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al record

검색결과 180건 처리시간 0.027초

한국 속리산 국립공원 지역집단에서 이용되는 약용동물의 구전 전통지식에 대한 민족동물학적 연구 (Ethnozoological Study of Medicinal Animals for Orally Transmitted Knowledge Utilized in the Local Communities of Songnisan National Park, Korea)

  • 송미장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33-44
    • /
    • 2019
  • Objectives : This study aims to record and conserve oral traditional knowledge of medicinal animals from the indigenous people living in the local communities of Songnisan National Park, Korea. Methods : Data was collected by participatory observation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Quantitative comparative analyses were accomplished through data received from the following three methods: informant consensus factor (ICF), fidelity level (FL), and network analysis. Results : The investigation reveals that the indigenous people have used 49 species of medicinal animals distributed within 45 genera, belonging to 39 families with 336 different usages.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recorded families, the most representative families were Scolpendridae and Phasianidae, which were utilized 36 times each (10.71 % each). The category with the highest degree of consensus from informants was disorders related to the nervous system (0.97). 16 species were classified with a fidelity level of 100 %. The network analysis revealed that a lack of vigor was related to 23 species, including Agkistrodon blomhoffii, Gallus domesticus, and Canis familiaris, among the total 49 species investigated. Conclusions : This documentation can help preserve the traditional knowledge and local health traditions of Korea that are disappearing due to rapid industrialization, urbanization, and death of the elderly with traditional knowledge. Additionally, the animals investigated in this study can be developed into medicinal food and drug for treating specific health conditions through further research.

악관절 강직증에 관한 임상적 연구 (CLINICAL STUDY OF TEMPOROMANDIBULAR JOINT ANKYLOSIS)

  • 송민석;민병일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7권1호
    • /
    • pp.60-72
    • /
    • 1995
  • Temporomandibular joint ankylosis is the movemental obstacle of mandible which depend on proliferation of bony or fibrous tissue in temporomandibular joint structure by various causes. In order to treat this, various surgical methods have been performed, but no operative methods have been produced consistently successful results. This research has been performed to the patients who had been operated due to temporomandibular joint ankylosis by studying classification, cause, onset, duration, anesthesia and treatment method, symptom, change of mouth opening, complication through medical record, X-ray, follow-up for being a help to proper selection of treatment method and evaluation of prognosis. The author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by analyzing 44 cases among patients who had been operated due to temporomandibular joint ankylosis during 8 year hospitalization from 1986 to 1993 in Dept. of Oral & Maxillofacial Surgery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1. The occurrence was in the order of below 10, 20's, 10's, 30's. The average of occurrence was 12.95. Illness period was 50.0% within 10 years and 50% beyond 10 years. The average period of illness was 13.33 years. 2. Trauma occupied 54.5% of causes and inflammation occupied 45.5%. Men had more occurrences due to trauma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case of inflammation. 3. In nasotracheal intubations for general anesthesia, the cases of using fiberoptic laryngoscope occupied 40.9%, direct or blind nasotracheal intubation occupied 40.9% and the cases of using tracheostomy occupied 18.2%. 4. In operative approaching methods, submandibular & preauricular approach were mainly applied, and in operative methods, high condylectomy(Group I) occupied 11.4%, arthroplasty without interpositional material following condylectomy or gap ostectomy(Group II) occupied 11.4%, with interpositional material following high condylectomy (Group III) occupied 40.9%, and using condylar reconstruction following condylectomy or gap ostectomy(Group IV) occupied 36.6%. 5. In change of mouth opening reformed after surgery, Group III showed the best result of average 23.5mm, Group IV showed 16.3mm, Group I showed 14.9mm and Group II showed 10.2mm of reformation. Summarizing the results as written above, it is considered that early treatment is important as soon as possible in Temporomandibular joint ankylosis. It is recommended in surgical method what can lead to postoperative early movement maintaining anatomaical & functional form, and then the development of various surgical methods will be requested.

