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organic acid

검색결과 4,372건 처리시간 0.035초

양파 추출물의 화학성분과 아질산염 소거능 효과 (Chemical Components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of Various Solvent Extracts from Onions)

  • 손미예;박석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762-768
    • /
    • 2006
  • 양파 추출물의 식품첨가소재로써 그 활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양파의 종류(붉은색, 흰색, 황색)와 추출용매(에틸아세테이트, 에탄올, 열수)에 따른 주요 화학성분과 아질산염 소거능을 분석하였다. 총 유기산과 총 유리당은 각각 건물당 $135.4{\sim}1,255.7mg%$$51.7{\sim}62.9%$ 범위였으며, 각 양파의 에틸아세테이트 및 열수 추출물이 에탄을 추출물보다 높았다. 총 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9.3{\sim}$13.3%$159.8{\sim}584.1mg%$ 범위였으며, 각 용매별 붉은색 양파의 추출물이 다른 추출물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낮은 pH 범위와 추출물 농도의 증가에 따라 높게 나타났는데, pH 1.2에서 붉은색 양파의 에탄을 및 열수 추출물 10 mg/mL 첨가는 약 55% 정도의 아질산염 소거작용을 나타내었으며, 다른 양파의 추출물에 비하여 2배 이상 높은 수치였다. 따라서 붉은 양파 추출물은 낮은 pH조건에서 아질산염을 소거하여 니트로사민 생성을 억제할 수 있는 천연식품소재로서 이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첨가당의 종류에 따른 감귤 가수분해물의 알코올발효 특성 (Characteristics of Alcohol Fermentation in Citrus Hydrolysate by Different Kinds of Sugar)

  • 박찬우;우승미;장세영;최인욱;이상일;정용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773-77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감귤 가수분해물에 각각의 당(설탕, 꿀, 과당, 플락토올리고당)으로 보당하여 알코올발효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알코올 함량은 모든 보당구에서 큰 차이가 없었다. 주요 유리당으로는 fructose, glucose, sucrose 및 maltose가 검출되었다. 특히 설탕 보당구에서 fructose 및 glucose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감귤와인의 주요 유기산은 lactic, citric 및 malic acid로 총 3종이 검출되었다. 관능적 기호특성을 비교한 결과, 향은 설탕 보당구에서 5.1로 가장 높은 기호특성을 보였으나 시료들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색, 맛 및 전반적 기호도는 설탕 보당구에서 가장 높은 기호특성을 보였고 꿀, 과당, 플락토올리고당 순이었다. 따라서 향후 숙성과정 및 복합당을 활용한 품질 및 관능적 기호도 향상에 관한 연구가 요구되었다.

법랑질 표면의 탈회 및 재광화 후 EPMA (electron probe micro-analysis)를 이용한 칼슘, 인, 불소 변화의 정량적 분석 (A QUANTITATIVE STUDY OF THE CHANCE OF CALCIUM, PHOSPHATE, FLUORIDE USING EPMA AFTER IN VITRO DEMINERALIZATION AND REMINERALIZATION OF HUMAN TOOTH ENAMEL)

  • 홍경식;허복;이찬영;금기연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6권5호
    • /
    • pp.372-378
    • /
    • 2001
  • The aim of this in vitro study was to analyze the composition of human tooth enamel in terms of three components, Ca, P, and F after demineralization and remineralization in acid buffer solution. A total of 8 human premolars without any defects and cracks were selected and buccal and lingual sides of the teeth were cleaned with an ultrasonic device and pumice without fluoride 5$\times$5mm windows were opened, and other areas were completely covered with 3-coats of nail varnish to prevent from being in contact with demineralized and remineralized solutions. After demineralization process, each tooth was sectioned into two slices, highly polished one of them with$\gamma$-alumina, and then analyzed the composition of the demineralized tooth with EPMA(electron probe micro-analyzer). The other slices were put into the remineralized solution for 10 days, polished, and analyzed in the same manner. Thes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with one sample t-test(p<0.05).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Normal tooth enamel consists of 49.76% Ca, 39.80% P, and 0.28% F. 2. After demineralization, percentage of Ca and P ratio were decreased by about 5.57 and 5.07% respectively. Percentage of F ratio was also decreased by about 0.01%, which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3. After remineralization, percentage of Ca, P increased about by 4.47 and 4.35% respectively Percentage of F decreased by about 0.01%, which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onclusion, remineralized solution used in our study has the potential to induce the uptake the Ca and P into the pore sites of the demineralized enamel. But, in the oral cavity. there were rapid temperature change, organic matrix that inhibits the movement of the ions, and limitation of continuous contact with this remineralized solution. Therefore, further in vivo study is necessary.

