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al health status

검색결과 1,039건 처리시간 0.032초

한국 노인의 DMFS, DMFT 지수와 FS-T 지수의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DMFS, DMFT and FS-T Indexes in the Korean Elderly)

  • 신명숙;원영순;권미영;김윤신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51-257
    • /
    • 2010
  • 본 연구는 2008년에 실시된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65세 이상 한국 노인 1,356명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구강보건인식 및 행위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구강보건지수인 DMFS, DMFT, FS-T 지수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한국 노인의 평균 DMFS 지수는 26.62면, DMFT 지수는 6.76개, FS-T 지수는 21.51개였다. 2. 한국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교육수준에서는 DMFS(p<0.05)와 FS-T(p<0.001) 지수에서, 경제활동상태에서는 DMFT(p<0.01), DMFS와 FS-T(0.001) 지수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성별, 연령, 배우자 유무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한국 노인의 구강보건인식(본인인지 구강건강상태, 치과진료 필요여부, 구강건강 염려수준, 씹기 문제)과 DMFS, DMFT, FS-T 지수와 관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한국 노인 구강보건행태 중 1년간 구강검진 여부에서 DMFT(p<0.01), DMFS와 FS-T(p<0.001) 지수에서, 어제 하루 칫솔질 횟수에서는 DMFT와 FST(p<0.01), DMFS(p<0.001) 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치과병의원 방문 시기에서는 FS-T(p<0.01) 지수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서울 일부 지역 노인의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와 주관적 구강증상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of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to Subjective Oral Symptoms for the Elderly in Some Seoul Area)

  • 원영순;김지현;김수경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75-380
    • /
    • 2009
  • 본 연구는 노인의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와 주관적 구강증상의 관련성을 조사하여, 노인의 구강건강 향상을 위한 노인구강보건사업개발의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2008년 6월부터 9월까지 서울 소재 경로당을 방문하여 편의표본추출법으로 노인 200명을 선정하였으며, 개별 면접조사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통계 처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주관적인 구강증상에서 저작시 어려움, 구강건조, 구취는 가끔 느낀다는 응답이 각 32.0%, 38.5%, 40.5%로 나타났으며, 구강내 통증, 악관절 이상의 경험, 잇몸질환의 경험 은 겅의 없다라는 응답이 각 44.5%, 69.0%, 46.0%로 높게 나타났다. 2. 구강내 잔존 치아수는 평균 13.71개로 나타났다. 3. 성별에 따른 주관적 구강증상에서 성별과 악관절 이상(p=0.000), 구강건조(p=0.001), 구취 (p=0.006)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았으며, 남자가 여자보다 구강증상을 경험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저작능력(p=0.000), 구강내 통증(p=0.010), 악관절 이상(p=0.010), 구강건조(p=0.001)와 주관 적 구강 건강상태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구강이 건강하지 않은 노인이 구강 증상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잔존 치아 수는 건강하지 않은 노인이 적 었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0). 5. 치아수가 많을수록 저작능력(p=0.000)과 구강건조의 경험(p=0.000)을 적게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치아수가 많을수록 잇몸질환의 경험(p=0.007)이 많은 결과를 보였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구강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저작능력(p=0.000), 구강내 통증(p=0.004), 구강건조(p=0.000), 구취의 경험(p=0.008)이 적었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노인이 인지하는 구강건강상태와 구강증상과의 관련이 있으며, 잔존하는 치아의 수와 주관적 구강증상도 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노인의 자연치아를 유지하기 위하여 구강병의 예방적 활동과 구강건강상태 인지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계속구강건강관리제도와 구강보건교육프로그램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사료 된다.

