지 않았다. 5) 이 물질(物質)에 함유(含有)된 유기물(有機物)이 토양중(土壤中) 철(鐵)의 유효화에 미치는 영향(影響)이 타유기물(他有機物)과 상이(相異)할 가능성(可能性)이 있음을 논(論)했다. 6) 이 물질(物質)의 시용(施用)은 토양(土壤)을 산성화(酸性化) 시키는 경향(傾向)이 뚜렷하며 토양중(土壤中) 가급태유황(可給態硫黃)과 토양유기물함량(土壤有機物含量)을 높이는 경향(傾向)이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