  • PDF

하인두암에서 후두인두 및 경부 식도 전 적출술 후 유리 공장 이식술의 합병증에 대한 후향적 분석 (Retrograde Analysis of Complications of Jejunal Free Flap after Total Pharyngo-Laryngo-Cervical Esophagectomy in Advanced Hypopharyngeal Cancer Treatment)

  • 민현진;현동우;김영호;최은창;김광문;김세헌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43-46
    • /
    • 2008
  • 진행된 하인두암의 수술 후 시행한 유리 공장 이식술을 시행한 본원의 경험에서 수술 후 누공 형성, 수술 부위 협착 등의 다양한 합병증과 그 치료방법을 경험하였다. 수술 방법에 있어서 한 개의 동맥과 정맥을 연결하였고 이식한 혈관의 혈전에 의한 이식 실패는 없었다. 수술 후 연하 기능에 있어서 영향을 주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이식 부위 협착이 었으며 협착의 치료 결과에 따라 술 후 연하 기능의 회복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측두하악장애 치료결과의 예측에서 사회심리학적 요인의 영향 (Sociopsychological Factors related to Prediction of Treatment Outcome of the Temporomandibular Disorders)

  • 여인식;한경수;김윤희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0권4호
    • /
    • pp.433-446
    • /
    • 2005
  • 본 연구는 측두하악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초진 시 주소의 심한 정도와 임상적 진찰소견의 상이함, 그리고 설문지를 이용한 사회심리학적 상태의 차이 등이 향후 진행되는 치료과정을 통해 증상의 실제 감소정도와 그에 소요되는 치료기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시행되었다. 측두하악장애 환자 268명을 대상으로 최대개구량, 수평피개량, 수직피개량, 촉진점수, 전치부 개교합, 수조작시 턱의 뻣뻣함(rigidity), 그리고 하악운동시 운동의 부조화(jerk)나 개구제한 등을 조사하고, 대상자의 사회심리학적 상태를 평가하기 위하여 사회재적응평가척도(SRRS), 병원불안우울척도(HAD scale), 피츠버그 수면지수(PSQI), 그리고 간이정신진단검사(SCL-90R) 등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증상변화에 대한 대상자의 주관적 평가를 관찰하기 위하여 가시상사척도(VAS)를 이용하였다. 조사된 치료기간은 내원한 전 기간인 전체 치료기간(total treatment duration)과 증상이 실제로 경감된 활동적 치료기간(active symptom relieving duration)이며, 활동적 치료기간은 치료지수(treatment index, TI)의 산출에 이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임상적 진찰 및 설문지 조사를 통해 분석된 40여 항목 중 남녀 간에 차이를 보인 항목은 최대개구량, 촉진점수, 하악운동시 턱의 부조화, 수면장애, 전체 치료기간 등이었으며, 전반적으로 설문지 조사항목에서 그 차이가 더 적었다. 또한 전체 대상자에서 간이정신진단검사의 각 항목척도와 다른 설문지의 총점 간 상관관계를 상호 비교할 때 사회재적응평가척도나 피츠버그 수면지수에 비해 병원불안우울척도의 총점이 더 높은 상관계수를 나타내었다. 2. 각 주소증상 별로 치료지수에 따라 세 군으로 구분하여 비교한 결과 통증의 경우 치료지수가 낮거나 중간인 군이 높은 군에 비해 치료개시 시점의 통증은 심했으나 종료시점에서는 오히려 더 약하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양상은 기능장애와 관절잡음을 주소로 한 경우에서도 유사하여 치료지수가 낮은 군에서 높은 군에 비해 치료개시 당시의 증상은 심했으나 종료 시에는 오히려 낮아진 양상을 보였다. 활동적 치료기간 역시 치료지수가 낮은 군에서 중간이나 높은 지수의 군에 비해 유의하게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증상이 경감되는 활동적 치료기간을 예측한 회귀방정식의 산출 결과 전체적으로 볼 때 최대개구량을 제외한 나머지 요인들 모두 대상자가 스스로 기록하는 가시상사척도상의 주관적 증상의 정도 및 설문지, 특히 간이정신진단검사의 척도항목으로 밝혀져 측두하악장애의 치료결과에는 각 개인의 사회심리학적 상태가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불균형 잔존 행정기록의 평가방법 시론 - 조선총독부 공문서의 평가절차론 수립을 위하여 - (An essay on appraisal method over official administration records ill-balanced. -For development of appraisal process and method over chosun government-general office records-)