  • PDF

노인 구강보건실태 및 신체·심리적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ntal health and physical & psychological health status of the aged)

  • 윤영숙;정영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9-51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ental health and physical & psychological health status of the aged. The subjects were 61 old persons, women who were over 65, living at Sahagu in Pusan.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by using direct interviewing method from October 22th, 2004. The data were analysed by using a computerized program named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including frequency, percentage, ANOVA.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dental status and the use of dental care institute 1) In status of denture use, it was found to be no denture(45.2%), full denture(35.5%), partial denture(19.4%). 2) In the questionaire of "when did you go to the dental care institute recently?", it was found to be uncertain(41.9%), less than one year(38.8%), 2~3years(16.1%), 1~2years(3.2%). 3) In the questionaire of "what type of the dental care institute did you use?", it was found to be in the dental clinic(80.6%), others(9.7%), dental hospital(6.5%), department of dentistry in general hospital(3.2%). 4) In the questionaire of "why did you select the dental care institute?", it was found to be in the nearly distance(80.6%), relative advice(16.1%), advertisement(3.2%). 5) In the questionaire of "how did you go to the dental care institute?", it was found to be walking(71.0%), bus & subway(22.6%), car(3.2%) and others(3.2%). 6) In the questionaire of "how long did it take to the dental care institute?", it was found to be 10~30min(48.4%), less than 10min(38.7%), 30min~1h(6.5%), 1~2h(3.2%), more than 2h(3.2%). 7) In the questionaire of "what kind of dental care did you take?", it was found to be denture making(45.2%), extraction of tooth, dental surgery, general exam(12.9%), caries(9.7%), denture repair(6.5%), others(3.2%). 8) In the questionaire of "how much did you pay for dental care recently?", it was found to be less than 5,000won(35.5%), 20,000~100,000won(19.4%), 1~3million won(16.1%), 5,000~20,000won, 100,000~300,000won, 500,000~1million won, more than 3million(6.5%), 300,000~500,000won(3.2%). 9) Average score of the subject's physical health status was 4.11 and psychological health status, 4.01 in a 5 point Likert scale. 10)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statu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eating snack(pE0.05) and snack type(pE0.01). Above findings suggest that geriatric oral health program is necessary in improving the dental health & health status of the aged.

  • PDF

기관내관을 삽입 받은 중환자의 구강간호 방법에 따른 구강상태 비교 (Comparison of Oral Care Interventions on the Oral Status of Intubated Patients in Intensive Care Units)

  • 박진희;송경애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24-333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ree different oral care treatments on the oral state of patients with intubation in intensive care units. Methods: The research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with repeated measures. The patients were assigned a normal saline, chlorhexidine or toothbrushing group. Each group received its own oral care treatment for 5 minutes, twice a day and for 8 days. The oral assessment guide, hygiene performance index and pathogenic microorganisms. Data were collected from patients before the experiment, 4 days after, and 8 days after completion and were evaluated. Results: The chlorhexidine group and tooth brushing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on the oral assessment guide and decrease in the hygiene performance index, compared to the normal saline group. Similarly, pathogenic microorganism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chlorhexidine group and tooth brushing group, when compared to the normal saline group. Conclusions: Oral treatments with chlorhexidine and toothbrushing improve the oral health state of patients, therefore use of chlorhexidine and toothbrushing could be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intubated patients in intensive care units.

우리나라 노인의 만성질환경험과 구강건강상태 및 행태와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among the experiences of chronic diseases, dental health status, and the behaviors in the Korean elderly people)

  • 한여정;홍선화;유미선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65-75
    • /
    • 2018
  •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of dental diseases and health care in the elderly by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among the experiences of chronic diseases, dental health status, and the behaviors in the Korean elderly people. Methods: A total of 2,856 elderly people aged 65 or older were selected as the final analysis subjects using data from the 6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2014). Chronic diseases were defined as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s', 'diabetes', 'chronic respiratory diseases', and 'cancer' diagnosed by the doctors.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SPSS 21.0 for Windows was used. Descriptive analysis and a Chi-square test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the experiences of chronic diseases, general characteristics, dental health status, and the behaviors in the Korean elderly. Finall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the experiences of chronic diseases, dental health status, and the behaviors. Results:The prevalence of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3-4 group of community periodontal index with the score of 1.36 (95% CI 1.03-1.00) than in the 0-2 group. The prevalence of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 without dental examination during the past one year with the score of 1.29 (95% CI 1.00-1.66). The prevalence of diabete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uncomfortable speaking state group with the score 1.46 (95% CI 1.12-1.91). The prevalence of cance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artial denture needs group with the score 1.67 (95% CI 0.98-2.83). Conclusions: Regular dental examinations and dental health care for the elderly with chronic diseases showed that periodontal health and residual teeth could be maintained and managed. Therefore, continuous customized dental health services should be implemented for the elderly with chronic diseases.