  • PDF

포도종자의 처리별 추출조건 및 저장에 따른 항산화활성 및 총페놀함량의 변화 (Changes in Antioxidative Activity and Total Polyphenols of Crude and Defatted Grape Seed Extract by Extraction Condition and Storage)

  • 김영국;이현용;오덕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455-460
    • /
    • 2004
  • 본 연구는 추출용매 및 주정에 의한 탈지 및 비탈지 포도종자 추출물의 수율, 항산화활성 및 총페놀함량을 분석하였으며, 각종 pH에서 처리된 추출물의 저장시 항산화력 변화를 살펴보았다. 추출수율은 탈지 및 비탈지 처리한 포도종자 분말 모두 $70\%$ 에탄올로 $70^{\circ}C$에서 6시간 추출하였을 때 각각 $8.9\%,\;9.16\%$로 다른 유기용매에 비하여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methanol, acetone-acetic acid 및 acetone 순으로 나타났으며 $70\%$ ethanol 탈지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이 $41.52\;{\mu}g$으로 나타나 다른 용매의 추출물보다 훨씬 높았다. 포도종자 추출물은 탈지 및 비탈지추출물 모두 주정농도는 $90\%$, 추출온도는 $70^{\circ}C$, 추출시간은 6시간에서 가장 항산화활성이 좋았으며 $70^{\circ}C$에서 추출시간이 길어질수록 열에 의한 변성으로 인하여 항산화활성이 오히려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같은 조건하에서 각 추출물의 total phenol 함량을 측정한 결과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탈지 및 비탈지 추출물의 경우, ethylacetate 분획층이 $RC_{50}$값이 14.78, $12.35{\mu}g/mL$로 항산화활성이 가장 컸으며, buthanol, water, chloroform, hexane 분획층로 나타났다. 한편, 탈지 및 비탈지 포도종자 추출물을 pH 2, 7, 10의 표준 buffer 용액에 녹인 후 $50^{\circ}C$에서 1달간 저장하여 항산화력을 측정한 결과, 산성 조건보다는 알칼리성조건에서 더욱 항산화활성이 감소하였으며 건조상태로 저장시 고온에 매우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키토산을 첨가한 복숭아 리큐르의 침출조건 최적화 (Optimum Extraction Condition of Peach Liqueur Containing Chitosan)

  • 우승미;백창호;장세영;서지형;정용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93-597
    • /
    • 2008
  • 키토산을 첨가한 복숭아 리큐르 제조를 위한 최적 침출조건을 설정하였다. 알코올함량은 완과를 8주간 침출시킨 구간에서 30%로 가장 높았고 절편과 구간은 6 및8주간 침출시킨 구간에서 약 28%로 높게 나타났다. 당도는 약 $11{\sim}13^{\circ}brix$, 총산도는 약 0.2%, pH는 약 4.8이었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완과 구간에서는 2.8% 전후로 함량변화가 크지 않았고, 절편과 구간에서는 $2.8{\sim}3.1%$로 나타나 침출기간이 길어질수록 고형분 함량이 증가하였다. 갈색도는 완과 구간에서는 $0.33{\sim}0.54$로 나타났고 절편과 구간에서는 $0.56{\sim}0.73$으로 나타나 절편과 구간이 완과 구간에 비해 흡광도 0.2정도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침출기간이 길어질수록 조금씩 증가하였다. 총 페놀함량은 갈색도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고, 절편과 구간이 완과 구간에 비해 약 0.2 mg% 높게 나타나 수치적으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상기에서 설정된 완과 구간을 대량 침출시킨 복숭아 리큐르의 메탄올 함량은 침출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고 약 50 ppb로 극미량 검출되었다. 유기산은 oxalic, malic 및 citric acid가 검출되었고,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sucrose 및 maltose가 검출되었다. 따라서 키토산을 첨가한 복숭아 리큐르는 완과 8주간 침출조건이 전반적으로 품질이 우수하였다.