  • 김익한
    • 기록학연구
    • /
    • 제13호
    • /
    • pp.179-203
    • /
    • 2006
  • 이 연구에서는 조선총독부 공문서와 같이 불균형 잔존하는 행정기록의 평가 방법과 절차를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기존의 평가이론을 재구성하였다. 쉘렌버그 등의 평가론은 기록에 내재하는 가치를 평가하는 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는데 반해 기능평가론 등에서는 기록 그 자체보다는 기록을 발생시킨 업무 행위를 평가하는 데에 주목하였다. 하지만 기록이 업무행위의 재현물이라는 점에서 볼 때 이 양자는 철학적으로 같은 것이며, 따라서 그 방법과 절차를 제대로 설계한다면 양자를 절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대 평가의 방식이 거시적, 균형적 측면에서의 강점을 지닌다면 절대평가의 방식은 미시적 측면에서의 강점을 지니므로 이 역시 양자의 절충적 방법론을 구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기존의 평가이론들은 구체적인 평가 방법론의 개발이라는 측면에서는 상황과 대상의 특성에 따라 얼마든지 여러 형태로 조합할 수 있는 상호보완적 성격의 것들이라고 판단된다. 특히 이 글에서 다루고 있는 불균형 잔존 행정기록의 경우에는 어느 이론 하나를 취하여 방법과 절차를 세우는 것보다 이론에서 제시된 유용한 방법과 절차들을 적절하게 조합하는 일이 긴요하다. 조선총독부의 공문서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먼저 처무규정류를 분석하여 총독부의 조직, 기능을 파악하고, 역사 해석적 방법을 동원하여 이들에 대한 거시적 가치 평가를 해야한다. 이를 토대로 하여 기능, 세부기능의 가치 서열을 고려한 조직기능 맵을 구성하여 이에 해당 기록을 매핑한다. 그런 다음 기록관리기관의 내적 환경등을 고려하여 평가 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토대로 다량 잔존 기록에 대해서는 상대 평가에 의한 미시평가를, 소량 잔존기록에 대해서는 오럴 자료의 생산 등 다른 수단을 제공하는 일 등을 수행한다. 이 연구는 기능분석, 역사해석적 작업, 기록의 상태평가 방법, 기준, 조선총독부 관보 및 기타 자료의 분석법 및 절차, 평가 아웃풋 이미지의 제시 등의 측면까지는 아직 이르지 못했다. 그런 의미에서 아직은 제언에 불과하고 앞으로의 연구 진척을 통해 부족한 부분 메워가야 할 것이다.

강제동원 구술자료의 관리와 활용 -일제강점하강제동원피해진상규명위원회 소장 구술자료를 중심으로- (Management and Use of Oral History Archives on Forced Mobilization -Centering on oral history archives collected by the Truth Commission on Forced Mobilization under the Japanese Imperialism Republic of Korea-)