양산시 거주 청소년의 치과치료 필요도에 대한 조사연구 (An Epidemiological Study on the Dental Treatment Needs of Adolescents in Yangsan)

  • 권민석;신종현;김지연;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54-364
    • /
    • 2016
  • 청소년기 구강건강 상태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치과치료 필요도를 평가할 목적으로, 양산시 소재 중고등학교에 재학중인 14-17세 청소년 2,062명을 대상으로 임상검사 및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치아우식증의 치료필요도는 66.7%, 치아침식증의 치료필요도는 27.8%, Molar incisor hypomineralization(MIH)의 치료필요도는 14.7%였다. 부정교합은 양호한 교합 군 67.8, 치료 불필요 군 19.7%, 약간의 치료가 필요한 군 6.8%, 치료가 반드시 필요한 군 4.5%, 가장 심한 부정교합 군 1.1%로 나타났고, 치료필요도는 12.5%였다. 치주질환은 71.2%의 유병률을 보였고, 치료 필요도도 이와 동일한 71.2%였다. 측두하악장애는 무증상 군 67.1%, 경미한 증상 군 13.4%, 심한 증상 군 19.5%의 분포를 보였으며, 치료필요도는 20.6%로 나타났다. 가장 높은 치료 필요도를 보인 질환은 치주질환이었고, 뒤를 이어 치아우식증, 치아침식증, MIH, 측두하악장애, 부정교합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청소년의 전반적 구강건강상태 및 치과치료 필요도를 파악할 수 있었고, 이는 우리나라 청소년 구강건강 증진을 위한 계획수립에 있어서 기초자료로서 기여하게 되기를 기대되는 바이다.

30-79세 한국 성인의 비만과 치주염의 관계에 대한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association between obesity and periodontitis in Korean adults aged 30-79)

  • 한수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95-103
    • /
    • 2020
  • 본 연구는 성인의 비만과 치주염 사이의 연관성을 확인하고, 비만의 각 단계에서 치주질환과 건강행동의 융합적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었다.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30-79세 성인 10,056명을 추출하였으며, 가중치를 적용한 복합표본설계를 반영하여 카이제곱 검증과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건강상태로 보정하였다. 비만단계가 높아질수록 치주염 위험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흡연과 구강관리용품 사용, 구강검진 비수검이 치주염과 유의한 관련이 있었으며, 비만의 단계에 따라 영향요인에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비만 단계의 증가는 치주염 유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구강건강프로그램은 비만관리 과정에 적용되어야 한다.

성인의 자기평가 구강건강수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evel of Self-assessed Oral Health by the Adults)