N-Benzoylaspartame의 효소적 합성을 위한 용매계의 선정 (Development of Solvent System for Enzymatic Synthesis of N-Benzoylaspartame)

  • 한민수;김우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504-510
    • /
    • 1992
  • 고정화 thermolysin에 의한 아스파탐 전구체의 하나인 N-Benzoylaspertame(BzAPM)의 합성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수용성 유기용매가 함유된 용매계를 산정하고자 하였다. BzAPM 및 L-phenylalanine(Phe)의 용해도는 methanol 45%가 함유된 용매계에서 각각 1.84 및 1.79%로 가장 높았으며, dimethyl sulfoxlilde(DMSO) 25%와 polyethylene glycol(PEG) 200 20%가 함유된 혼합 용매계도 비교적 높은 용해도를 보였다. BzAPM의 용해도는 ethylene glycol류의 분자량이 커질수록 용해도가 증가하였으나, Phe의 경우에는 이러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고정화 thermolysin에 의한 BzAPM의 합성역가는 methanol 45% 및 DMSO 45%의 난일 유기용매계와 DMSO 25% 및 PEG 200 20%가 함유된 혼합 용매계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초기 합성속도도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40^{\circ}C$에서 42일간 고정화 효소를 보관하였을 때, thermolysin은 DMSO 25%와 PEG 200 20%가 함유된 용매계에서 가장 안정하였다. L-phenyalanine methyl ester의 비효소적 가수분해 속도는 methanol함유 용매계에서 가장 낮았고, DMSO 25%와 PEG 200이 함유된 용매계에서는 이들의 중간 정도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하여 고정화 thermolysin에 의한 BzAPM의 합성에 적합한 용매계로서 DMSO 25% 및 PEG 200 20%가 함유된 용매계를 선정하였다.

  • PDF

세라믹 한외여과 및 광촉매 혼성공정에 의한 고탁도 원수의 고도정수처리: 3. 질소 역세척 시 유기물의 영향 (Advanced Water Treatment of High Turbidity Source by Hybrid Process of Ceramic Ultrafiltration and Photocatalyst: 3. Effect of Organic Matters at $N_2$ Back-flushing)

  • 박진용;한지수
    • 멤브레인
    • /
    • 제22권3호
    • /
    • pp.171-177
    • /
    • 2012
  • 정수처리용 세라믹 한외여과 및 광촉매의 혼성공정에서 주기적 질소 역세척 시 휴믹산 농도의 영향을 알아보고, 막오염에 의한 저항($R_f$) 및 투과선속(J), 총여과부피($V_T$) 측면에서 물 역세척의 기존 결과와 비교 고찰하였다. 휴믹산 농도가 낮아질수록 $R_f$는 급격히 감소하고 J는 증가하여, 휴믹산 농도 2 mg/L에서 $V_T$는 가장 높았다. 휴믹산 농도가 2에서 10 mg/L로 높아졌을 때, 180분 운전 후 막오염 저항($R_{f,180}$)은 물 역세척 시 $R_{f,180}$값보다 0.8배 더 증가하였다. 따라서 물 역세척보다 질소 역세척 시 막오염이 휴믹산 농도의 영향을 더 크게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탁도 처리효율은 휴믹산 농도와 무관하게 거의 일정하였으나, 휴믹산 처리효율은 휴믹산 2 mg/L에서 최대였다. 이것은 질소 역세척 시 휴믹산 2 mg/L에서 광촉매 구의 흡착과 광산화로 휴믹산이 가장 효과적으로 제거되지만, 4 mg/L에서는 광촉매 구만으로 역부족인 것으로 판단된다. 휴믹산 6 mg/L 이상에서는 막표면의 두꺼운 케이크 층과 심화된 내부 막오염으로, 휴믹산이 한외여과막에 의해 효과적으로 제거된 것이다.

Streptomyces속 균주가 생성한 물질의 생물활성에 관한 연구 제 I보 생성물질의 분이및 그 생화학적성질 (Studies on the Biological Active Substance produced by a Strain of Streptomyces sp. Part I. Isolation and Biological Characterization of the Substance)