  • 권미현
    • 기록학연구
    • /
    • 제16호
    • /
    • pp.303-339
    • /
    • 2007
  • '일제강점하 강제동원 피해'라 함은 만주사변 이후 태평양전쟁에 이르는 시기에 일제에 의하여 강제동원 되어 군인 군속 노무자 위안부 등의 생활을 강요당한 자가 입은 생명 신체 재산 등의 피해를 말한다. 강제동원 피해 역사를 복원하기 위한 노력이 피해당사자, 유족, 시민단체, 학계 등에서 이루어져왔고, 그 결과 2004년 3일 5일 ${\ll}$일제강점하 강제동원피해 진상규명등에 관한 특별법${\gg}$ (2007년 5월 17일 일부 개정)이 제정 공포되었다. 이를 근거로 2004년 11월 10일 국무총리 소속으로 일제강점하 강제동원피해진상규명위원회(이하 강제동원위원회)가 발족하였고, 2005년 2월 1일부터 일제강점하 강제동원 피해의 진상을 규명하여 역사적 진실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주요 업무는 강제동원 피해신고접수 및 피해신고조사(피해자 및 유족 심사 결정), 진상조사신청접수 및 진상조사, 진상조사 및 피해판정 불능에 관한 사항, 피해판정에 따른 호적정정, 강제동원 관련 국내외 자료수집 분석 및 보고서 작성, 유해발굴 및 수습 봉환, 사료관 및 추도공간 조성사업 등이다. 강제동원위원회는 피해조사 및 진상조사 업무를 위해 다양한 기록을 발굴 수집해 오고 있다. 여타 피해의 역사가 그러하듯이 이미 공개되었거나 새롭게 발굴되는 기록은 강제동원의 다양한 역사상을 확인하기 어려울 만큼 그 양이나 질에 면에서 부족하다. 피해의 역사에서 피해당사자의 이야기는 기록의 부재를 메우기도 하고, 기록 이상의 근거적 가치를 갖기도 한다. 강제동원위원회는 피해생존자와의 구술면담을 통해 다수의 구술자료를 생산하였고 조사업무에 활용하며 체계적인 관리방법을 토대로 관리하고 대중적인 활용까지 꾀하고 있다. 강제동원위원회의 구술자료는 생산 당시부터 철저한 기획에 의해 이루어졌고, 생산단계부터 관리와 활용의 편의성을 염두에 두고 디지털매체의 생산을 유도했다. 또한 조사업무 과정에서 생산되는 구술자료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수차례 면담자 교육을 실시하고, 면담자로 하여금 구술당시의 상황을 면담일지로 남기도록 했다. 강제동원위원회는 소장 기록을 관리하는 별도의 기록관리시스템을 갖고 있지 않다. 디지털 아카이브는 피해 진상 관리시스템과 전자결재시스템을 통해 생산되어 관리되지 않는 생산 수집 기증 기록을 등록 검색하는 역할을 한다. 구술자료는 디지털 아카이브에 등록이 되어, 실물과 중복 보존되고 있다. 구술자료는 등록과 동시에 분류, 기술행위가 이루어지고 구술자료의 관리 아이디인 등록번호, 분류번호, 비치번호 등을 부여받게 된다. 강제동원위원회는 구술자료의 적극적인 활용을 위하여 구술기록집의 발간을 지속적으로 해오고 있고, 영상물 등의 제작을 계획하고 있다. 강제동원위원회의 구술자료는 정부차원의 조사 업무 과정에서 생산된 것이라는 한계, 예산부족이나 기록관리시스템 등의 부재 등을 넘어서 한시조직으로서 가능한 적극적인 방법으로 생산 관리 활용되고 있다. 축적된 구술자료는 향후 특별법에 규정되어 있는 대로 사료관 등이 건립된다면 대중 이용자들을 위해 더 체계적으로 관리 활용될 것이다.

수분 섭취 및 배설량의 측정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luid Intake and Output Measurements)