  • 홍민희;정문희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65-272
    • /
    • 2011
  • 본 연구는 성인과 중 장년 집단의 구강위생상태를 비교하고, 자기평가 구강건강수준의 경로모형을 제시하는데 있다. 성인 및 중 장년 남 여 각각 20명씩 편의 추출한 총 80명이 대상이었다. 2010. 7.1 - 7.30 한 달간 조사하여 수집한 자료를 SPSS VERSION 19.0과 AMOS 19.0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성인과 중 장년 집단은 자기평가 구강건강수준의 점수와 생활습관이 동질 하였다. 성인 집단의 평균연령은 25.45(${\pm}4.21$)세였고, 중 장년집단의 평균연령은 51.27(${\pm}6.18$)이었다. 2. 성인과 중 장년 집단의 구강위생상태는 12항목 위생검사 중 7항목(58.33%)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구취 및 설태와 저작기능의 정도, 과민성치아의 수 4 항목은 성인집단보다 중 장년집단이 더 높았고, 반점치아의 수 1항목은 중 장년집단보다 성인집단이 앞과 달리 더 높았다. 이 차이는 매우 유의하였다. 3. 성인 집단의 자기평가 구강건강수준의 점수는 감염 부위의 수, TMJ장애의 정도, PHP의 점수 3변수에 의해서 34% 설명될 수 있었다. 중 장년의 자기평가 구강건강수준의 점수는 저작기능의 정도와 타액분비양의 2변수에 의해서 26%설명될 수 있었다. 4. 성인 집단에서 경로 모형의 적합도는 CFI가 0.96이었고 TLI가 0.94로 RMSEA는 0.00으로 매우 좋았다. 이 경로에 대한 총 효과는 자기평가 구강건강수준의 점수$\rightarrow$감염부위의 수 0.37, 감염부위의 수$\rightarrow$과민성 치아의 수 0.32이였고, 자기평가 구강건강수준의 점수$\rightarrow$TMJ장애의 정도 .26, 부정교합의 정도$\rightarrow$TMJ장애의 정도 -.34이었다. 중 장년 집단에서 경로 모형의 적합도는 CFI가 1.00이었고 TLI가 1.15로 RMSEA는 0.00으로 매우 좋았다. 이 경로에 대한 총 효과는 자기평가 구강건강수준의 점수$\rightarrow$ 저작기능의 정도 0.40, 저작기능의 정도$\rightarrow$감염부위의 수 0.44와 PHP의 점수 0.35, 감염부위의 수$\rightarrow$TMJ장애의 정도 0.41이었다. 이상의 결과는 성인기의 TMJ장애의 정도와 감염부위의 수를 방치한다면 중 장년기 저작기능 악화에 영향이 클 것임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성인기와 중 장년기 집단별로 자기평가 구강건강수준을 바탕으로 한 차별화된 보건교육 프로그램이 개발, 운영되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한국 성인의 경제적 불평등에 따른 구강건강행태 (Economic Inequality in Perceived Oral Health Behavior among Adults in Korea)

  • 김미정;임차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439-445
    • /
    • 2018
  • 본 연구는 소득 불평등의 심화가 건강 불평등을 가속화시키는 중요한 경로가 되고 있기에 한국 성인의 경제적 수준에 따른 구강건강상태 및 행태의 현황을 확인하여 구강건강 불평등 완화를 위한 대책과 함께 구강건강증진의 효율적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3차년도(2015)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전체 대상자 중에서 만 19세 이상의 성인 총 585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가구소득이 적을수록, 기초생활수급 경험이 있는 사람일수록 DMFT는 높게 나타났고, DMFT와 경제적 불평등 변수와의 상관성은 DMFT가 높을수록 가구소득이 적고, 교육수준이 낮고,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경제적 불평등은 객관적 구강건강과 구강건강행태 불평등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동에 거주하는 기초생활보장 수급자보다 읍, 면에 거주하는 기초생활보장 수급자의 객관적 구강건강상태가 좋았는데 그것은 정부의 구강보건사업이 도시 지역보다 농어촌 지역으로 편중되어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이에 취약계층의 구강보건사업을 지역별 구강보건사업 보다 더 나은 효율적인 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며, 단순히 의료적 접근 등의 해소가 아닌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포괄적인 중재정책과 공중보건사업을 통해 예방활동 강화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서울시 학생치과주치의 사업이 구강 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Dental Preventive Health Services for Children on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 송지수;정호정;임대근;김영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427-437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학생치과주치의 사업이 구강 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2018년 사업의 전체 대상자인 20,802명 중 무작위로 선정된 110명의 10세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사업 시행 전과 후에 Child Oral Health Impact Profile (COHIP) 설문 문항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사업 전후 설문을 모두 작성한 107명의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COHIP 점수와 우식 치아의 수, 결손 치아의 수, 부정교합, 구강위생상태와 같은 임상검사 결과들이 분석되었으며, 응답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확인되었다. COHIP 점수는 사업 시행 후 증가되었으며(p < 0.001, effect size 1.05), 우식 치아와 결손 치아가 있는 어린이들은 낮은 COHIP 점수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서울시 학생치과주치의 사업은 10세 초등학생들의 구강 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