  • 송방호;서정훈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63-68
    • /
    • 1975
  • Streptomyces속에서 분이한 물질의 생물학적 활성을 검색하던 중 어유에 대한 독성물질을 강하게 생성하는 균 1수를 선별하여 그 생화학적 성질을 검토하였다. 1. 분이된 물질의 독성은, 예로서 Pseudorasbora parva T. et. S. (체중 0.~0.5g, 신장 3.0~4.0cm)에 대한 살어역은 5ug/ml에서 30분, 25ug/ml에서 50분이었으며 Carassius carassius L. (체중 2.0g, 유장 5.0cm)온 50ug/m1용액에서 70분간 생존할 수 있었다. 2. 본 물질은 산성 및 유기용매에서는 비교적 안정하여 pH 4.0에서 15시간까지 처이하였을 경우, 또 CHCI$_3$, acetone 용액에서 약 5일간까지 처이하였을 때에도 거의 독성이 감소되지 않았다. alkali성 및 열에 대하여서는 불안정한 물질로써 pH 8.0에서 5분간 처이하였을 때 물질이 상당히 실활되었으며 6$0^{\circ}C$以上의 온도에서는 비교적 격히 실활되었다. 3. 25ug/m1 수용액에서 Pseudorabora parva에 대하여 약 20분간 이상 처이로서는 회생이 불가능함을 알았다. 이상과 같은 성질을 가진 본 독성물질은 선별된 균주의 배양여액을 pH 3.0으로 하강하여 NaCl로서 포화시킨 후 CHCl$_3$에 전용하여 농축하르로써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분리할 수 있었다.

  • PDF

천연첨가물을 이용한 전통고추장의 유통중 팽창억제 및 품질개선 (Prevention of Swelling and Quality Improvement of Sunchang Traditional Kochujang by Natural Additives)

  • 정도연;송미란;신동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05-610
    • /
    • 2001
  • 순창전통고추장 저장 및 유통 중 품질저하 요인이 되는 가스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겨자와 고추냉이 분말을 고추장 제조시 첨가하여, 전통옹기에서 180일 동안 숙성하면서 성분 변화와 가스발생 유무를 확인한 후, 최종적으로 겨자 및 양고추냉이 첨가 고추장 품질에 대한 관능검사를 통하여 현장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양고추냉이를 0.6% 정도 첨가한 고추장은 대조구에 비하여 발효 중 산생성이 억제되었고, 겨자와 양고추냉이 첨가시 아미노산성질소함량은 오히려 높았다. 색택은 겨자 첨가시에는 변화가 없으나 양고추냉이를 첨가하는 경우 L값과 a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유리당은 겨자와 양고추냉이 첨가시에 비첨가구와 비교하여 차이가 없었고, 양고추냉이를 0.6% 첨가하면 유통 중 문제되는 가스발생을 완전히 억제할 수 있었다. 발효가 종료된 제품의 관능검사결과 양고추냉이 첨가 고추장이 종합적인 기호도에서 다른 고추장에 비해 오히려 우수하였다. 결과적으로 순창전통고추장에 0.6% 수준의 양고추냉이 분말을 첨가하면 완제품의 유통 중 가스발생 억제는 물론 품질개선 효과도 기대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Muscat Bailey A 품종 포도주의 청징과 여과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Based on Fining and Filtering of Muscat Bailey A Grape Wine)

  • 방병호;백진경;이승옥;정은자;이문수;이동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1호
    • /
    • pp.1687-169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포도 품종을 이용한 'unfined' 혹은 'unfiltered' 포도주의 제조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경북 영천에서 재배된 Muscat Bailey A 품종을 이용하여 제조하였으며 가당을 하여 $28^{\circ}Brix$로 조절하였다. 알코올 발효 후 정제 과정에 들어가기에 앞서 청징제 첨가와 여과기 사용 여부에 따라 시료 A, B, C로 나누어 청징, 여과, 병 숙성 후의 각 시료별 이화학적 성분을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시료 A는 청징제를 첨가하고 여과기도 사용하였고 시료 B는 청징제만 첨가하고 여과기는 사용하지 않았으며, 시료 C는 청징제도 여과기도 사용하지 않았다. 병 숙성을 마친 후의 각 시료별 총 페놀 함량, intensity, hue, color, 유기산 함량, 휘발성 향기 성분을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총 페놀 함량은 시료 C가 다른 시료들에 비교해 최대 19% 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고, intensity와 hue, color의 측정 결과는 예상대로 여과 과정을 거친 시료 A가 다른 시료들과 비교하여 가장 선명하고 투명한 색상을 나타냈으나 색의 안정성 면에서는 떨어졌다. 유기산 함량과 휘발성 향기 성분의 측정은 전체적인 결과에서 각 시료별로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청징 과정과 여과 과정의 유무에 따른 차이라고 하기보다 다른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고 사료된다. 실험 결과 중에서 시료별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던 유기산 함량은 발효 중 malo-lactic fermentation 과정이 이루어졌더라면 더욱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을 것이라 생각되며, 휘발성 향기 성분은 청징 과정이나 여과 과정이 아닌 다른 양조 과정에서의 조건의 변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