  • 최스미;양영희;정연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88-98
    • /
    • 1995
  • The Fluid and electrolytes balance in the body is of critical importance in maintaining good health. When the fluid and electrolyte imbalance is present, patients are in great danger. They must be assessed immediately by a nurse so that appropriate treatment can be started as soon as possible. Patients' fluid intake and output records contain highly important information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fluid imbalance, but, these records are often inaccurate and the method of recording the fluid intake is not universal for every hospital. Be-cause they are few quantitative measurements of a patient's hydration, the need to improve the accuracy of fluid intake records is very important. However, very few studies have been done to investigate the accuracy of measurements of patients' fluid intake and outpu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thods used for calculation of fluid intake which is most similar to fluid output in normal adults and hospitalized patients. This study focused on three different calculation methods for fluid intake and compared these to fluid output and developed suggestions as to the ideal way to record fluid in-take. Data for 43 hospitalized patients and 37 normal adults we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In normal adults, the daily intake of water which enteres by the oral route was 2415m1 (the first method of calculation). The daily intake of water in the form of pure water or some other beverage was 1365m1 (the third method of calculation) The daily intake of water including fresh fruits and vegetables, rice, porridges, and Me m which have water content more than 80% were 2186m1 (the second method of calculation). 2) The urine output of the normal adults was 1350m1. This apprroximates the amount of fluid an adult takes in the form of pure water. 3) In patient group, the total intake of water was 2550m1 (the first method of calculation). The in-take of water in the form of pure water or as some other beverage and IV fluid was 1661m1 (the third method of calculation). The daily in-take of water including foods which have high water content was 2356m1 (the second method of calculation). 4) The urine output of the patient's group was 1728m1. This approximates the amount of fluid an adult takes in the form of pure water. 5) Investigation of the method of calculation of the patient fluid intake showed that among the 31 hospitals studied, only eight use the third method of calculation which reflects the most close value to urine output. From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it was indicated that the amount of fluid taken in the form of pure water reflects the most close value to urine output. Therefore,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third method of calculation which includes water in-take only in the form of pure water or beverage should be used as patients' fluid intake record.

  • PDF

소양면 지역사회 환경기초조사 (A Basie Community Health Survey in Rural Korea (Soyang-Myun))

  • 최승렬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6권1호
    • /
    • pp.133-160
    • /
    • 1973
  • 1. Introduction Community medicine with the concept of comprehensive medical care and an ideal medical care delivery system not only for an individual or family but for the whole community has emerged. In April 1970, the Presbyterian Medical Center started a hospital based community health service project in order to improve the health of the people in rural areas. Prior to commencing a comprehensive medical care system, a family survey was needed. The major objective of this survey was to obtain information concerning the people and their environment so as to be able to plan and implement a comprehensive medical care program in Soyang-Myun. 2. Survey Method An interview using a family record form was carried out for each household. This family record form was designed to get information about demography, family planning, environmental sanitation and vital statistics. Prior to beginning, the members of the survey team were trained in interviewing techniques for three days. The team consisted of a public health nurse, four nurse-aides, a sanitarian and four health extension workers who are working in our project, The survey was carried out during the period November 1971 to March 1972. 3. Project area 1) Population of Soyang-Myun was 11,668; male, 5,962 and female, 5,706. Sex ratio: 104.5. 2) Households : 1,858 3) Family size: The average household consisted of 6.3 persons. 4) Educational level of householder a. Illiterate 13% b. No schooling but able to read 10% c. Preschool children 19% d. Primary school 47% e. Middle school 7% f. High school 3% g. College or University 1% 5) Occupational distribution of householders a. Farmer 67% b. Laborer 13% c. Office worker 4% d. Merchant 4% e. Industrial worker 2% f. Unemployed 8% g. Miscellaneous 2% 6) Religious affiliation a. No religion 74% b. Buddhist 12% c. Protestant 10% d. Catholic 4% 4. Survey results Living Environment : a. Home ownership 95% b. Kinds of roofing Straw-thatched house 84% Tile-roofed house 10% Slate-roofed house 5% Other 1% c. Floor space Less than 6 pyong 10% 6-10 pyong 53% 11-15 pyong 24% 16-20 pyong 9% More than 20 pyong 4% d. Radio ownership 80% Environmental Sanitation : a. the source of drinking water public well 49% private well 30% drainage water 9% steam water 8% well pump 3% water distribution system 1% b. Distance between well and toilet more than 16meters 38% 6-10 meter 31% 11-15 meters 14% Less than 6 meters 17% c. The status of well management Bad 72% Fair 26% Good 2% d. General sanitary state of house Bad 37% Fair 51% Good 12% e. House drainage system had no house drainage. 77% Family Planning : a. 24% of the people have used contraceptives, but 12% ceased to use them. 76% have never used contraceptives. b. used methods 1oop 68% oral pill 16% vasectomy 4% condom 1% tubal ligation 1% two or more methods 10% Maternal Health : a. The number of conceptions of housewives under 50 years of age. 11 times 26% 6 times 11% 5 times 11% 4 times 9% b. The place of delivery own house 88% hospital 1% others 11% Treatment of general sickness : a. The place of treatment Soyang Health Center 31% Hospital (private or otherwise) 26% Pharmacy 14% Herb medicine 5% Private care 5% No treatment 12% Miscellaneous 7% b. Usual causes of diseases Unknown 46% Tuberculosis 29% Neuralgia 8% CVA 3% Bronchitis 3% Others 11%

  • PDF

Functionally generated path technique 및 구내 디지털 스캔을 이용한 상악 구치부의 고정성 보철 수복 증례 (Fixed prosthodontic rehabilitation of maxillary posterior teeth using functionally generated path technique and intraoral digital scan: Case report)

  • 김성호;이종혁;최유성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8권3호
    • /
    • pp.228-238
    • /
    • 2020
  • 환자의 교합에 맞춰 적절한 고정성 보철물을 성공적으로 제작 및 수복하기 위해서 필요한 다양한 고려사항이 있다. 그 중 환자가 갖고 있는 교합의 형태를 파악하여 고정성 보철물에 부여하는 것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견치 유도 교합, 군 기능 교합 등 여러가지 교합 형태를 파악하는데 있어서 하악의 운동을 기록하는 것이 중요한데, 1933년 Meyers에 의해 소개된 Functionally generated path (FGP) technique은 구내에서 왁스 등의 재료를 이용하여 교두가 지나가는 하악 운동로를 기록한 후 보철물 제작에 적용하는 치료 술식이다. 본 증례에서는 두 명의 환자에 있어서 상악 구치부에 이차 우식 혹은 치주염으로부터 기원한 치수 유래 병소가 있어, 근관 치료 및 치주 치료 완료 후 고정성 보철물 수복이 필요하였다. 장기적인 예후가 좋지 않은 치아이기에 측방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FGP technique을 이용하여 하악 운동을 기록하였다. 통상적인 석고 인상 방법이 아닌 구내 디지털 스캔을 시행함으로써 더 효율적으로 보철물을 제작하였다. 치료 후 환자와 술자 모두 기능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디지털 방식을 활용한 양악 총의치 수복 증례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utilizing digital process: A case report)

  • 안유진;이영후;홍성진;백장현;노관태;배아란;권긍록;김형섭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0권4호
    • /
    • pp.313-319
    • /
    • 2022
  • 총의치는 무치악 환자의 치료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치료방법 중 하나이다. 전통적인 총의치의 제작과정은 예비인상 채득, 최종 인상 채득, 악간관계 채득, 납의치 시적, 의치 장착의 단계를 거치게 된다. 여러 번의 내원 과정과 복잡한 기공 과정이 필요하며, 각 단계별로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최근 디지털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총의치 치료과정에도 디지털 기술이 도입되고 있으며, CAD를 이용해 더 정밀한 작업이 가능하며 기공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을 물론 환자의 내원 횟수도 줄일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디지털 방식을 활용하여 환자의 기존 의치의 전치 배열을 최종 의치로 이행하였다. 3D 프린터를 이용해 시적 의치를 제작하여 환자에게 시적하여 구순 지지도와 전치부 배열을 포함한 심미성 및 구강내 유지력을 평가 후 최종 의치 제작하였다. Computer-Aided Design/Computer-Aided Manufacturing 기술을 활용하여 내원 횟수를 줄이는 동시에, 만족할 만한 의치의 유지력 및 안정성을 얻었으며 심미적인 회복을 이루었기에 본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